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 대사물질 팬텀을 이용한 뇌의 자기공명 온도측정법에 관한 기초 연구

        한용희,장무영,문치웅,Han, Yong-Hee,Jang, Moo-Young,Mun, Chi-Woong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10 의공학회지 Vol.31 No.5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chemical shift change of metabolite peaks in the brain-metabolite phantom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variation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NMR). The temperature range in NMR system was controled from 25 to 80 (5 step) by internal temperature controller. Temperature coefficients of each metabolite peaks were also calculated from the measured chemical shift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The chemical shift changes depending on temperature were validated by linear regression method for each metabolite peaks. The temperature coefficients of $_{tot}Cr$, Cho, Cr, NAA, and Lac were 0.0086, 0.0088, 0.0091, 0.0089, and 0.0088ppm/$^{\circ}C$, respectively. This study shows that chemical shift change of brain metabolite and temperature variation have linear relationship each other. This also makes authors believe that brain temperature measurement is possible using MR spectroscopic imaging technique.

      • KCI우수등재

        한국 조경수목 근원직경 측정의 합리적 위치 설정에 대한 연구

        한용희,김화정,김도균,Han, Yong-Hee,Kim, Hwa-Jeong,Kim, Do-Gyun 한국조경학회 2021 韓國造景學會誌 Vol.49 No.5

        본 연구는 한국 조경수목의 근원직경 측정의 모호성으로 생산자와 시공자 간의 검측 기준이 달라서 발생되는 분쟁을 줄일 수 있는 합리적인 근원직경 측정 위치 설정 방안에 대하여 실증 조사·분석하였다. 조경수목의 근원직경 측정 부위별 차이는 지하부 -6cm에서 표토부인 0cm까지는 3.59cm이었고, 지상부의 표토 0cm에서부터 6cm까지는 1.35cm로 근원직경의 측정위치별 차이는 지상부보다는 지하부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조경수목 근원직경의 표준편차의 크기는 지하부 -6cm에서 표토부인 0cm까지는 0.64이었고, 지상부의 표토 0cm에서부터 6cm까지의 표준편차 차이는 0.16으로 근원직경의 측정위치별 차이는 지상부보다는 지하부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조경수목 근원직경의 합리적 측정 위치 설정은 근원직경 측정 위치별 규격의 크기 변화 추세선에서 수간직경의 표준편차가 가장 적어지는 변곡점으로 설정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수종별 합리적인 측정 위치는 산딸나무 지상 18cm, 이팝나무 지상 12cm·느티나무 지상 12cm·팽나무 지상 12cm, 때죽나무 지상 10cm·산수유 지상 10cm, 단풍나무 지상 6cm·먼나무 지상 6cm, 가시나무 지상 4cm, 배롱나무 지상 2cm 이상으로 나타났다. 조경수목 근원직경 측정 부위별 차이가 공시수종 전체에서 표준편차가 작고, 편차의 기울기가 안정적인 합리적인 평균 측정위치는 지상부 평균 12cm 이상으로 나타났다. 조경수목 근원직경의 합리적인 측정위치 설정은 지상부 평균 12cm 이상에서부터라고 할 수 있으나 전통적인 관행상으로 익숙한 1자(尺) 30cm 인식이 빠르며, 측정자의 측정 위치의 편리성, 외국의 조경수목 측정기준에 대한 통일성 등 조경수목 근원직경의 합리적인 측정위치는 지표면 30cm 높이에서 측정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추천되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surement point of root collar diameter of landscape trees in Korea. It may contribute to avoiding disputes caused by the difference in measurement criteria of root collar diameter of landscape trees between tree growers and constructors. The difference between landscape trees' root collar diameter measurement point was 3.59cm from 6cm underground to the surface and 1.35cm from 0cm to 6cm above ground. The source root collar diameter measurement point difference was larger in the basement than in the grou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oot collar diameter of the landscape tree was 0.64 from 6cm underground to the surface, and the difference in standard deviation from 0cm to 6cm above ground was 0.16. The difference by measurement point of the root collar diameter was larger in the basement than in the ground. It has been proposed to set the reasonable measurement point of the landscaping tree root collar diameter at the inflection point where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tree trunk diameter is the smallest in line with the size change of the standard for each root collar diameter measurement point. By tree species, 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18cm above the ground, 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12cm above the ground, Zelkova serrata (Thunb.) Makino. 12cm above the ground, Celtis sinensis Pers. 12cm above the ground, Styrax japonicus Siebold & Zucc. 10 cm above the ground, 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10cm above the ground, Acer palmatum Thunb. ex Murray. 6cm above the ground, Ilex rotunda Thunb. 6cm above the ground, Quercus myrsmaefolia Blume. 4cm above the ground, Lagerstroemia indica L. 2cm above the ground The above heights were shown as reasonable measurement points. The difference by landscape tree root collar diameter measurement site showed that the standard deviation was small throughout the tree species, and the reasonable average measurement point with a stable slope of the deviation was 12cm or more on average. It can be said that the reasonable measurement point of the root collar diameter of a landscape tree is set at an average of 12cm above the ground. However, recognizing 30cm, which is a familiar ruler(尺) in traditional practices, is quick, It was recommended to measure at the height of 30cm from the surface for a reasonable measurement point of the root collar diameter of a landscape tree, for the uniformity of measurement standards.

      • KCI등재

        자동차 도장 공정의 셋업 감소 방법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분석

        한용희,Han, Yong-Hee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9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18 No.3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problem of reducing color change cost at painting operations in an automobile assembly plant. Changing control logic at conveyor junction points prior to the top coat line has been proposed and analyzed using the discrete event simulation model we developed using AutoMod. We also discussed the project which initiated this research as well as the details of painting operations. Simu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grouping ratio increases from 1.8 to 2.5 if the proposed control logic change is applied to the plant. Contrary to other approaches such as using dedicated equipment for resequencing, our approach has the merit of less investment cost, no need for additional space consumption. We finally note that the grouping ratio can be further increased if our algorithms is implemented as well as CRS (Color Rescheduling Storage) is installed.

      • KCI등재

        인라인 EFEM 클러스터 장비 아키텍처의 모델링 및 분석 사례 연구

        한용희,Han, Yong-Hee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12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반도체 제조공정 및 클러스터 장비에 대한 상세히 설명하고 현 팹 레이아웃 및 클러스터 장비 아키텍처상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 아키텍처상의 대안으로서 클러스터 장비간의 웨이퍼 이동이 상호 연결된 인라인 EFEM(Equipment Front End Module) 을 통해 이루어지는 ILE (In-Line EFEM) 아키텍처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해당 아키텍처를 실제 적용하여 구현된 파일럿 시스템을 시뮬레이션 을 통해 사이클 타임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In this study we first explain details of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es and cluster tools. Then we discuss the problems in current fab layout and cluster tool architecture. As a solution to these problems, we propose the ILE (In-Line EFEM) architecture in which wafer movements are conducted through interconnected EFEMs (Equipment Front End Modules) instead of AMHS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Then we model the pilot ILE system using discrete event simulation and analyze the cycle time. Finally we compare three different scenarios of equipment layout in the ILE system in terms of cycle tim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예비 가맹점주 관점에서의 치킨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효율성 분석

        한용희(Yong-Hee Han) 한국생산관리학회 2016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치킨 프랜차이즈 가맹점주의 초기투자비용 대비 효율성을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분석을 이용하 여 단일 지표인 효율성으로 표현함으로써 예비 치킨 프랜차이즈 가맹점주의 가맹 관련 의사 결정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DEA 기반 효율성 평가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실제 분석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최종 변 수 결정에 후방접근법 및 프로파일링 기법에 기반을 둔 부분 효율성의 상관관계 분석을 적용하였으며, 100개 이상의 가 맹점을 가진 47개 치킨 프랜차이즈 가맹본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BCC 모형 기준 초효 율성 순위는 교촌치킨, BBQ, 페리카나, 굽네치킨, 또래오래, 맘스터치, 장모님치킨, 깐부치킨, 멕시카나, 치킨678 순이 며 CCR 모형에서는 이중 페리카나, 굽네치킨, 또래오래, 맘스터치, 멕시카나만이 효율적이다. 둘째, 치킨 프랜차이즈 가 맹본부 비효율의 주된 원인이 순수 기술 비효율이다. 셋째, 규모의 경제 분석 결과, 최적 규모, 규모 수익 증가 상태, 규 모 수익 감소 상태에서 운영중인 가맹본부는 각각 5, 11, 29개이다. 넷째, 초기투자비용, 임직원 수, 가맹점별 연평균 매출액, 프랜차이징 업력 순으로 가맹본부의 효율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가맹점별 연평균 매출액은 임직원 수가 많고 계 약 유지율이 높으며 가맹본부의 가맹점 수가 적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예비 가맹점주의 창업시 이를 감안 한 가맹본부 선정이 필요하다 This paper uses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franchising decisions made by future chicken franchisees. For this purpose, Wagner’s stepwise variable selection method and Tofallis' profiling method have been used to select the final input and output variables for the DEA model. The final input variable is initial investment while the final output variables are annual average sales amount, promotion budget, number of franchisee stores, number of new member stores, net profit, number of employees, brand age, and total amount of capital. We analyzed 45 chicken franchisers having more than 100 stores in Korea and ou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technical efficiency (TE) of the CCR model, 5 franchisers were efficient, while 11 franchisers were efficient based on the pure technical efficiency (PTE) of the BCC model. Second, PTE caused huge fluctuations among the efficiency scores of chicken franchisers. Third, 5 franchisers were under consistant returns to scale while 11 franchisers were under increasing returns to scale (the other 29 franchisers were under decreasing returns to scale). This means that in order to increase efficiency, the 29 franchisers with decreasing returns to scale need to improve their management efficiency and reduce initial investment amounts rather than increasing their intial investment amounts, which is more likely to result in a lower efficiency sc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