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후변화에 의한 폭염 증가와 대책

        허보영,송재우,Heo. Bo Young,Song. Jai Woo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6

        2007년 기후변화에 대한 정부간 협의체(IPCC)의 4차 보고서에 따르면 지구 온난화로 인해 21세기 말에는 지구온도가 최고 <TEX>$6.4^{\circ}C$</TEX> 상승하고, 여름철 평균기온의 상승 및 폭염일수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03년 유럽에서 발생한 폭염으로 인해 프랑스영국스위스 등에서 35,000여명이 사망하고 130억 달러 이상의 피해를 초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 각국은 유럽의 2003년 폭염을 계기로 국가차원에서 폭염대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폭염경보시스템을 개발하는 등 단계별로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계 각국의 폭염피해현황과 대책을 조사함으로써 우리나라의 폭염재해 대응방안에 대한 효율적 운영방안을 도출하였다. According to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the earth temperature is expected to increase <TEX>$6.4^{\circ}C$</TEX> from global warming in the 21st and increase average summer temperatures and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heat wave. The heat wave of Europe in 2003 caused 35,000 deaths and economy losses of above 13 billion dollars. All countries of the world recognized the importance to response heat wave from 2003 event of Europe. Every country is developing warning system for heat wave response, establishing activities to heat wave plan. In this study we suggested effective methods for heat wave response in Korea through investigating heat wave damage and responses of abroad.

      • KCI등재

        재난상황에서의 대피시설 운영 개선 방안 연구

        허보영,박상현 한국방재학회 2016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6 No.5

        The occurrence frequency and intensity of natural disasters are increasing and it is important to prepare direct and indirect countermeasures against them. Evacuation facilities are the places which should be operated fastest and most safely when the natural disaster occurs but they are not equipped with standardized criteria in the aspects of selection and operation causing many difficulties in operation and management. In this research, to prepare the ways of improving the operation of our country’s evacuation facilities, ① the current conditions of selection and management of overseas evacuation facilities were investigated and noteworthy matters were derived, ② by conducting interviews and on-site survey on the residents of the regions where actual damages occurred, the things that should be improved were derived, and ③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rticle data that are registered on Korea Press Foundation for the recent 5 years (2009~2014) and of the research data related to evacuation, the problems with the evacuation systems of our country were grasp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be utilized for the improvement of current conditions of selection and management of the evacuation facilities. 자연재해의 발생빈도와 강도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직 · 간접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중요하다. 대피시설은 자연재해 발생 시 가장 신속하고 안전하게 운영되어야하는 장소이나 선정 · 관리의 측면에서 표준화된 기준을 갖추지 못하고 있어 운영 및 관리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피시설 운영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① 국외의 대피시설 선정 · 관리현황을 조사하고 착안사항을 도출하였으며, ② 실제 피해가 발생했던 지역주민에 대한 면담 및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③ 최근 5년간(2009년~2014년) 한국언론재단에 등록된 기사자료와 대피관련 연구자료의 분석을 통해 국내 대피체계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대피시설 선정 및 관리현황을 개선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붕괴위험지구 투자우선순위 결정 개선방안

        허보영,최우정,Heo,Bo Young,Choi,Woo Jung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 중 붕괴위험지구의 피해위험지역 설정에 따른 투자대비 예방효과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붕괴위험지구에 대한 투자우선순위 결정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과거재해이력 등을 고려하여 11개 붕괴위험지구를 선정하였으며, 피해위험지역 설정방법에 따른 비용편익분석을 실시하여 사업효과를 분석하였다. 붕괴위험지구에 대한 비용편익 분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급경사지 범위기준과 수치모의 범위기준으로 피해위험지역을 설정하였으며, 자연재해 복구지침, 풍수해보험, 시가표준액, 교통혼잡비용으로 피해위험지역 내의 편익항목들을 산정하고 이를 정량화하여 비용편익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함으로써 붕괴위험지구에 대한 투자우선순위 결정 방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suggested an improvement methodology in determining the investment priority for collapse hazard areas using the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investment effect for the damage area criteria. Eleven area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in order to consider historical disaster records, and analyzed the its effect using the benefit cost analysis based on the damage area design criteria. Damage areas using steep slop standard and numerical simulation standard (rockfall 4.0) are established, calculated in terms of benefit cost analysis on damaged areas using the guideline for the recovery of natural disasters, disaster insurance, statutory standard price of fair market value, traffic congestion costs, and studied the benefit cost analysis in collapse hazard area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improve the determination of the investment priority for collapse hazard areas.

      • KCI등재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한 자연재해예방사업의 사후 평가 지수 산정

        허보영,송재우,윤세의,이승오,Heo, Bo Young,Song, Jai Woo,Yoon, Sei Eui,Lee, Seung Oh 대한토목학회 201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4 No.6

        자연재해는 발생 자체를 막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피해저감을 위해서는 예방사업을 통해 재해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연재해발생의 증가와 함께 자연재해와 관련된 예방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투자도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자연재해예방사업에 대한 투자 시, 그 파급효과 등을 검증할 수 있는 평가 역시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자연재해예방사업과 같은 국가 공공투자사업을 평가하기 위해서 비용편익분석과 같은 정량적 분석을 통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정량적 분석방법만으로 사업의 효과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재해관련 분야에서 효과분석이나 평가를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성적 분석을 통한 자연재해예방사업의 사후평가를 위해서 자연재해예방사업의 사후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항목들을 도출하고, 구조방정식모델(SEM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통해 사후 평가항목과 사업효과 간 인과관계 분석 및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자연재해예방 사업에 대한 사후평가지수 산정식을 제시하였다. Natural disaster has been har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itself, thus in order to reduce the economic damages and loss casualties, it is important to be prepared in cases that the disasters should occur in advance. Interest of the related project to prevent various natural disasters has been grown along with an investment in Korea. Along with this movement, when investments related to natural disaster prevention projects were built on, the post evaluation that can verify the ripple effects of those investments on the community should be emerging as an essential task. For evaluating the effects of public investment projects such as natural disaster prevention projects in this study, the related researches would continue through qualitative analyses, for example, cost-benefit analysis. Even the qualitative analysis alone cannot fully explain the effects of those projects, the diverse methods of analyzing and evaluating those effects might not have been presented in those fields. For the post evaluation of natural disaster prevention projects through the qualitative analysis, this study derived subjects that had effects on the post evaluation of natural disaster prevention projects. Also, employ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causation between post evaluation subjects and the effects of project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and the weighting factors of evaluation items were calculated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post evaluation index formula was proposed for the natural disaster prevention projects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