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를로-퐁티 철학에서의 암묵적 코기토 문제 - 암묵적 코기토의 자기인식을 중심으로

        한우섭 한국현상학회 2022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94 No.-

        Merleau-Ponty's philosophy is always underpinned by a belief in the source area of perception. To say that perception functions as a source area means that all components of the world are grasped from perceptual awareness and differentiated to the realm of existence and the realm of reflection. In this sense, Merleau-Ponty's philosophy can be seen as a philosophy of the origin of existence and a philosophy of continuity which includes the differentiation of the elements of the world. This composition is explained from the concept of “tacit cogito”. The tacit cogito is a unique subject concept that emphasizes bodily perception of the world rather than thought, and is explained as a perceptual subject and the ability to think. However, the tacit cogito is inevitably a contradictory concept. Because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tacit cogito must disappear for the “experience content of the world itself ” to be possible, and the existence of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tacit cogito means that the content of ‘experiencing the world itself’ is not already impossible. In Merleau-Ponty's philosophy, this contradiction must be resolved. Because the question of the legitimacy of the tacit cogito is itself linked to the legitimacy of the philosophy of Merleau-Ponty. If the tacit cogito is not justified, the phenomenon of language, that is to say the possibility of thinking, is not explained, in the same terms, if the tacit cogito cannot be explained, the argument of the differentiation and continuity from the perceptual to the cognitive dimension is not explained either.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question of the concept in order to ensure the legitimacy of the tacit cogito. To this end, we first reveal the double problem linked to the tacit corgito, then, in a second step, we consider what 'the corgito' means in the concept 'tacit cogito'. By this process, third, the originality of Merleau-Ponty's philosophy is affirmed by focusing on the points where the meaning of the tacit cogito can be more clearly confirmed. 메를로-퐁티의 철학은 언제나 지각이라는 근원 지대에 대한 신념을 바탕으로 지탱된다. 이때 지각이 근원 지대로 기능한다는 말은 세계의 구성 요소들이 모두 지각적 인식으로부터 파악되어 존재의 영역과 반성의 영역으로 분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의미에서 메를로-퐁티의 철학은 존재의 기원에 관한 철학이자 세계 요소들의 분화를 이해하는 연속성의 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도는 “암묵적 코기토(cogito tacite)”라는 개념에 기대어 설명된다. 메를로-퐁티에게 암묵적 코기토는 사유가 아닌 신체에 의한 세계 인식을 강조하는 독특한 주체 개념으로서, 지각적 주체이자 사유의 가능성으로 설명된다. 그런데 암묵적 코기토는 필연적으로 모순적인 개념일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세계의 체험 내용 그 자체’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암묵적 코기토의 ‘자기 인식’이 사라져야 하며, 암묵적 코기토의 ‘자기 인식’이 존재한다는 것은 ‘세계의 체험 내용 그 자체’가 이미 ‘그 자체’의 내용일 수 없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메를로-퐁티의 철학에서 이 모순성은 반드시 해결되어야만 한다. 왜냐하면 암묵적 코기토에 대한 정당성의 문제는 그 자체로 메를로-퐁티 철학의 정당성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암묵적 코기토의 존재가 그 정당성을 확보할 수 없다면, 암묵적 코기토에 기대어 설명되는 언어의 현상 또한 정합적으로 설명될 수 없으며, 언어의 현상이 정합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면 지각으로부터 사유의 영역으로의 연속성과 분화에 대한 주장이 완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 글은 암묵적 코기토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그 개념에 관한 문제를 구체화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첫째, 암묵적 코기토와 관련된 이중적 문제를 밝힌 후, 둘째, 암묵적 코기토의 코기토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고민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셋째, 암묵적 코기토의 의의를 보다 분명히 확인할 수 있는 지점들을 중심으로 메를로-퐁티 철학의 독창성을 주장한다.

      • KCI등재

        살 존재론의 ‘새로움’에 대한 재해석 :하이데거를 경유하여

        한우섭 한국동서철학회 2023 동서철학연구 Vol.- No.109

        메를로-퐁티의 철학은 시종일관 전통 철학의 이분법적 체계와 대결한다. 그의 『지각의 현상학』은 지각을 통해 드러나는 현상적 장의 애매성을 통해 모든 객관주의 철학에 대한 비판을 수행하며, 이러한 그의 시도는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에서 밝혀지는 살(chair)의 존재론적 시원성을 통해 존재론적으로 완결된다고 할 수 있다. 이때 그의 철학을 지지하는 핵심 키워드란 결국 주체와 세계의 선술어적 통일성이라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에게 살이란 이러한 통일성을 가능케하는 존재론적 동기가 된다. 살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이러한 존재론을 메를로-퐁티 자신은 ‘새로운 존재론(nouvelle ontologie)’이라고 칭한다. 그러나 살 존재론의 ‘새로움’은 단순히 근원적 통일성 그 자체에서 찾아져선 안된다. 현대 철학에서 제기되는 전통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의 키워드가 이미 존재의 근원성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존재론의 새로움은 그 근원에서 펼쳐지는 존재의 분화 운동에서 찾아질 때, 진정하게 ‘새로울’ 수 있다. 결국 메를로-퐁티의 살 존재론이 ‘새로운’ 존재론일 수 있기 위해서는 살 존재론과 전통 형이상학을 비판하는 현대 존재론의 분기를 확인해야 하며, 우리는 그 분기점을 하이데거와 메를로-퐁티의 존재론적 관점의 차이, 즉, 존재 분화의 찰나적 순간에 대한 기술로서 가역성을 강조하는 존재론적 관점에서 찾고자 한다. 경험이 발생하는 순간에 대한 기술인 이 존재의 운동이야 말로 메를로-퐁티적 의미에서의 존재 ‘발생’ 사건이며, 그의 존재론이 ‘새로운’ 존재론일 수 있는 미세지점임을 강조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Merleau-Ponty's philosophy is constantly confronted with the dichotomous system of traditional philosophy. His The Phenomenologie de la Perception criticizes all objectivist philosophies by the ambiguity of the phenomenological field revealed by perception, this attempt ends ontologically with the ontological primordiality of the flesh revealed in The Le visible et l’invisible. At that moment, the key word supporting his philosophy can be considered as the pre-verbal unity of the subject and the world, and therefore, for him, the flesh becomes an ontological motif that allows this unity. Merleau-Ponty himself qualifies this ontology of the flesh as a “new ontology”. However, the "newness" of the ontology of the flesh is not simply in the fundamental unity itself. This is because the critique of traditional metaphysics of contemporary philosophy is already in the clarification of the origin of being. Therefore, the novelty of the ontology of the flesh can be truly “new” when it is found in the movement of differentiation of beings that unfolds from its source. Ultimately, for Merleau-Ponty's ontology of flesh to be a "new" ontology, we must confirm the divergence between the ontology of flesh and contemporary ontology, and we define divergence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ontological perspectives of Heidegger and Merleau-Ponty, that is to say the differentiation of beings, we find it in the attitude of Merleau-Ponty who emphasizes reversibility as a description of the instantaneous instant. The movement of this existence, which is a description of the moment when the experience occurs, is the event "occurrence" of existence in the sense of Merleau-Ponty, and this is the reason why its ontology can be a “new” ontolog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