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차원 동영상으로부터 객체 기반의 3차원 입체 변환 기법

        한효정(Hyojung Han),변혜란(Hyeran Byun)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1

        객체 기반의 3차원 입체 변환 기법은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2D 동영상에서 객체를 추출하여 입체 영상으로 변환하는 기법을 말한다. 두 눈에 투시되는 각 객체마다 서로 다른 시차를 가져야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2D 영상에서 정확한 객체를 추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프레임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대략의 움직이는 객체 영역을 얻고, 그래프 컷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정확하고 안정적인 객체를 자동으로 추출한다. 스크린과 양안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여 입체 영상을 만들어 낸다. 후처리 단계에서는 입체 영상을 만들어 내면서 생긴 빈 공간을 채운다. 실험에서는 2D 영상으로부터 입체 영상을 생성한 것을 보여 준다.

      • KCI등재

        정규직 초기경력자 직무만족 변화 패턴 유형에 직업선택동기가 미치는 영향

        한효정(Hyojung Han),곽민호(Minho Kwak),한현석(Hyunsuk Han) 한국진로교육학회 2016 진로교육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첫 직장에 정규직으로 입직한 초기경력자들의 입직 후 약 4년간의 직무만족 변화 패턴을 분석하고 직업선택동기가 이들의 직무만족 변화 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 2007(Youth Panel 2007, YP2007)에서 선발된 558명의 응답이 이용되었다. 반복 측정된 변인의 성장 패턴에 기반하여 표본의 잠재집단을 구명하는 통계방법인 잠재계층성장모형(Latent Class Growth Analysis)을 이용하여 초기경력자들의 직무만족 변화 패턴의 잠재집단을 구명한 결과, 본 연구의 표본은 ‘고수준유지(49.0%)’, ‘증가(15.9%)’, ‘중간수준감소(15.5%)’, ‘중간수준유지(12.2%)’, ‘고수준감소(7.4%)’의 5개 잠재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개의 직업선택동기(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애국․봉사 동기, 개인주의적 직업 환경, 적은 신체활동 요구, 타인에 대한 영향력)를 잠재계층성장모형에 공변인으로써 투입하여 각 직업선택동기 변인이 개인의 집단 소속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고수준유지 집단을 준거집단으로 한 다항로짓분석 결과, 내재적 동기는 중간수준유지 집단에 속할 오즈에 부적 영향과 고수준감소 집단에 속할 오즈에 정적 영향을, 애국․봉사 동기는 중간수준유지집단에 속할 오즈에 부적 영향을, 적은 신체활동 요구는 고수준 감소집단에 속할 오즈에 부적영향을, 타인에 대한 영향력 동기는 증가 집단과 중간수준감소 집단에 속할 오즈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에 기반한 논의점과 시사점 등이 제시되었다. Using a Korean national database—Youth Panel 2007(YP2007)—this study identifies an underlying classification of the job satisfaction change patterns of early-career Korean employees during the first four years of their first jobs. Five distinct patterns of early-career employees’ job satisfaction change patterns are revealed through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LCGA). Then added to the LCGA model as covariates are the following six job choice motivation variables: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altruistic motivation, individualistic occupational environment, influence on others, and little physical activities. A majority of the sample (49.0%) fell into the “high-level-sustained” group in which early-career employees’ job satisfaction consistently remain high. Other-half of the sample consisted of “increase group” (15.9%), “mid-level-decrease group” (15.5%), “mid-level-sustained group” (12.2%), and “high-level-decrease group” (7.4%). After the application of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ith the high-level-sustained group as a reference group, findings suggest that those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high-level-decrease group but less likely to fall into mid-level-sustained group. Similarly, those with high altruistic motivation were less likely to exhibit the mid-level sustained pattern. Those with high motivation to influence others tended to show less of both the increase pattern and the mid-level-decrease pattern. Last, those who had greater motivation in little physical activities showed a lower tendency of exhibiting the high-level-decrease pattern.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효과적인 시각정보디자인을 통한 디지털교과서 디자인 방향성 제안

        한효정(Han, Hyojung),현은령(Hyun, Eunryung)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사)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conference Vol.2014 No.5

        Digital textbooks was conducted to students that oriented focus self-paced training without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Students using a digital media device is increased interest in learning. As a result, academic achievement and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he lesson, In an one-sided learning to Interactive learning undertaken will seek to change. However, The government had plan to "2015 enforce will focus on digital textbooks", but it has largely not been commercialized, now 2014. Even if you have good content, information that can not be effectively communicated with respect to the visual information design. Therefore, this study is more convenient for learners to visualize and clearly presented content, and participation through appropriate delivery method allows designing the components of the current digital textbooks and propose improvements. This visual information design allows to move ahead for the promotion of learning and digital textbooks a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 KCI등재

        조선후기 분주인(分主人)의 존재양태와 활동양상 연구 -공인문기(貢人文記)를 중심으로-

        한효정 ( Han Hyojung ) 한국고문서학회 2017 古文書硏究 Vol.51 No.-

        이 논문은 貢人文記 및 각종 主人權 고문서를 통해 分主人의 존재양태와 활동양상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분주인은 일정한 임차료를 내고 권리를 빌려 공인이나 각 주인의 업무를 담당했던 사람을 일컫는 용어로서, 조선 후기에 공인층에서 권리 소유자와 업무 대행자로 분화되었던 현상을 보여주는 지표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분주인의 핵심 개념인 分을 분석해본 결과, `공인을 비롯한 각종 주인의 업무` 또는 `국가에서 지급했던 貢價`의 의미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당시 국가에서 분주인에게 貢價를 지급했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분주인을 공인층의 단순한 대행업자가 아닌 소유권이 없는 공인이나 각종 주인으로 개념화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로 판단되었다. 고문서에 나타난 분주인은 알려진 것과는 달리 상당히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기존 공인이나 각종 주인들이 소유권을 매도했지만 분주인으로서 해당 공인의 업무를 계속하는 경우를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이는 경제적 어려움에 따라 기존 공인이나 각 주인들이 몰락하는 현상으로 볼 수도 있지만,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된 사례에서 분주인의 능동적인 경영의 측면을 분석할 수 있었다. 특히 還退賣買 문서 가운데 실제 거래내용은 기존 소유권자였던 공인이나 각 주인이 분주인이 되어 소유권을 전당해서 매수자에게 돈을 빌렸던 사례가 있어 분주인의 능동적 경영의 면모를 찾아볼 수 있었다. 또한 공인권 재주와 분주인이 가족, 친인척 관계인 사례에서 위의 환퇴매매 사례와 더불어 소유와 경영을 분리하기 어려운 특징이 드러났다. 한편 분주인의 盜賣에서 비롯된 분쟁사례를 찾아볼 수 있었는데, 이는 당시 공인권의 매매에서 官의 공증을 거치지 않은 白文記 거래가 일반적이었고 또한 공인 명단에 借名으로 기재되었거나 소유권 이전에 소극적인 세태가 관련이 깊었다. 또한 분주인의 문서위조 사례를 통해볼 때 분주인의 二重賣買 혹은 盜賣행위는 담당 吏屬들의 묵인 아래에서 이루어졌고 혹은 실제 공인 종사자이기 때문에 주변인들에게 유리한 物議를 얻어 도매를 진행했을 가능성이 매우 커보였다. 공인권 도매나 이중매매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공인권 소유자들이 공인 명의를 借名으로 등록 하거나 移錄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이는 공인 업무의 전문성과 貢價 지급의 복잡성, 소유와 경영의 미분화된 형태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고 동시에 新財主의 불완전한 소유권과 분주인의 주인의식이라는 특징을 보여준다. This thesis examines the existence and activities of bunjuin through analysis of the content of tribute merchant documents and the various rights documents. Bunjuin is a term referring to a person who has paid a certain rent and has acted as a substitute for the rights of tribute merchant(貢人權) and the rights of master of commercial rights(主人權). This is understood as an indicator of the phenomenon that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was differentiated into the rights owners and agents of the business. Howev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e concept `分` of bunjuin, it was used as the meaning of the management of the commercial rights or the value of tribute goods which was paid by the state. The fact that the country paid the value of tribute goods(貢價) to bunjuin at that time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clue that bunjuin can be conceptualized as a tribute merchant without ownership. Bunjuin in the archives showed a wide variety of features. bunjuin is often found in the case when a tribute merchant or master of the commercial rights has sold his ownership, but continues to work with that tribute merchant as bunjuin. This can be regarded as a phenomenon in which the existing tribute merchant or master of commercial rights is collapsing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but in the concrete case bunjuin, it was analyzed as a active management aspect. In particular, when analyzing the actual transaction contents of refundable sales documents (還退賣買文書), there are cases in which tribute merchant of the original owners or masters of commercial rights are bunjuin, lending the ownership and borrowing money from the buyer. There were also many cases in which the owner of tribute merchant rights and bunjuin were family members or relatives. This can be seen as a difficulty in separating ownership and management, as well as examples of rights-backed loans through repurchase transactions. On the other hand, the double transaction of bunjuin can be found in case of dispute. The reason for this phenomenon is that, first, transactions that did not go through the notarization of the government in ownership transactions of each owner were common. Secondly, it was related to the fraudulent transaction of bunjuin, which was described in the name of the agent or in the passive position to transfer ownership. In the case of document forgery of bunjuin, fraudulent transactions of bunjuin was done under the acquiescence of the subordinates. Despite the risk of fraudulent transactions, rights buyers frequently registered or changed the name of the agent on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s. This was due to the expertise of tribute merchant business, the complexity of the payment of tribute goods value, the undifferentiated form of ownership and management, the incomplete rights of new owners, and the ownership of bunjuin.

      • KCI등재

        미국 대학생의 한국 고등학교에서의 교차문화적(Cross-Cultural) 교육 실습 경험에 대한 연구

        안수진 ( Ahn Soojin ),한효정 ( Han Hyoj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5

        이 연구는 한국의 고등학교에서 한 달간 진행된 해외 교육 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미국 대학생들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실습 기간 동안 미국 대학생들은 한국의 고등학교에서 정규 영어 수업을 진행하고 다양한 비교과 활동에 참여하였다. 인턴십에 참여한 미국 대학생 중 4명의 학생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이 실습 경험에 대해 인터뷰한 내용을 주제분석방법(thematic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에 있어 특히 이들의 교차문화적(cross-cultural) 경험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참여자들이 미국에서 겪은 경험과는 매우 다른 한국의 학교풍토, 교사-학생 관계, 영어 학습자 교수를 어떻게 마주하고 적응하였는지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새로운 문화적 맥락에 따라 그들의 행동과 마음가짐을 바꿀 수 있는 유연성에 대해 학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학생들과의 친밀한 관계 형성을 통한 학생에 대한 이해도와 세계에 대해 새로운 시각 경험을 통한 국제적 이해도가 증진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이와 같은 교차문화적 경험은 그들이 미래에 교사가 되었을 때 교실 상황에서 필요한 문화반응적 교수(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역량을 증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적 맥락에서 문화반응적 교수 역량을 증진하는 교직 과정 및 실습 프로그램에 대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plored American student teachers' cross-cultural teaching experiences during a one-month teaching internship program at a Korean high school. The interviews with four participants on various teaching internship activities in and out of classroom settings, particularly in regard to their cross-cultural experienc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a thematic analysis. The key findings focused on how the participants' cross-cultural encounters and their adjustments in different school climat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and teaching English learners during the internship. The participants learned how to be flexible in changing their mindsets and behaviors according to the different cultural context. The participants also learned to see the world through the eyes of the students, while they developed worldwide friendship with the students. It is implied that such experiences made the participants prepared for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in their future classrooms. The study's findings provide some important insights into teacher education programs or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s that promote culturally responsive classrooms in the multicultural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