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環境影響評價制道에 대한 法院의 審査

        함태성 한국환경법학회 2002 環境法 硏究 Vol.24 No.1

        미국은 엑슨 발데즈호 사고를 겪고 나서 이른 바 종합적인 유류오염 관련 입법으로서 1990년 유류오염법을 제정하였다. 이 법에 의하면 미국 수역을 운항하는 유류운송선박은 이중 선체구조를 갖추도록 하고 있다. 이는 유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점에서는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중 선체구조를 갖추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그 소요비용을 고려하면 효율적이지 못한 단점을 보여준다. 또한, 일반적의로 이중 선체구조를 요구하는 등의 규제는 독립적으로 사용되어서는 유류오염 위험을 통제하는데 충분한 주의를 유도해 내지 못한다. 따라서, 이중 선체구조를 요구하는 규제는 다른 정책 수단들과 함께 시행되어야 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systems are one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Environmental management has taken on a new urgency in the 1990s. There has been, at last, widespread political recognition of the seriousness of the environmental problems facing humanity at all scales, from local communities through to the entire planet. One consequence of this is the greater hpxtance being attached to EIA, the prwess of identifying the environmental consequences of human activities, before those activities begin. Indeed, the very concept of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environment and its resources, which has come to symbolize the new environmental awareness of recent years, is heavily dependent on or ability to foresee the implications of our actions. EM originated in the United States 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Act of 1969. Since then, the basic concept of EM has been adopted world-wide. EL9 is a means to a larger end - the protection and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quality of life. EIA is seen as one instrument of achieving 'sustainable development', aninstnunent of the precautionary principle, and an instrument of integrated environmental management. In relation to judicial review of EIA, it is important to review the mechanisms by which judicial review proceeds. Key questions include who may sue? and how do substantive and procedural review lend themselves to lawsuits?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in Korea requires legal interests as the condition of the standing to sue. But the concept of legal interest is ambiguous. There has been a controversy on how to interpret legal interests. To solve problem, we need to enlarge the standing to sue. On the other hand, today, there is little chance that a reviewing court will find substantive violates. But unlike the relatively substantive review, procedural review has been a widely active area of litigation. In the curr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1 systems, procedural review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tecting national fundamental right.

      • KCI우수등재

        예방적 살처분에 대한 동물법적 고찰

        함태성 한국공법학회 2018 공법연구 Vol.46 No.4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대 들어서면서 조류독감과 구제역이 상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조류독감이나 구제역 등 가축전염병의 상시화라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보다 철저한 관리ㆍ감독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가축전염병에 대한 선제적 조치 차원에서 예방적 살처분을 적극 고려하면서 그 집행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살처분 정책의 지속 및 확대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가축전염병 관리라는 이름으로 질병에 감염되지 않은 수많은 동물의 생명까지 박탈하는 것에 대한 타당성의 문제에서부터, 살처분 집행과정에서 살아있는 동물을 산 채로 땅속에 매립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까지 살처분 방식과 과정에 대한 사회적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또한 살처분이 대규모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살처분에 참여한 관계자들이 심각한 정신적ㆍ육체적 고통을 받고 있다. 한편, 대량 살처분은 대량의 동물 사체를 발생시키면서 이에 대한 적정 처리 및 사후 관리 미흡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살처분 된 가축의 매몰지에서 병원균 등이 포함된 침출수가 유출되면서 지하수 및 토양 오염 등의 환경보건상의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그리고 살처분의 집행, 매몰지 확보, 축산농가 보상비용 등 사후적 비용이 증가하면서 정작 중요한 사전예방적 방역체계 구축에는 예산이 충분히 투입되지 못하면서 예산 및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이 왜곡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등 국가 재정 관리 측면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다. 예방적 살처분은 질병 관리 및 방역 등의 행정 목적 달성을 위하여 질병에 걸리지 않은 건강한 동물들의 건강한 삶과 생명을 박탈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예방적 살처분의 결정과 집행은 매우 신중하고 엄격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가축전염병 예방법」 제20조 제1항 본문상의 일반적 살처분과 동조항 단서상의 예방적 살처분을 명확하게 구별하여야 하고, 현재처럼 가축전염병 발병시 획일적으로 양자가 ‘패키지’로 집행되는 것에 대하여 반대한다. 향후 예방적 살처분의 문제점과 과제에 대하여 동물법적 측면에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즉, 동물과 관련된 다양한 법적 문제들을 생명의 주체로서의 동물의 존엄성 및 동물복지 등에 입각하여 검토하고 그 대안을 찾아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 글에서는 동물 살처분의 개념, 실태와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보고, 현대 ‘리스크 사회’에서 예방적 살처분이 갖는 의미와 그 한계 등에 대하여 살펴본다. 그리고 리스크법과 동물법 사이에는 기본적으로 긴장관계가 존재하지만 일정한 지점에서는 서로 보완관계에 있음을 살펴보고,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예방적 살처분의 동물법적 과제에 대하여 검토하기로 한다. In Korea, avian influenza and foot-and-mouth disease have been constantly occurred from the beginning of the 2000s. To resolve the situation where infectious diseases in domestic animals become constant, the government has prepared more thorough managerial and supervisory measures while strengthening the enforcement of the measures actively considering precautionary stamping out as a preemptive action against infectious diseases. As animals not infected with any infectious disease have become the targets of stamping out for prevention, the number and scale of animals disposed of with stamping out have been steadily expanding. However, various problems have been raised in relation to the continuation and expansion of the stamping out policy. As there is a problem in the validity of the deprivation of the lives of many animals that have not been taken with any disease under the name of precautionary stamping out and situations where living animals are being buried in the ground due to the lack of manpower and equipment have been occurring, the voice of social concern about the current method and process of stamping out has been growing. In addition, the problem of mental and physical damage to stamping out participants is shown to be serious as with farmers or public officials who participated in stamping out suffering from mental trauma. Meanwhile, unsatisfactory ex post facto treatment and management of the bodies of animals that have been stamped out are causing environmental health problems such as the leakage of leachate in burial sites, groundwater contamination, and contamination of surrounding soil. In addition, as the cost of compensation to stockbreeding farmers who suffered damage due to stamping out is constantly increasing, problems are occurring in national finance too as the budget management for thorough disease prevention is put under relatively high pressure. In particular, in that precautionary stamping out is killing healthy animals that have not been taken with any disease under the name of achieving administrative goals such a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it is a process of depriving living things that are living healthily and feel all pain of their life, the decisions and execution of stamping out should be made very carefully and strictly. However, the current processes of decision on and execution of stamping out do not sufficiently consider the foregoing. In this article, the problems and tasks of precautionary stamping out that has been executed uniformly thus far are reviewed in terms of animal law. The meaning of ‘in terms of animal law’ here refers the position to examine diverse legal issues related to animals based on ‘the dignity of animal’ or ‘animal welfare.’ First, the actual state and problems of animal stamping out are examined first and the meaning of precautionary stamping out in the modern ‘risk society’, related regulations, legal nature, and the limitations examined thereafter. Based on the discussion as such, the tasks of precautionary stamping out in terms of animal law are reviewed.

      • KCI등재

        환경책임법과 환경분쟁조정제도의정합성 확보를 위한 법적 고찰

        함태성 사법발전재단 2013 사법 Vol.1 No.26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Legal Study on fitting Relation of Environmental Liability Act and Environmental Dispute Adjustment Act.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is currently preparing the Environmental Liability Act. This act has provisions of liability without fault, presumption of causation, claim to information, environmental liability insurance, etc. In this paper, I tried to review how the enactment of Environmental Liability Act impacts with Environmental Dispute Adjustment. The Environmental Liability Act defines term of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 the Environmental Dispute Adjustment Act defines term of ‘environmental damage’. The latter is broader than the former. The latter means damage to the health, property and mentality resulting from air pollution, water pollution, soil pollution, sea pollution, noise, vibration, malodor,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sunshine inhibition, view inhibition etc. which occur or are expected to occur by acts of business or any human acts. This involves the damage by destruction of ecosystem, damage of mentality. Definition of the latter is broader than the former. Therefore the latter can complement lack of the former. It’s important that both should have fitting relationship in order to expand remedies. In this paper, first of all, I review a institutional essence of the Environmental Dispute Adjustment System, and then I try to analyze empirically relationship of Environmental Liability Act and Environmental Dispute Adjustment System, to suggest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Dispute Adjustment System. 환경피해에 대한 법적 구제의 폭을 넓히기 위하여 환경책임법의 제정 작업이 추진되고 있다. 입법 추진 중인 환경책임법안에는 무과실책임, 인과관계의 추정, 정보청구권, 환경책임보험제도의 도입, 환경오염피해보상기금의 설치 등 환경오염피해 구제의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내용들이 담겨 있다. 이 글은 환경책임법의 제정이 환경분쟁조정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향후 환경분쟁조정제도의 역할을 어떻게 설정하여야 할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환경책임법이 제정되면 환경오염피해의 구제와 관련된 법적 환경에 변화가 예상되고, 이는 환경분쟁조정제도에도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동 법안에서는 신속한 피해배상을 위해서 환경책임보험제도를 도입하고 있는데, 이는 환경분쟁조정제도의 활용을 축소시킬 가능성이 있다. 왜냐하면 환경분쟁이 발생한 경우 피해자는 가해자를 직접 상대할 필요없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일반적인 보험제도의 틀 안에서 배상문제를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법원이 환경책임법의 취지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적용하기 시작하면 그동안 환경분쟁조정제도로 우회했던 사건들이 법원으로 향하게 될 것이고, 그렇게 되면 환경분쟁조정제도의 역할과 기능이 다소 축소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환경책임법의 도입은 환경분쟁조정제도가 새로운 법적 환경 속에서 변화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 우리의 환경정책과 법제가 환경분쟁조정제도에 일정한 역할을 부여하고 있는 상황에서 양자가 서로 조화를 이루면서 효과적으로 운영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양자는 환경오염피해로 인한 국민의 권리구제를 신속하고 실효성있게 실천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고 있고, 서로 보완관계 속에 존립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환경책임법과 환경분쟁조정제도의 정합성(整合性) 확보를 위한 방안을 고찰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환경분쟁조정제도의 제도적 본질을 검토한 후, 환경책임법안 및 환경분쟁조정법에 대한 실증적 분석과 해석을 시도하고 이를 토대로 환경분쟁조정제도의 역할과 개선방향, 입법론 등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우리나라 동물법의 현황 및 진단, 그리고 향후 과제

        함태성 법과사회이론학회 2019 법과 사회 Vol.0 No.60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legal study on Trends and Issues of Animal Law and a Future Legislative Tasks in Korea. In this paper, I review an Animal Legislation System in Korea, and then I try to analyze legal system and animal policy, to suggest improvement of Animal Law System in Korea. In Korea, there are many legal problems and issues concerning animal law. Examples include prohibition and punishment of animal cruelty(animal abuse), civil issue(contracts, torts etc.), legislative change of animal’s legal position, protection of abandoned pets, medical treatment system of companion animal, animal welfare policy(including companion animal, farmed animal, animals in research, exhibition animal, wild animal), improvement of anim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etc. Such various legal problems and issues are not being examined more systematically and in depth. We have to review these various legal problems and issues. And we have to find legal implications for the Korea animal law and policy. I suggest ‘the dignity of animal life’ and ‘animal welfare’ as the Basic Ideas of animal law. And I suggest The Basic Principles for animal law, which are The Principle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The Principle of Just Balancing, The Principle Prohibition of Unnecessary Distress, and The Principle of Solidarity. 「Animal Protection Act」 is the most important law in animal welfare administration. But this act lacks concrete and actual regulations for animal welfare. Still leaves many issues to be to be solved. Therefore, I suggest the legislation of the Framework Act on Animal Policy or Framework Act on Animal. In this article, the problems and a future legislative tasks of animal law are reviewed in terms of animal law. The meaning of ‘in terms of animal law’ here refers to the position to examine diverse legal issues related to animals based on ‘the dignity of animal life’ or ‘animal welfare.’ 동물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과 관념이 어느 때보다 빠른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동물보호 및 동물복지에 기초한 동물정책 및 입법을 요구하는 사회적 요청이 증대되었고, 인간중심적 관점의 기존 법학 시스템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법학 체계 내에서는 동물은 물건이고 재물에 해당하고, 인간의 소유권의 대상에 불과하다. 이러한 전통법학의 인간중심적인 법적 도그마는 동물법이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해 가는데 있어서 매우 높은 장벽으로 작용한다. 동물법은 인간 중심의 법학이 아닌 동물을 위한 법학을 지향하는데, 동물법 고유의 이념이나 지도원리, 기본원칙, 독자적인 규율 내용 등을 얼마나 명확히 그리고 논리적이고 설득력있게 주장하느냐에 따라 독자성 인정 여부가 정해질 것이다. 그러나 현재 동물법이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고 있다고는 볼 수 없다. 아직 동물법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관계로 그 개념과 범위, 독자적인 원리 등 동물법의 실체가 명확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동물법의 개념과 분류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동물법은 ‘동물’에 관한 법을 말한다. 따라서 동물법의 규율대상은 ‘동물’이다. 또한 동물법은 인간과 동물의 다양한 관계를 규율하는 구속력있는 준거를 정하고, 동물에 대한 사회적 가치를 법에 반영하는 규범적 활동의 총체라고 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동물법이란 인간과 동물의 관계를 규율하는 법으로서, ‘동물’을 주된 규율 대상으로 하고, 동물의 보호・이용・관리 등에 관한 사항을 규율하며, 동물생명의 존엄성과 동물복지를 이념으로 하여 동물 관련 입법 및 정책, 법이론과 판례 등을 다루는 법을 말한다. 동물법은 기존 법학체계에 따라 동물헌법, 동물행정법, 동물형법, 동물사법, 동물소송법 등으로 분류할 수 있고, 인간의 규범적 행위 형식에 따라 동물보호법제, 동물이용법제, 동물관리법제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인간이 동물을 대우하는 방식 또는 이용 목적에 따라 반려동물법, 농장동물법, 실험동물법, 전시동물법, 야생동물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인간의 소유 또는 점유의 대상이 되는지에 따라 야생동물법, 비야생동물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리나라 동물법의 문제점으로는 동물법의 위상 정립이 미흡하다는 점, 동물법의 이념 및 기본 원칙이 부재하다는 점, 동물 정책의 조정・통합 기능이 미약하다는 점, 관련 개별 법령의 정합성이 확보되지 못하다는 점을 거론할 수 있다. 향후 과제와 관련하여서는 헌법, 민법 등 기존 전통법학의 입법적 변화 모색이 필요하다는 점과 동물법의 이념 및 기본 원칙이 정립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동물법의 이념으로는 동물 생명의 존엄성(기초 이념)과 동물복지(실천적 이념)가 반영될 필요가 있고, 동물법의 기본 원칙으로는 이익의 동등한 고려의 원칙, 정당한 형량(Just Balancing)의 원칙, 불필요한 고통 금지의 원칙, 연대의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분산되어 있는 동물정책의 조정・통합 기능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기술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동물분야의 기본법 제정 및 동물법 체계 정립과 관련된 입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새 정부의 환경분야 현안에 대한 법적 과제

        함태성 한국환경법학회 2022 環境法 硏究 Vol.44 No.2

        This article discusses ‘the new government's environmental legal tasks for the current issues in climate and environment’. On May 10, 2022, a new government will be inaugurated. Numerous pending issues require immediate attention and active national management strategies. The climatic environment is one of the critical issues that our society must address. We examine the new government's response tasks in this article,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laws and policies in five areas. To begin, it examines the climate and energy fields, specifically the issues surrounding 2050 carbon neutrality and energy transition. Climate and energy policies will be a priority for the new government. To meet the 2050 carbon neutrality and 2030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NDC), legislative efforts are needed to secure the normative authority of the 「Carbon Neutrality Framework Act」. It is required, in particular, to establish enforcement authority through subordinate statutes, to coordinate with other laws, such as the Energy Act, and to share roles. On the other hand, it is anticipated that the new government will significantly alter the direction of energy policy. This is because,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candidate Yoon Seok-yeol pledged to cancel the Nuclear Power Phase-out Policy and mentioned his intention to transform South Korea into a nuclear powerhouse. The new government must provide an accurate diagnosis and a convincing solution for balancing nuclear and renewable energy in the energy mix, as well as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econd, the new government must address the issue of fine dust, which has a detrimental effect on public health and causes inconvenience in daily life. It makes reference to tasks such as enhancing the seasonal management system, responding to nano fine dust, and developing policies for aging coal fired power plants. Thirdly, the conservation of the aquatic environment is being investigated. This area is concerned with issues such as integrated water management and the restoration of the natural habitats of the four major rivers. This article has mentioned that the legal system must be reorganized to achieve practical unification of water management, and that the four major rivers must be restored in terms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sustainability. Fourth, as part of the transition to a resource-recycling society, ‘the End of Waste’ and ‘the right to repair’ are being reconsidered. Fifth, in the field of biodiversity,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and standardize the value of ecosystem services more actively in legislation and policie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nature-based solutions (NbS) as a critical component of national biodiversity promotion and achieving 2050 carbon neutrality. 이 글은 ‘새 정부의 환경분야 현안에 대한 법적 과제’에 대하여 검토하고 있다. 2022년 5월 10일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였다. 현재 다양한 국가적 현안들이 존재하고 이에 대한 발 빠른 대응과 적극적인 국가 운영 전략이 요구된다. 특히 우리 사회가 시급하게 대응해야 할 과제 중의 하나는 기후환경 분야이다. 이글에서는 다섯 분야의 법과 정책을 중심으로 새 정부의 대응 과제를 살펴보고 있다. 첫째, 2050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 관련 쟁점을 담고 있는 기후・에너지 분야를 살펴보고 있다. 기후・에너지 정책은 새 정부에서도 ‘발등의 불’이 된 현안 중의 현안이 될 것이다. 2050 탄소중립 목표와 2030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하여 탄소중립기본법의 규범력 확보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하위법령을 통한 이행력 확보, 에너지법 등 다른 법률들과의 관계 설정 및 역할 분담 등이 요구된다. 한편, 새 정부에서는 큰 폭으로 에너지 정책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윤석열 정부는 ‘탈원전 백지화’를 전면에 내세우고 원전 최강국을 건설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새 정부는 에너지 믹스에 있어서 원전과 신재생에너지의 비율 조정 및 양자의 관계 설정 등에 관하여 정확한 진단과 설득력있는 해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생활 속 불편을 넘어 국민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미세먼지 분야를 살펴보고 있다. 계절관리제의 개선, 나노 미세먼지 대응, 노후 석탄발전소 정책에 관한 과제를 언급하고 있다. 셋째, 통합물관리와 4대강 자연성 회복 등의 쟁점이 있는 물환경 보전 분야를 살펴보고 있다. 실질적인 물관리일원화를 이룰 수 있는 법제 정비가 필요하고 4대강 자연성 회복은 생물다양성 보전 및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바라보는 것이 필요함을 언급하고 있다. 넷째, 자원순환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방안 중에서 폐기물 종료와 수리할 권리에 대한 내용을 검토하고 있다. 다섯째, 생물다양성 분야와 관련하여서는 입법과 정책에서 생태계서비스의 가치를 보다 적극적으로 인정하고 이를 규범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자연기반해법(Nature based Solution : NbS)을 국가생물다양성증진 및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원인자책임의 원칙에 기초한 국가기후위기 대응정책의 평가와 과제

        함태성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4 환경법과 정책 Vol.32 No.2

        오늘날 기후변화의 가속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기후위기가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 전 지구적으로 홍수, 가뭄, 태풍, 산불, 사막화 등 이상기후 및 기상이변으로 인한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이러한 이상기후로 인한 현상들은 앞으로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더욱 심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듯 세계 각국에서는 국가를 상대로 하는 기후소송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책임을 인정하는 판결이 잇따르면서 기후소송은 법적으로 사회적으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도 현재 기후소송이 헌법재판소에서 진행되고 있다. 2024년 4월 23일 헌법재판소에서 아시아 최초 기후소송 공개 변론이 열렸고, 5월 21일 2차 공개 변론이 진행되었다. 기후소송에서 청구인 측은 정부의 기후위기 대응이 소극적이어서 국민들의 헌법상 환경권, 생명권 등 기본권이 침해된다고 주장했다. 반면, 정부 측은 현재의 기후위기 대응 정책은 충분하고, 무리한 온실가스 감축은 국가산업 및 기업경쟁력에 부정적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런데 2023년 발표한 탄소중립 기본계획 및 NDC에서는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일부 수정되었다. 특히 산업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비율이 축소되었다. 이러한 감축목표의 조정이 「탄소중립기본법」상의 ‘오염자 부담의 원칙’에 반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탄소중립기본법」 제3조에서는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과 녹색성장의 추진에 있어서 따라야 하는 기본원칙을 정하고 있다. 동조 제5호는 “환경오염이나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경제적 비용이 재화 또는 서비스의 시장가격에 합리적으로 반영되도록 조세체계와 금융체계 등을 개편하여 오염자 부담의 원칙이 구현되도록 노력한다”라고 하여 ‘오염자 부담 원칙의 구현’을 기본원칙의 하나로 규정하고 있다. 기본원칙은 입법자의 행위를 지도·규율하고, 법률해석의 지침을 제공하며, 나아가 그것들이 법률에 규정되어 구속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법원칙으로 기능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오염자부담의 원칙이 우리나라 국가기후위기 대응 정책에 있어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 원칙의 문제점과 한계 등을 찾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본다. 이 논문에서는 원인자책임의 원칙의 내용과 책임의 범위 등에 관한 일반론을 살펴보고, 기후위기 시대에는 원인자의 개념도 확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확대된 원인자책임의 원칙에 기초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기후위기 대응 정책의 몇 가지 쟁점과 과제에 대하여 검토하고 있다. Today, the climate crisis is increasingly becoming a reality. All over the world, damage caused by abnormal climate and extreme weather such as floods, droughts, typhoons, forest fires, and desertification is continuing. These climate crisis-related phenomena are expected to occur repeatedly and become more severe in the future. Reflecting the current situation, climate litigation against governments are actively underway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 particular, climate litigation has attracted more attention in recent years as a series of court rulings acknowledging the government's active responsibility for responding to the climate crisis. In Korea, climate litigation is currently underway at the Constitutional Court. On April 23, 2024, Asia's first public hearing on climate litigation was held at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on May 21, the second public hearing was held. the claimant argued that the government's passive response to the climate crisis was violating the people's constitutional rights, such as the right to the environment and the right to life.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argued that the current climate crisis response policy was sufficient, and that excessive greenhouse gas reduction could have a negative impact on national industry and corporate competitiveness. However, looking at ‘the national basic plan for carbon neutrality’ announced in 2023,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targets for each sector in ‘the national target for reducing greenhouse gases’ were partially revised. In particular,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rate in the industrial sector has been reduced. It has been argued that this adjustment of reduction targets is contrary to the ‘polluter pays principle’ under the Framework Act on Carbon Neutrality. The polluter pays principle is a basic one that determines who should bear the expenses arising from environmental pollution. It is a principle for determining who should bear the expenses required for the treatment of pollution (i.e., preservation, removal, restoration to original state, etc.) caused by human activities. Article 3(Basic Principles), No. 5 of the Framework Act on Carbon Neutrality stipulates as follows. “It shall endeavor to realize the polluter pays principle by reorganizing the taxation, financial systems, etc. to ensure that the economic costs of environmental pollution or greenhouse gas emission are reasonably reflected in the market price of goods or services.” The basic principles guide legislators' actions, provide guidelines for legal interpretation, and function as legal principles that can be applied bindingly as stipulated in the law. Considering these points,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role of the ‘polluter pays principle’ in Korea's national climate crisis response policy and to find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is principle. In this paper, we examine at the general theory on the content and scope of application of the polluter pays principle. It is also argued that the concept of polluter should be expanded when it comes to responding to the climate crisis. In addition, based on the expanded ‘polluter pays principle’, several issues and tasks of Korea's current climate crisis response policy are being reviewed.

      • KCI등재

        초국경적 환경오염피해 방지를 위한 환경법적 과제 - 초미세먼지의 유입과 폐기물 수입 문제의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

        함태성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경희법학 Vol.49 No.4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legal study on the prevention of transbou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 under environmental law. Transbou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 is one of the most arguable topics in international law. Principle 2 of Rio Declaration says “States have, in accordance with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and the principles of international law, the sovereign right to exploit their own resources pursuant to their own environmental and developmental policies, and the responsibility to ensure that activities within their jurisdiction or control do not cause damage to the environment of other States or of areas beyond the limits of national jurisdiction.” This means the state responsibility to ensure that one state’s activities do not cause damage to the environment of other States. Today, Korea is facing the important problems of transbou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 such as PM(Particulate Matter) from China, waste imports from Japan. To solve transbou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 cases, the most important sources of law is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international customary laws. But Korea do not contract international convention of PM(Particulate Matter) from China or waste imports from Japan. Furthermore, there are limits of international law, such as, responsible party, proof of causal relation, coverage of environmental damages, standards and procedures related to measure of damage, remedies, etc.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hold China or Japan responsible for transbou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 in international law. We should find solution in domestic law and policy at the same time. First of all, to solve PM from China, it is necessary to find environmental cooperation system with China. Both nations have to develop cooperative relation from a low level to a high level. Second of all, the control of waste import from Japan, which is a possibility of radioactive contamination, become a important policy task of korea government after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Now, large amounts of recyclable waste are imported from Japan, and there is still a possibility of radioactive contamination.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calls for a ban on the import of radioactive contamination waste. Korea government need to improve related legislation and to integrate radioactivity control that is separated by each department. 우리나라의 경우 이미 오래전부터 중국의 황사가 국민의 건강과 환경에 피해를 주고 있었고, 오늘날은 중국으로부터의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유입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에는 대기 또는 해양을 통한 방사능오염물질의 국내 유입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국경을 넘어 우리나라로 이동하는 오염물질들은 국민의 건강과 국내 환경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기도 하고, 국내 오염물질과 상호 상승작용을 일으켜 그 피해를 더 확대시킬 수 있다. 초국경적 환경오염피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제법적 대응과 국내법적 대응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국제법적으로는 초국경적 환경오염피해에 대하여 오염원인국가에게 국가책임을 물을 수 있는가가 핵심내용이 된다. 그러나 국가책임을 인정하기 위한 법리적 문제에서 부터 인과관계 인정을 위한 환경데이터의 정확성 등 기술적 문제에까지 많은 쟁점과 논란들이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겨져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예방’과 ‘협력’을 주된 지도 원리로 하는 관련국간의 ‘환경협약’의 체결이 실질적인 해결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환경법과 환경정책의 주요 현안이기도 하다. 초미세먼지 문제의 대응방안과 관련하여서는 실효성있는 환경협력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고, 이와 함께 국내 초미세먼지 정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한편, 폐기물 수입 문제의 대응방안과 관련하여서는 우선 사전배려의 원칙에 입각한 대응이 필요하다. 그리고 관련 법령을 보완하고 부처간 협력체제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아가 이러한 초국경적 환경오염문제를 해결해 가는데 있어서는 우리나라의 중견국가로서의 역할제고가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현재 초미세먼지 피해의 경우나 일본산 폐기물 수입의 경우 지역적 특성을 보이고 있으므로, 가장 먼저 현장에서 사안을 다루게 되는 해당 지자체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지휘체계와 권한을 갖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우리나라 「가축전염병 예방법」상 가축 살처분 제도의 문제점과 입법적 개선방안

        함태성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22 No.1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Legislative Improvement of Livestock Stamping Out in Korea. In this paper, I review a condition and problem of Livestock Stamping Out in Korea, and then I try to analyze related regulations and policy of Stamping Out, to suggest legislative improvement of Livestock Stamping Out. In Korea, avian influenza and foot-and-mouth disease have been constantly occurred from the beginning of the 2000s. To resolve the situation where infectious diseases in domestic animals become constant, the government has prepared more thorough managerial and supervisory measures. However, various problems have been raised in relation to the continuation and expansion of the stamping out policy. Korea enacted 「ACT ON THE PREVENTION OF CONTAGIOUS ANIMAL DISEASES」 to respond to contagious animal diseases. The purpose of this Act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livestock industry and to improvement in public health by preventing the outbreak or spread of contagious animal diseases. This Act provides ‘General Stamping Out’ and ‘Precautionary Stamping Out’ in Article 20. Order of Stamping Out in Article 20 is one of the most powerful measures in prevention of epidemics. In particular, in that Precautionary Stamping Out is killing healthy animals that have not been taken with any disease under the name of achieving administrative goals such a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decisions and execution of stamping out should be made very carefully and strictly. When a local government head issues Order of Stamping Out, he should try to consider geography, epidemiology, response capability of a local government, certification of animal welfare livestock farms, etc. 가축 살처분은 조류독감이나 구제역 등 가축전염병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축의 생명을 박탈하여 소각, 매립 등의 방식으로 처분하는 것을 말한다. 가축 살처분은 주로 소, 돼지, 가금류 등 농장동물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가축 살처분의 근거 법률은 「가축전염병 예방법」이다. 동법 제20조의 살처분 명령은 가축전염병이 발생한 경우 관할 행정청이 취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방역조치의 하나이다. 동법 제20조 제1항 본문에서는 “시장·군수·구청장은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제1종 가축전염병이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가축전염병에 걸렸거나 걸렸다고 믿을 만한 역학조사·정밀검사 결과나 임상증상이 있는 가축의 소유자에게 그 가축의 살처분을 명하여야 한다”고 하여 제1종가축전염병인 우역·우폐역·구제역·아프리카돼지열병·돼지열병·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의 감염이 확실하거나 거의 확실한 경우에는 반드시 살처분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편, 동조항 단서에서는 “우역, 우폐역, 구제역, 돼지열병, 아프리카돼지열병 또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에 걸렸거나 걸렸다고 믿을 만한 역학조사·정밀검사 결과나 임상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그 가축이 있거나 있었던 장소를 중심으로 그 가축전염병이 퍼지거나 퍼질 것으로 우려되는 지역에 있는 가축의 소유자에게 지체 없이 살처분을 명할 수 있다”고 하여 해당 질병이 발병한 장소를 중심으로 일정 지역 내의 가축에 대하여도 질병 감염 여부와 상관없이 살처분할 수 있도록 하는 예방적 살처분에 대한 규정을 두고 있다. 동 규정에 근거한 살처분은 여러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는 바, 살처분 결정 및 집행상의 문제, 살처분 참여자에게 미치는 피해의 심각성, 토양 및 지하수 오염 등 2차 환경오염문제, 방역을 위한 예산 및 자원 배분 등에 있어서의 왜곡 발생, 농촌지역에 미치는 사회적·경제적 영향 등이 문제된다. 가축 살처분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근본적인 방안은 살처분을 하여야 할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대비하는 것이다. 따라서 예방적 차원에서 상시방역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입법적으로 「가축전염병 예방법」 제1장 총칙에 가축전염병 방역행정의 기본원칙 규정을 신설하고, ‘예방의 원칙’을 제1의 원칙으로 명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축전염병 예방법」 제20조 제1항 본문상의 일반적 살처분과 동조항 단서상의 예방적 살처분은 현실적인 위험의 발생개연성 정도, 위험(리스크)의 종류와 대응방식, 의사결정시 고려 요소 등에서 차이가 존재하므로, 양자는 실정법상 규율에 있어서도 해당 처분의 발동 요건과 절차, 집행 과정, 보상 규정 등에서 구별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동법 제49조의2의 실질적인 운영을 통하여 정신건강 및 심리 상담 기관의 이용이나 예방적 차원의 교육 및 심리적 지원 프로그램 참여 등에 있어서 살처분 참여자들이 실질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제19대 대통령선거 동물복지 공약에 대한 동물법적 평가와 향후 입법적 과제

        함태성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경희법학 Vol.52 No.2

        The 19th Korea Presidential Elections in South Korea took place May 9 in 2017. During the course of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 presidential candidates brought up a subject of various animal welfare. In this paper, I review a legal evaluation of animal welfare pledge in 19th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n I try to find a future legislative tasks and a improvement of animal welfare legislation system in Korea. I analyze animal welfare pledge in 19th presidential election - acceptance and materialization of animal welfare, legislative change of animal’s legal position, prohibition and punishment of animal cruelty, protection of abandoned pets, medical treatment system of companion animal, animal welfare policy of non-companion animal(farmed animal, animals in research, zoo anima, wild animal), improvement of anim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I suggest improvement of animal welfare legislation in Korea. 「Animal Protection Act」 is the most important law in animal welfare administration. The purpose of this Act is to protect life, ensure safety, and promote welfare of animals by providing for matters necessary for the prevention of cruelty to animals and for the protection and appropriate management of animals, thereby develop national ethos, such as respect for the life of animals. But this act lack of concrete and actual regulations for animal welfare. Still leaves many issues to be to be solved. This paper aims to suggest a Future Legislative Tasks and a improvement of animal welfare legislation system, through a legal evaluation of animal welfare pledge of presidential candidates.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유력 대선 후보들 모두 반려동물보호 정책을 포함한 다양한 동물복지공약을 내세웠다. 특히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사람들의 호응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반려동물 의료체계 개선안이나 동물학대금지 방안 등을 집중적으로 홍보하면서 선거운동을 진행하였다. 주요 후보들이 모두 동물복지공약을 내걸고 선거운동에 나서게 된 근저에는 민주주의 원리가 작동되고 있다. 우리 대한민국 헌법은 민주주의 원리를 헌법의 기본원리로 천명하고 있다. 민주주의는 국가마다 시대마다 다양한 형태로 실현되어 왔고, 그 기초가 되는 국민의 의사도 시대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국민의 동물에 대한 관념이 변화하고 동물보호를 국가 정책과 입법에 반영하여 줄 것을 바라는 국민의 수가 증가하면서 그들의 의사는 정치적으로 영향력을 갖기 시작하였다. 그들이 국가에게 동물보호와 관련된 책무를 다해 줄 것을 요청하는 것은 민주주의 원리상 당연한 것이고, 국가의 운영을 책임지겠다고 나선 대선 후보들은 이에 응할 수밖에 없다. 대선 후보들의 공약은 향후 우리나라 동물정책의 방향과 내용을 가늠해 볼 수 있다는 점뿐만 아니라, 이들이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을 경우 그의 공약이 우리나라의 동물복지정책의 골간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정책적으로, 법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각 후보들은 반려동물복지와 관련된 여러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고, 일부 후보는 반려동물뿐만 아니라 농장동물, 실험동물, 동물원동물 등의 문제로까지 관심을 확대하고 있다.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 동물의 법적 지위를 물건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민법 개정 등 입법적 개선방안도 언급하는 후보도 등장하였다. 이러한 점은 법적인 측면에서 동물복지와 관련된 다양한 쟁점을 폭넓게 논의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해 준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각 후보의 동물복지공약에 대한 총평과 분야별 평가(동물복지의 수용 및 구체화, 동물의 법적지위와 관련된 입법적 변화 모색, 동물학대금지와 처벌 강화, 유기동물정책, 반려동물 의료체계, 반려동물 이외의 동물에 대한 대책, 동물행정조직 및 체계 등)를 통하여 향후 동물정책의 입법적 과제와 전망에 대하여 검토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