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혁적 리더십이 공군사관생도의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소명의식과 그릿의 이중매개효과

        함성수,장성화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2 상담심리교육복지 Vol.9 No.4

        본 연구는 공군사관생도들을 대상으로 변혁적 리더십, 소명의식, 그릿, 그리고 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변혁적 리더십과 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소명의식과 그릿의 매개효과를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공군사관생도 33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gram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Program 21.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SEM)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변혁적 리더십은 소명의식, 그릿, 생활적응과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명의식과 그릿은 생활적응과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변혁적 리더십과 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소명의식과그릿은 이중직렬매개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공군 조종사의 소명의식과 이직의도의 관계 : 역할갈등의 매개효과

        함성수,손영우 한국항공운항학회 2019 한국항공운항학회지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Calling, Role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 of Republic of Korea Air force pilot.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Role confli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Turnover intention. Survey data from 211 Pilots in R.O.K. Air force bases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21.0.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alling ha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Role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 Second, Role conflict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urnover intention. Third, Role conflict partially media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Turnover inten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alling may play a critical role in Turnover intention and Role conflict of R.O.K. Air force pilot. Final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limitations, and research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 KCI등재

        공군 장교의 소명의식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 - 도덕적 의무감과 조직 동일시의 매개효과와 특기집단의 조절효과 -

        함성수,하유진,손영우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9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6 No.1

        This research wa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 among ROK Air force officers. Survey data from 351 military professional officers in ROK Air Force were analyzed with SEM(AMO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 and also the mediating effects of moral duty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within the relationship. In addition, group differences between the pilot group and the non-pilot group in the research model were examined by multi–group analysis in SEM.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alling correlated positively with moral duty,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negatively with turnover intention. Second, moral duty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were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not with turnover intention. Third, for the group differences, calling had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pilot group, but not at all in the non-pilot group. In addition, while in the pilot group moral duty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partially medit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non-pilot group they fully medit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garding the calling-turnover intention relation, moral duty fully mediated this relation only in the non-pilot group.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also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공군장기복무 장교들의 소명의식(calling)과 조직유효성(조직몰입, 이직의도)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공군 장기복무 장교 35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AMOS를 이용하여 소명의식과 조직몰입,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이들 관계에서 도덕적 의무감과 조직 동일시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종특기와 비조종특기간의 차이에 따른 경로계수들의 차이를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명의식은 도덕적 의무감과 조직 동일시, 조직몰입과는 정적인 관계, 이직의도와는 부적인 관계가 있었다. 둘째, 도덕적 의무감과 조직 동일시는 소명의식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를 하였다. 셋째, 특기 집단 간 비교 결과, 조종특기에서는 소명의식은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비조종특기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조종특기에서는 도덕적 의무감과 조직 동일시는 소명의식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만 부분 매개를 하였고 소명의식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는 매개역할을 하지 않았다. 반면, 비조종특기에서는 도덕적 의무감과 조직 동일시는 소명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완전매개를 하였고, 도덕적 의무감은 소명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관생도의 소명의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함성수(Ham, Seongsoo),고현석(Ko, Hyunsuk),장성화(Jang, Sung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본 연구는 사관생도의 소명의식이 심리적 안녕감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관생도의 소명의식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 다. 둘째, 사관생도의 소명의식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셋째, 소명의식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심리적 안녕감은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공군사관학교 생도 50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AMOS을 이용하여 소명의식, 심리적 안녕감, 그리고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명의식은 학교생활적응과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소명의식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 녕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 of Calling on School Life Adjustment in cadets and the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School Life Adjustment. Survey data from 509 cadets in ROK Air force Academy were analyzed with SEM, using AMOS 21.0.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alling had positive effects 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Psychological Well-being partially media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School Life Adjustment.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also discussed.

      • 공군 조종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직무가정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명의식의 조절효과

        함성수 ( Ham Seongsoo ),고현석 ( Ko Hyunsuk ) 공군사관학교 2018 空士論文集 Vol.69 No.2

        공군 조종사 양성에 들어가는 많은 비용과 조종사들이 전투력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생각할 때 조종사들의 이직은 국방의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조종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가정갈등이 이직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이러한 부정적인 요인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이 조절효과를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SPSS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직무가정갈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 관계에서 소명의식이 조절효과를 하였다. 즉, 소명의식이 높은 경우에는 직무스트레스와 직무가정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It is such an important issue that Air Force Pilots have retired early because of the severe shortage of skilled pilo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identify job stress and work-family conflict as predictors on turnover intention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Calling on their relationships.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and SPSS Macro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job stress and work-family conflict correlated positively with turnover intent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s of calling on the both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nd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 are significant, suggesting that both relationships are weaker when Calling is high than low.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사관생도의 투지(Grit)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 소명수행의 매개효과

        함성수(Seong-Soo HAM)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0 상담심리교육복지 Vol.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공군사관생도의 투지, 소명수행, 그리고 정신건강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투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소명수행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공군사관생도 227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투지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소명수행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과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한 부트스트랩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투지는 정신건강, 소명수행과 정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투지는 정신건강의 하위요인들 모두와도 정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소명수행은 정신건강과 정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명수행이 투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Grit, Living a Calling, and Mental health of ROK Air force Academy(KAFA) cadet.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Living a Cal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Mental health was examined. Survey data from 227 cadets in KAF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SPSS PROCESS Macro for bootstrapping.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rit correlated positively with Mental health and Living a Calling. Second, Living a calling correlated positively with Mental health. Third, Living a Calling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Mental health.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공군사관생도의 소명의식, 투지, 소명수행, 학교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 분석

        함성수(Seong-Soo HAM),장성화(Sung-Hwa JANG)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2

        본 연구는 공군사관생도의 소명의식, 투지, 소명수행, 그리고 학교생활적응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소명의식과 학교생활적응, 투지, 소명수행 간의 관계 그리고 소명의식과 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투지와 소명수행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공군사관생도 56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gram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Program 21.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SEM)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명의식은 투지, 수명수행, 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투지와 소명수행은 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투지와 소명수행은 소명의식과 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alling, Grit, Living a Calling, and Life Adjustment of ROK Air force Academy( ROKAFA) cadet. Specifically,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and Living a Cal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Life Adjustment were examined. Survey data from 568 cadets in ROKAF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using SPSS 21.0 and AMOS 21.0.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alling correlated positively with Grit, Living a Calling, and Life Adjustment. Second, Grit and Living a Calling correlated positively with Life Adjustment. Third, Grit and Living a Calling were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Life Adjustment.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also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