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실학적 정치’의 시

        허윤진(許允?)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3

        본고에서는 성호 학파의 일원인 혜환惠寰 이용휴李用休(1708~1782)의 송시送詩를 대상으로 하여 학문이 어떻게 정치로 실체화 될 수 있는지를 살핀다. 정치는 현재 주어진 시대와 지역이라는 조건 하에서 연약한 육체를 공통적으로 가진 위정자와 백성이 함께 참여하는 인간 윤리의 실천 과정임이 드러난다. 따라서 조선의 당대 현실은 정치의 내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정치 주체라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백성은 위정자에게 수동적으로 보살핌을 받는 대상이 아니라, 위정자의 혈육이고 동포이며, 위정자의 실제 정치를 명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비평적 주체임이 특기할 만하다. 위정자는 백성이 삶으로써 진리를 일상적으로 실천하고 있음을 살펴보고, 수신修身의 자세로 자신의 육체적 소욕을 반성해야 한다. 혜환의 송시는 실학적 정신에 입각한 정치 이론을 구체화한 ‘실학적 정치’의 시라고 부를 수 있다. This essay delves into the farewell poetry of Yi Yong-hyu(1708~1782) and investigates how science can be substantiated in the form of politics. According to Yi’s perspective, politics is a process of acting out human ethics in which politicians and commoners participate as those who have one’s own vulnerable body located in specific time and space. Therefore, Chosun of his tim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ashioning the reality of politics. In terms of political subject, remarkably, commoners are regarded as flesh and blood and siblings of a politician; they are also configured as the most insightful critical subject who evaluates real politics. In turn, politician should acknowledge that commoners practice modes of truth through their everyday life. And he also should reflect on his own bodily desires with the attitude of self-civilization(修身). In this context, I would suggest that the farewell poetry of Yi be referred as poetry embodying politics of Sirhak(實學).

      • KCI등재

        1960년대 불량소녀의 지형학

        허윤 대중서사학회 2014 대중서사연구 Vol.20 No.2

        『여학생』의 불량소녀 수기는 불량청소년 문제가 국가와 전쟁이 아닌 개인 차원에서 벌어지고 있는 문제라는 인식적 전환을 재현한다. 개인의 고백과 반성을 통해 사회는 다시 정화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유통하는 것이다. 이는 바람직한 여학생으로서의 몫을 할당하는 치안의 영역이다. 국민들의 삶을 통치하는 치안 권력이나 검열, 섹슈얼리티에 대한 계몽담론 등은 파시즘적 민족주의를 유지하기 위한 적대를 생산한 것이다. 그러나 불량소녀 수기들은 이 정치적 경관의 여백에 탈주선을 긋는다. 소녀들은 반성하는 것이 아니라 고발하고, 순응하는 것이 아니라 항의한다. 이러한 결절점은 신경질적이고 예민한 사춘기 여학생은 순간의 선택에도 불량소녀가 될 수 있으니 가정과 부모가 이를 잘 관리해야 한다는 공론장과 충돌한다. 그럼으로써 10대 여성을 모두 순결한 여학생으로 귀속시키려는 시도는 실패한다. 불량소녀와 순결한 소녀의 이분법이 강화될수록, 박정희 체제의 산업화를 지탱했던 10대 여성노동자들은 보호해야 할 ‘소녀’로부터 멀어진다. 하얀 칼라의 교복을 입은 여학생 이외의 다른 10대 여성을 상상할 수 없게 만든 것이다. 이 여학생이라는 환상은 불량소녀라는 정치적 상상이 체제의 통치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을 가리고 있다. 그러나 소녀들의 수기는 이 매듭점들을 노출시킴으로써 균열의 지점을 재현하고 있다.

      • KCI등재

        『시연구』(1956) 동인의 윤동주 추도와 시의식의 형성

        허윤 한국현대문학회 201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7

        Poets who wrote the mourning for Yoon Dong-joo in various newspapers gathered in a magazine The Study on Poetry(1956). Kim Hyun-seung from Pyeongyang Soong-sil(High Truth/Raising the Truth) became a poet again in the liberation period with Yoon Dong-Joo and became a editor of that magazine. In this paper, I tried to examine the context of The Study on Poetry(1956) and its meaning through the way of Yoon Dong-joo’s poetry and ritual mournings for him. This work not onl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horizon to the periphery of the post-war’s poetry by way of the Yoon Dong-joo in reading experiences of the postwar generations, but also the process of branching the poetry around the issue of distance between work and reality. In this proces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oetry[work] and poet[reality] in Yoon Dong-joo’s poetry originated from literary friendship with Journalist/South Korea Labor Party Kang Cheo-joong who was Yoon’s literary friend in days of Yeon-hee and later be going North. Kang was the sender and receiver with Yoon’s poetry. The relationship of The Study on Poetry continued through the history of poetry. Kim Jong-gil and Kim Hyun-seung inherited the neutrality in the poetry of Yoon Dong-joo 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poet and poetry, while Kim Chun-soo categorized poets who showed such a close relationship as ‘The Midway’ but showed a distinction between the poet and the poetry in his work. This shows that the poetry’s principles diverged from the differences of distance between poet and poetry. As a result, the spectrum of The Study on Poetry which existed as a horizontal shade relation, is vertically divided into two. Furthermore, the contradictory possibility of the pure and participation, which Kim Jong-gil found through Yoon Dong-joo, became possible to reproduce on the narrow passage. 본고는 윤동주 10주기(1955) 추도문을 경향 각지에 발표한 시인들이 ‘작은 문학’ 『시연구』로 유입되고, 평양 숭실중학 출신인 동인 김현승이 해방기의 만시성 속에서 다시 시인이 되면서 윤동주와 상징적인 동류 관계에 놓인 것에 착안하여, 윤동주를 경유하는 방식으로 『시연구』(1956) 결성의 선후 맥락과 그 의미를 살피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전후세대에 의한 식민지시인론을 경유하는 방식으로 시단의 주변부로 시야를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동시에 시[작품]-시인[현실]의 거리 조정 문제를 둘러싼 『시연구』의 시의식 분기 과정을 시사의 맥락 속에서 고찰할 수 있게 한다. 『시연구』 동인 김종길과 김윤성이 윤동주 추도문을 통해 체계화한 시-시인의 근거리 관계 설정이라는 시의식은 이들의 독서 대상이었던 윤동주의 후기시에서 선취된 것이며, 윤동주는 연희전문학교 시절 문우인 월북 언론인 강처중과의 문교(文交)를 통해 이 같은 시의식을 형성할 수 있었다. 해소 이후로도 단속적으로 연결되며 ‘시연구’라는 이름만으로 성립될 수 있는 시사의 비가시적인 유파로 남은 『시연구』 동인은 시의식의 차원에서는 시-시인의 원근 관계를 설정하는 문제를 둘러싸고 분기하는 양상을 보였다. 김종길과 김현승이 시-시인의 근거리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윤동주의 중정의식을 잇고 있었다면 김춘수는 시사 서술의 층위에서는 김종길과 김현승을 전후 시단에서 이채를 보인 ‘중도파’로 긍정하면서도 창작방법론에서는 시-시인의 원거리 관계를 설정하였다. 이로써 수평의 음영(陰影) 관계로 존재하던 ‘시연구’의 스펙트럼은 시-시인의 원근 관계에 따라 둘로 수직 계보화되었으며, 김종길이 윤동주에게서 포착한 순수·참여라는 시의 형용모순적 가능성은 시와 현실 사이의 거리를 좁혀나가는 시의식의 측면에서 작은 기반을 형성해나갈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