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세포암의 간동맥 화학색전용법

        한준구,박재형,김형석,박길선,이구,김승협,최병인,한만청,이효석,김정룡,Han, Joon-Koo,Park, Jae-Hyung,Kim, Hyung-Suk,Park, Kil-Sun,Lee, Goo,Kim, Seung-Hyup,Choi, Byung-Ihn,Han, Man-Chung,Lee, Hyo-Suk,Kim, Chung-Yong 대한영상의학회 1990 대한영상의학회지 Vol.26 No.4

        Hepatocellular carcinoma(HCC) is one of the most common malignancies in Korea. Despite of recent advances in diagnostic and surgical technics, early diagnosis of HCC is difficult and chance of surgical resection is still very low because of the multiplicity of tumors and associated liver cirrhosis.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TAE) is a proven effective mean of treating HCC whether it is operable or not. The authors analyzed the survival data from 193 patients of HCC who were diagnosed and had undergone TAE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February 1987 to January 1988. Methods of TAE were the infusion of mixture of Lipiodol and Adriamycin with or without following administration of Gelfoam soaked in Mitomycin C. One year survival rate of all 193 cases was 53%. One year survival rate was affected by the presence and the degree of arteriovenous(AV) fistula as well as Child class, stage of the disease and degree of arteriovenous(AV) fistula as well as Child class, s age of the disease and degree of portal vein involvement. One year survival rte was 55.9% for Child class A, 46.9% for class B, 35% for class C, and 58.4% for stage I, 46.9% for stage II, and 38.9% for stage III. Patients who had the involvement of main portal vein revealed one year survival rate of 30.6%, whereas 44.1% for the patients who had the involvement of first order branch and 60.5% for the patients who had no involvement of portal vein or involvement was noted in smaller branches. Patients who had AV fistula of grade(┼┼) ahd one year survival rate of 18.5%, 27.6% for (┼) group, and 60.1% for(-)group. Patients who had undergone Gelfoam embolization after the infusion of Lipiodol-Adriamycin mixture had one year survival rate of 57.3% whereas who had not undergone gelfoam embolization revealed one year survival rate of 47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AE is a very effective mean of treating HCC and the presence of AV firstula is one on the poor prognostic factors of HCC. A though this study lacks comparison between the same clinical groups, it is suggested that Gelfoam embolization after the infusion of Lipiodol-Adriamycin mixture may improve the prognosis of the patients.

      • KCI등재

        심리적 주인의식이 조직 구성원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준구(Han, Joon Goo),김성은(Kim, Sung Eun) 글로벌경영학회 2020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7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적 주인의식이 조직 구성원의 창의성에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긍정적 영향을 주는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내적 동기부여와 창의성간의 관계에서 관점 채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심리적 주인의식과 관련된 연구들은 조직 구성원의 직무 태도 및 행동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창의성을 직접적으로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심리적 주인의식과 창의성간의 관계를 설정하고, 내적 동기부여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또한 내적 동기부여와 창의성간의 관계에서 관점 채택을 조절 변수로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직의 구성원 118쌍(상사-부하)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심리적 주인의식이 높을수록 구성원의 창의성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심리적 주인의식은 내적 동기부여를 통하여 창의성을 높이는 것으로 조사되어, 내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내적 동기부여가 창의성에 주는 영향은 조직 구성원의 관점 채택 수준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구성원들이 다른 사람의 관점을 많이 고려할 때, 내적 동기부여가 창의성에 더 많이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부분에서는 실증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고 있는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nd when psychological ownership affects creativity. The existing researches on psychological ownership have focused on the job attitudes and behaviors of organizational members, but did not directly consider creativity. Therefore,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creativity was established, and intrinsic motivation was set as a mediator to verify empirically.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ity, perspective taking was set as a moderator and verified. To verify this, 118 people in companies related to construction, fashion, and education were surveyed to collect data. As a result, the higher psychological ownership, the more positively influenced creativity. In addition, psychological ownership has been shown to influence creativity through intrinsic motivation,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The impact of intrinsic motivation on creativity was found to vary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spective taking. In other words, intrinsic motivation is more connected to creativity when members consider the perspectives of others. In the conclus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비영리조직의 경영학적 접근에 대한 연구

        한준구(Joon-Goo Han),문형구(Hyoung-Koo Moon) 한국비영리학회 2003 한국비영리연구 Vol.2 No.2

        본 논문은 경영학분야에서 지금까지 국내의 비영리조직에 관한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방항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비영리조직에 관한 경영학 분야의 연구의 흐름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경영학 분야에서 비영리조직을 다룬 연구의 비율이 미미하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둘째, 비영리조직 중 연구대상 조직이 주로 병원과 학교에만 연구가 편중되어 있어서 다양한 비영조직을 다루고 있지 못하다는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셋째, 경영학의 영역 중 주로 회계, 인적자원, 마케팅 분야의 관심이 높은 편이며 상대적으로 재무관리분야에서의 비영리조직에 관한 연구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넷째, 회계분야의 연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연구들이 기존 경영학 이론을 비영리조직 상황에 적용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이 논문은 앞으로 비영리조직의 경영학적 접근에 대한 제안을 하고 있다 이미 많은 비영리조직이 경쟁상황에 놓여 있으며 따라서 비영리조직의 특성에 따라 시장지향성은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날 것이다 특히 공익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영리조직들에 있어서 시장지향성은 조직의 생존과 연결된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장지향성의 측면에서 비영리조직에 대한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둘째, 지금까지 우리니라의 비영리조직들은 이데올로기나 정치적 이념에 따라 운영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앞으로 비영리조직의 효율성을 개념화하고 분석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셋째 학교와 병원을 넘어서서 연구대상 비영리 조직의 범위를 확대하고 경영학의 여러 분야로부터의 총체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in the studies of NPOs from the business perspectives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Findings from the literatur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very small number of research on NPOs done by business scholars Second, most of research using business perspectives dealt mainly with hospitals or schools Third, most of research was done in the areas of accounting,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marketing On the other hand, studies in the areas of finance, international management, and production management were very scarce. Fourth, most of the research simply replicated the studies on business organizations without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NPOs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market orientation" should be seriously taken into consideration in both research and practices for the NPOs Second, more research on the definitions of efficiency for NPOs is needed Nowadays, it is unlikely for the NPOs to survive with insufficient efforts in this area and heavily relying on the social causes as the major driving forces of the organizations, Third, NPOs other than hospitals and schools should be examined from the business perspectives

      • KCI등재

        고객의 무례한 행동의 부정적 영향과 조직의 제도적 지원의 조절효과

        최용득(Yongduk Choi),한준구(Joon Goo Han) 한국인사조직학회 2018 인사조직연구 Vol.26 No.4

        서비스 조직의 구성원들은 다양한 고객을 응대한다. 이 과정에서 고객으로부터 여러 형태의 비인격적 대우를 경험하기도 한다. 다양한 비인격적 대우 중, 특히 공격의도가 모호하지만 언어적 혹은 비언어적으로 무시하고 모욕감을 주는 고객의 무례한 행동(customer incivility)으로 인해 구성원들은 직장에서 정신적 및 육체적으로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점에서 조직은 고객의 무례한 행동이라는 비인격적 대우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제도적인 대책과 지원을 통해 조직구성원들의 지속적인 서비스 몰입과 안녕감 유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러나 선행연구는 주로 고객의 무례한 행동의 다양한 부정적 결과, 과정 그리고 개인적 대응이나 리더 및 동료의 역할과 같은 국지적인 경계조건 고찰에 집중하고 있다. 그 결과, 상대적으로 조직차원에서 고객의 무례한 행동에 직접적으로 대응하거나 부정적 효과를 완화시킬 수 있는 경계조건에 대한 이해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객의 무례한 행동이라는 부정적 사건에 대한 조직의 제도적 지원인식을 개념화하고, 고객의 무례한 행동이 감정적 소진을 통해 고객을 향한 서비스 제공 업무에 전념하는 서비스 몰입과 직장에서의 행복감에 미치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완충효과에 초점을 두었다. 가설검증을 위해 고객서비스가 중요한 금융, 항공, 헬스케어, 교육서비스 기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243개의 자료를 기반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의 무례한 행동은 구성원들의 일과 삶에서 핵심인 서비스 몰입 및 직장에서의 행복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소진이 고객의 무례한 행동으로 인한 서비스 몰입과 직장에서의 행복의 유의미한 매개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고객의 무례한 행동에 대한 조직의 제도적 지원이 고객의 무례한 행동이 감정 소진으로 이어지는 부정적 효과를 직접적으로 완충시키는 중요한 조절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고객과의 상호작용에서 불가피하게 겪을 수 있는 비인격적 대우는 조직 차원에서 제도적 지원을 통해 이에 직접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직무여건을 조성할 때, 부정적 효과를 완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Employees of service organizations interact with various customers. During this communication process, employees are exposed to several forms of customer mistreatment. In particular, customer incivility is the most frequently experienced form of workplace mistreatment. Customer incivility is low-intensity deviant behavior with ambiguous intent to harm employees, in violation of workplace norms for mutual respect. In this regard, the organization should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the harmful implications of customer incivility as a daily occurrence. Although customer incivility has been shown to negatively impact employees’ work and life, little is known about moderators to buffer the negative effects of customer incivility. Previous research on customer incivility has focused on the various negative consequences of customer incivility, its processes, and limited boundary conditions, such as individual differences or the role of leaders and colleagues. Thus, we focus o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for customer incivility and examine the buffer effect that works in the process of customer incivility affecting service commitment and work happiness through emotional exhaustion. We tested the proposed research model using a sample of 243 employees from service industries such as finance, healthcare, airline, and education in South Korea. Results indicated that customer incivility was negatively related with service commitment and happiness in the workplace.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emotional exhaus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incivility and service commitment and work happiness. More importantl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for customer incivility was identified a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or that directly mitigates the negative effects of customer incivility. On the basis of these empirical results, we discus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팀 내 갈등이 팀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목화(Lee, Mok-Hwa),한준구(Han, Joon-G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5

        팀을 기반으로 한 조직구조가 확산되면서,많은 조직구성원들이 팀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이러한 상황은 조직구성원들에게 팀이라는 또 하나의 중요한 몰입대상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갈등의 경험가능성 역시 증가시켰다.그러 나 팀 내 갈등과 팀몰입 사이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아직까지 많지 않다.이에 본 연구는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이 팀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팀효능감과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의 차별적인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분석을 통해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 째,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은 팀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둘 째,팀효능감은 과업갈등과 팀몰입 사이를 완전 매개하였다.셋 째,커뮤니케이션 만족도는 관계갈등과 팀몰입 사이를 완전 매개하였다. As team based organizational structure is commonly spreading, many employees perform as a team member. This situation increases not only team commitment but also conflict to team members. But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 and team commitment. This research proves the mediation effect of team efficacy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when conflict have effect on team commitment. We have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have negative effect on team commitment. Second, team efficacy mediates task conflict and team commitment. Third, communication satisfaction mediates relationship conflict and team commitment.

      • KCI등재

        신제품개발팀에서 사회적․과업 응집성과 기술혁신 성과간의 관계

        김학수(Kim, Hack-Soo),이준호(Lee, Jun-Ho),한준구(Han, Joon-G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2

        팀 응집성은 양날의 검처럼 정적?부적 효과가 있다는 논쟁에도 불구하고, 실증 연구들은 팀 응집성의 긍정적 측면을 부각하였다. 본 연구는 팀 응집성을 관계를 강조하는 사회적 응집성과 과업을 강조하는 과업 응집성으로 구분 하고, 창의적 긴장에 의해 창출되는 기술혁신 성과를 결과변수로 본다면, 팀 응집성의 정적?부적 효과에 대한 논쟁을 실증적으로 규명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응집성은 동질성을 강조하므로, 다양한 사고를 촉진시키는 팀 창의성 지 원 풍토는 사회적 응집성의 부적 효과를 완화시키고, 과업 응집성의 정적 효과를 강화시킬 것으로 보았다. 205개의 신제품개발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기술혁신 성과에 대해 사회적 응집성의 부적 영향(β=-.19, p<.01), 과업 응집성의 정적 영향(β=.18, p<.05), 사회적 응집성과 팀 창의성 지원 풍토의 정적 상호작용효과(β=.14, p<.10) 및 과 업 응집성과 팀 창의성 지원 풍토의 정적 상호작용효과(β=.16, 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lthough team cohesion can be a double-edged sword, empirical studies have focused positive effect of team cohesion. This study claims that team cohesion can be divided social?task cohesion, so we can investigate positive effect of social cohesion and negative effect of task cohesion on technological innovation. Cohesion emphasize homogeneity, thus creativity supporting team climate alleviate negative effect of social cohesion and increase positive effect of task cohesion. This study has used materials collected from 205 NPD teams The results show negative effect of social cohesion(β=-.19, p<.01), positive effect of task cohesion(β =.18, p<.05), positive interactive effect between social cohesion and creativity supporting team climate(β=.14, p<.10) and positive interactive effect between task cohesion and creativity supporting team climate(β=.16, p<.05) on technological innovati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