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서문화 진흥을 위한 자원활동인력 운영 방안 연구

        한주리 한국출판학회 2017 한국출판학연구 Vol.43 No.4

        우리나라는 독서문화진흥법을 근거로 다양한 독서진흥 사업을 운영하면서, 문화융성과 출판산업 활성화,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출판진흥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해외의 경우, 독서진흥단체, 출판사, 서점, 유통사, 작가, 도서관, 학교, 교사, 언론, 민간기업, 자원봉사자, 그리고 정부까지 구성원 모두가 책의 가치와 독서문화진흥을 위해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으며, 다양한 민간 자원활동인력의 참여로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독서문화 진흥을 위한 자원활동인력 운영 방안을 모색한 결과, 독서문화활동 관련 단체의 정관에 자원봉사 내용을 추가, 독서문화 활동에 대한 정보 및 교육 훈련을 제공, 기존 문화자원봉사와 적극적으로 연계, 자원봉사에 대한 대국민 홍보 강화 및 제도보완을 통한 출판독서생태계의 지속가능성 확보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탐색적 분석을 통해 향후 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이용자의 미디어 간 추구 충족과 획득 충족 비교 연구 - 스마트폰과 인터넷 비교를 중심으로

        한주리,김창숙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4 No.-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스마트폰이 마케팅, PR, 정치적 활동 등을 위한 주요 매체로 떠오르고 있어 효과적으로 이에 접근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연구들이 많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스마트폰을 통해 얻고자 하는 충족과 획득 충족이 무엇인지를 밝히되, PC를 통한 인터넷 이용과의 비교를 통해 그 특징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에 대해 추구 충족은 ‘즉시성’, ‘정보 획득’, ‘휴식/동반자역’, ‘자기표현’이라는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모바일 기기의 특성에 맞추어 빠르고 실시간적인 정보를 얻고자 하는 ‘즉시성’이 가장 높은 평균을 나타냈으나 아직까지 ‘정보획득’에 있어서는 PC를 이용한 인터넷에 대한 기대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스마트폰에 대한 획득 충족은 총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즉시성/사회적 상호작용’, ‘휴식/동반자역’, ‘자기 표현’, ‘정보 획득’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인터넷과의 비교에서는 ‘자기 표현’ 요인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인터넷에서 얻는 충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에 대한 추구 충족과 획득 충족간의 평균차 검증에서 ‘자기 표현’, ‘휴식/동반자역’, ‘정보획득’ 모든 요인에서 획득 충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스마트폰에 대한 노출이 더 많아질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아울러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current study raised an urgent need for studying smart phone which has prevailed Korean society not as a simple communication tool but as a new way of communication mode. Smart phone is one of the key media in marketing, PR, political activities in Korean society recently.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we expected the media audiences’ gratifications sought and gratifications obtained on smart phone and internet. Results showed that smart phone could be the useful medium in speedy responses, self-expression as a tool of social communication, rest and so on, In details, five elements of smart phone users’ gratifications sought were deducted such as ‘speedy response’, ‘acquiring info’, ‘rest/companion role’, ‘self-expression’, and ‘social interactivity’. Among these, ‘speedy response’ is the most distinguishing factor comparing with internet. Secondly, four elements of smart phone users’ gratifications obtained were deducted such as ‘speedy response/social interactivity’, ‘rest/companion role’, ‘self-expression’, and ‘acquiring info’. Among these, ‘self-expression’ is the most distinguishing factor comparing with internet. Thirdly, t-test between smart phone users’ gratifications sought and gratifications obtained were shown that all elements of gratifications obtained were higher than gratifications sought. Therefore, smart phone could be the strong and useful medium among audie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thereafter. ‘rest/companion role’, ‘self-expression’, and ‘social interactivity’. Among these, ‘speedy response’ is the most distinguishing factor comparing with internet. Secondly, four elements of smart phone users’ gratifications obtained were deducted such as ‘speedy response/social interactivity’, ‘rest/companion role’, ‘self-expression’, and ‘acquiring info’. Among these, ‘self-expression’ is the most distinguishing factor comparing with internet. Thirdly, t-test between smart phone users’ gratifications sought and gratifications obtained were shown that all elements of gratifications obtained were higher than gratifications sought. Therefore, smart phone could be the strong and useful medium among audie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thereafter.

      • KCI등재

        지역의 독서생태계를 위한 지역서점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 연구

        한주리 한국출판학회 2020 한국출판학연구 Vol.46 No.6

        본 연구는 독서문화를 위한 지역서점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각 지역에서 제정된 지역서점 활성화 조례와 더불어 20인의 국회의원이 발의한 법률 개정안에서 지역서점과 관련된 부분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독서생태계의 주요 거점으로서 지역 내 지역서점이 어떻게 변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지 파악하고, 지역 서점 활성화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2016년 서울시 지역서점 활성화 조례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40곳이 넘는 지역자치단체에서 지역서점을 위한 활성화 조례를 제정하고,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지역서점을 위해서 해당 지역뿐만 아니라 정부 차원에서 법률 개정을 통해 독서생태계 조성의 거점으로서 지역서점을 고려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 내 서점이 커뮤니티에 제공할 수 있는 강점을 가지고, 이를 지역민과 공유하고 소통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독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추구충족을 기반으로 한 SNS 이용자 유형 분석 : Q방법론 적용

        한주리,김창숙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2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6 No.2

        본 연구는 SNS 이용자들의 추구충족을 중심으로 이용자 유형과 특성을 Q방법론을 통해 알아보았다. SNS는 철저하게 이용자들의 욕구에 기반하여 이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용자의 심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29개의 Q표본을 가지고 26명의 P표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4개의 유형이 발견되었다. 자신의 감정, 생각, 일상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가장 중시하는 ‘자기 표현형’,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해서 정보 습득, 의견 교류, 새로운 인맥 형성 등 다양한 욕구들을 충족하고자 하는 ‘사회적 상호작용형’, 다른 유형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시대의 유행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라는 항목이 높게 나타난 ‘유행 추종형’, 시간을 보내거나 기분전환 혹은 즐거움을 추구하는 ‘오락휴식형’이었다. 아울러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SNS users typologies on the basis of gratifications sought through the Q methodology. In order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made 29 Q-statements and 26 P-samples engaged. Results showed that 4 different types were deducted. Type 1 is ‘Self-Expressing type’, because they exposed their own feelings, thoughts and private daily life. Type 2 is ‘Social Communicating type’, because they wanted to meet new people and held the good relationship through SNS and also interested in informative messages and others’ opinion. Type 3 is ‘Trend Chasing type’, because they didn’t want to leave behind and chased trends. Type 4 is ‘Fun & Rest seeking type’, because they wanted to use SNS in order to kill time or have fun. In sum, this study cleared demonstrated that SNS users’ gratifications sought in 4 different Types, and whole respondents used SNS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friends and acquaintances in comm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