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바슐라르의 상상력으로 분석한 연극교육이 지닌 교육적 함의

        함현경 한국예술교육학회 2025 예술교육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바슐라르의 상상력으로 연극교육의 상상력을 활용한 수업 구조의 핵심적 특성을 분석하여 연극 교육이 지닌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바슐라르의 상상력 개념과 상상력이 지닌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살펴보았다. 상상력은 실재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이 아닌 실재를 넘어선 이미지를 새 롭게 변형하고, 창조할 수 있는 창조적 상상력이 본질이다. 상상력은 상상 주체의 주관성에 의한 무한한 변화 의 잠재성과 시대와 세대를 초월하는 보편성을 동시에 지닌다. 그러므로 상상력은 개인과 사회의 성장을 촉진 할 수 있는 삶의 중요한 원동력으로의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 이를 바탕으로 연극교육의 수업 구조가 지닌 핵심적 특성을 분석하여 연극교육이 지닌 교육적 의미를 고찰 하였다. 정리하면, 주관 세계인 연극교육의 세계는 과거의 기억으로 삶을 새롭게 재구성한 창조적 상상력의 결 과물을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놀이와 즉흥을 바탕으로 한 열린 구조는 학생들 스스로 답을 창조하는 것이기에 이미지를 창조하는 능동형으로의 회복이 가능하다. 또한 놀이와 즉흥을 통한 놀이성은 긍정적 정서와 움직임 을 통해 상상 주체의 내적 동기인 능동적 의지 회복과 사고 촉진이 가능함을 뇌 기반 학습원리로 확인하였다. 이어 물질적 상상력인 역할 경험은 다양한 사회적 존재를 상상 주체의 의미 부여를 통해 구체적인 형태로 창 조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개인적이면서 동시에 사회적인 특성을 지닌다. 이와 같은 역할 경험은 상상 주체의 실존을 확장하여 개인과 사회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으며, 새로운 문화 형성을 도울 수 있음을 인지과학의 객 관적 근거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상상력에 대한 적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연극교육의 체계적 설계와 실 천에 관한 다양한 심화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ctional structure of theatre education utilizing Bachelard’s concept of imagination, thereby clarifying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atre education. To achieve this, the study first examines Bachelard’s concept of imagination and its educational meaning and value. Imagination, in its essence, is not about forming images of reality but about creatively transforming and generating images that go beyond reality. It possesses both the potential for infinite variation driven by the subjectivity of the imagining entity and a uni- versality that transcends time and generations. Therefore, imagination holds meaning and value as a crucial driving force for the growth of both individuals and society.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analyzes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ctional struc- ture of theatre education and explores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summary, the world of theatre education, as a subjective domain, generates creative imagination-based outcomes that reconstruct life through past memories. In this process, the open structure rooted in play and improvisation en- ables students to create their own answers, thus restoring their ability to actively generate images. Additionally, playfulness through play and improvisation fosters positive emotions and physical en- gagement, which, based on brain-based learning principles, enhances the active will and motivation of the imagining subject while promoting cognitive stimulation. Furthermore, the experience of roles as a form of material imagination involves creating concrete representations of various social beings through the subjective meaning-making process of the imagining entity. Therefore, it encompasses both pers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Such role experiences expand the existential domain of the imagining subject, fostering individual and societal growth, and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new cultures, as substantiated by cognitive science. Based on a clear understanding of imagina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various in-depth studies on the systematic design and practice of theater education will continue.

      • KCI등재후보

        청소년극에서 대화분석을 통한 현대 청소년들의 정서 탐구-<빨간 버스>와 <바람직한 청소년>을 중심으로

        함현경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5

        Youth theater, the status of which was low even within the genre of theater, took a place of interest by contemporary critics after forming an aesthetic discourse since the founding of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of Korea’s Children and Youth Theater Institute in 2010. The opposition in youth theater has a typical shape. The spacial background of school is a microcosm of society. The youth character types appearing in youth theater can be stereotyped as model student, trouble maker, peer group, friend, school senior, school junior, and friend of the opposite sex. Youth theater, which uses youths as the main character of theater and expresses topics related to youth problems, is an artistic genre and text which expresses the appearances of youths of Korean society and their conflict patterns. The study pays attention to youth theater and thereby examines the aspects of antagonists that cause conflict and conversation in the world of youths.

      • KCI등재

        비올라 스폴린의 연극게임이 지닌 효용성 연구

        함현경 한국예술교육학회 2024 예술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비올라 스폴린의 연극게임 구조를 분석하여 연기훈련으로써의 효용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비올라 스폴린의 교육철학을 바탕으로 연극게임의 목적을 살펴보고,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고안된 3가지 필수요소를 정리하였다. 연극게임은 권위주의로 인한 배우의 두려움과 성장을 방해하는 고정화된 환경의 문제점을해결하여 배우의 재능 발현을 돕고자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연극게임은 놀이 구조를 통해 창조적 상황을 제공하되 배우의 목표를 움직임으로 구체화한 초점과 이를 돕기 위한 연출가의 비권위적인 지시인 사이드 코칭, 마지막으로 초점을 중심으로 한 객관적 평가로 배우의 심리적 안전과 자유를 확보하여 배우의 내재 된 잠재능력을 발현시키고자 하였다. 이처럼 문제점 해결을 위해 고안된 연극게임의 구조를 인지과학의 객관적 사실로 분석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놀이 구조를 활용한 연극게임은 첫째, 놀이를 통한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여 배우의자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집단의 긍정적 정서 전이를 통해 집단의 관계도 향상을 도울 수 있다. 셋째, 놀이를 통한 움직임은 훈련을 위한 이완 상태와 사고기능의 향상을 촉진할 수 있다. 넷째, 놀이를 통한 상상의공간은 사회적 위계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시도를 가능하게 한다. 다섯째, 필수요소의 구체적인 피드백 체계는배우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낮추는 동시에 대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처럼 놀이 구조를 활용한 연극게임은 수평적 관계에서의 긍정적 정서와 움직임, 이를 촉진하는 필수요소를 통해 배우의 내적 동기를유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필수요소를 통한 경험의 초점화를 살펴보면, 이는 교육신경학의 학습원리와 일치한다. 즉 학습목표 달성을 위한 학습의 중심정보에 주의 집중할 수 있도록 감각자극을 촉진할 수 있다. 사이드코칭은 거울 뉴런으로 인해 배우의 몸이 초점에 즉각적인 반응을 할 수 있도록 자극할 수 있다. 둘째, 초점과사이드 코칭은 점화 효과로 인해 배우의 생각과 행동 양방향에 영향을 미쳐 초점에 이르도록 자극할 수 있다. 평가는 명확한 초점을 통한 객관적 평가로 메타인지를 통한 내면화 단계에 이를 수 있도록 자극할 수 있다. 이렇듯 비올라 스폴린의 연극게임은 배우의 문제점 해결과 재능 발현을 돕는데 적용 가능한 이상적 구조이다. 본 연구를 통해 비올라 스폴린의 연극게임의 목적과 구조를 명확히 이해하여 다양한 현장 사례와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하는 바이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effectiveness of Viola Spolin's theater game structure as a method for act ing training. First, based on Viola Spolin's educational philosophy, we examine the purpose of theater games and summarize the three essential elements designed to achieve that purpose. Theater games were designed to assist actors in manifesting their talents by addressing issues such as fear induced by authoritarianism and a fixed environment that hinders growth. To this end, theater games provide creative situations through a play structure, utilize a focus that concretizes the actor's goal into movement, employ side-coaching—the director's non-authoritarian guidance—to assist this process, and finally, ensure the actor's psychological safety and freedom through objective evaluation centered on the focus, aiming to unlock the actor's inherent potential. The structure of theater games, designed to solve these problems, was analyzed through the objective facts of cognitive science. Summarizing the findings: first, theater games utilizing a play structure can secure the ac tor's spontaneity by allowing them to experience positive emotions through play. Second, they can help im prove group relationships through the positive emotional contagion within the group. Third, movement through play can promote a relaxed state conducive to training and enhance cognitive functions. Fourth, the imaginative space created through play enables free experimentation beyond social hierarchies. Fifth, a con crete feedback system of essential elements can reduce stress caused by uncertainty in actors while simulta neously enhancing their coping abilities. Thus, theater games utilizing a play structure can stimulate the ac tor's intrinsic motivation through positive emotions and movement within horizontal relationships, facilitated by essential elements. Next, examining the focusing of experience through essential elements reveals align ment with the learning principles of educational neuroscience. That is, sensory stimuli can be promoted to concentrate attention on the core information necessary to achieve learning objectives. Side-coaching can stimulate the actor's body to respond immediately to the focus due to mirror neurons. Secondly, focus and side-coaching can stimulate the actor to reach the focus by influencing both thoughts and actions through the priming effect. Evaluation can stimulate the internalization stage through metacognition via objective assess ment centered on a clear focus. In this way, Viola Spolin's theater games present an ideal structure applicable for assisting actors in problem-solving and talent manifestation. Through this study, we hope for a clear un derstanding of the purpose and structure of Viola Spolin's theater games, leading to various field ap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연극교육의 관계방식 연구: 마틴 부버의 관계론을 중심으로

        함현경 한국예술교육학회 2024 예술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마틴 부버의 관계론으로 연극교육의 관계방식을 분석하여 연극교육이 초연결시대 소통 부재의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교육적 가치를 지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마틴 부버의 관계론의 핵심 개념인 ‘나-그것’과 ‘나-너’를 살펴보았다. 개체적 관계인 ‘나-그것’은 자신만을 위한 개체로서의 ‘나’로 자신의 경험과 이용을 위한 목적으로만 관계를 맺는 방식이기에 일방적인‘독백’이 특징이다. ‘나-너’는 인격체로서의 ‘나’로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수용하기에 주고받는 ‘대화’가 특징이다. 부버는 현대의 지배적인 관계방식인 ‘나-그것’을 극복하기 위해선 나와 다른 ‘너’에 대한 인정을 전제로 한 몸을 통한 직접적인 접촉인 ‘나너’의 대화로 소통 부재의 문제점을 회복하고자 하였다. 부버의 ‘나-너’의 관계방식을 중심으로 연극교육의 공통적 경험 요소가 지닌 관계방식을 분석하였다. 첫째, ‘나-너’의 실존 방식을 결정하는 연극교육의 세계는 학생들의 몸에 저장된 실존 세계의 기억을 상상으로 다양하게 재구성하여 창조하기에 ‘표준화된 교육 세계’에서 ‘나-너’의 실존 세계를 회복시킨다. 그러므로 상실된 ‘나’ 와 ‘너’의 주체성을 회복하여 인격체로서의 ‘나-너’의 만남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연극교육은 ‘나’와 ‘너’가대처하고 반응해야 하는 실존 세계에서의 존재론적 상황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결과물을 모둠 협력 구조를 바탕으로 대화를 통해, 대화로 창조한다. 이는 ‘나-그것’에서 ‘나-너’로의 관계방식으로 전환 시켜 인간화를 촉진할 수 있는 관계방식이다. 셋째, 인격체로서의 ‘너’를 만나는 역할 경험과 관객 경험은 내가 아닌 ‘너’의 관점에서 표현된 인물의 구체적 표현을 통해 ‘너’를 이해하는 것이다. 때문에 이러한 경험의 축적은 ‘너’의 이해를 확장 시켜 더불어 사는 인간화를 촉진할 수 있다. 이처럼 연극교육은 실존 세계와 가장 유사한 형식을 지니기에인간 존재 방식 그대로를 실현한다. 그러므로 연극교육은 ‘나-너’의 관계방식을 회복시켜 소통 부재의 문제점을해결할 수 있는 내재적인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미약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연극교육이 지닌 교육적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여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서 연극교육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확장되길 기대해 본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methods of theater education using Martin Buber's relationship theory and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theater education has educational value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lack of communication in the hyper-connected era. To this end, we first looked at ‘I-it’ and ‘I-Thou’, the core concepts of Martin Buber’s relational theory. The individual relationship ‘I-It’ is characterized by a one-sided ‘monologue’ because it is a method of forming relationships only for the purpose of one’s own experience and use as ‘I’ as an individual for oneself only. ‘I-Thou’ is characterized by ‘conversation’ as ‘I’ as a person recognizes and accepts each other’s differences. Buber believed that in order to overcome 'I-It', the dominant mode of relationship in modern times, the problem of lack of communication was recovered through 'I-Thou' dialogue, which is direct contact through the body on the premise of recognition of the 'you' who is different from me. I wanted to do it. The relationship methods of common experiential elements of theater education were analyzed, focusing on Buber's ‘I-Thou’ relationship method. First, the world of theater education, which determines the way of existence of 'I-Thou', is created by variously reconstructing the memories of the real world stored in the students' bodies through imagination, so the world of 'I-Thou' is created in the 'standardized world of education'. Restore the real worl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cover the lost subjectivity of ‘I’ and ‘Thou’ and provide an encounter between ‘I-Thou’ as a person. Second, theater education provides an ontological situation in the real world in which ‘I’ and ‘Thou’ must cope and react, and the resulting results are created through dialogue and dialogue based on a group cooperation structure. This is a relationship method that can promote humanization by changing the relationship method from ‘I-it’ to ‘I-Thou’. Third, the role experience and audience experience of meeting ‘Thou’ as a person is to understand ‘Thou’ through the specific expression of the character expressed from ‘Thou’ perspective, not mine. Therefore, the accumulation of these experiences can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ou’ and promote humanization of living together. In this way, theater education has the form most similar to the real world, so it realizes the way human beings exist. Therefore, theater education has an inherent educational value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lack of communication by restoring the ‘I-Thou’ relationship method. Although it is weak, we hope that theater education will be utilized and expanded in various ways in the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by newly recognizing the educational value of theater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

        연극교육에서의 몸의 교육적 의미 -몸을 통한 창의성 발현을 중심으로-

        함현경,조준희 한국연극교육학회 2022 연극교육연구 Vol.42 No.-

        본 연구는 연극교육의 ‘몸을 통한 상상’이 가지는 몸의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여 몸을 중심으로 하는 연극교육이 창의성의 발현에 기여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메를로 퐁티의 몸 철학을 통해 연극교육에서 재고되어야 할 몸의 본질적인 특성이 지각 주체로서의 몸이며, 세계 내 존재에서 세계로 향하는 지향성을 가진 세계-에로-존재임을 살펴보았다. 즉 스스로 자신의 삶을 창조할 수 있는 몸이 우리의 근본적인 존재방식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몸 개념의 이론적 근거로 연극교육의 ‘즉흥극 만들기’과정을 중심으로 몸을 통한 상상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몸을 통한 상상은 상상과 지각이 이분법적으로 나뉘는 것이 아닌 통합된 것이기에 상상의 주체로서의 몸의 의미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몸을 통한 상상은 현실과 분리된 것이 아닌 현실에 영향을 미치는 상호보완적인 것이기에 세계-에로-존재인 몸의 지향성으로 발현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연극교육에서 몸을 통한 상상의 실현이 함축하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연극교육의 몸을 통한 상상의 실현은 학생들이 실존하는 세계의 회복을 가져옴으로써 지각 주체로서의 몸을 회복하고,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선택하고 창조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세계-에로-존재인 몸을 실현하는 연속적인 경험이 선순환되게 만들어, 창의성을 발현할 수 있는 몸으로의 전환을 촉진할 수 있다. 즉 연극교육에서의 몸의 교육적 의미는 창의성을 발현할 수 있는 인간 고유의 존재방식인 몸을 실현하는 관계성으로부터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연극교육에서의 몸의 교육적 의미를 제고하여 몸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창의적 연극교육 방법론이 연구되길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존슨의 상상적 구조로 분석한 연극교육의 경험 양상

        함현경,조준희 한국예술교육학회 2023 예술교육연구 Vol.21 No.3

        This study analyzed the experience structure of theater education with Johnson's imaginative structure to reveal that creativity can be expressed in theater education using the cognitive method through the body. To this end, we first examined two key types of Johnson's imaginative structure. The image schema is a pattern created through repetitive experiences through the body. The image schema is the basis for understanding an experience because it is a universally shared generality. The way in which cognition is expanded based on the image schema is metaphorical projection. Metaphorical projection extends the level of a physical experience of image schema to a mental experience and is a universal cognitive method of humans. In this process, imagination plays a role in helping to understand experiences through image schemas or expanding cognition by mediating abstract thinking. This way of cognition through the body improves from lower cognition to higher cognition in the continuity of experience. Based on this, the experience structure of the process of ‘making improvisation’ in theater educa- tion was analyzed in this study. The stage of ‘making improvisation’ is the process of creating a story through reconstructing imagination using stored experiences to solve a given problem, creating a character who understands by expanding stored experiences based on imagination, and newly seman- ticizing the experience of the body as a spectator. The common feature of this structure of experi- ence is to metaphorically understand the experience based on the experience stored in the body, and to accumulate the expansion of cognition created by reconstructing the imagination back into the body. It can be confirmed that this is a cyclical structure of the body's cognitive method through the continuity of experience and a cognitive structure that extends from lower cognition to higher cognition. New reconstruction of stored experience through this cyclical structure results in creativity. Therefo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ater education has an experience structure capable of ex- pressing creativity using the essential human cognitive metho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value of experience through the body in theater education and various methodologies will be studied based o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intrinsic value of the body

      • KCI등재

        연극교육에서의 몸의 경험 분석: 창의성과 직관의 순환적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함현경,조준희 한국예술교육학회 2023 예술교육연구 Vol.21 No.2

        This study aims to reveal that intuition can be improved as a result of creativity expressed through theatre education by examining the cyclical causal relationship. To this end, we first examine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intuition. Intuition begins with the body's direct perception of a given situation as an experienced memory, and finds a way to solve a problem through the re- construction of memory with logical consistency. At this time, based on the fusion of intuition and reason, creative solutions are found, and the repeated experience of solving problems is stored in the body and automatically executed in an instant. As such, intuition seems to happen in an instant, but it is an automated creativity based on experience. Therefore, it can be found that intuition and crea- tivity have a cyclical causal relationship that becomes both a driving force and a result in a prob- lem-solving situ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is, the process of expression of intuition and creativity was analyzed based on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body in the process of 'making improvisation' in theatre education. This process is to solve a given problem creatively based on the imagination of being someone other than oneself. This is a creative process of reconstructing experienced memories newly to solve problems, and this process can be summarized as a repetitive experience of solving re- al problems through plays based on intuition and creativity. Therefore, this experience can be said to be a process of repeated expression of intuition and creativity to find and implement creative prob- lem-solving methods. Since this is direct experience through the body, it can be useful experience that can be taken out and used in similar situations in life. In other words, the creativity of solving problems manifested through theatre education can bring about the improvement of intuition that can be applied to life. This is the value of the experience through a body in the unconscious and in- visible theatre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body re- lated to creativity and intuition in theater education will be studied more widely and convergently. 본 연구는 연극교육을 통해 발현된 창의성의 결과로 직관이 향상될 수 있음을 순환적 인과관계를 고찰하여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직관의 발현 과정에서 드러나는 본질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직관은 주어진문제 상황을 경험된 기억으로서 몸이 직접 지각하는 것에서 시작되어 논리적인 일관성을 지닌 기억의 재구성을 통해 문제해결 방법을 찾는다. 이때 직관과 이성의 융합된 사고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해결방법을 찾고, 문제해결의 반복적 경험은 몸에 저장되어 순식간에 자동 실행된다. 이처럼 직관은 순식간에 일어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자동화된 창의성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직관과 창의성은 문제해결 상황에서서로에게 동력이자 결과가 되는 순환적인 인과관계를 지님을 발견할 수 있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 연극교육의‘즉흥극 만들기’과정에서의 몸의 작동원리를 근거로 직관과 창의성의 발현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은 내가아닌 다른 사람이 되는 상상을 바탕으로 주어진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이것은 문제해결을 위해경험된 기억을 새롭게 재구성하는 창의적 과정이며, 이 과정은 직관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연극을 통해 현실의문제를 해결하는 반복적인 경험이라 정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경험은 창의적인 문제해결 방법을 찾고 실행하는 직관과 창의성의 반복적인 발현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몸을 통한 직접 경험이기에 삶의 비슷한 상황에서 꺼내어 쓸 수 있는 유용한 경험이 될 수 있다. 즉 연극교육을 통해 발현된 문제해결의 창의성은 삶에 적용될 수 있는 직관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의식하지 못하는, 눈에 보이지 않는 연극교육에서의몸을 통한 경험의 가치이다. 본 연구를 통해 연극교육에서 창의성 및 직관과 연관된 몸의 교육적 가치가 더욱폭넓게 융합적으로 연구되길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연극교육에서의 교호작용(Transaction) 연구

        함현경,조준희 한국연극교육학회 2023 연극교육연구 Vol.44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Dewey's transaction which claims that creativity can be expressed through the body of theater education based on cognitive science. To this end, first, the core of Dewey's philosophy of experience, transaction,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ody. Transaction means that the subject and object in interaction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they all change by influencing on each other. Since transaction is possible only through the human body, it can be interpreted as ‘thinking through the body’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science. Transaction in the process of experience is made up of qualitative thinking because it is premised on continuity. Qualitative thinking is the accumulation of quality in the body, which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being directly placed in a situation with the body and expressed again as the body. Dewey said that people can adapt to an unpredictable world by reconstructing experiences based on such qualitative thinking, and as a result, they can acquire life knowledge and grow. Based on this, he analyzed the transaction of the 'making improvisation' in theater education. Transaction, which is the reconstruction of Dewey's experiences in cognitive science, has been objectively proven through the mechanism of the body using memory and the brain function that processes thoughts and actions side by side. To sum up, first, becoming an active subject of experience and reconstructing experience to create a problem-solving method. Second, acquiring new problem-solving knowledge by reconstructing experience through integrated thinking through multilateral imagination of characters and groups. Third, expansion of the body occurs through role experiences outside of the habitual body. Fourth, semanticizing the result of experience and accumulating the acquired knowledge in the body again. 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ater education can grow into a virtuous cycle structure of transaction through the body.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can be interpreted as creativity, the ability to survive an unpredictable tomorrow. As such, for competency-centered education for creativity, a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body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educational value of transaction through the body of theater education will be studied in various methodologies.

      • KCI등재

        공감의 관점에서 분석한 연극교육의 가치 연구

        함현경(Hyun Kyoung Ham)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4 지식과 교양 Vol.- No.14

        본 연구에서는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서 연극교육이 공감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즉흥극 만들기’의 경험 구조를 분석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감에 대해 살펴보았다. 공감은 타인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으로 타인 관점에서 생각할 수 있는 인지적 요소와 타인의 감정을 느낄 수 있는 정서적 요소가 복합된 개념이다. 공감은 거울 뉴런으로 밝혀졌듯 면 대 면의 사회적 상호작용 경험으로 발현될 수 있기에 다양한 직접 경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즉흥극 만들기’의 경험 구조를 세 단계로 나누어 공감 능력을 촉진할 수 있는 경험 구조임을 분석하였다. 첫 단계는 ‘이야기 창조하기’다. 이는 타인 관점에서의 공감을 전제로 한 과정으로 이야기를 상상할 때의 몸은 실제처럼 행동을 재연하기에 공감 능력을 촉진할 수 있다. 이 과정은 모둠 협력 구조로 이루어지기에 그 자체가 타인관점에서의 즉각적인 공감 훈련 과정이라 분석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는 ‘역할 표현하기’다. 역할 경험은 몸의 작동원리에 따라 상상에 적합한 행동이 촉진되거나 단편적 표현이 나머지 신체를 자극하여 충분한 역할 경험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가장 직접적인 방법으로 타인을 이해할 수 있는 경험 구조다. 또한 면 대 면의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기에 타인의 비언어적 행동을 경험하며 공감 훈련을 할 수 있다. 세 번째 단계는 ‘관객으로 감상하기’다. 감상 경험은 내적 모방을 하는 몸의 작동원리에 따라 일상의 물리적 한계에서 벗어나 타인 관점에서 다양한 타인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스스로 획득한 삶의 지식을 내면화하는 경험구조이다. 이처럼 연극교육은 공감을 전제로 한 경험 구조를 지니기에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서 공감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적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한 연극교육의 가치 증명으로 다양한 교육현장에서 연극교육이 보다 적극적으로 적용되고, 확대되길 기대해본다.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reveal, by analyzing the experience structure of ‘creating an impromptu play,’ that theater education in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can improve empathy. For this purpose, we looked at empathy. Empathy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others and is a concept that combines the cognitive element of being able to think from the other person's perspective and the emotional element of being able to feel the emotions of others. Empathy can be expressed through face-to-face social interaction experiences, as revealed by mirror neurons, so diverse direct experiences are of utmost importance. Based on this, the experience structure of ‘creating an impromptu play’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and analyzed to be an experience structure that can promote empathy. The first step is ‘creating a story.’ This is a process that is premised on empathy from another person’s perspective, and when imagining a story, the body can promote empathy because it reenacts actions as if they were real. Since this process is structured through group cooperation, it can be analyzed as an immediate empathy training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s. The second step is ‘expressing roles.’ Depending on the body's operating principles, role experience can promote actions appropriate to one's imagination or fragmentary expressions can stimulate the rest of the body to provide sufficient role experience. Therefore, it is an experience structure that allows us to understand others in the most direct way. Additionally, since it is a face-to-face social interaction, you can practice empathy by experiencing the non-verbal behavior of others. The third step is ‘appreciating it as an audience member.’ Appreciation experience is an experience structure that allows one to escape the physical limitations of everyday life, understand others from their perspective, and internalize the life knowledge they have acquired through this, according to the body's operating principle of internal imitation. In this way, theater education has an experience structure based on empathy, so it can be an educational alternative for improving empathy in a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By proving the value of theater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theater education will be more actively applied and expanded in various educational fie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