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교사” 개념의 수용과 변천에 관한 개념사적 고찰

        한용진 ( Yongjin Hahn ),김자중 ( Jajoong Kim ) 한국교육사학회 2015 한국교육사학 Vol.37 No.3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가르치는 사람’을 의미하는 ‘교사(敎師)’라는 개념이 근대 시기에 어떻게 수용되고 변천하였는가를 개념사라는 역사연구방법론을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사 개념은 시대에 따라 달라지고 있는데, 제II장에서는 전통시대에 ‘교(敎)’와 ‘사(師)’, 그리고 ‘교사’의의미를 점검해 보고, 제III장에서는 근대에 들어오며 ‘교사’라는 용어의 실제적 쓰임과 관련하여 개념적 수용과 변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임진왜란 이후 등장한 ‘교사’ 개념은 주로 외국인 군사 교관을 지칭하였다. 둘째, 훈련도감에 교사대(敎師隊)가 설치된 1598년 이후에는 내국인도 군사 조련을 담당하는 ‘교사’로 불리지만, 그 사회적 지위는 그다지 높지 않았다. 셋째, 근대 시기에 들어와 교사 개념은 군사 교관 이외에도 선교사를 교사라고 호칭한 것을 비롯하여 외국어학교 교사, 전선(電線) 교사, 의학교 교사 등 다양한 전문 기술을 가르치는 외국인을 지칭하게 된다. 넷째, 갑오개혁 이후 군사 분야에서는 내국인도 교사로 불렸지만, 대부분의 근대 학교에서는 한국인은 교육법령에 의거하여 ‘교관’과 ‘교원’로 불리고, ‘교사’는 여전히 외국인을 지칭하였다. 다섯째, 1900년 이후 ‘교사’ 개념은 법률적 용어와는 별도로 교육을 담당하는 사람의 통칭으로 학부 및 언론, 교육학 교재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ceptance and change of the concept of ‘Kyo-Sah(敎師)’ as a conceptual history in modern Korea. The meaning of ‘Kyo-Sah’ has changed according to time peri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Kyo-Sah’, which was used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as generally designed as a ‘foreign military trainer’. Second, after founding the Kyo-Sah-Dae(敎師隊) in Military Camp that defended the capital city, the Korean military trainers were also called ‘Kyo-Sah’ since 1598, but their social status is not high enough. Third, the concept of ‘Kyo-Sah’ includes not only a foreign military trainer but also a foreign language teacher, telegraphy cable teacher, medical professor and missionaries in modern times. Fourth, Korean military trainers were called ‘Kyo-Sah’ after the Gabo Reform, but the Korean modern schools`` teachers are called ‘Kyo-Kwan(敎官)’ and ‘Kyo-Won(敎員)’ instead of Kyo-Sah for foreign teachers by Education Act. Fifth, ‘Kyo-Sah’ was used as general word for teachers regardless of educational regulation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the media and in textbooks of education since 1900.

      • KCI등재

        근대 `학교` 개념의 수용에 관한 개념사적 고찰 - 대한제국기 중학교 개념을 중심으로 -

        한용진 ( Hahn Yongjin ),조문숙 ( Jo Moonsook ) 한국교육사학회 2017 한국교육사학 Vol.3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서구적 `학교` 개념의 수용과 관련하여 대한제국기 중학교 개념을 고찰해 보는 것이다. 역사연구방법론의 하나인 코젤렉(Reinhart Koselleck)의 개념사는 특정 용어가 시대적 현실을 반영하며, 동시에 현실을 변화시키는 요소라고 본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시대의 숙상서학의 전통에 비추어 보면, 중학교는 세 번째 단계의 학교에 해당한다. 둘째, 1894년 6월의 갑오개혁으로 `중학교`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할 때까지 우리나라에서 근대적 교육기관의 명칭은 `학교`보다는 `학당`이 일반적이었다. 셋째 대한제국의 중학교는 17세에서 25세가 입학하는 학교로 13세에 졸업하는 소학교와 직접 연결되지는 않았다. 또한 대한제국의 중학교는 심상과와 고등과를 포함하는 7년제 중등학교로, 일본의 5년제 중학교 및 청의 4년제 중학당과도 구분되었다. 넷째, 대한제국의 중학교는 아직 대학이 설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대학보다는 실업과 관료로 나가는 종국(終局) 교육적 성격으로 이는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일본의 중학교와는 구별된다. 다섯째, 통감부기인 1906년 관립 중학교는「고등학교령」에 의해 고등소학교 수준의 고등학교로 대치되었고, 고종과 학부의 독려로 1905년에는 이미 사립 중학교가 생겨나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middle school of the Great Korean Empire(hereafter, MS-GKE) related with the adoption of the western school system. The conceptual history, proposed by R. Koselleck, is one of the historical research method which regards a certain word that is a mirror of the reality of the era and a factor to change it as wel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school system, the MS-GKE is the third grade school of Suk-Sang-Seo-Hak(塾庠序學). Secondly, the Hak-dang is the general name of modern school in Korea until middle of 1890`s instead of Hak-kyo. Thirdly, the requirement for MS-GKE admission is 17 to 25 years old, so it is not connected with the elementary school graduate of 13 years old. MS-GKE is a 7-year course, containing both 4-year ordinary course and 3-year higher course, in contrast to the 5-year middle school in Japan and 4-year course in China. Fourthly, the MS-GKE is for students who want to be a government official because there are no such universities in Korea. It differs from the Japanese middle school which is only for the college-preparatory course. Fifthly, the MS-GKE was closed and substituted by high school, a higher elementary level in 1906 under the Japanese Resident-General Office. At the same time, the private middle school replaced the MS-GKE under the encouragement of Emperor Kojong and Ministry of Education.

      • KCI등재

        문명사적 전환기의 전인교육 개념 재고

        한용진 ( Yongjin Hahn ),신현정 ( Hyunjung Shi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문명사적 전환기에 지향해야 할 교육의 기본 방향으로 전인교육 개념을 재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문명사적 전환기의 교육패러다임에 요구되는 교육적 인간상을 도출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전인교육의 개념 유형화 작업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문명사적 전환기인 4차산업혁명시대에는 교육 패러다임 역시 기계론적 패러다임에서 홀리스틱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예상된다. 둘째, 이러한 전환시대의 교육적 인간상은 핵심역량을 기르는 맞춤형 인재상보다 시공을 초월하여 적응할 수 있는 ‘전인’의 인간상이다. 셋째, 보편적 인간상으로 제시되는 전인교육은 교육과정적 전인성과 인성계발적 전인성, 그리고 정신적 신성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결국 ‘오래된 미래교육’의 관점에서 보면 전인교육 개념은 새로운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과거에 이미 존재했던 전인교육 개념들을 오늘날 얼마나 의미 있게 되살릴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concept of whole person education as the basic direction of education that should be aimed at the transition period of civilization history. To this en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y deriving the educational human image required for the educational paradigm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civilization, and attempting to typify the concept of whole person education to realize it. Firs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eriod, the transition period of civilization history, the educational paradigm is also expected to change from the mechanistic paradigm to the holistic paradigm. Second, the educational human image in this transitional period is a human image of the ‘whole person’ that can adapt beyond space and time rather than a customized human resource that develops core competencies. Third, whole person education presented as a universal human image can be divided into wholeness of curriculum, wholeness of personal character, and spiritual holiness. In the end, in terms of ‘old future education’, the concept of whole person education is not new. Rather, it can be said that it depends on how meaningfully the concepts of wholeness (holiness) oriented education that existed in the past can be revived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