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조직체의 위기상황에 대한 공중들의 인식과 공중관계성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한정호,정지연 한국언론학회 2002 한국언론학보 Vol.46 No.2

        본 연구는 조직체의 위기상황에 대해 공중들이 어떻게 인식하며 이에 공중관계성이 어떤 영향력을 발휘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로서 귀인이론을 도입하였다. 특히 맥콜리, 던칸, 러셀(McAuley, Duncan, & Rusell) 등이 사용한 귀인의 4유형-안정성, 외부적 통제, 원인의 소재지, 인적통제 유무-을 이용하였고 위기인식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공중의 위기인식을 4가지-공중의 위기에 대한 책임소재 인식, 심각성 인식, 공중의 조직체에 대한 위기극복 능력 인식, 조직체의 위기대응방안에 대한 공중의 기대-로 구분하여 각 연구문제에 따른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귀인유형에 따라 2×2×2의 요인설계방안으로 나뉘어진 8가지의 가상위기상황에 대한 메시지를 분리처치 하는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상황에 공중관계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같이 분석하였는데 공중관계성은 그루닉 (Grunig), 차일더스(Childers), 한정호 등이 기존연구에서 사용한 요소들을 연구자들이 일부 수정 가감하여 리커트 스케일 (Likert Scale) 방식으로 최종질문을 만들어 측정했다. 분석결과 조직체와 공중간의 관계가 우호적일수록 공중은 위기에 대한 조직체의 책임을 덜 인식하며, 조직체가 당연한 위기를 더 잘 극복해낼 수 있으리라 인식하는 한편, 조직체가 위기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사과와 손해배상을 하는 수용전략을 취할 것으로 더 많이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중관계성의 개별요소들 중, 상호공존적 관계성이 우호적이수록 조직체의 책임을 덜 인식하며, 순수성적 신뢰성과 만족성, 헌신성, 정관계가 우호적일수록 조직체가 위기를 더 잘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체의 위기발생시 공중의 귀인유형이 외부적 통제와 관련이 있는 경우에 한해서만 공중의 위기인식 종 공종의 책임소재 인식, 조직체의 위기극복 능력에 대한 공중의 인식, 조직체의 위기대응능력에 대한 공중의 기대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중의 귀인유형에 따른 공중의 위기인식은 조직체의 공중관계성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중관계성은 위기의 귀인유형 중 외부적 통제와 조직체의 책임에 대한 공중의 인식 및 조직체의 위기 극복 능력에 대한 공중들의 인식, 조직체의 위기 대응전략에 대한 공중물의 기대에 영향을 미치고 내부적 통제와 위기의 심각성 인식 및 위기대응 전략간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위기의 귀인유형 중 외부적 통제유무가 공중의 위기인식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공중관계성의 여러 요소를 중 상호공존적 관계성, 헌신성, 순수성적 헌신성이 공중의 위기인식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평면상 응고계면의 형태학적 안정성에 대한 비평형 열역학적 고찰

        한정호,이동희,최국선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86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24 No.1

        This theoretical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determination of the morphological stability criterion of planar solid-liquid interface. The system of a directional solidification under the nonequilibrium steady-state was defined as a continuous open system and the basic assumptions for the perturbation on the planar interface were introduced in order to analyze the pattern formation. The pattern formation was also interpreted by applying the marginal stability hypothesis.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orphological stability criterion was T_mΓω²+ G_L-mG_c $gt; 0 and this could be reduced to the CS criterion. 2. The critical wavelength of perturbation, λ_c, was calculated by applying the marginal stability. From this result, it could be predicted that the shapes of the interface were changed with the wave length of perturbation. 3. It was suggested that the cell size, ℓ, can be limited by the critical wavelength of perturbation.

      • KCI등재

        Al-Ti-Ce 합금의 기계적 합금화 거동과 열적 안정성에 관한 연구

        한정호,김선진,임준택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95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33 No.6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e on the thermal stability of Al Ti alloy, Al- 8wt.%(Ti+Ce) powders with different Ti to Ce atomic ratio were mechanically alloyed in an attritor. The steady state was obtained after 16 hours milling for all the alloys. The mechanically alloyed powders were vacuum hot pressed and isothermally aged for 100 hours at 400 550℃. The coarsening of A1- Ti intermetallic compounds was retarded by addition of Ce and the thermal stability was improved. The lattice parameter variations of Al-Ti-Ce intermetallic compounds were measured, and the addition of Ce increased the overall lattice mismatch between the intermetallic compound and Al matrix, and so the interfacial energy. Therefore, when considered the solubility and diffusivity of Ce in Al, it was considered that the low solid solubility of Ce in Al matrix was the major factor to the increased thermal stability of Al-Ti alloy.

      • KCI등재
      • KCI등재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재관류 치료를 시행받은 환자에서 내원시 백혈구 수와 심근 손상의 관계

        한정호,연태진,홍의실,윤수인,문기원,김학의,한지숙,김기석,배장환,황경국,김동운,조명찬 대한심장학회 2004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34 No.8

        Background and Objectives:The presence of leukocytosis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has been reported to be related to the extent of MI and with the prognosis. However, whether the leukocytosis itself is a cause or result of the myocardial injury has not been deter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ukocyte count and the extent of myocardial injury was investigated in patients with AMI that had undergone reperfusion therapy. Subjects and Methods:Patients with AMI that had undergone thrombolysis (n=60) or primary PCI (n=36) were included. The initial leukocyte counts were analyzed with regard to the peak and initial CK-MB levels. The relationship between leukocytosis and the time elapsed from the onset of symptoms, infarct related coronary arteries and the proximity of the lesions were also investigated. Results:In both groups, the initial leukocyte count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initial CK-MB level or the time elapsed from symptoms onset, which could be an indication of the extent of early myocardial injury. Furthermo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shown with the infarct related coronary artery or proximity of the lesion. However, a relationship was shown with the maximum CK-MB level, which could be an indication of the extent of myocardial injury following reperfusion therapy in both groups (p<0.01). Conclusion: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itial leukocyte count in patients with AMI might is an important prognostic factor that determines the extent of myocardial injury following reperfusion therapy, rather than being a simple indicator of the extent of early myocardial injury. 배경 및 목적: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내원시 백혈구증가증은 심근경색의 크기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환자의 불량한 예후와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손상된 심근의 양이 많을수록 백혈구수가 증가하는지 혹은 증가된 백혈구가 더 큰 심근 손상을 유발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혈전용해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와 관동맥중재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응급실 내원 당시의 백혈구수와 재관류 치료 후의 심근 손상 정도와의 연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충북대병원 응급실을 방문하여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진단 받은 환자 중 혈전용해치료(n=60) 혹은 관동맥중재술(n=36)을 시행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들을 대상으로 내원시 말초혈액 백혈구수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증상 발현부터 응급실 내원시까지의 경과 시간, 내원시 Creatine Kinase(CK)-MB 수치, 재관류 치료 후 CK-MB의 최고치 및 상승치, 경색 관련 혈관 및 혈관 내 병변의 위치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혈전용해치료군과 관동맥중재술군 모두에서 내원시 백혈구수는 초기 심근 손상의 정도를 대변할 수 있는 내원시의 CK-MB 값 및 흉통의 발생부터 응급실에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고, 경색 관련 혈관 및 혈관 내 병변의 위치와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양군 모두에서 내원시 백혈구수는 급성 심근경색증에 대한 재관류 치료 후의 심근 손상을 대변할 수 있는 입원 중 CK-MB의 최고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혈전용해치료군;r=0.34, p<0.01, 관동맥중재술군;r=0.45, p<0.01). 결 론: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응급실 내원시의 백혈구수는 초기 심근 손상의 정도에 의해 결정되는 단순한 변수라기보다는, 재관류 치료 후의 심근 손상의 정도를 결정하는 예후 인자중의 하나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