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젊은 성인(20-30대)의 ADHD 경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곤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

        한여울(Yeo?Wool Han),정은정(Eun-Jung Chung),서경현(Kyung-Hyun Suh)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본 연구는 성인 ADHD 경향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20, 30대 성인 남녀 34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반적인 기술통계분석을 하였고, 이후 AMOS와 Mplus를 사용하여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검증과 매개 효과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ADHD 경향은 정서조절곤란과 스마트폰 중독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성인 ADHD 경향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 ADHD 경향과 스마트폰 중독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이중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 ADHD 경향과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정서조절곤란이라는 것을 확인했으며, 정서조절곤란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사회적 지지를 증진 시켜 회피적인 대체활동인 스마트폰 중독을 낮출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difficult in emotional regula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DHD tendency and smartphone addiction.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348 adults in 20s to 30s who live in Seoul, Gyeong-Gi Provinces. The SPSS 21.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statistical data. The data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st mediating effects with AMOS and Mplu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adult ADHD tenden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smart phone addiction, while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ose variables. Second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was partially mediated adult ADHD tendency and perceive social support. Third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had a dual mediating effect on adult ADHD tendency and smartphone addiction. These results reiterate the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is a determinant for the influence of adult ADHD on smartphone addiction, and suggest that smartphone addiction as an avoidant alternative activity could be reduced by overcoming the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promoting the perceived social supports. Finally,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es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자살 유가족의 애도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요약

        윤성근,한여울,이승진,이은별,이주희,임소정,양은주 한국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9 No.4

        This study aimed to integrate the findings of qualitative studies pertaining to the grief experiences of suicide survivors using meta-summary techniques. Qualitative meta-summary techniques include: 1) extraction of relevant statements of findings from each research 2) reduction of these statements into abstracted statements, and 3) calculation of frequency effect size. In this study, a total of 13 related stud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a total of 948 statements, and 50 abstracted statements were generated. These stateme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processes based on Worden's task theory. Discussed were the possible roles of socio-cultural factors in the manifestation of the grief experiences presented by the abstracted statements with high frequency effect size. Based on th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and methods of utilization were proposed. 본 연구는 자살 유가족의 애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들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요약을 실시한 연구이다. 현재까지 이뤄진 자살 유가족의 애도 경험에 대한 연구들은 기존 서구의 애도 모형에 근거하여 검토가 이뤄지거나 애도 경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한국의 사회문화적인 요인들에 대해 초점이 맞춰지지 않았다. 이는 한국 자살 유가족의 경험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관련 서비스의 개발 및 적용하는데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자살 유가족의 애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하기 위하여 질적 메타요약을 적용하였다. 질적 메타요약은 여러 질적 연구결과들을 축약 진술문으로 종합하고 축약문들의 빈도를 제시함으로써, 연구 영역에서의 주요 주제들을 양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술DB 검색을 통하여 총 13편의 관련 연구물들을 분석하여 총 948개의 진술문과 50개의 축약진술문을 산출하였다. 이를 Worden의 과업 모형에 따라 분류하여 제시하였고, 빈도효과 크기가 높은 축약 진술문의 내용을 중심으로 자살 유가족의 애도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한국의 집단주의 문화 특성들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실제적 함의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한국형 다차원 성격검사 단축형(Bright and Dark Personality Inventory-Short Form: BDPI-SF) 개발

        최정욱,한여울,박두진,최기홍,서동기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hort form of a multi-dimensional personality inventory(Bright and Dark Personality Inventory: BDPI). Items were selected from the original form in order to develop the BDPI short form,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hort form were examined. A clinical psychologist and psychometrician selected 33 of the 165 original items in light of the item content and parameters(severity and discrimination).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were generally low. The reason for the low reliability was an insufficient number of items for each factor. The model fit of the short form was better than that of the original form and the short form showed the same factor structure as the original form. The convergent validity of the short form was similar to that of the original form and the profiles of the short form and original form were similar to each other. As a result, although the short form was reduced by 80% from the original form, it was confirmed that the short form generated precise measurement of the same personality traits as the original form does. In order to evaluate the sub-factors belonging to each of the five factors, the original form should be used, but it is thought that the short form will be widely utilized in studies using the five factors as the main variable or in clinical settings for rapid measurements of personality. Finally, in the discussion section, limitations are addressed and suggestions are presented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다차원 성격검사의 단축형을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단축형 검사 개발을 위해 원 검사에서 문항을 선별하고, 단축형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단축형 검사 개발을 위해 임상심리전문가와 심리측정전문가가 문항의 변별도와 심각도, 문항 내용을 고려하여 원 검사에서 33문항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문항으로 구성된 단축형 검사는 원 검사에 비해 개별 5요인을 구성하는 문항 수가 적어 내적 일관성 지수와 신뢰도가 전반적으로 다소 낮아졌지만, 요인구조 타당도는 원 검사의 모형 적합도보다 향상되었고, 원 검사와 동일한 요인구조가 확인되었다. 단축형 검사의 수렴타당도도 원 검사의 타당도와 유사하였으며, 두 검사 점수의 프로파일도 동일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한국형 다차원 성격검사 단축형은 원 검사와 비교했을 때 문항이 80% 이상 줄었지만, 5요인을 측정함에 있어 정보의 큰 손실 없이 원 검사가 측정하는 성격특성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으로 보인다. 5요인 각각에 속한 하위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원 검사를 활용해야 하겠지만, 5요인을 주요 변인으로 하는 연구나 신속한 성격 측정을 위한 임상 장면 등에서는 한국형 다차원 성격검사 단축형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다차원 성격검사 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예비연구: 일반 성격과 부적응 성격의 통합적 평가

        이상준,한여울,김효원,이희재,박재영,최기홍,박두진,최정욱,김명기,서동기 한국임상심리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multidimensional personality inventory (Big 10 Inventory, BTI) to assess general and maladaptive personality dimensions. For the pilot study,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experts’ workshop led to initial personality constructs and 234 preliminary items. A survey was conducted to 1,200 adults to examine item characteristics and factor structures. In the main study, 180 items were administered to 600 adults along with other personality measur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165 items (80 and 85 items for measuring 5 dimensions of general personality and maladaptive personality, respectively) were best performed and thus chosen as the final items. The BTI showed adequate internal and test-retest reliability. Model fit indices fro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satisfactory. Convergent and divergent validity were supported with significant correlation patterns of the BTI factors with the corresponding factors of the Korean Big Five Inventory-15 and Personality Inventory for DSM-5.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of the BTI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한국형 다차원 성격검사(Bright and Dark Personality Inventory: BDPI)의 개발과 타당화: 일반 성격과 부적응 성격의 통합

        김명기,이상준,한여울,박두진,최기홍,서동기 한국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9 No.3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right and Dark Personality Inventory (BDPI), which was studied by Lee et al. (2019). Data collected from The total of 1,059 adults was used for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general personality factors, which measures general personality traits, and maladaptative personality factors, which measures dysfunctional personality adaptation were low, indicating that general personality and maladaptative personality were independent.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general personality and maladaptative personality were relatively hi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monstrated the 5 factor measurement model of general personaltiy factors and maladaptative personality factors, respectively and provided acceptable goodness of fit indices. General personality was properly converged and discriminated with Big Five Inventory (BFI) and Personality Inventory for DSM-5 Short Form (PID-5-SF). Maladaptative personality was overall converged with PID-5-SF, however, it was not discriminated within PID-5 SF sub-factors. The prediction validity was confirmed by regression of BDPI factors on the SAPAS-SR. Finall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escribed. 본 연구는 Lee 등(2019)이 실시한 한국형 다차원 성격검사(Bright and Dark Personality Inventory: BDPI)의 타당화 연구의 후속 연구이다. 총 3단계에 걸친 조사로 전국 성인 1059명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BDPI 중 일반 성격특성을 측정하는 다섯 개의 요인과 부적응 위험특성을 측정하는 다섯 개의 요인간의 요인 간 상관을 확인한 결과, 일반성격요인과 부적응성격요인은 서로 독립적인 차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성격요인 및 부적응성격요인의 내적 일관성과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양호한 수준을 나타냈다. 일반성격요인과 부적응성격요인의 5요인 측정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일반성격요인과 부적응성격요인은 수용 가능한 모형 합치도 지수를 보였다. Big Five Inventory(BFI) 및 Personality Inventory for DSM-5 Short Form(PID-5-SF)과의 준거 관련 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일반성격요인은 BFI와 적절하게 수렴 및 변별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부적응성격요인은 PID-5-SF와 수렴되었으나 변별은 잘 되지 않았다. BDPI를 독립변수로, SAPAS-SR을 종속변수로 설정한 회귀분석에서 BDPI는 양호한 예측 타당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내용을 논의에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