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무속에 대한 ‘반성적 연행’의 성행과 그 민중문화적 의미

        허용호(Heo Yongho) 한국무속학회 2009 한국무속학 Vol.0 No.19

        이 글은 19세기 무속 관련 연행에서 나타나는 반성성에 주목하고 그 의미를 따져본 것이다. 19세기 무속에서 반성적인 특징이 나타난다는 가설을 논의 출발점으로 삼고, 〈배뱅이굿〉을 통해 이를 입증하였다. 이어서 이 특징이 19세기 제 민중문화 갈래에서 찾아볼 수 있음을 드러내면서 논의를 확대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19세기 반성적 연행의 성행은 곧 절대적인 것의 상대화라는 민중의식의 전환을 말하는 것임을 주장하였다. 논의된 결과를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배뱅이굿〉에서는 무속 전반에 대한 상대화 경향이 나타난다. 〈배뱅이굿〉은 굿 전반을 대상으로 하는 굿에 대한 연행이다. 〈배뱅이굿〉에서는 신격, 굿 연행과 전승의 공동체, 굿거리 등을 포함하는 무속 전반에 대한 관습적 사고의 뒤집기가 이루어진다. 이는 관습적 사고에 대한 반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배뱅이굿〉에서는 관습적인 것들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재고’한다. 그 결과, 감히 하지 못했던 또는 절대적인 것이라 여기어 오던 것에 대한 상대화가 이루어진다. 관습에 대한 반성, 절대적이라 생각되던 것에 대한 반성으로서의 연행이 〈배뱅이굿〉이다. 그런데 이러한 특징은 19세기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민중연행의 여러 갈래에서도 나타난다. 〈장대장굿〉에서는 무속인과 그들의 삶, 그리고 그 제의에 대한 반성적 연행이 벌어진다. 〈봉산탈춤〉에서는 마을신격인 ‘웃목기 할미’와 ‘아랫목기영감’이 상대화되어 웃음거리가 된다. 〈남사당 덧뵈기〉, 〈송파산대놀이〉, 〈양주별산대놀이〉 등에서는 마마신인 ‘호구별상’에 대한 상대화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절대적인 것들에 대한 상대화가 19세기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 이러한 반성적 연행의 사례는 〈남해안별신굿〉이나 〈동해안별신굿〉, 그리고 서울과 경기 지역의 굿 뒷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양상들을 근거로 하여, 무속 혹은 민중연행의 영역에서 가정법, 가설, 욕망, 추측의 영역이 급격하게 확대되어 가던 시기가 19세기라고 주장할 수 있다. 19세기만을 독립시켜 놓고 본다면, 당대로서는 그 어떤 대안도 구체화되지 않은, 그저 ‘유쾌한 상대성’으로 절대적인 것의 해체를 지향하는, 다양한 가능성의 시기라 생각하는 것이다. 19세기는 ‘경계 혹은 문지방의 시공’인 것이다. 이 시공에서는 어떤 것도 절대적이지 않고, 하고 싶은 데로 한다. 이전 시기에서부터 발현되기 시작한 민중문화의 신기운이 마침내 신앙 혹은 믿음의 영역까지 침투하여 상대화시키고 있는 증거가, 바로 무속에 대한 반성적 연행의 사례들이다. 적어도 절대적인 것, 금기, 제약 등의 최후의 보루라 여겨져 왔던 것이 무속신앙이다. 그런데 그 무속신앙의 영역이 허물어지고 상대화되고 있는 것이다. 19세기 이러한 ‘반성적 연행의 성행’이라는 특징은 무속에 대한 인식 변화와 질적 전환을 말하고 있다. 그러고 이러한 현상은 민중연행의 갈래 전반에 걸쳐 갈래간의 교류ㆍ경쟁ㆍ습합 등의 양상을 보이며 나타난다. 19세기 ‘반성적 연행의 등장과 성행’은 무속의 대립 전선이, 유교 혹은 공식적인 종교문화에 덧붙여 민중문화 내부에 하나 더 생겨났다는 의미로 볼 수도 있다.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강력한 금지와 배제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어쩌면 민중들 사이에 강렬한 문화적 관성으로 유지되어 오던 무속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무속에 대한 반성적 연행의 등장은 단순히 민중문화의 표현 양태가 한 가지 더 추가되었다는 사실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그것은 무속이라는 절대적인 것의 상대화라는 민중의식의 전환이다. This study pay attention to reflexivity which is found on the performance connected with shamanism in the 19th century, and consider it’s meaning. Beginning with the assumption which 19th shamanism’s character is reflexivity, I prove the assumption through Baebaeng-i-gut. Next, it is pointing that this character is found on people culture genres in the 19th century, expand argument. And on the foundation of that, I insist that prevalence of reflexive performance is a turnover of the people consciousness which is a relativity of the absolute.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It is found that relativity of the whole field of shamanism on Baebaeng-i-gut. Baebaeng-i-gut is a performance of Gut. The conventional thought of the whole field of shamanism which include the divinity, Gut performance and community of tradition, Gutgeori is reversed on Baebaeng-i-gut. It is from a reflexiveness of conventional thought. Conventional things are reconsidered on Baebaeng-i-gut. As a result of the reconsideration, a relativity of the absolute is accomplished. Baebaeng-i-gut is a performance as a reflexiveness of convention and the absolute. That character is found on people culture genres which may be shaped in the 19th century. Reflexive performance of shamans and their life is performed on Jangdaejanggut. Village gods become a laughingstock on Bongsan-talchum. And smallpox god become a laughingstock on Namsadang-deotbaegi, Songpa-sandaenori, Yangju-sandaenori. It is interesting that relative consciousness of the absolute is outstanding in the 19th century. Examples of this reflexive performance can be looking for Namhaean-baelsin-gut, Donghaean-baelsin-gut, and Duetjeon of the Seoul-gut, Gyng-gi-gut. On the basis of the above aspects, I insist that 19th century is a period of possibility when the absolute is deconstructed through joyful relativity. 19th century is a space-time of liminal or threshold on which what kind of thing can be freely. A new sign of people culture which is revealed from previous century permeate into a realm of belief. The evidence is reflexive performances of shamanism. A prevalence of reflexive performance is said that consciousness change and qualitative conversion of shamanism in the 19th century. And this appearance display an aspect which is a inter-change, competition, compromise among the people performance genres. A prevalence of reflexive performance in the 19th century may be regard the meaning as a the front line of shamanism come into being from the inside of people culture. Therefore, entry and prevalence of reflexive performance which reflect on shamanism get a meaning more than a fact which people culture's expression aspect is added one more. That is a conversion of people consciousness which is a reflexivity of shamanism.

      • KCI등재

        세계 차원의 전통예술 사유에 대하여 - 유네스코 체제와 한류 현상을 중심으로

        허용호(Heo Yongho)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1 한국예술연구 Vol.- No.34

        21세기 진입을 전후해서 전 지구 차원에서 전통예술을 사유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한류와 유네스코 체제가 그 사례이다. 두 사례는 전 지구 차원에서 전통예술을 사유하게 한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바로 이점에 착안한 것이 본 연구이다. 논의는 유네스코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전통예술 논의를 검토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무형문화유산의 유네스코 체제 곧,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대표목록 논의의 전개 양상, 구체적인 사례, 의의와 한계 등을 살폈다. 이어서 한류 현상에서 존재하는 전통예술의 양상을 살폈다. 한류의 전개 과정과 그 현상을 설명하려는 노력, 그리고 구체적인 사례와 특징 등을 검토했다. 논의는 유네스코 체제와 한류 현상 사이의 비교로 이어졌다. 두 현상 사이의 관계는 어떠한지, 논의 전개 과정에서 만나는 지점은 없는지 확인했다. 본 연구는 2018년 벌어진 방탄소년단(BTS)의 <아이돌(idol)> 공연이 제기하는 몇 가지 문제를 정리하는 것으로 마무리했다. 한류 현상 차원과 유네스코 체제 차원이 전통예술을 매개로 교차하는 대표적 사례이고, 그 공연이 제기하는 문제가 범상치 않았기 때문이다. The phenomenon of the Korean Wave and UNESCO Regime both have in common the fact that they give the traditional arts a global reach. This study begins with a review of discussions on traditional arts and UNESCO.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at is, the development patterns, specific example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discussions related to ‘the UNESCO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are reviewed here. Subsequently, I looked at the aspects of traditional art existing in Hallyu, the Korean Wave phenomen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Hallyu, efforts to explain the phenomenon, specific examples, and characteristics. The discussion led to a comparison between the UNESCO Regime and the Korean Wave phenomenon. I compare the two phenomena and highlight any commonalities.

      • KCI등재

        기지시줄다리기와 공동체

        허용호 ( Yongho Heo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民族文化硏究 Vol.69 No.-

        이 논문은 기지시줄다리기를 대상으로 그 연행 과정에서 형성되는 일시적 연행 공동체와 그러한 일시적 연행 공동체를 가능하게 하는 지속적인 전승 공동체에 대한 고찰을 수행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한 이유는 그동안 기지시줄다리기 관련 연구들이 과거 지향적 편향성을 보였으며, 줄다리기 연행과 전승 주체에 대한 관심이 미진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에 필자는 줄다리기 연행과 전승의 주체인 공동체를 중심에 놓고, 현재 시점에서 논의를 진행했다. 논의는 우선 현재의 기지시줄다리기 연행에서 형성되는 공동체를 살피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기지시줄다리기 연행 공동체의 구성 양상과 그 특징, 그리고 일시적으로 형성되는 공동체가 갖는 의미 등이 여기서 논의되었다. 이어지는 논의에서는 기시지줄다리기 연행을 가능하게 하는 지속적이고도 관습적인 공동체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행에서 형성되는 연행 공동체와는 다른 속성이 여기서 논의되었다. 그 속성은 연행에서 형성되는 공동체와는 대립되는 것이지만, 묘한 긴장 관계를 가지며 기지시줄다리기를 떠받치고 있었다. 세 번째 이루어진 논의는 앞선 두 논의에서 나타난 현 기지시줄다리기 공동체의 특징과 과거 줄 난장 공동체의 특징을 비교해 보는 것이었다. 분명 차이가 있고 변화가 이루어졌지만 낯익은 현 전승 공동체의 성격이 여기서 보다 분명해졌다. 그리고 이 과정을 통해 현재 벌어지는 지역 축제의 전형으로서의 줄 난장이라는, 기지시줄다리기가 갖는 독특한 위상이 파악될 수 있었다. The research subject of this article is Gijisi tug of war, one of Korean traditional tug of wa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a temporary performance community, which is formed by playing Gijisi tug of war, and continuous transmission community, which enables to form a temporary community. In particular, this article might be meaningful for providing different perspectives with previous researches, focusing on contemporary traditional tug of war. First of all, this paper will explore the community which is formed by playing Gijisi tug of war. Especially, in this paper, the followings will be discussed; how community playing Gijisi tug of war is formed, what features it has, what`s the meaning of such temporary community and so on. In addition, this article will examine how continuous and conventional community enable to paly Gijisi tug of war. As doing so, different features with the community of playing tug of war could be discussed. Such features are opposed to those of community formed by performance of tug of war, but they support Gijisi tug of war having strained relations. And then, this paper will compar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of Gijisi tug of war with those of ``Jul Nanjang community``. Among them, there are obviously differences, and both have changed; however, here, the characteristics of familiar contemporary traditional transmission community will be clarified. And such comparative research might give the opportunity that Gijisi tug of war would find out its unique position in traditional tug of war.

      • KCI등재

        마을굿과 무당굿의 연관성에 대하여

        허용호(Heo Yongho) 한국무속학회 2009 한국무속학 Vol.0 No.18

        본고에서 필자는 충청도 마을굿과 무당굿의 연관성에 대해 논의했다. 이 연관성에 접근하는 본고의 방식은 직접적인 실례에 의한 증명보다는 추론에 의한 것이다. 마을공동의 제의인 마을굿과 개인적인 제의라 할 수 있는 가정의 무당굿 간의 어떤 논리적 연관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 된다. 이를 위해 대상으로 삼은 것은 충청북도 제천시 수산면 오티마을에서 행해지는 별신제이다. 충청도 지역에서 행해지는 사혼굿 역시 본고의 논의 대상이 되었다. 논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오티마을 별신제 거리풀이와 충청도 사혼제에서는 처녀 귀신과 총각 귀신이 공통적으로 등장한다. 하지만 두 연행에서 처녀ㆍ총각 귀신을 대하는 태도는 전혀 다르다. 거리풀이의 경우 마을 재앙의 원흉으로 취급되며 위협받고 얻어맞으며 쫓겨난다. 반면 사혼굿에서는 달래지고 배려받으며 혼례를 치른 후 저승으로 가게 된다. 이러한 거리풀이와 사혼굿의 다름은 마을굿과 무당굿 혹은 마을신앙과 무속신앙의 다름에서 기인하는 것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다름은 어떤 같음이 있기 때문이다. 같음을 따져 보기 위해서는 미혼의 사령을 대하는 민속신앙 차원에서의 논의가 필요하다. 즉, 원혼신앙이라는 측면에서 따져볼 수 있다. 원혼신앙이라는 입장에서 본다면, 총각ㆍ처녀의 혼령을 대하는 태도는 마을신앙이나 무속적 가정신앙이 유사하다. 일시적 퇴치 양상과 진혼을 통한 존재 전환의 두 양상이 각각 함께 나타난다. 오티별신제 거리풀이는 마을신앙의 한 측면이 나타난 것이며, 충청도 사혼제 역시 무속적 가정신앙의 한 측면이 나타난 것일 뿐이다. 다름은 나타난 측면의 다름일 뿐이며, 원혼신앙의 차원에서 본다면, 마을신앙이나 무속적 가정신앙이나 서로 다른 두 측면을 동시에 갖고 있다. 발생론적으로 보았을 때, 오티마을 별신제 거리풀이라는 마을굿을 통하여 처녀ㆍ총각귀신의 존재 상황을 제시하고, 이를 사혼굿이라는 무당의 굿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식의 논리가 만들어질 수 있다. 공시적으로 보았을 때 서로 대조적인 것으로 보였던 원혼신앙의 두 측면이, 상호 연관되어 있으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는 것이다. 역으로 본다면, 처녀귀신과 총각귀신을 제대로 해원시키고 천도시키지 못 할 때, 거리풀이에서처럼 한낱 잡귀로 대우받는다는 인식이 확장되고 확산될 수 있다. 마을굿을 통한 역설적 드러냄과 무당굿을 통한 해결이라는 유기적 연관성이 여기서 도출된다. 공시적으로 본다면, 원혼신앙을 이루는 두 측면을 대표하는 것이 거리풀이와 사혼굿이다. 그리고 발생론 혹은 원혼의 인식과정으로 본다면, 거리풀이와 사혼굿은 밀접한 상보적 관계와 순환 논리적 체계 혹은 유기적인 연관성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거리풀이와 사혼굿은 서로 다른 것이 아니다. 두 제의는 논리적으로 긴밀하게 연관된다. 민속신앙, 구체적으로 원혼신앙의 논리에 의해 긴밀하게 연관되는 제의들이라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research the relation between Maeulgut and Mudanggut in the Chungchung-do.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are the Ohti Baelsinje Georipuri and the Chungcheong-do Sahongut(Soul marrage ritual).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In the Ohti Baelsinje Georipuri and the Chungcheong-do Sahongut, maiden ghost and bachelor ghost appear in common. However the attitude of maiden ghost and bachelor ghost have quiet different in the two performance. Maiden ghost and bachelor ghost are expelled, being treated as a ringleader of disaster in case of the Ohti Baelsinje Georipuri. On the other hand, maiden ghost and bachelor ghost have been response of soul and go to heaven in case of the Chungcheong-do Sahongut. This difference may be caused by the difference of Maeulgut and Mudanggut or village belief and shaman belief. By the way this difference is supposing a commonness. For the commonness, an argument of single departed soul is necessary as a matter of folk belief. In other words, an argument of revengeful spirits belief is needed. From the point of view of revengeful spirits belief, the attitude of maiden ghost and bachelor ghost are alike in the village belief and shaman belief. Two aspects which are temporary elimination and response of soul are appear in common each. From the point of view of synchronic, the Ohti Baelsinje Georipuri and the Chungcheong-do Sahongut are representative of two aspects which constitute revengeful spirits belief. And the Ohti Baelsinje Georipuri and the Chungcheong-do Sahongut are rela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evolution theory. The logic which a situation of maiden ghost and bachelor ghost is presented through performance of the Ohti Baelsinje Georipuri, and then that situation is settled by performance of the Chungcheong-do Sahongut may be possible. Inversely, when it is not settle an account of maiden ghost and bachelor ghost, the understanding which treat maiden ghost and bachelor ghost like evil spirits as case of the Ohti Baelsinje Georipuri may be spread. A systematic relation which revealed paradoxically in the Maeulgut performance and then is settled in the Mudanggut performance is deduced in this point. At last the Ohti Baelsinje Georipuri and the Chungcheong-do Sahongut are not different each other. Two ritual are related logically. They are ritual which are connected by the logic of folk belief, concretely revengeful spirits belief.

      • KCI등재

        ‘굿놀이’의 역사 기술을 위한 도론

        허용호(Heo Yongho) 한국무속학회 2010 한국무속학 Vol.0 No.21

        이 논문에서 필자는 굿놀이의 역사를 기술하기 위한 서론적 논의를 했다. 필자는 현재 학계가 ‘굿놀이’라는 대상의 정체에 대해 혼란스러운 상태에 처해 있다고 생각한다. 이 혼란스러움이 해결되지 않는 한, ‘굿놀이’의 역사를 기술한다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 필자의 문제의식이다. 이에 필자는 우선 그동안의 ‘굿놀이’ 개념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나름의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 이어서 ‘굿놀이’의 역사와 관련된 선행연구에 대한 비판적 점검을 수행했다. 이를 통해 이전 연구의 한계가 포착될 수 있었으며, 필자 나름의 대안 모색도 할 수 있었다. 논의된 바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굿놀이와 관련한 학계의 혼란에는 극, 독립성, 재미 등에 대한 이견에서 기인한 굿놀이 범역의 차이가 자리하고 있다. 이에 필자는 굿놀이란 ‘다른 무엇으로 가강하여 대화나 몸짓 혹은 춤과 노래를 중심으로 해서 어떤 행위를 보여주는 것’으로 정리했다. 필자의 개념 정의에서는 ‘재미’없는 것을 배제하지도 않고 ‘극적’이지 않은 것을 외면하지도 않는다. 또한 하나의 전체로서의 굿에서부터 굿거리를 거쳐 삽화 수준에 이르는 다양한 굿놀이를 포괄하려는 지향이 필자에게는 있다. 어떤 대상을 두고 극적인가 아닌가, 재미를 추구하는가 마는가, 독립적인가 아닌가 등을 구분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그 속성들은 어느 정도 극적이며, 어느 정도 재미를 추구하며, 어느 정도 독립적일 뿐이다. 문제는 굿놀이적 혹은 굿놀이성에 대한 주목이다. 이는 곧, 굿에 대한 일반적 인식에 반하는 것에 대한 주목이자, 소외되고 배제된 것들에 대한 주목이기도 하다. 이러한 입장에는 ‘민속극주의로부터의 탈출’과 ‘굿으로의 복귀’라는 필자의 지향이 함축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각을 견지하는 필자의 ‘굿놀이’ 역사 기술에 대한 입장은 굿의 역사 속에서 굿놀이를 다루는 것이다. 달리 표현한다면, 굿의 요소로서 놀이 혹은 굿놀이를 중심으로 한 굿의 역사 기술이 된다. 이에 따라, 필자는 그 역사 기술의 불가능성올 포함하여, 몇 가지 제안을 했다. 굿 관련 문헌 자료에 대한 철저한 점검과 정리, 추론 중심의 굿 역사 기술에 대한 재검토, 놀이와 제의의 관계로 살펴본 복선과 축척의 순환사 기술, 문화기호학적 문화사 혹은 요소 간의 변화와 지속사, ‘굿화’를 기준으로 하여 살펴본 문화사 모델 등이 그것이다. I have had an introductory discussion for the historical description of Gutnori. I think that the academic is faced confused situation on the identity of Gutnori. If it is not to disentangle Gutnori from that confusion, the historical description of Guinori is difficult. Hence, I firstly raise questions about concept of Gutnori, and make a solution in my own way. In succession, I examine critically on previous study which is related to history of Gutnori. Through those process, I can find a drawback of previous study, and make an alternative proposal. The result of discussion is as follows. Some difference of Gutnori-scope which is due to a different view of drama, independence, amusement created confusion on the academic discussion of Gutnori. I defined Gutnori as 'make-believing as an other something, show an action which 15 acted by dialogue, gesture, dance, song, and so on', In my definition, I don't exclude an amusement and don't disregard a no-dramatic thing. And I have an intention which include diverse Gunori that is from the whole Gut(ritual), through the Gutgeri(an act of ritual), to the episode or scene. It is meaningless to define whether an object is drama or not, amusement or not, independence or not. Those properties are a relative. The point is attention to a property of Gutnori. In other words, the attention is against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Gut, and an attention of the marginalized object. In that my stance, my intention which is 'escape from the Minsok-centrism(folk drama-centrism)' and 'return to Gut' is implied. And my stance of the historical description of Gutnori is what history of Gunori may be treated in the history of Gut. In other words, it is historical description of Gut focusing Gutnori or play as an element of Gut. According to that, I propose several suggestions which include an impossibility of history description of Gut. Those instances are 'thorough investigation and arrangement of the records on Gut" 'reconsideration on the historical description of Gut 'Which depend on reasoning" 'describing circulatory history of multi lines and accumulation through the relation play and ritual" 'cultural semiotic cultural history" 'cultural history model on the basis of Guthwa(Gut-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