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IS 기반 브랜드 점포의 지역성 연구 - Aesop의 입지특성 및 공간 디자인을 중심으로 -

        한유진,송지현 한국콘텐츠학회 202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5

        현대 글로벌 시장에서 브랜드 현지화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점포 공간 디자인에도 지역성을 반영하는 것이 필요해졌다. 이에 본 연구는 브랜드 점포의 입지특성 및 공간 디자인을 지역성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브랜드 현지화 전략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 대상으로는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현지화 전략을 취하고 있는 브랜드 Aesop의 런던 내 22곳의 시그니처 스토어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성을 사회·문화적, 역사적, 환경적 차원으로 세분화하여 각 차원에서 점포 공간 디자인에 적용된 지역성 표현 요소를 분석하였다. 또한, 공간정보를 바탕으로 GIS를 활용하여 점포의 입지적 특성을 분석하고 공간 디자인과의 연계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지역성은 주로 사회·문화적 및 역사적 차원에서 반영되었으며 환경적 차원에서는 활용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매장 공간을 구성하는 구조적 요소와 오브젝트의 재료 및 색상, 형태 등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되었다. 입지특성 또한 환경적 차원 대비 사회·문화적 차원과 역사적 차원이 강조되며, 이는 공간 디자인과 연계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s the importance of brand localization has emphasized in the global market, it has also become necessary to reflect locality in store design.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esign of brand stores in terms of the locality, with a specific focus on Aesop's 22 signature stores in London—a brand that has effectively implemented a localization strategy on the global stage. The research approach involves subdividing locality into sociocultural, historical, and environmental dimensions to comprehensively assess the spatial design elements that communicate and embody the essence of the locality. G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tores,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spatial design.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at the expression of locality is predominantly evident at the sociocultural and historical levels, with limited manifestation at the environmental dimension.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locality is mostly achieved through the structural and objective elements of the stores. Furthermore, the analysis highlights that locational characteristics place a stronger emphasis on the sociocultural and historical dimensions, establishing a meaningful connection with the spatial design, while the environmental dimension exhibits a more constrained influence.

      • KCI등재

        유아 마음이론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유진,김경철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ory of Mind Measures for Young Children that can measure children's development of theory of mind. The validation of the measurement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literature review, development of preliminary items, preliminary study, development of draft proposal, main study, validation,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content aspect, knowledge and real-appearance understanding item were judged to be unfit items among the 11 questions, and so a final version of the scale included only 9 items. Secon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substantive aspect, the person-item map showed relatively even normal distribution. Thir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structural aspect, the unidimensionality of the final draft was verified, and the items in the scale were found to be suitable for item characteristic curve. Forth,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generalizability aspect, none of the 9 items functioned differently by gender. Fifth, as a result of the reliability, the final draft was verified to be a reliable tool in which the items have equal amount of difficulty in answering the questions and well defined the difference between each item within the measurement tool. In conclusion, the final version of Theory of Mind Measures for Young Children was confirmed as a valid and reliable tool that consists of 9 items, including 3 initial theory of mind, 3 representational theory of mind, and 3 practical theory of mind. 이 연구는 유아의 마음이론 발달 양상을 측정할 수 있는 유아 마음이론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아 마음이론 검사 도구의 타당화는 문헌 고찰, 예비문항 개발, 예비 검사, 검사도구 시안 개발, 본검사, 자료수집, 1차 타당도 검증, 2차 타당도 검증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마음이론 검사 도구 시안의 내용에 기초한 타당도 검증 결과, 11개 문항 중 지식 이해 문항과 외양-실제 이해 문항이 부적합 문항으로 판단되어, 두 문항을 제외한 최종 9개 문항을 유아 마음이론 검사 도구 최종안으로 확정하였다. 둘째, 실제에 기초한 타당도 검증 결과, 피험자의 수준과 문항의 수준이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는 정규분포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내적구조에 기초한 타당도 검증 결과, 유아 마음이론 검사 도구 문항들의 일차원성이 검증되었으며, 검사 도구의 문항들이 문항반응곡선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일반화에 기초한 타당도 검증 결과, 모든 문항이 성별 집단에 따라 차별적으로 기능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아 마음이론 검사 도구는 각 문항의 난이도가 동일하게 재현되고, 측정 도구 내에서 각 문항의 차이를 잘 정의하고 있는 신뢰로운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결과적으로, 유아 마음이론 검사 도구 최종안은 개발과 타당화의 여러 과정을 거치면서 최종적으로 초기 마음이론 3문항, 표상적 마음이론 3문항, 실용적 마음이론 3문항, 총 9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검사 도구로 확정되었다.

      • KCI등재

        문화산업에서 기업가정신의 발현과 마켓리더십

        한유진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

        The culture industry has been considered very important as firms utilize human creativity as the main source for providing high-value-added services. In this industry, the inspirations and ideas of individual creators have been stressed rather than the roles of entrepreneurs so far. However, in recent years, due to the influence of “Hallyu” or the Korean Wave, entrepreneurial firms have actively participated in producing a variety of products embracing cultural value. In this vein, the entrepreneurship-related elements such as the degree of leaders’ innovativeness, risk-taking environment, first mover advantage, employee compensation, and tolerance to failure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ir effects on market leadership. As a result, it was observed that risk-taking environment, first mover advantage, employee compensation, and tolerance to failure had a positive effect whereas leaders’ innovativeness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creation of an atmosphere where employees’ creativity can be fully appreciated is more important than the leader’ insight-driven innovativ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when companies formulate strategies and the government initiate policies in the culture industry, entrepreneurship should be incorporated as a crucial element. 문화산업은 인간의 창작성을 활용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분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문화산업에서는 기업가의 역할보다는 개인 창작자의 영감과 아이디어 등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 왔다. 하지만 최근 “한류(韓流)” 등의 영향으로 인해 문화산업에서 기업가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리더의 혁신지향성, 위험감수성, 선발자우위, 종업원에 대한 보상, 재도전용이성이 마켓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위험감수성, 선발자우위, 종업원에 대한 보상, 재도전용이성의 경우에는 모두 마켓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리더의 혁신 지향성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못하였다. 이는 문화산업에서 마켓리더십을 가지기 위해서는 리더의 직관보다 구성원들의 창의성이 발휘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더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문화산업에 속하는 기업들이 전략을 수립하거나 정부에서 정책을 결정할 때, 기업가정신이 강조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에 관한 연구 고찰

        한유진 나사렛대학교출판사 2004 지성과 창조 Vol.- No.7

        이야기 구성능력은 언어능력과 인지능력의 조화를 요구하는 활동이며, 유아의 이후 적응 및 발달을 예측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는 점에서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에 대한 연구자의 관심이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에 관한 선행 연구를 이야기 구성능력의 발달특성 규명 연구와 이야기 구성능력과 관련된 변인을 탐색한 연구로 구분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고 선행연구의 비판적 고찰을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천연물 신약 특허 동향 분석

        한유진,박선주,Han, Yoo-Jin,Park, Sunju 대한예방한의학회 2016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20 No.2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patents in Korea on natural products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developing and applying herbal medicinal products by in-depth analyses. Methods : Combinations of words, such as "A61K" or "A61P", "herb" or "Korean medicinal herb" or "Korean medicine" or "traditional" or "natural" or "$botanic^*$" or "China", and "medicine" or "treatment" or "prevention" or "improvement", were used to search patents in the World Intellectual Property Service (WIPS) database. Three methods were applied to analyze natural products patents. First, the number of patent registrations was sorted by year. Second, the assignees were analyzed by count and country of origin. Finally, cluster map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frequently emerging words in natural products and the relationship amongst those words to treat corresponding diseases/technologies. Results :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total number of patents had been increasing. Among the patents, 76.4% were registered by domestic institutes/companies, and 23.6% by foreign institutes/companies. Second, USA, Japan, and China possess a considerable number of Korean patents and, therefore, domestic institutes/companies can seek joint technological development opportunities with their counterparts from those countries in the future. Finally, a total of four clusters were identified by cluster map analysis. Each of the clusters includes natural products related to diseases involving skin, aging, and blood sugar, as well as adult diseases. Conclusions : In this study, natural products patents registered in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were analyzed. The analyses results showed the kinds of natural products that had been employed for the treatment of certain diseases. However, natural products included in existing patents were minimal given that 4,174 species of indigenous plants are found in Korea. Thus, Korean institutes/companies should utilize unexplored plants to develop more value-added drugs.

      • KCI등재

        <남성 상사뱀> 설화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성적 폭력의 특성과 그 의미 -상사뱀의 퇴치 (불)가능성을 중심으로-

        한유진 한국문학치료학회 2022 문학치료연구 Vol.64 No.-

        This paper analyzes the violence inherent in the Male Sangsa Snake tale published in the “Korea Oral Literature Genesis” through the narrative method of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to determine how it is narrated differently by the male and female narrators. The perception of the transmission group according to gender was examined, and the narrative violence was analyzed from the two dimensions of “acceptance of male gender superiority” and “female sexuality as possession and domination.” First, the narrative violence accepted as “male gender superiority” can be found in the recognition that “naturalizes men’s sexual desire” and assumes that “the subject of women’s sexual rights is men.” In the narrative, “female sexuality as an object of possession and domination” appears in the form of a recognition of women’s sexuality as an “object to satisfy men’s sexual desires” and “utilizing them as a means to achieve men’s desires.” The male and female narrators describe these narratives differently, demonstrating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sexual violence betweenthe male and female speakers. The male narrator focuses on the feelings of the male character and highlightsthe story of “accepting the violent behavior” or “covering it up with affection.” In contrast, the female narrators reveal a critical view of male desire accepted as gender superiority and female sexuality that is sexually objectified by telling the story of “rescuing and protecting female characters” in a situation of violence by “exterminating the Sangsa snake.” 본고는 한국구비문학대계 에 실려 있는 <남성 상사뱀>을 대상으로 ‘여성에 대한 성적 폭력’이 서사화되는 방식을 통해 이야기 안에 내재된 폭력성을 분석하고 이를 남녀 화자들이 어떻게 다르게 구연하는지를 읽어봄으로써 젠더에 따른 전승집단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이 유형에 내재된 서사적 폭력성은 ‘남성의 젠더 우위성 수용’과 ‘소유와 지배 대상으로서의 여성 섹슈얼리티’ 두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남성의 젠더 우위성’으로 수용되는 서사적 폭력성은 ‘남성의 성적 욕망을 자연화’하고 ‘여성의 성적 권리 주체를 남성’으로 전제하는 인식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한편 서사에서 ‘소유와 지배 대상으로서의 여성 섹슈얼리티’는 여성의 성을 ‘남성의 성적 욕망 충족의 대상’으로 보는 인식과 ‘남성의 욕망 성취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는 차원으로 나타났다. 남녀 화자는 이들 서사를 다르게 구연함으로써 성적 폭력에 대한 인식 차이를 보여주었다. 남성화자는 남성인물의 감정에 초점을 두며 상사뱀의 ‘폭력적 행위를 묵인’하거나 ‘애정으로 은폐’하는 구연을 보여주었다. 반면 여성화자는 ‘상사뱀을 퇴치’하여 폭력의 상황에서 ‘여성인물을 구제하고 보호’하는 구연을 함으로써 젠더 우위성으로 수용되는 남성 욕망과 성적으로 대상화되는 여성 섹슈얼리티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인식을 드러냈다.

      • KCI등재

        민주화보상법상 재판상 화해 간주 조항의 위헌성에 대한 소고(小考) - 헌법재판소 2018. 8. 30. 선고 2014헌바180 등 결정을 중심으로 -

        한유진 연세법학회 2022 연세법학 Vol.39 No.-

        In some cases of provision of the law, the same effect as a final judgment by a judge would be recognized in the conclusion of a dispute procedure stipulated by the law, even though it is not a judgment rendered by a judge in a court. Article 18 (2) of the Act on the honor restoration of and compensation to persons related to democratization movements is an example of such a legal provision. However, there has been a long debate over whether or not it is unconstitutional to grant final formidable powers such as validity of fixed judicial decisions to non-judgment decisions. The main criticism was that such content may infringe on the right to a trial under judges as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and the Act as stipulated in Article 27 of the Constitu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already given its own answers to the doubts on constitutionality raised above in the precedents of several laws that have similar provisions to the Act on the honor restoration of and compensation to persons related to democratization movements. However, there were some flaws in the criteria for judging unconstitutionality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had revealed before the decision on the subject of case commentary (2014Hun-Ba180 and 38 other cases (consolidated), August 30, 2018). The biggest problem is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judged whether the right to request a trial was infringing only by focusing on procedural attributes such as whether the dispute procedure had neutrality and independence and whether had fairness and prudence comparable to judicial procedures. In other words,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overlooked the problem of the fact that it blocks the people's opportunity for remedy for their right by granting a powerful, virtually irreversible effect to something that is not a trial by a judge. The judgmen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n the decision on the subject of case commentary may not be flawless, but it seems to have a much yet progressed attitude than the prior judgmen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n the decision on the subject of case commentary, the criteria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proposed in the precedents were preserved and applied, and the infringement of Right to request a trial was denied. Unlike the precedents, however, by reviewing a basic rights infringement on Right to claim national compensation separate from Right to request a trial, the substantive unconstitionality included in the object provisions to adjudication were partly assessed.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decision constitutionally by focusing on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such decision on the subject of case commentary. 재판상 화해(裁判上 和解)란, 다툼이 있는 당사자들이 법관 앞에서 소송물인 권리관계에 관한 주장을 서로 양보하여 분쟁을 해결하는 것을 말한다. 재판상 화해에 대하여는 현행 법제 상 무제한의 기판력이 인정된다. 그런데 재판상 화해가 아님에도 재판상 화해의 효력을 법률에 의하여 인정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는 법원의 조정절차 등에 기한 경우도 있지만, 법원이 아닌 행정부 산하 또는 민간의 심의기구에 의한 조정 또는 결정 등에 재판상 화해와 같은 효력을 부여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민주화보상법 제18조 제2항이 보상금위원회의 보상금 등 지급결정에 동의한 때 재판상 화해의 성립을 간주하는 것도 ‘법원 밖의 절차’에서 재판상 화해의 효력을 인정한 예다. 재판상 화해 성립을 간주하는 조항(이른바 ‘재판상 화해 간주 조항’)들에 대하여는 헌법적으로 상당한 의문이 제기돼왔다. 재판상 화해의 성립을 간주함으로써 법관이 내린 확정판결이 아닌 것에 기판력과 같이 강력하고 최종적인 효력을 부여하는데 대한 의구는, 특히나 법원 밖에서 이루어진 절차에서 더욱 컸다. 행정부 산하 또는 민간의 심의기구에서 정해진 내용에 대하여, 법원의 확정판결과 동등한 효력을 인정하는 것은 헌법과 법률이 정한 ‘법관에 의한’ 재판받을 권리의 침해에 대한 우려를 직관적으로 야기한다. 더욱이 민주화보상법의 재판상 화해 간주 조항에 대하여는, 보상금 등 지급결정에 동의하였다는 이유만으로 국가의 불법행위에 관한 객관적·법률적 평가가 달라졌다고 볼 수 있는 경우 등에까지도 민주화운동과 관련된 국가의 불법행위에 대한 일체의 책임 추궁이 불가능하다고 봄이 실질적으로 타당한지 의문이 제기됐고, 이러한 문제의식에 바탕하여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대법원 2015. 1. 22, 2012다204365)이 있을 정도로 해석론상 갈등마저 존재하였던바 그 위헌성 시비가 더욱 거셌다. 평석대상결정은 민주화보상법 상 보상금위원회의 보상금 등 지급결정에 관해 동의가 있을 때 재판상 화해를 간주하는 심판대상조항에 관하여 일부 위헌결정을 내렸다. 헌법재판소가 재판상 화해 간주 조항의 위헌 여부에 관해 형성하여온 일응의 판단법리를 그대로 적용하여 재판청구권의 침해는 부인하되, 종래의 결정례들과 다르게 국가배상청구권의 침해여부를 과잉금지원칙에 기하여 심사하면서 (심판대상조항의 ‘민주화운동에 관련하여 입은 피해’ 중 불법행위로 인한 정신적 손해 부분를 따로 떼어 그에 대한) 국가배상청구권의 침해를 인정한 것이다. 재판상 화해 간주 조항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종래 결정례들은 재판청구권의 제한만을 쟁점으로 두고 ‘위원회 구성 및 제반 절차의 공정성’ 등 절차요소에 편중되어 위헌성을 판단하면서, ‘재판상 화해 간주의 효력 그 자체’ 및 ‘재판상 화해 간주 조항으로 인한 권리침해의 실체적 부정의’ 문제를 충분히 위헌심사에 반영하지 못했다. 평석대상결정은 비록 완전하진 않지만 이러한 문제를 다소나마 시정했다는데 헌법적 의의가 있다. 즉 헌법재판소는 평석대상결정에서 재판상 화해 간주 조항에 관한 기존의 위헌성 판단법리를 재판청구권에 관하여 유지하면서도, 재판청구권 외에 국가배상청구권의 제한을 인정하고 그제한의 위헌성을 보다 실체적 측면에서 분석하면서 종래 결정례들이 보인 심사의 불충분성 문제를 일부나마 해소했다. 요컨대 ...

      • KCI등재후보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유진,문현영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2015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Vol.10 No.1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an art therapy program, addressed in one of the undergraduate elective courses, on college students' adult attachment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art therapy program was developed to enhance stable attachment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college students. Specific goals for the art therapy program are as follows: participants experience 1) physical and emotional relaxation, 2) stability through close relationships, 3) emotional acceptance through various self-expressions, and 4)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ogram was examined by one play therapy expert and two art therapy experts. Each session consisted of the initial 30 minutes of psychoeducation and the rest 90 minutes of practice. Forty-six college students were provided with the art therapy program (experimental group) and 45 students were not provided with any treatment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total of 12 two-hour weekly art therapy session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rt therapy program positively influenced college students'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ies. Clin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the value of the art therapy approach as a preventive intervention for college students' healthy adult life was emphasized.

      • KCI등재

        Allergic Sensitization Pattern in the Korean Dermatologic Patients

        한유진,우유리,김혜성,이정덕,최숙희,유지숙,조상현 대한피부과학회 2022 Annals of Dermatology Vol.34 No.6

        Background: Avoiding causative allergens is important for controlling the clinical courseof allergic diseases. Allergen sensitization is inf luenced by many factors including the envi-ronment and lifestyle. The socioeconomic development, climate, and lifestyle changes haveincreased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worldwide. However, there is little informationabout changes in the trend of the common allergens over time. Objective: This study was aimed at identifying the trends of the common allergens in Koreaover a 10-year perio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ultiple allergosorbent test chemilumines-cent assay (MAST-CLA).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5,760 patients aged ≥18 yearswho visited the Dermatology Department at a tertiary hospital over a period of 10 years. Theserum total immunoglobulin (Ig) E and specific IgE levels to 41 allergens were determinedusing MAST-CLA, along with the clinical diagnosis, duration of illness, white blood cellcount and eosinophil percentage. Results: Dermatophagoides farinae,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 and house dust werethe most prevalent allergens during the 10 years period, but the percentage of higher classresponses has decreased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patients sensitized to house dust(p<0.001), dogs (p =0.005), and cats (p<0.001) increased while that of patients sensitized tocockroaches (p<0.001) and storage mites (p<0.001) decreased over time.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total number of sensitizing allergens over time. Conclusion: The common allergens have changed over tim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study, physicians and patients should consider changing their strategies for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