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삶의 기대, 삶의 만족 및 주관적 행복에 관한 연구

        한의진 ( Eui Jin Han ),황보명 ( Bo Myung Hwa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기대, 삶의 만족, 주관적 행복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 삶의 기대와 삶의 만족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 수집은 광주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총 339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t-test분석, ANOVA 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남성이 여성보다 주관적 행복을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서량에 따른 차이는 년 평균 독서량이 2~3권인 집단과 4권 이상인 집단이1권 이하의 집단보다 삶의 기대, 삶의 만족, 주관적 행복을 모두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시간에 따른 차이는 주당 2~3시간대 운동하는 집단이 주당 0~1시간대로 운동하는 집단보다 삶의 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이 인지하는 삶의기대와 삶의 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을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이 독서를 많이 할수록 삶의 기대, 삶의 만족, 주관적 행복을 높게 인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주당 운동시간이 2~3시간대 이상일 때 삶의 기대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삶의 기대와 삶의 만족이 주관적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life expectancy,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s of life expectancy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subjective happines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university students residing in the Gwangju region using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 and data from a total of 339 students were empirically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9.0 program by conducting factor analyses, reliability analyses, correlation analyses, t-tests, ANOVA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s, males were shown to recognize their subjective happiness more highly than did females. As for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mounts of reading, the group with an annual amount of reading of 2~3 books and the group with an annual amount of reading of at least four books were shown to recognize all of their life expectancy,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more highly than did the group with an annual amount of reading of one or fewer books. As for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mounts of exercise time, the group of those that were exercising 2~3 hours per week was shown to have higher life expectancy than the group of those that were exercising less. Second, university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recognized life expectancy and life satisfaction were shown to recognize their subjective happiness more highly. Through these study results, it was identified that university students that were reading more books recognized their life expectancy,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more highly and the level of their recognized life expectancy became high when their exercise time per week was at least 2~3 hours.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life expectancy and life satisfaction were affecting subjective happiness.

      • KCI등재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항공 객실승무원들의 우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한의진 ( Eui Jin Han ),조영일 ( Young Il Cho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3 觀光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항공 객실승무원들을 대상으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우울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서 국내항공사에 근무하는 객실 승무원 295명에게 우울,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를 묻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사용하였다. 측정변수와 요인간의 관련성을 검증하는 측정모형에서 각 요인을 대표하는 측정변수의 수가 많기 때문에 이를 조정하기 위해서 문항꾸러미(item parcel)를 사용하였다. 또한, 측정모형의 자료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한 이후, 이론변수간의 관련성을 모형화한 이론모형을 검증하는 2단계 모형 검증을 사용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은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우울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중 직무만족만이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결과적으로 우울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통해서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항공 객실승무원들을 포함한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근로자들의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시사점 및 제한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study was aimed to study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turnover intention which were mediated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workers doing an emotional labor. For the current study, 295 flying assistants who doing an emotional labor were recrui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hypotheses of interest,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turnover was not significant because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However,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were significant. Simultaneously, the magnitudes of those effects were almost identical. Finally, limitation and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취업활동에 관한 연구: 전남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의진 ( Han Eui Jin ),황보명 ( Hwang Bo Myu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취업활동이 독서량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전공만족도와 취업활동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 및 전남지역의 4년제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34명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량에 따른 전공만족도와 취업활동 간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전공만족도 하위요인(일반만족, 교과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 중에서 일반만족(전반적 만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년 평균 4권 이상 독서하는 대학생들이 전공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가장높았으며, 년 평균 1권 이하로 독서하는 대학생들이 전반적인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전공만족도의 다른 하위요인들과 취업활동의 하위요인(자기이해, 정보수집, 현상인식)들은 모두 독서량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취업활동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한 결과, 일반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이 자기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일반만족과 교과만족은 정보수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일반만족은 현상인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이 자신의 전공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할수록 취업을 위한 자기이해뿐만 아니라 현상인식과 정보수집에도 적극적인 활동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취업활동을 활성화시키려면 학생들의 전공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높이고, 전공교과뿐만 아니라 전공교수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verify whether undergraduat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university major and vocational activities vary according to reading volumes and figure ou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major and vocational activities. To this end,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undergraduate students of four-year colleges in Gwangju and Jeonnam regions and responses from a total of 234 respondent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results of examination of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major and vocational activities according to reading volumes, among the sub factors(general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curriculum, relationship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recognition) of the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major, general satisfaction(overall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at is, those undergraduate students that were reading at least four books on average per year showed the highest overall satisfaction while those undergraduate students that were reading not more than one books on average per year showed the lowest overall satisfaction. However, other sub factors of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major or the sub factors (self-understanding, information collection, phenomenon recognition) of vocational activities showed no difference according to reading volume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at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university major and vocational activities, general satisfac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recognition positively affected self-understanding and genera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curriculum positively affected information collection. In addition, general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ed phenomenon recognition too. These results mean that when undergraduate student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major, they will not only understand themselves but also actively recognize phenomena and collect information to get a job. Therefore, to activate undergraduate students`` vocational activities, measures to enhance the students``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major curriculum as well as their relationship with major professors should be sought for.

      • KCI등재

        연구논문 :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B항공사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

        한의진 ( Eui Jin Han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5 觀光硏究 Vol.30 No.5

        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 설계에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밝히고자 했다. 연구 자료는 국내의 B항공사에 근무하는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224명의 응답결과를 최종분석에 사용했다.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α 값을 확인하였으며, SPSS 19.0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특성 요인 중에서 피드백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의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과업중요성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의 내재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직무특성 요인 중에서 자율성, 피드백, 그리고 직무만족의 외재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이직의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만족(내재적 가치, 외재적 가치)은 피드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특성 하위요인이 부분적으로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This study has following objectives: First, it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light attendants``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s and turnover intentions. Second, it is to test mediated effects of job satisfactions. Ultimately, it aimed to identify factors to consider in flight attendants`` job design. Data is collected by a survey conducted on domestic ‘K’ airline and finally 224 cases used for the analysis. In order to asses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s, Cronbach``s alpha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used,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ome aspects of flight attendants`` job characteristics(i.e. task significance, feedback) were found positive impacts on job satisfactions, whereas some aspects of flight attendants`` job characteristics(i.e. autonomy, feedback) as well as extrinsic value of job satisfactions have a negative significant impacts on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job satisfactions mediated effects of feedback on turnover intentions. In conclusion, it is partially supported that flight attendants`` job characteristics have impacts on job satisfactions and turnover intentions.

      • KCI등재

        항공사 이용객의 태도, 행동의도 및 행동지속성 간의 구조관계분석 : 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한의진 ( Han Eui-jin ) 한국관광산업학회 2021 Tourism Research Vol.46 No.4

        본 연구는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항공사 이용객의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행동의도, 행동지속성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실증적 연구 결과를 통해 해외여행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은 구글설문지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약500명에게 설문지를 메신저로 발송하였으며, 368명의 결과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는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행동통제와 행동의도는 행동지속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였다. 반면, 주관적 규범은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태도와 주관적 규범은 행동지속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동의도의 매개효과는 주관적 규범과 행동지속성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태도, 지각된 행동통제와 행동지속성에서는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금과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도 주변 사람들의 이해나 도움, 견해가 소비자들의 해외여행에 대한 행동의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며, 소비자 개인이 해외여행을 유익하고, 가치있고, 필요하고, 즐겁다고 느낄수록 해외여행 행동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소비자 개인이 여행할 수 있는 시간적·경제적 등의 여건을 갖추고 있고, 해외여행에 대한 제도적, 환경적 상황이 된다면 해외여행에 대한 수요는 많아지리라는 것을 나타낸 결과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irline passengers' attitudes,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behavioral intentions, and behavioral persistence,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overseas travel through empirical research resul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 Google questionnaire, and the questionnaire was sent to about 500 people by messenger, and the results of 368 peopl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verified that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behavioral inten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persistency. On the other hand, subjective norm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and attitude and subjective norm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persistency. The mediating effect of behavioral intention did not appear in subjective norm and behavioral persistence, but the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in attitud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behavioral persist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even in the current pandemic situation, the understanding, help, and opinions of people around do not have much effect on consumers' behavioral intentions for overseas travel. This indicates that the more individual consumers feel that overseas travel is useful, valuable, necessary, and enjoyable, the higher their intention to take overseas travel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result of showing that the demand for overseas travel will increase if the individual consumers have the time and economic conditions to travel, and if there are institution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overseas travel.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직업선택 동기 차이 연구 -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심으로 -

        이미경 ( Lee Mi-kyong ),한의진 ( Han Eui-jin ),황보명 ( Hwang Bo-myung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6 Tourism Research Vol.4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직업선택 동기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진로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의 직업선택 동기 양상을 살펴보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한 표본은 광주 및 전남 소재 4년제, 4개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총 282명의 응답결과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타당도분석, 신뢰도 분석, t-test, ANOVA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직업선택 동기를 확인한 결과, 남녀 모두 ‘안정적인 장래’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남성은 ‘능력 발휘’를 여성은 ‘일의 보람’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남녀 모두 정서적 동기를 환경적 동기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성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학년과 대학에서는 직업선택 동기 중 환경적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전공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업선택 동기를 실증분석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 검증을 통해 대학생들의 직업선택 동기를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진로지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understand university students’ vocational motives with a view to providing basic data for effective career guidance. To this end, the aspects of university students’ vocational motives were examined to verif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Samples for the empirical study were selected from among those university students in four 4-year colleges located in Gwangju and Jeon-nam region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s. Responses from a total of 282 student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9.0 statistical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validity analyses, reliability analyses, t-tests, and ANOVA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niversity students’ vocational motives were examined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regarded ‘stable future’ to be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capability display’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and ‘rewarding experience from work’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In additio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shown to regard emotional motive to be more important than environmental motive. Second, as for differences in vocational motiv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were not significant while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s and universities were identified to be significant. In the present study, overall vocational motives of general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not students of certain departments, were empirically analyzed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verifi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in detail with a view to presenting the direction of career guidance.

      • KCI등재

        여행자 피해예방을 위한 에스크로 서비스 도입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정승호(Seung Ho Chung),한의진(Eui Jin Han) 한국관광연구학회 2013 관광연구저널 Vol.27 No.3

        The study aims to propose adoption of an escrow service into tour packages in order to protect customers from financial losses caused by travel related accidents increasing every year such as fraud, breach of a contract and cancellation of a contract, by altering and applying the e -commerce escrow service being implemented in the real estate brokerage system in the U.S., and the internet home -shopping in Korea. The escrow service follows the same procedure as common e -commerce transactions except for the fact that payments are made through escrow service providers. Since the transaction in e -commerce lacks credibility between transaction parties, they resolve the issue through reliability of escrow service providers. Thus, this study proposes the escrow service as a countermeasure against damages caused by small sized travel agencies emerging indiscriminately and a preventive measure to reduce costs spent and processes in handling remedy for post -accident damages. It also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existing system in order to protect consumers from travel damages, to secure reliability in tour packages and to reduce the damage of travel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