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환운동이 노인여성의 근감소증 지표와 기능적 체력에 미치는 영향

        이향범,함기승 한국체육교육학회 202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7 No.4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ircuit training on the sarcopenia index and functional physical fitness in elderly women and provide an exercise program to improve the independence and quality of life in the aged. Methods: To att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elderly women practiced circuit training three times a week, for 60 minutes a day, for total eight weeks. To examine the effects of circuit training on the sarcopenia index and functional physical fitness in elderly women, repeated measures ANOVA and paired sample t-tests were done. At this tim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05.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circuit training on the sarcopenia index and functional physical fitness in elderly women, interactive effects between the periods and the groups were observed in the sarcopenia index, SMI (p=.034), and functional physical fitness including dumbbell lifting for 30 seconds (p=.001), standing up and sitting on a chair for 30 seconds (p=.012), holding hands in the back (p=.005), walking in place for 2 minutes (p=.001), bending forward while sitting on a chair (p=.001), and a 2.44-meter round trip walk (p=003), and positive improvement was foun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To sum up the results above, circuit training is found to enhance the sarcopenia index and functional physical fitness in elderly women positively; therefore, it can be applied as an intervening program to improve the independence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목적: 본 연구는 순환운동이 노인여성의 근감소증 지표와 기능적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노인들의생활의 독립성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8주간 주 3회, 1일 60분씩 순환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순환운동이 노인여성의 근감소증 지표와 기능적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반복측정분산분석과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때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결과: 순환운동이 노인여성의 근감소증 지표와 기능적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한 결과 근감소증 지표인SMI(p=.034)와 기능적 체력인 30초간 덤벨들기(p=.001), 30초간 의자에 일어섰다 앉기(p=.012), 등 뒤로 손잡기(p=.005), 2분간 제자리 걷기(p=.001), 의자에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p=.001), 2.44m 왕복걷기(p=.003)에서 기간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에서 긍정적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순환운동은 노인여성의 근감소증 지표와 기능적 체력을 긍정적으로 개선시키는것으로 나타나 노인여성의 생활의 독립성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으로 적용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시니어 에어로빅 운동이 노인 여성의 기능적 움직임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이향범,이한경,권만근,김태상,함기승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시니어 에어로빅 운동이 노인여성의 기능적 움직임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운동 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65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주 3회, 50 ∼ 60분씩 8주간 시니어 에어로빅 운동을 실시하였다. 시니어 에어로빅 운동 중재에 따른 노인여성의 기능적 움직임과 체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를 실시하였으며, 집단 내 중재 전과 후의 차이 검증을 위해 paired sample t-test를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수준에서 검증하였다. 시니어 에어로빅 중재가 노인여성의 기능적 움직임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한 결과 기능적 움직임에서는 Deep Squat(p = .001), Hurdle Step(p = .001), In-line Lunge(p = .001), Shoulder Mobility(p = .002), Active Straight Leg Raise(p = .001), Trunk Stability Push-up(p = .004), Rotary Stability(p = .002)와 체력에서는 Chair Stand(p = .004), Arm Curl(p = .005), 2 minute step test(p = .001), Back Scratch(p = .001), Chair Sit and Reach(p = .001), 2.44m Up and Go(p = .001)에서 측정 시기와 집단 간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에서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시니어 에어로빅 운동 중재는 노인여성의 기능적 움직임과 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노인들의 생활 독립성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으로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보수볼 운동이 노인여성의 보행능력과 낙상위험도에 미치는 영향

        이향범(Lee, Hyang Beum),함기승(Ham, Ki Seung)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3

        목적: 본 연구는 보수볼 운동이 노인여성의 보행능력과 낙상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운동 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65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주 3회, 50 ∼ 60분씩 8주간 보수볼 운동을 실시하였다. 보수볼 운동 중재에 따른 노인여성의 보행능력과 낙상위험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05수준에서 검증하였다. 결과: 보수볼 운동 중재가 노인여성의 보행능력과 낙상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결과 보행능력에서는 10m 보통 걷기(p = .003), 10m 빠르게 걷기(p = .008), 4계단 오르기(p = .029), 4계단 내려오기(p = .026)과 낙상위험도(p = .018)에서 측정 시기와 집단 간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통제집단에서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보수볼 운동 중재는 노인여성의 보행능력과 낙상위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노인들의 생활의 독립성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으로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bosu ball exercise on the walking ability and fall risk of elderly women and to provide an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bosu ball movement was conducted for women aged 65 or older for eight weeks, three times a week, 50 to 60 minutes a week. A repeated measurement varia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nge in walking ability and fall risk of elderly women following the intervention of the bosu ball movement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verified at .05 level. Result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of the bosu ball exercise on the walking ability and the risk of falling in elderly women, the average walking of 10 meters (p=.003), walking 10 meters fast (p=.008), climbing 4 stairs (p=.029), 4 Steps Down (p=.026) and fall risk (p=.018)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measurement periods and groups, and a tendency to change positively in control groups. Conclusion: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it is judged that arbitration of the conservative ball mov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elderly women"s walking ability and fall risk, making it applicable as an arbitration program to improve the independence of life and quality of life.

      • KCI등재

        체육계열 전공 대학생들의 사회적지지와 그릿(Grit)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이향범(Hyang-Beum, Lee),함기승(Ki-Seung, H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본 연구는 체육계열 전공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와 그릿(Grit)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방법 경기, 인천 및 강원지역 4년제 대학교 체육계열 대학생 28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처리는 SPSS 24.0과 Amo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검증, 확인적 요인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결과 첫째, 사회적 지지가 그릿(Grit)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릿(Grit)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체육계열 전공대학생들을 위한 전문적인 진로지도 및 진로교육의 바탕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nd Grit and career preparation consent. Methods For this reason, we collected materials for 288 physical education university students from four-year universities in Gyeonggi, Incheon, and Gangwon-do areas. The collected material was processed using the SPSS 24.0 and Amos 24.0 programs fo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confirmatory element analysis and path analysis, with a significance level set to 05. Results The conclusions drawn by such a procedure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has a significant static impact on Grit. Second, social support has a significant static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Gr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intend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that form the basis of professional career guidance and career education for physical education university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