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어 웹툰의 활용이 EFL 학습자의 자기서사글쓰기에 미치는 영향

        허영주(Youngju, Heo),Judy Y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6

        본 연구는 영어 웹툰의 활용이 EFL 학습자의 자기서사글쓰기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7월부터 8월까지 14명의 EFL 학습자를 대상으로 영어 웹툰을 활용한 쓰기 수업을 진행한 후, 2018년 10월까지 결과를 분석하였다. 사전·사후 자기서사글쓰기 평가를 분석하며 자기서사글쓰기 능력에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학습자 성찰일지, 사전·사후 인터뷰 전사본, 활동지를 코딩한 후 도출된 범주간의 상호 연관성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정의적 측면에서의 변화를 발견하였 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웹툰의 활용은 EFL 학습자들의 자기서사글쓰기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전반적인 영어 자기서사글쓰기 능력뿐만 아니라, 하위 항목인 구성과 내용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 다. 둘째, 영어 웹툰은 EFL 학습자들이 자기서사글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긍정적인 학습 경험을 하도록 촉진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함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English Webtoon on EFL learners’ personal narrative writing.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 implemented personal narrative writing classes using English Webtoon for five week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nglish Webtoon on EFL learners’ personal narrative writing proficiency, learners’ pre- and post-narrative writing proficiency test results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Also, by analyzing and coding transcriptions of pre-/post-interview, field notes, learning logs, and documentation, some categories were found. These categories were again analyzed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English Webtoon was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EFL learners’ personal narrative writing proficiency. Furthermore, in the process of EFL learners’ personal narrative writing, English Webtoon triggered positive affective domains in succession. Related conclusive remarks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 2022 개정 영어 서책형 교과서의 개발 방향 제안

        허영주(Youngju Heo),유재경(Jaekyung Yoo) 교과와 교과서학회 2022 교과와교과서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교육부의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발표와 관련하여, 새롭게 개정된 교육과정의 핵심 가치와 강조점을 반영한 2022 개정 영어 서책형 교과서의 개발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강조점과 교수 ‧ 학습 및 평가 개선안을 반영하여 제시해보았으며 둘째, 새로운 교육 정책과 교육 환경을 고려하여 구상해 보았다. 셋째, 학습자의 흥미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교과서에 적용하여 예시와 함께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2022 개정 서책형 교과서의 개발 방향에 집중하였지만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디지털 교과서의 역할도 중요하기에 2022 개정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방향에 관한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2022 revised English paper textbooks in relation to the announcement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General Summary’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e sample English paper textbook that reflects the the core values of 2022 Revised Curriculum. Furthermore, the sample English paper textbook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new educational policy and educational environment-AI convergence education and BYOD. Lastly, the sample English paper textbook focuses on textbook design to maximize the interest of learners.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2022 revised paper textbooks. Since the role of digital textbooks is also important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however, follow-up studies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2022 revised digital textbooks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