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환경교육 역량 증진을 위한 PBL 수업 사례연구

        한희경 한국육아지원학회 2022 육아지원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환경교육 역량을 증진하기 위하여 PBL(Problem-Based Learning)을 적용한 수업사례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경험과 의미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는 충북권 소재 4년제 대학 유아교육학과 2학년 학생 24명이었으며, 2021학년도 1학기 유아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수업을 수강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집한 주요자료는 성찰저널, 집단면담 전사 자료, PBL 결과물 등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Miles와 Huberman(1984)이 제시한 바와같이 주제어에 따라 내용 분석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은 환경교육에 대한 PBL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과정을 통해 유아환경교육의 개념 및 내용 범주 이해력, 환경 교수 효능감, 환경교육 자료 개발 능력, 환경감수성 등을 증진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원양성과정에서부터 환경교육에 대해 고민할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PBL은 예비교사가 주도적이고 창의적인 교수 행동을 연구하기에 적합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BL) 방법을 적용한 아동관찰및행동연구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학습경험

        한희경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교육연구 Vol.78 No.-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learning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child observation and behavior study class with the application of a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in order to find a proper application of PBL in the teacher training cours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6 freshman student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at a University located in the Chungcheong province, who had no experience of PBL. The PBL method was performed along with lecture during 7 weeks, and one ‘problem’ was provided. The collected data were a researcher’s journal, participants’ assignments and memos, and group interview transcripts, and the content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Participants’ learning experiences were revealed as four topics; Observation experience that seems to be not real, satisfied cooperative learning & unreliable peer review, learning process identified through e-campus, and a virtuous circle of lectures and PBL. Based on these, the contents to be considered when PBL class was taught in the teacher training course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방법을 적용한 ‘아동관찰및행동연구’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학습경험을 조사하고 그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교원양성과정에서 효과적인 PBL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충북지역 4년제 대학 유아교육학과 1학년 학생 26명이었고, PBL에 대한 사전경험은 없었다. PBL 수업은 이론 수업과 병행하여 7주간 진행되었고, 1개의 문제(problem)가 제시되었다. 연구자 저널, 연구참여자의 과제물 및 메모, 집단면담 전사 자료를 수집하여내용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학습경험은 다음과 같다. 실제인 듯 실제 아닌 관찰경험, 만족스러운 협력학습 & 신뢰할 수 없는 동료평가, 이캠(e-campus)으로 확인하는학습 과정, 강의와 PBL의 선순환 등 4개의 주제이다. 이를 토대로 교원양성과정에서PBL 수업을 할 때 고려할 내용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남자 예비유아교사의 진로설계 및 유아교사로서 역할기대 이야기

        한희경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1

        The study aims to seek ways to support mal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by listening to their stories about career design and role expectations as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participants are five mal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 university located in Chungcheong province, and three individual interviews and one group interview are performed to collect data.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on career design and role expectations as upper categories are as follows. First, the mal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hose the major voluntarily but with vauge idea, so they were in a process of refining their career paths. Second, they experienced physical and emotional gaps and changes due to military service and needed support from the department for unity and specialization. Third, they considered early childhood teachers not as a permanent career while compromising with social reality. Fourth, they expected to create childhood epicene environment, to become helpers for boys and fathers, to use their talents beyond physical abilities, to act as mediator among colleagues, and to change social cognition about male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se results,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mal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high quality, it was discussed that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needs more attention and support for them. 본 연구는 남자 예비유아교사의 진로설계와 유아교사로서 역할기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음으로써 교원양성과정에서 유아교사로서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충청 지역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학과에 재학 중인 남학생 5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을 위하여 개인면담 3회와 집단면담 1회를 실시하였다. 진로설계와 역할기대를 상위범주로 하여 내용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예비유아교사들은 자발적이나 막연하게 전공을 선택하여 진로를 구체화하는 과정에 있었다. 둘째, 군대로 인한 물리적․정서적 공백과 변화를 경험했으며, 단합과 특화를 위한 학과의 지원을 요구하였다. 셋째, 유아교사를 평생직업으로 생각하기보다는 사회적 현실과 조율하여 관련 진로로 확장하고자 하였다. 넷째, 양성성을 갖춘 유아교육환경 만들기, 남아와 아빠의 도우미 되기, 신체적 능력 이상의 자질 발휘하기, 동료교사 간 상담자․중재자 역할하기, ‘남자 유아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바꾸기 등의 역할을 기대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질 높은 남자 유아교사의 수 증가를 위해 교원양성과정에서부터 더욱 관심을 가지고 지원할 것을 논의하였다.

      • 유아 유튜버의 놀이 콘텐츠에 대한 FGI 연구

        한희경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9 No.6

        본 연구는 유아 유튜버의 놀이 콘텐츠 특성 및 적절성에 대한 어머니, 예비유아교사, 유아교사 집단의 인식을 초점집단면담을 통해 조사한 질적연구로서, 질 높은 유아 놀이 콘텐츠를 제작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어머니 3명, 예비유아교사 5명, 유아교사 5명이었으며, 집단별로 약 95분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각 집단은 〈보람튜브 브이로그〉의 놀이 콘텐츠 3개를 시청 후 영상과 놀이에 대해 토의하였으며, 녹음된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놀이 콘텐츠의 영상 특성 및 적절성에 대한 인식은 화려한 제작 기술, 유아 출연자의 권리 보호, 성인관점의 불필요한 연출, 과다한 광고 등과 관련되었고, 놀이 콘텐츠의 놀이 특성 및 적절성에 대한 인식은 실생활과의 연계성, 실제 놀이에의 영향력, 재미 등과 관련되었다. 일부 주제에서는 집단에 따라 상반된 태도를 보이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실생활과의 연계성 측면에서 예비유아교사 집단은 개연성 없는 놀이 내용에 대해 유아 놀이의 특성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보인 반면, 어머니와 유아교사 집단은 놀이 콘텐츠의 완성도와 연관 지으며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에게 적합한 놀이 콘텐츠의 요소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역량 증진을 위한 온라인 PBL 수업 사례연구

        한희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a case of qualitatively exploring the process and results of online PBL class to enhance competen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The online PBL applie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ory class was conducted for 24 third-yea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4-year university in Chungcheong Province. Online lessons were conducted for 14 weeks out of 15 weeks excluding the mid-term evaluation period, and PBL was applied over 10 weeks from the 5th week to the 14th week. In order to explore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lass recording videos, individual journals, group interview transcripts, evaluation papers were collected, and the cont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ubject. Results In the online PBL clas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peated individual and cooperative learning, continued reflection, and went through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implementing online mock classes, in order to solve a practical problem. In results, they improved competencies for curriculum and classroom management, understanding children and supporting plays,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and using digital. Conclusions The online PBL class was effective in enhancing competencies needed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articular, the digital competency promoted through the full non-face-to-face class will help them prepare for the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역량을 증진하기 위하여 온라인 PBL을 적용한 수업의 과정과 결과를 질적으로 탐구한 사례를 보이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충청도 소재 4년제 대학 유아교육학과 3학년 학생 2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PBL을 적용한 유아교과교육론 수업을 하였다. 전체 15주 중 중간평가 기간을 제외한 14주 동안 실시간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었으며, PBL은 5주차부터 14주차까지10주에 걸쳐 적용되었다.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을 탐구하기 위해 수업녹화 영상, 개별저널, 집단면담 전사자료, 평가지 등을 수집하였고 주제에 따라 내용분석하였다. 결과 온라인 PBL을 적용한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은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별학습과 협동학습을 반복하고 성찰을지속하며 온라인 모의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교육과정 및 학급 운영 역량, 유아 이해 및 놀이 지원 역량, 문제해결 및 의사소통 역량, 디지털 역량을 증진하였다. 결론 온라인 PBL을 적용한 수업은 예비유아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을 증진하는 데 효과가 있었다. 특히, 전면 비대면 수업에 적용된PBL을 통해 증진된 디지털 역량은 미래 교육환경을 대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직인·적성의 관계 연구

        한희경,성원경,김진영 한국직업교육학회 2014 職業 敎育 硏究 Vol.33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as a preliminary data to determine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development. Two hundred eighty one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 university at D city responded to an emotional intelligence test and a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test. In order to seek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scores and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score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the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on the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scores between groups, depending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scores. The group with the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score tended to show a higher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score. The predictive power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total of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was 44.1%, and the most powerful predictor among sub-components in the emotional intelligence was the promoting thought variable(34.5%). The most powerful predictor among sub-components in the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was the problem solving and inquiry skills(25.0%). The sub-components in the emotional intelligence that predicted the problem solving and inquiry skills were thought promotion, emotional utiliz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ideas for the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as a job competence were discussed and recommended to promote the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in the teacher preparation course.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인·적성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직인·적성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D시에 위치한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학생 281명이 정서지능과 교직인·적성 검사에 응답하였으며, 정서지능과 교직인·적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21.0에 의한 자료 분석 결과, 정서지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교직인·적성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정서지능이 높은 집단의 교직인·적성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직인·적성에 대한 정서지능의 설명력을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직인·적성을 강하게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이 교직인·적성 전체를 예측하는 설명력은 44.1%이고, 정서지능 중 교직인․적성을 가장 높게 예측할 수 있는 하위 변인은 사고촉진(34.5%)이었다. 정서지능이 교직인·적성 하위변인 중 가장 높은 설명력을 나타낸 것은 문제해결력·탐구력(25.0%)이었고, 문제해결력․탐구력을 설명하는 정서지능의 하위변인은 사고촉진, 정서활용, 정서조절로 파악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인․적성을 높이기 위하여 교사양성과정에서 정서지능을 유아교사의 직무역량으로 인식하고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한국어음청각검사를 위한 기준음압레벨에 대한 고찰

        한희경,조수진,이경원,이정학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09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5 No.1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regulations for the standards, the reference sound pressure level (RSPL) for speech audiometry (SA) is based on the reference speech recognition threshold level (RSRTL). The RSRTL for Korean speech audiometry is not established yet.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ic data for calculating the RSRTL using Korean speech sounds. Subjects consisted of 42 adults with normal hearing sensitivity. Puretone thresholds (PTs) were obtained in 2 dB steps at each octave band. Korean 70 bisyllabic words were used to measure speech recognition thresholds (SRTs). The SRT was defined as the level at 50% of correct responses based o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the results of the psychometric function test. The test was performed from -6 dB HL up to the level at or above 95% of correct responses in 2 dB steps.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SRT was 26.59 dB SPL with the standard deviation of 4.25 dB, which was 6.59 dB greater than the RSRTL of English speech soun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SRTL be recalculated for Korean speech audiometry for each type of headph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