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주시민교육 인정교과서의 학생참여 방식 분석 : 인천광역시교육청 『시민과 사회정의』, 『시민과 사회참여』, 『학생자치와 사회참여』를 중심으로

        한학범 ( Han Hakbu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민주시민교육 인정교과서에 나타난 학생참여 방식을 분석하고자 내용요소와 참여방식을 탐색했다. 인정교과서 내용요소와 함께 이를 다루는 접근방식의 특징을 드러냄으로써 학생의 사회참여 실천을 보장하는 교육활동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인정교과서의 내용요소에 학생을 접근시키는 방식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인지적 접근, 참여적 접근, 정의지향적 접근 등 이상 세 가지 민주시민교육의 접근 관점에 따라 분류했다. 분석결과, 민주시민교육 인정교과서는 인지적 접근에서 출발하면서, 주로 참여적 접근을 통해 학생의 사회참여입문 촉진을 지향했다. 이러한 지향은 학생의 사회참여실천이 보다 더 정의지향적 접근으로 이어져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교육활동 수업이 가능하도록 기획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에게 인정교과서를 활용하는 민주시민교육 활동을 실행할 때 학생에게 참여적 접근을 근간으로 하면서 사회참여 실천의 비중을 높여갈 수 있는 촉진자 역할 수행을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교사에게는 학생이 민주시민교육 내용을 사회참여 실천의 활동 안에서 학생주도성을 발휘하면서 다루는 동안, 학생과 함께 공동주도성이 발휘되는 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 역량이 동시에 요청된다. 이를 위해 민주시민교육 장면에서 학생주도성이 교사-학생간 공동주도성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실천적이면서 포용적인 역량을 신장시켜줄 수 있는 교사지원과 교사연수프로그램이 필요하다. To analyze the student participation method presented in the textbook recognized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content elements and participation method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activities that guarantee students' social participation practice were explored by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roach to dealing with the content elements of the recognized textbook.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hod of approaching students to the content elements of the recognized textbook, it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hree approache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 cognitive, a participatory, and a justice-oriented approach. The analysis revealed that textbooks for recogni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tarted from a cognitive approach and aimed to promote students' entry into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a participatory approach. This orientation was designed to enable students' practice of social participation to lead to a more justice-oriented approach, enabling critical reflection on educational activity classes. These results suggest teachers should play a role as a facilitator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social participation practice based on a participatory approach when implement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ctivities using recognized textbooks. Teachers are simultaneously required to have the ability to develop activities in which co-agency is exercised with students while students deal with the conte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hile demonstrating student agency within social participation practice. To this end, there is a need for teacher support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that can enhance practical and inclusive capabilities so that student agency can be expanded to teacher-student co-agency in the democratic civic education setting.

      • KCI등재

        자발적인 교사연수 참여교사들의 교육적 지향과 실천 탐색

        한학범 ( Han Hakbu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자발적인 교사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 교사공동체를 이루어 실천한 교육활동의 경험사례를 성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발도르프교육을 주제로 한 교사연수에 참여한 교사를 면담하였다. 본 연구는 발도르프교육을 중심으로 한 교사연수가 교사에게 발도르프교육의 지향점과 관련하여 어떤 시사점을 주는가를 탐색하기보다는 교사연수 사례를 통해 교사전문성 신장의 일환인 교사학습공동체로 지속시키는 실천적 조건이 무엇이 되어야 할 지에 대해 성찰하는 일에 초점을 두었다. 교사연수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사례가 보여주었던 의미는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발도르프교육을 시도한 교사들은 학생의 발달단계에 부합하는 수업을 지향했고 실천하고자 했다. 교사들은 학생발달단계를 적절하게 고려하려는 발도르프교육의 지향을 실천하고자 했으나, 방법적인 측면에 치중하는 경향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둘째, 교사들은 같은 학년의 교사학습공동체는 물론, 학부모 모임, 다른 학교와 연계모임을 시도하여 자율적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가운데 일상적인 방식으로 실천이 가능한 교사연수에 참여했다. 네트워크화된 공식적 차원의 교사연수에 비해 일상적 차원의 교사연수가 교사들로 하여금 교육활동에 대해 빈번하게 성찰하도록 여건이 마련되었다. 셋째, 교사들은 발도르프교육 실천을 하는 동안 발도로프교육이 갖는 교육적 지향과 실제 교실맥락에서의 실천 사이를 교차하며 수정함으로써 교사 고유의 지향점을 찾아갔는데 이러한 지점에서 발도르프교육이 교사의 실천과 성찰을 거치면서 실제적으로 확장되었다고 볼 수 있다. 교사연수가 일상적 교육맥락에서 작동되는 교사학습공동체로 지속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교육활동 맥락과 연수내용 사이를 스스로 돌아보고 시행착오에 대해 함께 실천하면서 성찰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의 여지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는 교사가 동료교사와 함께 교육활동을 전개함에 있어서 교실맥락을 고려하는 가운데 ‘일상적 자율성’을 바탕으로 현장실천적인 교사연수를 기획하고 공동실행하는 교사리더십을 발휘하도록 촉진되어야 한다. 이러한 교사리더십을 동료교사 사이에서 공유하고 확장시켜 가도록 보장해주는 일이 교사로 하여금 교사학습공동체에 교실맥락을 반영하면서 일상적으로 작동시킬 내재적 동력을 지속하도록 이끌 것이다. This study seeks to reflect on the experience of educational activities conducted by teacher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eacher training in a teachers' community. For this purpos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eacher training based on the theme of Waldorf education were interviewed. This study does not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eacher training centered on Waldorf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orientation of Waldorf education. Rather, this study focused on reflecting on what practical conditions should be to continue as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which is part of the growth of teacher expertise through the case of teacher training. The following three meanings were demonstrated by the experience cases of teacher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eacher training. First, the teachers who attempted the Waldorf education aimed and tried to practice classes that matched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student. Teachers tried to practice the orientation of Waldorf education to properly consider the student development stage, but expressed concern about the tendency to focus on the method. Second, teachers participated in teacher training, which can be practiced in a routine manner, while forming an autonomous network by trying to form a parent group and a link meeting with other schools as well as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the same grade. Conditions were provided for teachers to reflect on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more frequently on a daily basis than on a networked official level of teacher training. Third, teachers sought their own direction by intersecting the educational orientation of Waldorf education with practice in the actual classroom context while practicing Waldorf education. At this point, Waldorf education actually expanded through the practice and reflection of teachers. In order for teacher training to continue as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at operates in everyday educational contexts, there should be time and space for teachers to reflect on their mistakes while looking back on themselves and practicing trial and error together. While teachers should consider the classroom context in developing educational activities with their fellow teachers, it should be promoted to exercise teacher leadership in planning and jointly conducting field-based teacher training based on "daily autonomy." Ensuring that these teacher leaderships are shared and expanded among fellow teachers will lead teachers to continue their inherent momentum to operate on a daily basis, reflecting the classroom context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 KCI등재

        초등학교 체육수업사례에서의 학생주도성 가능성 탐색

        한학범 ( Han Hakbu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4 교육문화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A교사 체육수업 사례에서 수업을 어떻게 의도하고 실행했는지 검토하여 학생주도성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상황인지 관점에 따라 교사의 수업 실행을 기술하고 이에 대한 학생의 참여양상을 살폈다. A교사가 실행한 수업과 이에 참여한 학생들의 주도성은 두 가지 양상 속에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첫째, A교사는 우선적으로 국가수준교육과정 성취기준과 학생의 관심사와 발달 정도 등을 고려하되, 수업 상황과의 조율을 통해 수업장면에 적용해 나갔다. 둘째, A교사는 학생의 관심사를 수업활동에 반영하기 위해 학생수준에 맞는 다양한 ‘움직임’ 활동을 배치하는 가운데, 학생주도성에의 접근가능성을 높이고자 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연구자는 A교사의 체육수업에서 학생주도성의 발현 가능성을 높여주었던 실천적 조건을 구체적으로 포착하여 제시하였다. 아울러 A교사의 수업을 통해 학생주도성의 발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요청되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student agency by examining how a teacher intended and executed lessons in their physical education class. To do so, we described the teacher's implementation of the lesson from a contextual cognition perspective and examined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lesson. Teacher A's lesson and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it showed promise in two ways. First, Teacher A considered the national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nd students' interests and developmental levels, but applied them to the classroom situation in coordination with the classroom context. Second, Teacher A attempted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students' initiative by incorporating students' interests into the classroom activities using various “movement” activities according to students' levels. Considering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 specifically captured and presented practical conditions that enhanced student initiative in Teacher A's physical education class. In addition, implications are drawn to increase the potential for student initiative in Teacher A's classro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