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산군대 虛庵 鄭希良의 現實認識과 그 변화

        한희숙(Han heesook) 한국인물사연구회 2014 한국인물사연구 Vol.22 No.-

        This study is to research about scholarship, friendship, reality recognition, and economy aspect of Jeonghiryang as well as his forming legend after he disappeared suddenly. He was born in 1464 and his best friend was Kimilson, Jowi, Leeheing, Bageun, Hongenchung and his friend relationship was recorded in 『Jumpiljeigip(?畢齋集)』, 「Muninrok(門人錄)」 ete. Jeonhiryang was a antibuddhist and rigid personality owner. In order to he complained about Seijo king who liked buddism, he was banished. Mter that, he passed state examination, and he worked at Sungmunwon(承文院), Yemungoan(藝文館). However, he lived in exile again because of Muosahoa (戊午士禍). He tried to find himself with poem and the drink for conciliating melancholy mind in the infidelity actuality in order to Muosahoa and banishing. Those things were expressed in his poem written while his living exile, and he augured his destination as a taoist. He disappeared from world as soon as he left his shoes side joriver(祖江) while he was mother’s Simousari at 34 years old. After that, he went around like a taoist or Buddhist, and he divined people’s life. Thereore, his life and actual cognition had changed. Kimjeongguk and Kimanro in JungJong king conveyed Jeonghiryang history first except 『Yeunsangun diary』. They wrote in the book Jeonghiryang’s history heard from others. Later those story were written in the Seunghon’s 『Ugeygip(牛溪集)』, Ryumongin’s 『Euyadam(於干野談)』. and these story were copyed again again at other books as fables. His uneven life and eccentricity was showed speciality to powerful confucianists, and scholars who did not participate positively at real politics, therefore, they supported Jeonghiryang as a clean scholar, and crank. Why he became a famous fable history person was he denied spoiled Yeunsangun king as well as he gave up his good official job which everybody wanted, and also he Knew the yin-yang studY(陰陽學) very well. Jeonghiryang was memoried continucely by Yangbans who was critical at actual politics and interested in Myngrihak and Jeonghiryang’s eccentricities.

      • KCI등재후보

        조선 초기 대군들의 이혼사례와 처의 지위

        한희숙 ( Heesook Han ) 한국여성사학회 2015 여성과 역사 Vol.- No.22

        본 논문의 목적은 조선 초기 대군들의 이혼 사례를 통해 당시 대군부인의 지위를 고찰하는 것이다. 조선 초기에 이혼을 한 대군은 세종의 아들인 임영대군과 영응대군, 그리고 예종의 아들이자 성종의 사촌 동생인 제안대군이다. 그런데 영응대군과 제안대군은 이혼한 전처와 재결합하기 위해 재혼한 후처와 다시 이혼함으로써 각기 두 번의 이혼을 하였다. 여기에 태조의 세자 방석의 경우와 세종의 세자 문종의 2번에 걸친 이혼을 포함하면 조선초기 왕의 적자들의 이혼 비율은 꽤 높은 편이었다. 당시 왕실에서의 이혼은 혼인 당사자들보다는 가장인 왕과 왕실 어른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이혼을 결정할 권리를 갖고 있는 왕은 신하들에게 그 여부를 묻고 있지만 신하들이 반대해도 결국은 일방적으로 며느리인 대군의 처를 내쫓았다. 이혼 사유는 주로 `병`과 `불순부모(不順父母)`였다. 임영대군의 첫 번째 부인 남씨, 영응대군의 전처 송씨, 후처 정씨, 제안대군의 전처 김씨는 모두병을 이유로 쫓겨났다. 그러나 사실 영응대군의 후처 정씨의 이혼사유는 불명확했으며, 제안대군의 후처 박씨의 이혼 사유는 불순이었다. 마음이 바뀐 대군들은 전처와 재결합하기 위해 이혼 사유를 만들어 냈다. 사실 병의경중은 출처에 큰 문제가 되지 않았고, 불순부모도 명분에 지나지 않았다. 이혼 당시 처에게는 모두 자식이 없었는데, 무자(無子)가 출처의 직접적인 사유는 아니었으나 그것을 용이하게 만들었다. 한편 왕실 이혼은 여성에게 매우 불평등한 것이었지만, 여러 대신들의 논의를 거친 뒤에야 가능했다. 대군들이 첫 번째 부인들과 이혼하는 데에는 대신들의 반대가 별로 없었다. 왕의 뜻을 따랐다. 그러나 재혼한 후처와의 이혼에 대해서는 대신들과 대간들이 적극 반대하였다. 그 이유는 이혼 사유가 불분명하고, 특히 전처와 재혼하기 위해 후처를 출처(黜妻)하는 것은 불가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후처와의 이혼을 막지 못했다. 조선 초기 대군들의 이혼사례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사례에서 당시 대군부인들은 모두 일방적으로 출처를 당했다. 출처사유는 칠거지악이며, 이것은 대군의 처들에게도 자주 남용이 되었다. 대군부인은 모두 결혼한 지 몇 년 되지 않은 10대의 나이에 출처되었다. 둘째, 대군들의 이혼은 국가의 수장이자 왕실의 가장인 왕의 결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형식적으로는 왕이 대신들과 의논을 하였다. 셋째, 대군들은 왕의 아들, 왕의 삼촌, 왕의 사촌이라는 종친으로서의 특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의 일방적인 출처가 더욱 용이하였다. 이혼 문제에 있어서 대군부인들의 지위는 매우 낮았다. 넷째, 출처될 시점에서 대군과 부인 사이에는 모두 자식이 없었다. 다섯째, 대부분 대군부인들은 당대 권력가의 딸들이었기 때문에 출처된 후에도 경제적으로 넉넉하게 살았다. 대부분 재혼하지 않고 평생 친정 조카와 함께 살았으며, 자신의 재산을 조카에게 상속하였다. 대군부인들은 혼인을 통해 정1품의 부부인(府夫人)이라는 높은 외명부품계를 받았지만, 이혼과 동시에 그 지위를 잃었다. 즉 왕실의 강력한 권력 앞에서는 나약한 존재였다. 시부모의 뜻이나 변심한 남편들에 의해 출처 당하기 쉬웠다.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status of princes`s wives through the divorce case of princes in early Joseon. Divorced princes in early Joseon were Imyoung and Youngeung princes, as sons of King Sejong, and Jaean prince, son of King Yeajong as well as cousin of King Sungjong at the same time. However, Imyoung and Youngeung princes were divorced with their second wife for remarried again with their ex-wife, so they divorced twice each other. Therefore, three princes were divorced 5 times. Those divorce rating was very high in other to include Bangsuk who was a crown prince of King Taejo as well as Mungong who was a crown prince of King Seajong . Royal divorces at that time were led by the party of the king and the royal family than man and wife themselves. King had right to decide even if he was asking about divorce to his servants or if the servants were opposed to divorce, and eventually, the king drove out the wives of the princes, which were the one-sided. Commonalities that appear in the divorce cases of the princes in early Joseon as follows. First, the wives of princes were driven unilaterally. the wives were kicked out because of disease or impure parents as a one of `Chilgegiak(七去之惡)`. The wives of princes were driven out in ten young age, which had not been married a few years. Second, the princes, as a king`s son, a king`s uncle, and a king`s cousin had the privilege of Jongchin. Therefore, it was rationalized unilaterally pushing a clearance, and status of the wives of princes in the divorce was very low. There was no marital child when wives were evicted. Finally, the wives who were daughters of powerd person, most of wives had lived with nephews without remarrying and their property were inherited to nephews. Even though, the wives received `Bubuin Oimyungbu(外命婦) pumgae(品階)` of Jeung1pum(正1品) through marriage, they were weak in front of the King`s family and powerful of husband family. The wives were kicked out by father-in-law or mother-in-low as well as easy to cast out by husband who changed their mind.

      • 17세기 여산(礪山) 송씨(宋氏) 우곡(愚谷) 송량(宋亮)의 가계(家系)와 사회적 위상

        한희숙 ( Han Heesook ) 한국계보연구회 2018 한국계보연구 Vol.8 No.-

        본 논문은 17세기 상주 지역의 향촌 지식인이었던 송량(宋亮)의 가계와 활동을 살펴본 것이다. 송량은 여산(량) 송씨 13대 후손이다. 여산 송씨는 고려시대 진사였던 송유익(宋惟翊)을 시조로 한다. 중시조인 송송례(宋松禮)가 고려 원종 11년에 권신 임유무를 주살하고 왕정을 복고시킨 공으로 여량부원군에 봉해졌고, 그의 두 아들 염(琰)과 분(玢)의 활약으로 여산 송씨는 대성(大姓)이 되었다. 이어 이들의 아들 대를 중심으로 크게 5개의 파로 나뉘어졌다. 송량의 가문은 조선 건국 후 상당한 관직을 역임한 명문이었지만 할아버지 세휘가 연산군대 갑자사화로 인해 관직을 버리고 상주로 내려온 이후 아버지도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기 때문에 이후 상주지방에서 활동한 재지 사족이 되었다. 송량은 과거에 응시하지 않았지만 성운(成運)·정국성(鄭國成)·정구(鄭逑)·유성룡(柳成龍)·허후(許厚)·정경세(鄭經世) 등 보은-안동-성주 지역의 매우 명망 있던 학자들과 교류하였다. 송량은 학문적으로 성운과 이황의 영향을 받았고, 47세 때 상주 목사로 부임해 온 서애 유성룡을 만나 교류하였다. 그는 학문적 수준은 매우 높았고 충·효의 예절을 생활화하였다. 송량의 효행은 매우 컸고, 그를 본받은 자녀들의 충·효·열은 향촌의 풍속 교화에 큰 영향을 끼쳤다. 1592년 임진왜란으로 상주가 왜적에게 함락되자 지역 유림들과 함께 의병활동을 하였고, 이후 상주지역의 향풍을 교화하기 위해 솔선수범하였다. 그는 1566년에 노기·정국성·김각 등 16인과 함께 낙사계(洛社稧)를 조직하여 풍속을 교화시키는 데 힘썼고, 1598년에는 우곡정사(愚谷精舍)를 짓고 후진을 가르쳤다. 이후 1606년에는 김각, 정경세, 조정, 이전, 이준, 김광두 등과 합력하여 도남서원(道南書院)을 창설하는데 앞장섰다. 또 임진왜란 뒤 질병에 시달리는 주민의 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김각·김광두·정경세 등 여러 사람과 함께 존애원(存愛院)을 창설하였다. 송량은 일평생 상주에 거주하며 향촌 사회의 교화에 힘썼던 향촌 사족이자 지식인이었다. This paper is a survey of Song Ryang’s lineage and activities, as a Yeosan Songssi’s 13th generation, and intellectual in Sangju area. Yu-Ig was a progenitor of Yeosan Songssi and he was a Jinsa in the Goryeo period. Song Rey killed Lim Yu Mu, and re-established Royal, and he was invested Yeorayng Buwongun with recognized as a contribute Royal, as his two sons Yem and Bun, and with their big activities, Song’s family had become great family name. And they had been divided into five groups, focusing on Yem and Bun’s sons. Song Ryang’s family was famous and their many peoples had worked at public service. However, since his grandfather, Se Hui gave up his office by Gabja Sawhoa. he came to Sangju area, and he lived there, also his father did not go to office. Song Ryang did not go office. But Song Ryang had interacted with Seong woon, Jeung Gook Seung, Jeung Gu, Yoo Sung Ryong, Jeung kyung Se etc, who were highly respected scholars in the province of Andong, Boun, and Seungju. Song Ryang was influenced academically by Seong woon and Lee Whoang Song Ryang interacted with the Yoo Sung Ryong who came to work as a mayor of SangJu. He was excellent in his studies as well as had a good manners and loyalty. His loyalty was great and his sons and daughters had learned it from him, therefore his children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olk customs of the village. In 1592, SangJu fell into the Japan, he fought with the local confucian against Japan. He took the initiative to teach the moral soul and manner to local peoples. In 1566, he organized the Naksagei, including No Gi, and Kim Gak etc, total 16 peoples together, and he also worked hard to rehabilitate the culture custom. Also, in 1598, he built a Woogok- Jeungsa, and taught the upcoming generation. After in 1606, he had helped to establish the Donam Seowon with Kim Gak, Jeung Kyung Se, and Kim Kwang Doo. In order to treat the suffering residents from the disease after Japanese Invasion war in 1592, and he established Joneiwon with Kim Kwang Doo, Chung Kyung Se and many peoples. He lived in Sangju for a life time as a confucian and intellectual, and worked hard on edify a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