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결합 비트(Combined Bit) 데이터 타입 제안 및 설계

        이정준(Jeong-Joon Lee),한윤희(YunHee Han)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C

        네비게이션 시스템, PDA, DMB단말기, 휴대폰 등과 같이 모바일 단말기가 보편화 되면서 이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는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는 달리 공간적인 소형화와 에너지 소비량을 최소화 해야 한다. 본 논문은 두 가지에 중점을 두어 결합 비트(combined bit)데이터 타입을 제안하고 구현방법을 제시했다. 결합 비트를 사용함으로써 저장공간의 절약, 검색 속도 향상, 구성비트 복합 검색의 효율적 지원, 결합 비트의 도입으로 질의의 편리성의 이점이 있다.

      • KCI등재

        네르발의 『동방 여행』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 연구

        김미연 ( Miyun Kim ),한윤희 ( Yunhee Ha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3 No.3

        19세기, 동양은 더 이상 꿈속에서나 나올법한 경험을 바탕으로 묘사하고, 제시해야 하는 현실의 탐험 지역이 아니었다. 사람들은 19세기의 동양여행기나 동양에 대한 묘사 속에서, 앞서 만들어진 문화적 타자에 관한 담론을 발견하고 있었다. 동양이라는 타자에 대한 묘사는 이처럼 제국주의자들에 의한 차별적 관점에서 타자를 바라보는 이데올로기적 구조에 의해 불명확해졌다. 실제로, 동양 여행기들은 제국주의자들이 행하는 담론에 따라 인상, 성격, 풍습, 인종, 신앙같은, 매우 기이한 동양에 대한 묘사와 언급으로 단순한 관심 혹은 해석학적 관심을 차례로 나타내며, 다소 공들여 만들어진 총체의 작용소들로서 기능하는 것들에 대해 이야기 한다. 오리엔탈리즘의 저자 에드워드 사이드는 서양 제국주의라는 커다란 흐름에 편승하며 낙인찍는 용어들로 동양에 대해 이야기하는 19세기 모든 작가들을 비난한다. 그는 특히 네르발과 그의 작품을 여기에 인용한다. 모두가 네르발을 광인으로 취급할 때, 네르발은 사람들에게 자신의 정신건강을 증명하고자 동양으로 떠났다. 네르발은 지식인이자 주변인이었고 또한 휴머니스트였다. 그는 동양을 동양 그 자체로, 그의 체험을 통해 보고 싶어 했고, 또 그렇게 동양을 직접 체험했다. 그는 타자인 동양을 편견으로 대하는 사람들을 비판하였다. 동양은 모든 신앙의 기원이었고, 그에게 문학적 영감을 주었던 시인의 출신지였다. 작가이자 여행자였던 네르발은, 판단하기 이전에 타인의 신념, 신앙 나아가 미신까지도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정신적 태도를 배우게 된다. 그 메시지는 네르발보다 앞서 동양을 알았던 샤토브리앙이나 라마르틴의 그것과는 꽤 동떨어진 것이었다. 그의 동양 체류 동안, 그는 현실과 꿈을 혼동하기도 했으나, 그는 곧 사람들에게서 동양의 현실을 깨닫게 된다. 그의 작품 속에서 네르발은 동양의 삶, 풍습, 다양한 종교 그리고 특히 동양의 관용이라는 교훈에 대해 묘사한다. 네르발은 제국주의 오리엔탈리스트가 아니라 동양애호가였다. 우리는 에드워드 사이드가 생각하는 오리엔탈리즘을 완전히 반박하는 그의 동양관을 증명할 수 있다. 네르발에게 동양으로 가는 길은, 자신의 출생지의 문화적 정체성을 찾기 위함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의 정체성을 밝히기 위함이기도 했다. 그리고 동양 국가들의 상생이라는 관점으로 쓴 그의 동양 여행기 속에서 작가의 평화주의적인 정신은 분명하게 드러난다. 네르발은 동양인들과 더불어 동양에서, 진정한 동양적인 삶을 체험하고 싶었다. 그리고 그는 동양인의 생각을 이해하려 했고, 긍정적으로 그것을 받아들이려 노력했다. 우리시대는 세계의 평화를 위해 관용과 이해심이 필요하다. 에드워드 사이드와 네르발 모두 그것을 이해했고 실천하길 원했다. 그들의 세계시민주의적인 노력은 우리를 되돌아보게 한다. 네르발은 견자였다. 실제로 그는 미래를 예견하며 그의 시대에 이미 충분히 경험하였다. 그가 펼쳐 보일 수 있던 바로 그러한 관점 안에서, 우리는 네르발이라는 작가의 위대함과 현대성을 엿볼 수 있다. Au XIXe siecle, l``Orient n``est plus tant une region a explorer qu``une realite a decrire, a presenter a travers les filtres d``une experience revee et accomplie. On retrouve dans les recits de voyages en Orient et plus largement dans la representation de l``Orient au XIXe siecle un discours sur l``Autre culturel qui est preconstruit. La representation de l``Autre oriental va ainsi etre obliteree par le mecanisme ideologique de l``Autre dans une perspective de discrimination par les imperialistes. En effet, les recits de voyages en Orient parlent, selon le registre de discours qu``ils pratiquent, d``impressions, de caracteres, de mœurs, de races, de croyances tous termes qui fonctionnent comme des operateurs de synthese plus ou moins elabores, manifestant tour a tour une preoccupation hermeneutique ou le simple souci de l``evocation, de la description de cet Orient si singulier. L``auteur de l``Orientalisme, E. W. Said a reproche a tous les auteurs du XIXe qui ont parle de l``Orient avec des termes stigmatisant qui participaient sur la grande vague imperialiste de l``Occident. Il y cite tout particulierement Nerval et son œuvre. Quand tout le monde prenait Nerval pour un fou, celui-ci est parti vers l``Orient pour prouver sa sante mentale au public. Nerval est un intellectuel, un marginal et aussi un humaniste. Il a critique les gens qui considerent avec preoccupation l``Autre, l``Orient. Il a vu et voulu decouvrir l``Orient par lui-meme, en faire sa propre experience. L``Orient est senti comme le lieu d``origine de toutes les croyances et du poete qu``il est s``en est inspire pour ecrire ses œuvres. Le voyageur-ecrivain a appris a comprendre avant de juger, a se mettre dans les dispositions d``esprit permettant d``accepter la foi des autres, les croyances, voire les superstitions. Le message est assez eloigne de celui de Chateaubriand ou de Lamatine qui ont precede le poete dans ces lointaines contrees. En passant sa vie en Orient, il a confondu son reve avec la realite. Cependant il realise bientot la realite de l``Orient qui voit en personnes. Dans son œuvre, Gerard de Nerval decrit la vie, les mœurs orientales, les religions diverses et surtout la lecon de tolerance de l``Orient. Nerval n``etait pas un orientaliste imperialiste mais un orientophile. On peut approuver ses ideologies orientalistes tout en niant son orientalisme, comme le pense E. W. Said. La route pour l``Orient, vers l``origine pour Nerval, en quete d``une identite culturelle de sa patrie occidentale, c``est egalement pour retablir son identite personnelle. Et l``esprit pacifiste de l``auteur intervient certainement dans son interpretation faite sous la vue d``une cohabitation globale des pays orientaux. Nerval a voulu experimenter la vraie vie orientale en Orient avec des orientaux. Et il a essaye de comprendre leur pensee et de l``accepter positivement. Notre epoque a besoin de tolerance et de comprehension afin d``etablir la paix dans le monde. E. W. Said et Nerval les ont compris et voulaient agir. Leurs efforts cosmopolites nous font reflechir. Nerval est un visionnaire. En effet, il a vecu pleinement dans son epoque tout en devinant le futur. C``est dans les points de vue qu``il a su developper que l``on peut apprehender la grandeur et la modernite de cet ecrivain.

      • KCI등재

        괄사요법의 국내외 최신 임상 연구 동향: 주제범위 문헌고찰

        정승원 ( Seungwon Jung ),최승관 ( Seungkwan Choi ),조정호 ( Jungho Jo ),한윤희 ( Yunhee Han ),우현준 ( Hyeonjun Woo ),전병현 ( Byeonghyeon Jeon ),하원배 ( Wonbae Ha ),이정한 ( Junghan Lee ) 한방재활의학과학회 2024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34 No.1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rece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clinical research trends in Gua sha therapy to suggest future direction for research. Methods We used six domestic and international database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to select clinical studies with an original text in English or Korean published after 2018. Results Finally, 55 studies were select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ccounted for the largest amount with 42 studies. Instrument assisted soft tissue mobilization was the most frequent term referring to Gua sha. Muscle shortening, limited range of motion, and plantar fasciitis were the most common symptoms, with six cases each. Additionally, there were two studies targeting symptoms other than the musculoskeletal system. Conclusions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on the effects of Gua sha therapy on the back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hip joints, and research is needed on the possibility of their clinical use for diseases or symptoms other than those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And standards for the terminology of Gua sha and the types and methods of applied interventions are needed. (J Korean Med Rehabil 2024;34(1):23-3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