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김천택 작품의 전승 양상과 수용 방식

        허영진 ( Hur Young-jin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7

        이 글은 가집사적 맥락에서 김천택 작품의 전승 양상을 종합·분석한 후, 『청구영언(진본)』 소재 각 작품이 후대의 개별 가집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수용되었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그동안 김천택은 최초의 가집을 편찬한 인물로서의 역할과 위상이라는 관점에서 주목을 받았지만, 다수의 작품을 창작한 작가로서의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그 결과 아직까지도 그의 작품이 가집사적으로 어떻게 전승되었고, 후대의 가집으로 전승된 작품이 어떠한 방식으로 수용되었는가에 대한 연구는 본격화하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현전 가집 93종을 대상으로 김천택 작품의 전승 양상과 수용 방식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우선 김천택 작품으로 알려진 것 가운데에서 2수는 후대인의 추가 수록 작품인데다가 자료적 신뢰성이 매우 희박하기 때문에 김천택은 모두 79수의 작품을 남겼다고 파악하였다. 그리고 그의 작품은 『청구영언(진본)』에서 30수가 최초로 수록된 이후, 해동가요계 가집에서 49수가 추가 수록되었으므로 최소한 두 가지 이상의 전승 경로가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즉 그의 작품이 『청구영언(진본)』과 『해동가요』라는 양대 가집을 중심으로 전승 경로가 확연히 구분되는 바, 김천택 작품의 해석 기반 역시 최소 두 가지 이상의 층위를 지녔다고 판단하였다. 김천택 작품의 수용 방식에 관해서는 最先本, 즉 『청구영언(진본)』 소재 작품이 후대의 다른 가집으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작가, 악곡, 노랫말의 표기 방식면에서 주목할 만한 변화상이 포착된다는 사실을 밝혀 보았다. 이러한 변화상은 『청구영언(진본)』이 편찬된 직후부터 곧바로 나타나므로 단순히 전승·수용 과정상의 오기나 착오에 의한 것은 아니었다고 생각된다. 요컨대 그의 작품은 가집사 전 기간 동안 전승이 이루어졌으나 수용 방식면에서 보편적 인식보다는 개별적 인식이 더욱 두드러져 보이고, 각각의 작품은 개별 가집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수용되었음을 실증해 보였다. This study put together and analyzed the transmission patterns of works by Kim Cheon-taek and examined how the works of Cheongguyeongeon(rare book) were accepted in individual anthologies by the later generations. The study looked into the transmission patterns and acceptance methods of Kim`s works in 93 anthologies and found out the followings: There are some of his works whose authenticity has been ambiguous till today, and two of them have little material authenticity. After excluding the two, it was concluded that Kim left total 79 works. Given that 30 of his works were first published in Cheongguyeongeon(rare book) and that 49 works were added in the anthology of Haedonggayo line later, a possibility was raised that there must have been at least two transmission paths. As for the acceptance methods of his works, there were noteworthy changes to the authors, tunes, and notation of lyrics. His works had been transmitted throughout the entire history of anthologies. Individual perceptions were more prominent in the specific acceptance method of each work rather than the universal ones. Each work was accepted in individual anthologies in diverse ways.

      • KCI등재후보

        2010년 국내 남해 해역에 출현한 Pseudo-nitzschia cf. brasiliana의 형태 특성

        허영백 ( Young Baek Hur ),박종규 ( Jong-gyu Park ) 한국환경생물학회 2014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2 No.4

        규조류 Pseudo-nitzschia는 아미노산의 일종 신경독인기억상실성 패독 domoic aicd (DA)를 생산하여 주목받고있는 속이다. 최근 2010년 여름철에 남해 EEZ 골재채취단지와 거문도에서 Pseudo-nitzschia cf. brasiliana가 최고우점종으로 출현하여 그 형태 특성을 관찰하였다. P. cf.brasiliana는 개각(valve)의 모양이 선형이었고, 길이와 폭은 각각 51~76 μm, 1.9~2.6 μm이었으며 중간 공간(centralinterspace)은 없었다. 10 μm 안의 등줄안다리(fibulae)수와 점무늬열(striae) 수는 각각 30~37, 31~37이었다.미소공(poroid)은 2~3줄이었으며, 1 μm안에 10~14개가 있었다. 이러한 형태 특성은 10 μm 안에 있는 등줄안다리(fibulae) 수와 점무늬열(striae)의 수, 미소공(Poroid) 수에서 P. brasiliana와 크게 차이가 났다. 따라서 P. cf. brasiliana는 P. brasiliana의 변종이나 신종으로 추정된다. Several species of the genus Pseudo-nitzschia produce the neurotoxin domoic acid (DA) known to be responsible for amnesic shellfish poisoning. Recently off the coast of Geomundo and in Exclusive Economic Zone (EEZ) of Korea Strait, P. cf. brasiliana predominated in summer, 2010. As P. cf. brasiliana was new to Korea, we describ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It was observed that cells were linear to lanceolate in valve and girdle view, 51~76 μm long and 1.9~2.6 μm wide. In the central part a large interspace was absent. The number of fibulae and striae in 10 μm were 30~37 and 31~37. Each stria contained 2~3 rows of poroids, with 10 to 14 poroids in 1 μm length. These morphological features of P. cf. brasiliana were found to be similar with the P. brasiliana, except with the fact that P. cf. brasiliana carred more numbers of fibulae/striae in 10 μm and poroids in 1 μm. Based on our observation, we suggest that P. cf. brasiliana is a newly identified Pseudo-nitzschia species or a variety of P. brasiliana.

      • KCI등재

        가집을 통해 살펴본 시조의 문학적 해석

        허영진(Hur Young-Jin) 국어문학회 2006 국어문학 Vol.41 No.-

        This thesis first discussed the value of collections of poems as data and the necessity of study on them. A collection of poems has more values than those in literature of sijo. That is because it reflects the whole process of creating, enjoying and handing down sijo. It is urgent to consider the correlation between sijo and the collection of poems and its implication on a full scale. In addition, as a new methodology, this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a collection of poems which shows literary interpretation of sijo.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four books: <Mumyeongssi> from 『Ossibon Cheonguyoungeon』, <Dangaisipmok> from 『Namchangbon Gogeumgagokjip』, 『Donggaseon』, and 『Geunhwaakbu』. Focusing on these books, this researcher examined aspects of recognizing subjects of sijo and their meaning. Subjects or literary interpretation observed in this thesis is a starting point in approaching the historical context of sijo and a basis of understanding it. Although making efforts to clarify the background of the recognition in this thesis, this researcher felt the want of ability. From now on, this researcher will make up for the insufficient part.

      • KCI등재

        해동성국(海東盛國) 발해조(渤海朝) 악무(樂舞)의 문화사적(文化史的) 탐색(探索)

        허영일 ( Young Il Hur ) 동방한문학회 2013 東方漢文學 Vol.0 No.55

        발해는 200여 년간 소위 해동성국으로 만주와 한반도 북부를 통치한 국가였고, 그 문화 역시 찬란했다. 자체 문자를 가졌을 뿐 아니라, 선진 중원문화를 수용하여 禮樂制度 역시 찬연한 바가 있었고, 발해악무는 일본에 전해져 일본 악무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발해악무와 발해신악’은 전투적인 말갈족의 영향을 받아 대단히 역동적이고 강건한 음률과 춤사위를 가졌던 것으로 유추하였다. 대표적인 발해악무인 ‘답추가무’는 前隊와 後隊가 서로 주고받는 형식으로 노래하며 춤추는 것으로 일종의 군무로 보았다. 노래하며 둥글게 원을 그리고 춤을 춘다는 점에서 오늘날 전해지는 강강수월래와 비슷한 가무가 추론하였다. 발해는 고구려 악무를 근간으로 하고 당시 만주지역 말갈족의 악무 등을 수렴하여 ‘新樂’을 만들었다. 이 발해신악은 당시 동북아시아의 최고 수준의 악무였다고 평가할 수 있는데, 저급한 문화를 지녔던 거란이 무력으로 발해를 강점했지만 발해의 우수한 문화는 오히려 요나라(契丹)를 압도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한편, 발해신악은 일본에 전래되어 ‘당악·오악·오절·전무·구미무’ 등의 동아시아 악무가 동시에 연희되었다. 동아시아 여러 악무가 이미 보편화되어 국경을 넘나들고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발해가 일본에 파견한 교빙사행을 통해 전수한 ‘발해신악’은 일본의 궁중악무로 자리 잡았다. 동북아시아 대륙의 악무를 동경했던 일본은 다른 여러 나라의 악무보다 발해악무를 흠모했다. 일본이 발해악무를 즐겨 수용한 이유는 당시 최고수준에 있던 당나라와 이른바 四夷樂舞를 종합한 ‘발해신악’을 통해, 완성도 높은 선진악무를 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본에도 자체 악무가 있었지만 ‘발해신악’의 수용으로 일본악무는 가일층 풍성하고 격조가 높아졌다. 바로 이 점에서 해동성국 발해조 악무가 지닌 문화사적 위상을 가늠할 수 있다. Ancient Balhae kingdom was a flourishing land in the East Asia that ruled Manchuria and the north region of Korean peninsula for more than 200 years(698~926 A.D) while possessing glorious culture. Balhae had its own language and developed radiant music and dance by actively accepting the culture of Chinese main land. Further, the music and dance of Balhae had been spread to Japan and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Japanese court music and dance. The music and dance of Balhae is presumed to had been characterized by highly dynamic, energetic rhythm and movement which reflected the aggressive spirit of Malgal tribe. A representative dance of Balhae called `Dapchu-gamu` seems to had been a sort of group dance in which front group and following group exchange song and dance together. Its circular dance formation indicates a similar style as `Ganggang-suwolrae` that has been transmitted in Korea up to the present. Balhae newly composed `Sinak(new dance)` based on the music and dance of Goguryeo kingdom while accepting the influence of Malgal tribe who resided at Manchuria region at that time. Balhae`s Sinak might be evaluated as the highest artistic level in the North-east Asia of the time. Even though the Kitan tribe`s Yo dynasty occupied Balhae by force, Balhae`s superior culture might have overwhelmed Yo in every respects. Balhae`s Sinak had been introduced to Japan where various music and dance items of East Asia including Dangak, Oak, Ojeol, Jeonmu, Gumimu were performed as well, which proves the lively exchange of music and dance among countries in the East Asian region. Balhae`s music and dance was also delivered to Japan by Balhae`s envoys to be settled as the most attractive items of Japanese court dance. Japanese had a special affection and respect for Balhae`s Sinak as it displayed excellent artistic level by integrating the advanced music and dance of Tang dynasty as well as those of other surrounding countries called `Saiak`. Japanese court music and dance made a significant progress by the acceptance of Balhae`s music and dance, which indicates its high cultural status in the historical context.

      • KCI등재

        붉나무,참싸리,비수리 종자의 침지 처리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

        허영진 ( Young Jin Hur ),김민호 ( Min Ho Kim ),차고운 ( Go Woon Cha ),안태영 ( Tae Young Ahn ) 한국환경보건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0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3 No.2

        Herbs and shrubs are employed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purposes. Among common herbs and shrubs, few species with low germination rates were selected and studied for enhanced germination rates and decreased germination times via soaking treatment. Rhus chinensis, incubator grown samples treated with the bacterial solution for 72hrs followed by immediate seeding showe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of 26.7% and germination period of 5.7 days, 3 days decrease from the control. Treatment of distilled water (t=3.79, p<0.01), nutrient broth (t=4.44, p<0.00) and bacterial solution (t=4.42, p<0.00) showed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se of soil tests, treating in the nutrient broth for 72 hrs followed by immediate seeding yielded the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of 23.3% with 7.3 days to initial germination, a decrease of 14.7 days with respect to the control. All the samples followed by immediate seed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2.13, p<0.05). Incubator grown samples of Lespedeza cyrtobotrya showed different results. The incubator samples suspended for 48 hrs in distilled water followed by immediate seeding and 1 day drying displaye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of 96.7%, surpassing that of the control by 33.4%. The incubator samples treated with the distilled water and nutrient broth showed enhanced germination. But only the samples treated with distilled water and nutrient broth for 48hrs showed the increased germination in soil tests. All the sample treated for 24 hrs followed by immediate seeding or dried for 1 day showed initial germination as early as 1 day in incubator. The initial germinations were shortened in the samples treated with distilled water and nutrient broth for 48hrs in soil tests. Lespedeza cuneata incubator sample treated with nutrient broth for 24 hrs and dried for 1 day exhibite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of 83.3%, a 31.1% improvement over the control. The incubator samples treated with distilled water for 48 hrs (t=4.20, p<0.01) showed effective increase of germination. The treatment of distilled water (t=2.96, p<0.05) and bacterial solution (t=2.24, p<0.05)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 germination rates in soil were less than those of incubator and the control. The incubator samples treated with distilled water and bacterial solution displayed 1 day germination period, shortened by 1.3 days compared to the control. For soil grown samples, the samples treated with distilled water showed delayed initial germination and those treated with nutrient broth for 48hrs and bacterial solution for 72hrs shortened initial germination.

      • 조선(朝鮮) 전기(前期) 창작(創作)된 당악(唐樂) 형식(形式)의 향악(鄕樂) 몽김척(夢金尺)의 성격(性格)과 전승(傳承) 양상(樣相)

        허영일 ( Hur Young-il )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2007 민족무용 Vol.11 No.-

        몽금척(夢金尺)은 조선 초기에 창작된 당악(唐樂) 형식의 정재로, 꿈에 한신인이 금척을 주었다는 태조의 고사에서 유래하여 조선 왕조 개국의 정당성과 왕실의 권위를 높이는데 사용된 정재이다. 몽금척은 다른 정재들과 차별되는 몇 가지 특이점을 보이고 있다. 가장 큰 특징은 모든 궁중 연회 행사의 거의 첫 부분에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유는 조선의 정당성을 알리는 국가 의례적(儀禮的)인 성격을 지닌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몽금척이 수보록과 더불어 왕의 문덕과 무공을 기리는 역할을 하고 있음에서 알 수 있다. 몽금척의 또 하나의 특징은 조선에서 만들어진 정재임에도 불구하고 당악의 형식을 띄고 있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당악의 형식을 따르는 작품들의 대체적인 성격은 유희적이고 심미적인 것이 아니라 왕실의 권위와 정당성을 부여하는 작품에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몽금척뿐 아니라 이 당시 창작된 유사한 성격의 정재들에서 보이고 있는 공통된 특징으로, 조선 전기 창작된 대부분의 작품이 당악의 형식을 따르는 이유는 바로 이러한 정치적 목적에서 제작되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몽금척이 국가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작품임에도 조선 중기에 오면서 몽금척이 담고 있는 내용이 성리학적 합리주의와 충돌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성리학적 사상을 신봉하는 사림들이 득세하기 시작하는 중종 대에는 몽금척 또한 잡희로 불리며 위기를 맞는다. 그러나 이후 영조와 정조 대에 다시 왕권이 강화 되면서 몽금척은 왕실의 권위와 조선의 정당성을 알리는데 적극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정조 대에는 몽금척의 고사가 사대부들의 관리 등용문인 과거 시험의 문제로 등장하기까지 한다. 이러한 현상은 학문적 사상적 관점에서 해석해 볼 수도 있으나 또 한편으로 왕권 정치와 신권 정치의 권력 대결 사이에 몽금척을 비롯한 정재들이 놓여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궁중 정재가 단순한 궁중 연향에 사용된 것이 아니라 각 정재가 지닌 의미하는 정치적 상징성이 매우 큰 것임을 보여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Mong geum-chuck, created in early Chosun, is Dang-awk in Jung-jae style. This Jung-jae is originated from the folklore of Tae-jo about the Geum-chuck given by one poet in the dream and is used to justify the foundation of Chosun dynasty and to hold the authority. Mong-geum -chuck has some differences with other Jung-jaes. The most distinctive characteristic is that it is used in the beginning of the Royal ceremony. This is because Jung-jae has national ceremonial trait announcing the justification of Chosun and applauding king's both military and literary achievement like Suborog. One of the other characteristics of Mong-geum-chuck is that it has Dang-awk Style even though this Jung-jae is made in Chosun. It is because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pieces following the Dang-awk is not for entertainment and athletic but for giving the authority and justice. It is the common trait represented not only in Mong geum-chuck but also in other similar characteristic Jung-jae created at that time. The reason why most pieces created in early Chosun followed Dang-awk style is that this artistic creation is based on the political intention. Lastly, though Mong geum-chuck is the piece giving the justification of nation, the text included in Mong geum-chuck conflicts with rationalism in the middle Chosun. Especially, Mong geum-chuck was at the crucial moment when the votary of the Sungrihack gained power and called it silly entertainmet. But after strengthening the authority in Young-jo and Jung-jo period, Mong geum-chuck is aggressively used to announce the power and justice of Chosun. Specially in Jung-jo period, the folklore of Mong geum-chuck became one of questions for Sadebu's test. Considered from the criteria mentioned above, it can be approached relying on the academic view however, on the other wise, it can also be explained that there was Mong geum-chuck as well as other Junng-jaes between the conflicts of theocracy and royal powers. It infers that each Jung-jaes has their own powerful political symbolism.

      • KCI등재

        굴, Crassostrea gigas 유생의 먹이생물 섭취 크기

        허영,전창영,조기채,허성범,Hur, Young-Baek,Jeon, Chang-Young,Cho, Kee-Chae,Hur, Sung-Bum 한국패류학회 2011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7 No.4

        유생의 발달크기에 따라 미세조류 12종에 대하여 섭취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 유생의 크기에 따라 섭취 가능한 미세조류는 많은 차이를 보였다. 전체 유생크기에서 I. galban, I. aff. galbana, P. lutheri, C. ellipsoidea, N. oculata는 94.2-99.7%의 섭취율를 보였고, C. calcitrans, C. gracilis, C. simplex는 평균 각장 $189.3{\pm}13.8{\mu}m$ 크기인 중형 각 정기 이후 90.0% 이상의 섭취율을 보였다. P. triconutum, D. tertiolecta, T. tetrathele는 평균 각장 $65.0-100.0{\mu}m$의 D형 유생은 섭취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이후 유생에서는 각각 97.3-99.7%, 43.3-99.3%, 48.5-99.3% 섭취하였다. 그러나 T. weissflogii는 평균 각장 $306.2{\pm}14.7{\mu}m$ 이상에서 1.0-1.7%의 섭취율을 보였지만, 전체 유생기동안 그의 섭취가 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이용해 전체 50.0% 이상 섭취 가능한 먹이생물의 세포크기를 조사한 결과, 평균 각장 $102.3{\mu}m$ 이하의 D형 단계는 장축과 단축 모두 $4.6{\mu}m$ 이하, $158.3{\mu}m$ 미만에서는 장축기준으로 $9.3{\mu}m$ 미만까지 섭취가 가능하고, $158.3{\mu}m$ 이상 크기는 단축 기준 $9.3{\mu}m$까지 섭취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제 유생기 동안 장축과 단축을 포함해서 $10.0{\mu}m$ 이상은 섭취가 되지 않았다. Digestibility index of 12 phytoplankton species were invested during the larval development sizes. Ingestible size of phytoplankton varied depending on larval sizes: Isochrysis galbana, I. aff. galbana, Pavlova lutheri, Chlorella ellipsoidea, Nannochloris oculata was ingested 94.2-99.7% all larval sizes. Cheatoceros calcitrans, C. gracilis and C. simplex could ingest over 90.0% after umbo stage (mean shell length $189.3{\pm}13.8{\mu}m$). Phaeodactylum triconutum, Dunaliella tertiolecta and Tetraselmis tetrathele could not ingested D-shaped larvae (shell length $65.0-100.0{\mu}m$) but ingested 97.3-99.7%, 43.3-99.3%, 48.5-99.3% after then larval stages, respectively. But Thalassiosira weissflogii was ingested 1.0-1.7% only at full grown stage. Over 50.0% ingestion cell size was D-shape stage larvae with smaller than mean $102.3{\mu}m$ in shell length could ingest phytoplankton with $4.6{\mu}m$ in both major and minor axis and up to $9.3{\mu}m$ in minor axis basis for larger than mean $158.3{\mu}m$ in shell length, respectively. At all larval stages, phytoplankton with larger than $10.0{\mu}m$ in both major and minor axis could not be in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