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학과 문제중심학습 문제 분석을 위한 기준표 개발 및 적용

        허난,강옥기 대한수학교육학회 2009 학교수학 Vol.11 No.1

        학습자가 학습에 대한 흥미를 가지고 생활 주변의 문제를 자기 주도적으로 해결하고 그 과정을 통해 학습하게 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문제중심학습은 학습자가 수업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하며 협동 학습을 강조하여 이를 통해 학습자의 수학적 사고능력 및 지식의 확장과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의 학교수학 적용을 위하여 문제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문제중심학습의 문제가 갖추어야 할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과 문제중심학습 문제 분석 기준표를 개발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문제들을 분석해봄으로써 수학과 문제중심학습에 적합한 문제를 선별하고 문제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Problem-Based Learning has many implications on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the Problem-Based Learning, students device their plans to solve the given problems and discuss with workers to find and share some ideas or mathematical contents needed to solve those problems. In this paper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Problem-Based Learning problem and tried to find out the standard criterion of problem analysis that were appropriate to Problem-Based Learning. We applied them to analyze problems in textbooks and problems that were developed for Problem-Based Learning . Using the result, the further research questions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수학 학습 플랫폼을 활용한 중학생의 문자와 식에 대한 개념 구조 변화 분석 연구

        허난 영남수학회 2023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ol.3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whether learning using a math learning platform can be used to expand students' conceptual structure and to consider how to use it. To this end,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studied using a math learning platform. Then, the concept map created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concept map created before learning to examine the change in the concept structur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cept map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concept appeared as the division of the upper concept was subdivided. However, it has also been changed to comprehensively integrate and simplify higher concepts. The term-centered concept structure has changed to content-centered superordinate and subordinate concepts. In the concept structure, subordinate concepts linked to one higher concept were expanded and differentiated. Second, changes in the integrated structure did not form a linkage structure. The expansion of the integrated structure of concepts through learning using the learning platform was influenced by the composition of the learning contents designed in the learning platform.

      • KCI등재

        중학생의 수학 학업 상황에서의 학업적 자기조절 및 자기효능감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허난 영남수학회 2022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ol.38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elf-regulation and self-efficacy on academic procrastin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investigation, 384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in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including self-regulation, self-efficacy,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n Math Learn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regulation and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Also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elf-regulation moderate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regu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주서관견(籌書管見)>의 구장문답(九章問答)에서의 구장(九章)에 대한 이해

        허난,Huh, Nan 영남수학회 2021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ol.37 No.4

        Ju-Seo-Gwan-Gyeon is a mathematical book of Chosun dynasty by Jo Tae Gu. This study is to analyze his understanding for the 'Gujang' in the 'Gujang-Mundab'. From this study, we were able to see the contents of 'Gujang-Mundab' that has been unknown in detail so far. In this study, the following facts are found. Most parts of 'Gujang' in 'Gujang-Mundab' was explained the same as Gu-Jang-San-Sul. This indicates that Ju-Seo-Gwan-Gyeon was influenced by Gu-Jang-San-Sul. However, Ju-Seo-Gwan-Gyeon also contains what he wrote with his own understanding. We expect that the results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mathematics history in Korea.

      • KCI등재

        학습 위계에 따른 중학교 수학 평가‧보정 모델 적용 연구

        허난,김해윤,김수철 대한수학교육학회 2020 학교수학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apt to the educational fields a developed mathematics assessment and correction model according to the mathematics learning hierarchy. Moreover,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implications such as the possibility of field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mathematics assessment and correction model and the precautions when applying the model.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field application of developed mathematical assessment and correction materials, assessment and correction materials were analyzed. First, after applying the correction education, the paired t-test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to examine the change in students' achievement. In addition, the rate of incorrect answers for each item of the formative assessment, re-assessment, and diagnostic tool was analyzed. This was done to identify which concepts students are struggling with. Moreover, teaching journal data of teachers applied to the field were organized and interpreted by the school level. The mathematics assessment and correction model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s expected to build an effective guidance system for students with mathematics deficit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ffort for the management of underachievers and to provide guidance for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a lack of math learning. 본 연구는 학습 위계에 따른 수학과 평가ㆍ보정 모델을 중학교 1학년 함수 영역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수학 학습결손 진단 및 보정교육의 효과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보정교육의 효과성 검증은 양적인 방법과 질적인 방법을 혼용하였다. 양적인 방법으로는 형성평가와 재평가 점수의 평균 차이를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는데, 분석 결과, 보정교육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참여교사의 수업일지를 부호화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는데, 이로부터 학습 위계에 따른 수학 학습결손 정보, 학습 곤란도, 학습에서 어려움의 원인에 대한 정보, 학습 위계에 따른 자료 제시 방법, 정규 수업시간에 모델의 활용가능성, 수학 학습결손 지도에의 활용가능성에 대한 정보 등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학 평가·보정 모델 적용에 관한 시사점도 제공하였다.

      • KCI등재

        수학 학습용 애플리케이션 유형 및 내용 분석

        허난 영남수학회 2017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ol.33 No.4

        This study is a basic study for developing a mathematical learning application program that can be used in smart devices for adaptive learning. We selected 20 mathematical learning applications including middle school contents and analyzed learning types. And we analyzed the contents and the learning process. As a result, most learning types of mathematics learning applications were problem-centered. Contents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applications have achievement goals. The factors that induce interest in learning were lacking and feedback was not provided sufficiently. Analysis of the learning process showed that most of the math learning application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purpose and characteristics.

      • KCI등재

        한국과 독일의 중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을 통한 함수 내용 비교

        허난,안은경,고호경 대한수학교육학회 2011 학교수학 Vol.13 No.2

        The study of 2011 education course revision proposal suggests that middle school level function shall be taught with emphasis on its role as tool to understand the situations of actual world, and the concept shall be extended in high school into formularized setting that integrate various fields based on middle school function. In revising education course, the circumstances of other countries are desired to be considered to keep abreast of international standard education courses. In this study, the textbooks of Gesamtschule a general school a school type similar to the education system in Korea among various school forms of Germany were selected to look into the characteristics of function introduction and teaching & learning in Germany, and the textbook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ose of Korea. As a result of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system and contents with emphasis on function area, German textbooks differed from the 7th revised education course on the introduction of function concept, contents development method and method of instructing on graph etc. Such differences are anticipated to serve as data for re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revised education courses and textbooks in Korea. 2011 교육과정 개정 시안연구에서는 중학교 수준의 함수는 현실 세계의 상황을 이해하는 도구로서 초점을 맞추고, 중학교에서의 함수를 토대로 고등학교 함수에서 여러 영역을 통합하는 아이디어로서의 대응의 관점에서 정의된 형식화된 함수 개념으로 확장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교육과정을 개정할 때에 국제적 표준 교육과정과도 발맞추기 위하여 다른 나라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본고에서는 독일에서의 함수 도입과 교수학습 측면에서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하여 독일의 여러 학교 형태 중 우리나라의 교육제도와 비슷한 학교 형태인 게잠트슐레(Gesamtschule, 종합학교)의 교과서를 선택하여 우리나라의 교과서와 비교 분석 하였다. 함수영역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교과서의 구조적인 부분인 체제와 내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 독일 교과서에서는 함수 개념 도입과 내용 전개 방식, 그래프의 지도 방식 등에서 2007년 개정 교육과정과는 차이점을 보였다. 이는 우리나라의 개정 교육 과정 및 교과서의 개발에 참고가 될 만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BL)의 실행에 관한 수학교사의 인식 조사 : 카드 활용 면담을 이용한 분류체계 및 성분 분석을 중심으로

        허난,하영화 한국학교수학회 2011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4 No.2

        수학교과에서 문제중심학습(PBL)은 학습자가 수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 중에 수학적 개념과 원리를 알게 되고 수학적 사고 능력을 시켜줄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심에 비해 실제 적용은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BL의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하여 수학교사들이 실제적으로 느끼는 어려움과 요구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2명의 수학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카드활용 심층면담을 이용한 분류체계 분석과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공적인 PBL 적용을 위해서는 수학과 PBL 문제 개발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의 안내와 수학교과에 적합한 PBL 학습 과정 안내 등의 구체적인 실행 방법에 대한 요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웹 기반 맞춤형 수학 학습 프로그램 구성 요소 분석

        허난,Huh, Nan 영남수학회 2018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ol.34 No.4

        This study analyzed the learning components of the web-based adaptive math learning programs in order to develop adaptive math learning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components of the web-based adaptive math learning program set for analysis are classified into learning process presentation, concept learning, problem presentati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learning result processing then analyzed three program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typical characteristic of components is that it uses a method of repeatedly presenting the same type of problem in order to learn one concep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