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중 체임버 구조가 내장된 뇌졸중 환자용 컵의 개발과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한 운동 형상학적 유용성 검증

        허서윤(Seo Yoon Heo),김경미(Kyeong-Mi Kim) 대한전자공학회 2016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3 No.12

        본 전향적 예비 임상연구를 통하여 이중 체임버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뇌졸중 환자용 컵을 개발하고 임상적으로 유용한지 검증하고자 했다. 체계적 과정을 거쳐 컵을 개발하고, 남녀 동수의 뇌졸중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컵을 사용하여 이들의 제한된 운동기능을 보완 할 수 있는지 3차원 동작 분석(3-dimensional motion analysis), 표면 근전도 검사(surface electromyography; sEMG), 3차원 체간 움직임 분석(3-dimensional trunk movement analysis)의 운동 형상학적 방법을 통하여 검증하고자 했다. 실험 결과, 이중 체임버 컵(dual chamber based assistive cups; DC) 데이터 그룹에서 플라시보 컵(placebo-cups; PC)의 경우 보다 어깨부위의 ROM(range of motion)이 더 적게 사용되었고, sEMG에서는 상부 승모근, 삼각근, 삼두근에서 근 활성도가 낮게 나타났다. 체간 분석에서 전방, 후방의 방향에서 체간의 개입이 더 적게 관찰되었다. This prospective pilot clinical trial mainly focuses on developing dual chamber-based assistive cups which are suitable for stroke patients who have struggled with using there affected arms. It is unable to provide motor and sensory enhancement during drinking activities an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devices for acute phase, even for chronic stroke survivors. The stroke patients(n=16; male=8, female=8), in this trial, were provided informed consent to the investigation. All the individuals participated in 1 weeks of training for using cups, randomized over dedicated dual chamber based assistive cups(DC) or placebo-cups(PC) training. All the participants were assessed within 1 week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period. 3-dimensional motion analysis, sEMG(surface electromyography) and 3-dimensional trunk movement were assessed. The result presents DC data group compared with PC showed, they needed lesser ROM(range of motion) at the phase of drinking in shoulder movements and lesser muscle activities on upper trapezius, deltoid middle fiber and triceps brachii muscles, lesser tilting movement on front and back side in drinking phase,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Dual chamber-based assistive cup could be one of efficient way to complete ADLs(activities of daily living), especially drinking tasks, and these evidence data may contribute to determine certain rehabilitation policies related to assistive devise usage.

      • KCI등재

        하사근을 침범한 안와의 Phakomatous Choristoma 1예

        허서윤(Seo Yoon Heo),이행진(Haeng-Jin Lee),정명자(Myoung Ja Chung),안민(Min Ahn)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9

        목적: 하사근을 침범한 안와의 phakomatous choristoma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2개월 남아가 출생 시부터 있었던 우측 안와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안와 자기공명영상에서 우측 안와의 하내측에 균일하게 조영증강되는 경계가 명확한 종양이 관찰되었고, 골미란 소견은 없었다. 이에 결막 경유 안와절개술을 시행하였고, 하사근을 침범한 안와종양을 확인한 후 절제하였다. 조직병리검사 결과 콜라겐 기질 내에 상피세포로 구성된 거짓샘 구조(pseudo-glandular structure)와 이를 둘러싸는 두꺼운 기저막, 기질 내의 일부 사종형 석회화(psammo-matous calcific foci)와 관내강의 호산성 물질이 관찰되었다. 면역조직화학검사상 S-100, 사이토 케라틴(cytokeratin) 양성 소견을 보여 phakomatous choristoma로 진단하였다. 결론: 본 증례는 하사근을 침범한 안와의 phakomatous choristoma를 확인한 국내 첫 보고이다. Phakomatous choristoma의 발생 빈도는 드물지만, 안와의 하내측에 발생한 종괴를 감별진단할 때 고려하여야 한다. Purpose: We report a case of phakomatous choristoma presenting as an orbital tumor with involvement of the inferior oblique muscle. Case summary: A 2-month-old male infant presented to our clinic with a right orbital mass that had been present since bir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demonstrated a homogenous enhanced well-defined mass located in the inferomedial portion of the right orbit without bone erosion. By transconjunctival orbitotomy, the orbital tumor invading the inferior oblique muscle was identified and resected. Histopathology showed a thick basement membrane surrounding pseudoglandular structures embedded in a collagenous stroma, psammomatous calcific foci in the stroma, and eosinophilic material in the lumen.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showed positive staining for S-100 and cytokeratin. On histopathological evaluation, the tumor was diagnosed as phakomatous choristoma. Conclusion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in South Korea of phakomatous choristoma of the orbit with involvement of the inferior oblique muscle. Although rare, phakomatous choristoma should be includ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tumors occurring on the inferomedial side of the orbit.

      • KCI등재

        비대칭적 두 눈 일차하사근기능항진에서 대칭적 두 눈 하사근근육절제술 시행 후 수직편위 변화

        허서윤(Seo Yoon Heo),이행진(Haeng-Jin Lee),안민(Min Ahn)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12

        목적: 비대칭적 두 눈 일차하사근기능항진 환자에서 수술 전 수직편위에 따른 대칭적 두 눈 하사근근육절제술의 수직편위 교정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비대칭적 두 눈 일차하사근기능항진과 간헐외사시로 두 눈 하사근근육절제술과 외직근후전술을 시행하고 6개월 이상 경과 관찰한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후 제일안위에서의 상사시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수술 전 수직편위 정도와 두 눈 하사근기능항진 차이에 따른 수술 후 수직편위 교정량, 잔여 상사시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총 89명 178안이 포함되었으며 제일안위 수직편위는 수술 전 3.2 ± 2.2 prism diopters (PD)에서 수술 후 0.5 ± 2.5 PD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Wilcoxon signed rank test, p<0.001). 두 눈 하사근기능항진 정도 차이와 수직편위 교정량(r=0.044, p=0.684), 잔여 상사시(r=-0.084, p=0.432)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Spearman 순위상관분석). 수술 전 상사시가 클수록 수술 후 상사시 교정량이 커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r=0.733, p<0.001), 술 전 상사시양과 잔여 상사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Spearman 순위상관분석, r=0.182, p=0.087). 결론: V형 간헐외사시에 동반된 두 눈 비대칭 일차하사근기능항진에서 두 눈 외직근후전술과 같이 시행한 대칭적인 두 눈 하사근근육절제술은 수술 전 수직편위가 클수록 수직편위 교정 효과가 컸으며, 수술 후 하사근기능항진과 상사시도 적절하게 교정되었다. Purpose: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s of bilateral inferior oblique myectomy for hypertropia on the preoperative vertical deviation angle in patients with asymmetric primary inferior oblique overaction (IOOA). Methods: This study included patients who underwent bilateral inferior oblique myectomy and lateral rectus recession due to asymmetric primary IOOA and intermittent exotropia, and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6 months postoperatively. Pre- and post-operative vertical deviation angles were compar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tent of correction of vertical deviation after surgery and residual hypertropia, according to the preoperative degree of vertical deviation and difference between bilateral IOOA, was evaluated. Results: This study included 178 eyes from 89 patients. The angle of hypertropia in the primary position was reduced from 3.2 ± 2.2 prism diopters (PD) preoperatively to 0.5 ± 2.5 PD postoperatively (Wilcoxon signed-rank test, p < 0.001).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preoperative interocular difference in IOOA and postoperative extent of correction of the vertical deviation (r = 0.044, p = 0.684), or between the preoperative difference in bilateral IOOA and residual hypertropia (Spearman s rank-order correlation, r = -0.084, p = 0.432). Increased preoperative hypertropia correlated with a greater extent of surgical correction of the vertical deviation (r = 0.733, p < 0.001). Preoperative hypertropia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esidual hypertropia (Spearman s rank-order correlation, r = 0.182, p = 0.087). Conclusions: In symmetric bilateral inferior oblique myectomy with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for asymmetric bilateral primary IOOA with V-type intermittent exotropia,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preoperative vertical deviation and extent of correction of the vertical deviation was observed. Additionally, IOOA and hypertropia were significantly improved postoperatively.

      • RehaCom® 인지 판별 검사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허서윤(박사과정) ( Seo-yoon Heo ),김경미 ( Kyeong-mi Kim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6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5 No.1

        목적: RehaCom® 인지 판별 검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자는 울산지역의 재활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37명과 부산, 울산, 경남지역에서 거주하는 만 30세∼70세 이상의 정상 성인34명이었다. 판별 타당도는 뇌졸중 환자와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RehaCom® 인지판별 검사 점수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공인 타당도는 준거도구인 MMSE-K와 RehaCom® 인지 판별 검사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알아보았다. 검사-재검사신뢰도는 성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RehaCom® 인지 판별 검사를 1주 간격으로 재검사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판별 타당도 검증결과 뇌졸중 환자와 정상 성인 환자에서 시각적 분리 주의력, 지속적 주의력, 편측 무시/반맹증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뇌졸중 환자가 정상 성인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낮았다. 공인 타당도 분석결과 MMSE-K의 총점과 RehaCom® 인지 판별 검사 항목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RehaCom® 인지 판별 검사의 시각적 탐색능력의 하위 항목 중 편측 무시항목과 MMSE-K의 기억 등록 사이에서(rs=.375), 작업 기억력의 하위 항목인 기억 용량과 MMSE-K의 기억 등록 사이(rs=.410)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5). 검사-재검사 신뢰도에서 시각적 탐색의 하위항목인 지속적 주의력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5)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RehaCom® 인지 판별 검사는 높은 판별타당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보이는 도구로 써 뇌졸중 환자의 인지검사에 적용 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haCom® Screening Test. Methods: This study employed 37 stroke patients who was admitted to rehabilitation center located in Ulsan and 34 healthy adults living in Gyeongnam province for examining discrimination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was examined using MMSE-K as a gold standard test. 37 stroke subjects were included to examine test-retest reliability within a week. Result: RehaCom® Screening Test showed good discrimination validity except sustained attention, neglect/hemianopsia and visual attention division. Concurrent validity were demonstrated in comparison with MMSE-K, but there were weak relationship between two tests. Test-retest reliability indicated high corelation except sustained attention. Conclusion: RehaCom® Screening Test was identified as a tool with a high degree of validity and reliability. This tool can be effectively used to assess the cognitive functions of stroke patients by professional therapists.

      • KCI등재

        조건 법리에 대한 재조명 : 영미법상 condition 법리의 시사점 - 대상판결 : 대법원 2020. 7. 9 선고 2020다202821 판결 -

        허서윤(Heo, Seo-Yoon),이재형(Lee, Jae-Hyoung),김제완(Kim, Jewan)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서강법률논총 Vol.10 No.3

        민법에서 조건은 법률행위의 부관 관점에서 파악되고 있다. 대상판결도 이러한 법률행위의 부관으로서의 조건을 전제한 뒤, 분양대행자인 원고가 분양하지 못한 ‘미분양물건을 인수하는 조건으로 한다’는 조항에 대하여 ‘조건’이라고 할 수 없고 ‘미분양 세대를 인수할 의무를 부담한다’는 내용을 정한 것이라고 판시하였다. 그러나 실제 계약에서 조건은 상대 당사자에게 의무를 부과하는 과정에서 부가되는 경우가 많고, 조건을 활용하는 당사자의 의사가 반드시 조건의 성취 또는 불성취에 따라 법률행위의 효력을 좌우하려는 의사라고 단정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에서 조건을 법률행위의 부관에 한정하여 보는 시각은 재고될 필요가 있고, 조건의 성취·불성취 효과를 채무불이행에 준하여 보는 등 다양하게 파악함으로써 보다 신축적인 해결을 도모할 수 있다. 당사자들의 의무 사이의 견련성을 중심으로 발전되어 조건의 많은 모습을 의무로 파악하고 있는 영미법의 조건 법리는 이러한 조건에 대한 새로운 시각에 시사점을 준다. 더불어 조건 성취의 효과와 관련하여 법률행위 효력의 발생 또는 소멸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대신, 당사자 특히 조건에 의하여 이익을 보는 자가 선택권을 가질 수 있도록 해석할 수도 있는바, 기한이익 상실의 특약에 대한 대법원의 해석, 영미법의 해제조건이나 조건의 포기 법리 등은 그러한 해석의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In civil law, conditions are understood from the point of view of an adjunct to a legal act. Even after the target judgment presupposes the condition of acting as an adjutant to these legal acts, the provision that the plaintiff, who is a pre-sale agent, has not been able to sell the unsold property is not a ‘condition’ and cannot be called a ‘condition to take over the unsold household’. It was decided that the content of ‘to bear the obligation’ was stipulated. However, in actual contracts, conditions are often added in the process of imposing obligations on the other party, and it cannot be concluded that the intention of the party using the condition is necessarily to influence the effect of the juristic act depending on the fulfillment or non-fulfillment of the condition. none.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view of restricting the condition to the subordinate to the legal act, and a more flexible solution can be pursued by understanding the effect of fulfillment and non-fulfillment of the condition as equivalent to default. The principle of condition in English and American law, which has been developed centering on the robustness between the obligations of the parties and grasps many aspects of the condition as an obligation, gives a new perspective on these conditions. In addition,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fulfillment of conditions, instead of automatically generating or extinguishing the effect of a juristic act, it can be interpreted so that the parties, especially those who benefit from the conditions, have the right to choose. Interpretation, the subsequent condition of the Anglo-American law, and the principle of waiver of conditions suggest the possibility of such an interpretation.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거울치료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박진혁(Jin-Hyuck Park),허서윤(Seo-Yoon Heo)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3

        본 연구는 국외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한 거울치료의 효과에 대하여 고찰하기 위한 것으로 국외 학술지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방법을 시행하였다. 2013년 8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연구를 진행하였고 2013년 10월 이전까지 국외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PubMed를 통하여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로는 ‘mirrortherapy’, ‘mirrorneuron, ‘stroke’, ‘paresis’, ‘hemiplegia’, ‘upperextremity를 사용하였다. 최초 검색된 논문은 737편이었으나 프로토콜을 거쳐 선정된 9편의 연구가 선정 되었다. 다양한 중재방법을 통하여 거울치료의 효과를 파악하는 연구들이 많았다. 측정도구로는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평가하는 도구가 사용되었다. 결과로 거울치료를 받은 실험군이 고식적인 치료나 위상치료를 받은 대조군보다 상지의 원위부인 손 기능 향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는 중재방법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은 연구결과도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거울치료의 임상적 적용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며, 향후 국내연구에서는 다양한 중재방법을 적용하여 거울치료의 효과를 더 정확하게 측정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문헌분석 결과를 기초로 거울치료를 시행함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 Recent years, mirror therapy or mirror neuron therapy has been used to improve neural damage of upper extremities among stroke patients. This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linical effect of mirror therapy used for the treatment of upper extremities for patients with stroke. After literature search, researchers selected for 9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studies registered up to October 2013 based on PubMed database, using the following search terms: mirror therapy, mirror neuron, stroke, paresis, hemiplegia, upper extremity.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s of distal upper extremity function in the use of mirror therapy groups but there search using range of motion(ROM) as outcome measure. In conclusion, mirror therapy was more effective than conventional therapies or sham therapies for upper recovery of distal upper extremity function among stroke patients.

      • 경도인지장애 선별용 모바일 인지기능 평가 시스템과 몬트리올 인지평가와의 공인 타당도 및 검사자간 신뢰도 연구

        박진혁 ( Park Jin-hyuck ),허서윤 ( Heo Seo-yoon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7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6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경도인지장애 선별용 모바일 인지기능 평가 시스템인 mSTS-MCI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자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정상 노인 32명과 경도인지장애노인 25명이었다. 공인 타당도는 경도인지장애 노인 25명을 대상으로 준거도구인 MoCA-K와 mSTS-MCI를 각각 실시하여 점수의 상관관계를 통해 알아보았다. 검사자간 신뢰도는 정상 노인 15명과 경도인지장애 노인 15명을 대상으로 연구원 2명이 mSTS-MCI를 시행하여 점수 간 일치율을 비교하였다. mSTS-MCI와 MoCA-K 평가의 선별 기준점을 이용하여 대상자를 나누어 양성 예측도, 음성 예측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공인 타당도 분석 결과 MoCA-K와 mSTS-MCI의 평가 영역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검사자간 신뢰도에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5)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선별 예측도를 살펴본 결과, mSTS-MCI가 MoCA-K보다 음성 예측도가 더 높았다. 결론: mSTS-MCI는 높은 공인 타당도와 검자사간 신뢰도를 보였고 MoCA-K보다 높은 선별 예측도를 보여 경도인지장애 선별 평가로써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obile screening test system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mSTS-MCI). Methods: This study recruited 32 healthy elderly people and 25 elderly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community. Concurrent validity was examin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K) as a gold standard test. Two researchers performed the mSTS-MCI and compared each scores to verify the inter-rater reliability. The mSTS-MCI and MoCA-K cut-off scores were used to evaluate the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Result: Concurrent valid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mSTS-MCI and MoCA-K and inter-rater reliability indicated high correlation. As a result of screening predictability, the mSTS-MCI had a higher negative predictive value than the MoCA-K. Conclusion: The mSTS-MCI was identified as a system with a high degree of validity and reliability. In addition, the mSTS-MCI showed high screening predictability, indicating it can be used in the clinical field as a screening test system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 일화기억 훈련이 경도치매 노인의 기억 및 이마앞엽 활성도에 미치는 효과: 예비연구

        박진혁 ( Park Jin-hyuck ),허서윤 ( Heo Seo-yoon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8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7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일화기억 훈련이 경도치매 노인의 기억 및 이마앞엽 활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 사후설계로, 경도치매 노인 16명에게 총 16회, 1회 약 1시간씩 일화기억 훈련을 시행하였다. 훈련 전, 후로 일화기억 평가, 노인용 서울언어학습검사(Seoul Verbal Learning Test-Elderly’s version; SLVT-E)를 실시하였고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fNIRS)장비를 이용하여 이마앞엽의 산화헤모글로빈 수치를 측정하였다. 또한 매회 훈련 결과를 기록하였다. 결과: 훈련 전과 비교하여, 일화기억의 하위 요소 중 장소, 장소-시간 기억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사물, 사물-시간, 사물-장소-시간 기억은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SVLT-E 검사에서는 즉각 회상, 지연 회상, 재인 모두 훈련 후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이마앞엽의 산화헤모글로빈 수치를 분석한 결과, 훈련 후 안쪽 이마앞엽인 이마극겉질에서 산화헤모글로빈의 수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일화기억 훈련은 일화기억 하위 요소에 따라 효과가 달랐으며, 언어적 일화기억 평가로는 치매 노인의 일화기억을 평가하는데 제한점이 있었다. 또한 이마앞엽에 제한적으로 적용한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으로 일화기억의 훈련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임상에서 일화기억의 평가 또는 훈련을 시행함에 있어 대안적인 방법 및 그 근거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episodic memory training on memory and prefrontal cortex activation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Methods: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o confirm the effects of episodic memory training. 16 older adults with mild dementia were trained using the task designed for episodic memory for about 1 hour per a session. A total of 16 sessions were conducted. The accuracy rate of episodic memory, the Seoul Verbal Learning Test-Elderly’s version (SVLT-E) scores, and the levels of oxy-hemoglobin in prefrontal cortex using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fNIRS) were collected pre-and post-test. In addition, the subject’s accuracy rate of episodic memory during each session was recorded. Result: As a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patial memory and spatiotemporal memory but not in the rest of sub-elements of episodic memory. The SVLT-E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 of oxy-hemoglobin valu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nly in the frontopolar cortex included in medial prefrontal cortex, but not in dorsolateral and ventrolateral prefrontal cortex included in lateral prefrontal cortex. Conclus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episodic memory training depending on sub-elements of episodic memor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verbal episodic memory test such as the SVLT-E had limitations in evaluating episodic memory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Interestingly, fNIRS only applied to prefrontal cortex was able to confirm the effects of episodic mem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ignificant in suggesting the alternative method and evidence for the assessment of training of episodic memory in the future.

      • KCI등재

        금전채권에 관한 불확정기한과 정지조건의 구별기준 - 영미법상 pay-when 조항과 pay-if 조항의 시사점 - (대상판결 : 대법원 2003. 8. 19. 선고 2003다24215 판결)

        이재형 ( Lee Jae-hyoung ),허서윤 ( Heo Seo-yoon ),김제완 ( Kim Jewan ) 연세법학회(구 연세법학연구회) 2021 연세법학 Vol.37 No.-

        대상판결은 불확정기한과 정지조건의 구별에 관한 리딩케이스로서, 불확정기한이나 정지조건을 포함한 계약에 의해 창설된 법률관계상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경우, 기준 법리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왔다. 즉, 불확정기한을 정지조건으로 불합리하게 해석함으로써 발생하는 채권자에 대한 권리침해를 방지하는 데에 기여한 것이다. 그러나 대상판결이 나온 지 이십년 가까이 지나면서 다양한 계약실무사례 및 관련 판례 등을 고려하여 재평가가 필요한 상황이다. 현행 민법상 기한과 조건은 법률행위의 부관으로서 사적 자치적인 결정이고, 더욱이 불확정기한과 정지조건에 대한 세부적인 정의는 부재한 상황이다. 만일 당초 기대와는 달리 계약이행이 곤란해지면 계약 당사자는 각자 자신에게 유리하게 법률행위를 해석하여 이견이 발생하기 쉬운데, 이를 온전히 법률행위 해석의 문제로만 남겨두기에는 사회적 비용이 너무 크다. 분업구조가 일상화되고 특히 다단계 하도급구조가 건설계약 외에도 확산되면서, 국가계약법 하도급법 등과 같은 공법 특별법에서 조기에 대금지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종 제도가 정교화되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이제는 사법인 민법에서도 효력에 중점을 둔 정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고에서는 현행 불확정기한과 정지조건의 해석을 둘러싼 문제점을 살펴본 뒤, 현금미회수위험에 대한 실무관행과 채권자의 권리 강화, 그리고 대금지급시기 명확화 측면에서 불확정기한과 정지조건의 구별기준 확립이 필요하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영미법상 pay-when 및 pay-if 조항을 통해 나타난 국가별 다양한 적용사례를 주로 건설공사 하도급계약을 중심으로 검토함으로써, 실무상 활용이 빈번하지만 법상 모호했던 불확정기한과 정지조건에 대한 합리적 구별기준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This decision is a leading case on the distinction between an indefinite deadline and a suspension condition, and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outh Korea as a standard legal principle when the legal obligations created by a contract including an indefinite deadline or a suspension condition are not fulfilled. In other words, it contributed to preventing infringement of rights to creditors caused by unreasonably interpreting the indefinite deadline as a suspension condition. However, nearly twenty years have passed since the judgment was issued, and a reevaluation is needed. Under the current Korean Civil Code, the deadlines and conditions are privately autonomous decisions as an adjutant to the legal act, and furthermore, detailed definitions of the indefinite deadlines and suspension conditions are absent. Contrary to the original expectations, if the contract performance becomes difficult, the parties to the contract interpret the legal act in their own advantage, and disagreements are likely to arise, but the social cost is too high to leave this as a matter of interpretation of legal activity. Considering the fact that various systems are being elaborated so that payments can be made early in public and special laws such as the National Contract Act and Subcontract Act, as the division of labor has become commonplace and multi-level subcontracting structures are spreading in addition to construction contracts, I think there is a need for a definition that focuses on effectiveness. In this paper, after examining problems surrounding the interpretation of indefinite deadlines and suspension condition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andard for distinguishing between indefinite deadlines and suspension conditions in terms of practical practices regarding the risk of non-cash collection, strengthening the rights of creditors, and clarifying the payment timing. In addition, by reviewing various cases of application by country through the pay-when and pay-if laws under the British-American Act, we tried to suggest a reasonable standard for discrimination between indefinite deadlines and suspension condition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practice but ambiguous under the law.

      • KCI등재

        청각장애학생의 영어발음학습 스마트앱 개발을 위한 교사와 학생 간 영어 교육 실태 비교연구

        이근민(Rhee Kun Min),김동옥(Kim Dong Ok),이신영(Lee Shin Young),박혜정(Park Hye Jung),최봉근(Choi Bong Geun),허서윤(Heo Seo Yoo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5 재활복지 Vol.19 No.1

        본 논문에서는 청각장애의 영어발음학습 스마트앱 개발을 위해 영어교과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와 청각특수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영어교육의 필요성은 학생보다 교사가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필요한 이유에서는 교사와 학생 모두 취업을 위해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가장 차이가 나는 부분은 현재 하고 있는 수업 시수인데 교사는 3시간이상이 78.2%로 나타났으며, 학생은 4시간 이상이 48.3%으로 가장 높았다. 이 수업시수에 대한 만족도는 교사는 '만족' 이상이 60.8%로 나타났으며, 학생은 '만족' 이상이 15.5%로 나타나 교사와 학생들의 만족하는 수업 시수가 다름을 알 수 있다. 수업 시 가장 도움이 될 보조도구로는 컴퓨터용 학습 프로그램이 65.2%로 교사는 나타났고, 학생은 스마트 기기용 학습 프로그램으로 36.2%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은 시대의 흐름을 따라 변화되는 학습보조도구를 선택하고 있으며, 교사는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하기 편리한 컴퓨터를 선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영어학습의 동기를 높이기 위해서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학습보조도구와 교사의 지도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컴퓨터 학습에서 사용되어지는 교육용 보조도구가 필요하다. 결론으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영어학습보조구도 필요하지만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개개인의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학교 시스템 구축에 대한 연구 또한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t students and English teachers at special school through a surve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wareness of teachers for the need of English education is higher than the one of students, but both of them think English education is necessary for employment. The highest difference was found in class hours. 78.2% of teachers prefer 'more than 3 hours', but 48.3% of students prefer 'more than 4 hours'. In addition, for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class hours, 60.8% of teachers said they were quite satisfied, however 15.5% of students did, which shows that there is difference in class hours that both prefer. It was found that 65.2% of teachers considered computer-based learning programs the most helpful assistive device for a class and 36.2% of students considered smart device-based learning programs the most helpful one. It means that students are more likely to choose changing learning assistive devices and teachers choose the one which is convenient for teaching a whole class. Furthermore, 37.8% of students answered that development of smart applications is necessary, but teachers didn't answer the question about the necessity of them. Then, we found that development of educational assistive devices used in computer-based learning is needed to increase the motivation for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capability of teachers. In conclusion, we'd like to suggest that smart assistive devices for English learning is necessary and further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of school system to support individual learning is also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