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사법 전부개정안 검토– 물권, 계약에 관한 소의 국제재판관할을 중심으로

        한애라 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18 민사소송 Vol.22 No.2

        Article 2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Act of Korea 2002 (“KPILA”) provides that the international jurisdiction shall be determined by the standard of ‘substantial relations’ with the party or the action. It has been discussed that article 2 of the KPILA is too broad and general, and the predictability of the international jurisdiction should be raised by implementing more specific and clearer international jurisdiction clauses. The Ministry of Justice of Korea prepared a draft amendment of KPILA (“Draft”, prior legislative notice on January 19, 2018), where more detailed jurisdictional rules are introduced. Among those rule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international jurisdiction on proceedings concerning rights in rem and concerning a contract. First, Article 33 on in rem jurisdiction merely recites Article 5 and Article 10 ① (3) of the Draft, and therefore, unnecessary. Secondly, Article 10 ① (3) of the Draft provides that the court of Korea shall have exclusive international jurisdiction on proceedings which have as their object rights in rem in immovable property or registered tenancies of immovable property. However, article 20 of the Civil Procedure Act of Korea provides that a lawsuit concerning immovable property may be brought to the court in the place where such property is located, thus bestowing additional special jurisdiction on such court while not excluding other courts. It should be further discussed whether jurisdiction on rights in rem should be exclusive or special (additional), and which approach would protect rights in rem and parties’ procedural rights better. Regarding special jurisdiction on proceedings concerning a contract, the Article 42 of the Draft adopts a compromising position generally following Article 5 (1) of the Brussels I regulation. It provides that in the cases concerning the sale of goods and the provision of services, the place of specific performance will be the jurisdictional connecting factor, and for cases other than the above two types of cases, the court of place where the obligation has been performed or the place of performance agreed upon by parties will have jurisdiction. Under the current situation where no global consensus has been established on the international jurisdiction of contract cases, this approach gives predictability at least in a limited extent and will reduce confusion on the contractual jurisdiction. Still, it is a drastic change from the established jurisdictional rule under the Civil Procedure Act, and therefore further discussion is needed to clarify the meaning and extent of the new rule. Finally, Article 43 and Article 44 of the Draft are on the jurisdiction of consumer contract and labor contract cases. Both articles had been already introduced in KPILA 2002 as Article 26 and Article 27, and basically similar with that of Brussels I regulation.

      • KCI우수등재

        민사소송에서 외국 거주 증인의 영상증언에 관한 검토

        한애라 법조협회 2023 法曹 Vol.72 No.4

        The amendment of Civil Procedure Act that enables video testimony, alongside advancements in technology that facilitate remote examination of witnesses in foreign countries, has raised questions on whether Korean courts have the authority to examine foreign witnesses through video-link and how this practice can be harmonized with the existing system of international judicial cooperation. This article first examines the methods of video testimony by foreign witnesses that can be legally implemented under current laws and international conventions or treaties to which Korea is a party, including examination by consuls, by the letter of request to foreign central authorities, and by the presiding court, and seeks possible interpretations under the current normative framework that allows direct video examination of a foreign witness by the presiding court to the maximum extent possible while respecting comity. It further points out the limitations in the national laws and international conventions or treaties regarding video testimony, as well as the confusion prevalent in current practice, and examines ways to improve international legal cooperation, including the revision of the Civil Procedure Act and the International Civil Legal Assistance Act to allow video testimony of foreign witnesses, the withdrawal of the reservation to Article 17 of the Hague Evidence Convention and the declaration that video testimony of foreign witnesses is allowed under certain conditions, and the revision of bilateral treaties with countries with high demand for legal cooperation. 민사소송법에 영상증언의 근거규정이 신설되고 타국에 있는 증인을 원격으로 신문하는 것도 기술적으로 가능해지면서, 대한민국의 재판부가 외국에 있는 증인을 영상으로 신문할 수 있는지, 이를 기존의 사법공조 체제와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는지가 새롭게 문제되고 있다. 이 논문은 먼저 현행 법령과 우리나라가 가입한 국제협약 또는 조약 하에서 적법하게 시행할 수 있는 국외 증인의 영상증언 방법을 영사 촉탁 방식, 외국 권한당국에 대한 촉탁서 방식, 수소법원 재판부의 직접실시방식으로 나누어 검토하고, 현 규범체계 하에서 수소법원 재판부의 직접 영상신문을 최대한 허용하되 외교예양을 존중하는 해석론을 모색한다. 나아가 영상증언에 관한 국내법 및 국제협약 또는 조약의 한계와 현행 실무상의 혼란을 지적하고, 국외 증인의 영상증언에 관한 민사소송법 및 국제민사사법공조법의 정비와 함께, 헤이그 증거조사협약 제17조에 대한 유보선언의 철회 및 일정한 조건 하에서의 국외 증인의 영상증언 허용선언, 사법공조 수요가 많은 국가와의 양자조약 개정 등, 국제적인 사법공조제도의 개선 방향을 검토한다.

      • KCI등재

        민사소송에서의 AI 알고리즘 심사 - 호주 ACCC v. Trivago 판결과 관련하여 -

        한애라 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23 민사소송 Vol.27 No.1

        Automated decision-making by AI algorithms is increasingly likely to cause civil liability. However, AI algorithms based on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re less explainable due to technical inscrutability arising from the nature of the learning methods itself, legal opacity due to protection of trade secrets o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r incomprehensibility of the general public or judges due to the complexity and counterintuitiveness of algorithms, thus making its judicial review difficult. When the mechanism of an AI algorithm is at issue in a lawsuit, the question is how an opaque AI algorithm can be evaluated by experts and reviewed by a court. This article first introduces ACCC v. Trivago decision made by the Federal Court of Australia in 2020, focusing on how the experts appointed by each party presented their opinions on the AI ​​algorithm and how the court drew its conclusion based on their opinions. It then studies issues and solutions that may arise in examining opaque AI algorithms in the Korean civil litigation procedures, making comparison with the Trivago decision. It explains basic features of Explainable AI(XAI) methods including Ante hoc methods and post hoc methods. It then points out problems of the Civil Procedure Act and Intellectual Property laws of South Korea in disclosing data necessary for the experts’ analysis on the AI algorithms and in protecting the trade secrets contained in the produced data, and makes suggestions on how to solve those problems. Lastly, it recommends a more active use of party-appointed experts in the judicial review of the AI ​​algorithms by allowing their active participations throughout the litigation procedure in order to clarify issues and deepen the court’s scientific understanding.

      • KCI등재

        국제재판관할과 관련된 판결의 추이 및 국제사법의 개정방향 - 국제재판관할의 판단구조 및 법인에 대한 일부 과잉관할 쟁점과 관련하여 -

        한애라 민사판례연구회 2013 民事判例硏究 Vol.- No.35

        Article 2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Act of Korea of 2001 provides that the international jurisdiction shall be determined by the standard of "substantial relations" and that the jurisdictional provisions of domestic laws shall be considered in that regard. Courts are therefore given broad discretion on jurisdiction, which also causes great uncertainty in the structure of reasoning and in the interpretation of certain exorbitant jurisdiction provisions on a legal entity in the Civil Procedure Code (hereinafter, 'the Code').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trends and problems of court judgments, especially made by lower courts, that have been cumulated enough for the last 10 years regarding the foregoing issues. The Supreme Court at first had directly decided on the existence of the substantial relations considering all the circumstances, but later emphasized specific territorial jurisdiction provisions of the Code. In the meanwhile, a majority of lower courts' judgment focused mostly on the specific territorial jurisdiction clauses of the Code, and exercised jurisdiction when there existed any connecting factors provided in the territorial jurisdiction clauses of the Code even if those clauses might turn exorbitant as a basis for the international jurisdiction, or assumed that the exorbitance could be healed by other circumstantial elements. Some courts limited the application of those exorbitant jurisdiction clauses, but their standards of limitation vary. Therefore, we need more specific international jurisdiction clauses to reduce such uncertainty. This article also reviews the courts' application of specific territorial jurisdiction clauses that have exorbitant nature to the international jurisdiction matters. Firstly, many lower courts granted general jurisdiction to a legal entity provided it has a branch in the forum country regardless of whether the dispute relates to the activity of the branch. However, such jurisdiction is obviously exorbitant and should be limited through interpretation or amendment of the Code. Secondly, jurisdiction based on the presence of the defendant’s property in the forum country has been generally limited by lower courts, but each court has adopted different standards in limiting the extent of jurisdiction, which calls for a specific provision on the issue. Lastly, regarding the jurisdiction based on the place of performance of the obligation, lower courts have decided differently on whether the jurisdiction is limited to contractual obligations or may be extended to non-contractual obligations, whether the place of performance should be determined by lex fori or by conflict of laws, and whether secondary obligations could be included, which also necessitates specific provisions on the above matters. 2001년 전면 개정된 국제사법 제2조가 "실질적 관련성"이라는 일반기준에 의하여 국제재판관할을 판단하되 국내법상의 관할규정을 참작하도록 규정하면서 법원의 관할 판단에 넓은 재량이 인정되자, 불확실성도 아울러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불확실성은 특히 국제재판관할의 판단구조 및 법인과 관련한 일부 과잉관할적 조항의 해석에서 두드러진다. 이 글에서는 위 주제에 관하여 지난 10년 간 충분히 축적된 사실심 판결들을 중심으로 판례의 경향성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대법원이 제반상황을 종합하여 실질적 관련성을 직접 판단하는 것에서 민사소송법상의 토지관할 규정을 우선적으로 검토하는 방향으로 태도를 바꾼 가운데, 사실심 판결들의 다수는 토지관할 규정을 중심으로 다른 사정들을 아울러 감안하여 국제재판관할을 판단하면서, 과잉관할의 우려가 있는 국내법상 토지관할 조항이라도 이에 해당하는 연결점이 존재하는 것만으로 관할이 인정된다고 보거나 혹은 다른 부차적 사정이 추가로 존재하면 과잉관할성이 치유된다고 본 경우가 많다. 또한 과잉관할적 규정의 적용을 제한한 경우에도 다양한 기준에 의하고 있어 불확실성이 크다. 이에 입법적으로 구체적인 국제재판관할규정을 둘 필요성이 있다. 다음으로 과잉관할의 우려가 있는 구체적인 관할에 관하여 보면, 먼저 법인의 사무소ㆍ영업소 소재지 일반관할의 경우 다수의 사실심 판결들은 분쟁과 그 영업소 자체의 영업 간의 관련성을 고려하지 않고 영업소 소재지 관할을 광범위하게 인정하는 경향이 있는바, 이는 대표적인 과잉관할이므로 해석론에 의하여 혹은 입법적으로 제한되어야 한다. 재산 소재지 관할의 경우 사실심 판결들은 대체로 그 과잉관할성을 인식하고 이를 제한하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으나, 제한 기준이 판결마다 상이하여 역시 입법적 해결이 요구된다. 의무이행지 관할의 경우 이를 계약사건뿐만 아니라 비계약사건에도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 의무이행지의 결정기준을 법정지법에 의할지 국제사법에 의해 정해지는 실체법에 의할지 여부, 2차적 급부의무에도 의무이행지 관할을 적용할지 여부 등에 관하여 사실심 판결들이 엇갈리는데, 역시 명시적인 규정을 둘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저성선자극호르몬 성선저하증 여성에서 보조생식술의 임신율

        한애라,박찬우,차선화,김혜옥,양광문,김진영,궁미경,강인수,송인옥,Han, Ae-Ra,Park, Chan-Woo,Cha, Sun-Wha,Kim, Hye-Ok,Yang, Kwang-Moon,Kim, Jin-Young,Koong, Mi-Kyoung,Kang, Inn-Soo,Song, In-Ok 대한생식의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7 No.1

        목 적: 저성선자극호르몬 성선저하증 환자에서 보조생식술의 임신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저성선자극호르몬 성선저하증으로 진단받고 본원에서 보조생식술을 시행받은 23명을 연구군으로, 동일기간 난관요인으로 보조생식술을 시행받은 이들 중 연구군과 연령 및 체질량지수가 일치하는 120명의 여성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열람하였다. 보조생식술 관련 여러 계측치 및 임신율, 유산율, 출산율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연구군의 평균 연령은 $32.7{\pm}3.3$세였고, 평균 체질량지수는 $21.0{\pm}3.2kg/m^2$였다. 생리주기 제 2~3일에 측정한 황체형성호르몬과 난포자극호르몬은 각각 $0.61{\pm}0.35$, $2.60{\pm}2.35$ mIU/ml였고, 에스트라디올은 $10.13{\pm}8.17$ pg/ml이었다. 난소자극 주기에서 사용된 생식샘자극호르몬의 총 양과 투여기간 및 hCG 투여일의 $E_2$ 수치는 연구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보조생식술 방법에 따라 분석한 결과,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 (IVF-ET) 주기에서는 연구군에서 자궁내막두께와 수정율, 출산율이 유의하게 낮았고, 유산율은 유의하게 높았으며, 그 외 난소자극 및 인공수정 (SO-IUI) 및 동결보존배아이식 (FET) 주기에서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저성선자극호르몬 성선저하증 여성에서 생식샘자극호르몬 치료를 통한 전반적인 보조생식술의 임신율은 22.0%로 대조군의 그것과 유사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더 많은 용량의 호르몬이 필요하다. 연구군의 IVF-ET의 경우, 주기 중 현저하게 높은 $E_2$ 수치와 유의하게 얇은 자궁내막을 보이며, 더 높은 유산율과 더 낮은 생존출산율을 보여, 이의 극복을 위해 자궁내막 수용성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 Objective: To investigat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outcomes in women with WHO class I anovulatio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Design: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Methods: Twenty-three infertile women with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H-H) who undertook ART procedure from August 2003 to January 2009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 total of 59 cycles (H-H group) were included; Intra-uterine insemination with super-ovulation (SO-IUI, 32 cycles), in vitro fertilization with fresh embryo transfer (IVF-ET, 18 cycles) and subsequent frozenthawed embryo transfer (FET, 9 cycles). Age and BMI matched 146 cycles of infertile women were collected as control group; 64 cycles of unexplained infertile women for SO-IUI and 54 cycles of IVF-ET and 28 cycles of FET with tubal factor. We compared ART and pregnancy outcomes such as clinical pregnancy rate (CPR), clinical abortion rate (CAR), and live birth rate (LBR)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n age ($32.7{\pm}3.3$ vs. $32.6{\pm}2.7$ yrs) and BMI ($21.0{\pm}3.1$ vs. $20.8{\pm}3.1kg/m^2$) between two groups. Mean levels of basal LH, FSH, and $E_2$ in H-H group were $0.62{\pm}0.35$ mIU/ml, $2.60{\pm}2.30$ mIU/ml and $10.1{\pm}8.2$ pg/ml, respectively. For ovarian stimulation, H-H group needed higher total amount of gonadotropin injected and longer duration for ovarian stimulation (p<0.001). In SO-IUI cyc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PR, CAR, and LBR between the two groups. In IVF-ET treatment, H-H group presented higher mean $E_2$ level on hCG day ($3104.8{\pm}1020.2$ pg/ml vs. $1878.3{\pm}1197.7$ pg/ml, p<0.001) with lower CPR (16.7 vs. 37.0%, p=0.11) and LBR (5.6 vs. 33.3%, p=0.02) and higher CAR (66.7 vs. 10.0%, p=0.02)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subsequent FET cycl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PR, CAR, and LBR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H-H patients need higher dosage of gonadotropin and longer duration for ovarian stimul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Significantly poor pregnancy outcomes in IVF-ET cycles of H-H group may be due to detrimental endometrial factors caused by higher $E_2$ level and the absence of previous hormonal exposure on endometrium.

      • KCI우수등재

        의뢰인-변호사 간 비밀유지권에 관한 검토 및 개선방향

        한애라 법조협회 2019 法曹 Vol.68 No.4

        The attorney-client privilege (hereinafter the “ACP”) is the essential building-block of the right to counsel and the due process of law. Most of th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Canada, France and Germany have protected the privilege as a fundamental procedural right. The key features of the ACP are as follows: Firstly, the ACP is basically not for the attorney, but for the client. Attorneys may excercise the privilege on behalf of their clients, but the purpose of the privilege is to protect the client’s constitutional right to counsel. Secondly, exceptions to lift the ACP must be strictly construed. Thirdly, when the privilege is disputed, seized documents should be sealed until the court reviews them in camera, and the investigative body cannot access the documents during the review process. South Korea, however, does not have the explicit law or precedents to award clients the ACP and lacks appropriate procedural devices to ensure the confidentiality of the information exchanged between the client and the attorney. Criminal or administrative investigators may easily acquire privileged documents with or without consent, and get access to the confidential information even when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admissibility of the documents are eventually denied at the trial. To prevent such threats to the ACP, it is urgent to amend the relevant law and improve search and seizure practice. An amendment to the Attorneys-at-Law Act that explicitly awards the ACP to the client as well as the attorney should be made, and the exceptions to the ACP should be more strictly stipulated in the law. Documents that could be protected by the ACP should be sealed upon seizure and they should not be disclosed to the investigative body until the judicial review is finished. Even before the amendment is made, the court should excercise their discretion in ways to limit seizure of privileged documents and to guarantee the court’s review on the extent of the privilege. 의뢰인과 변호사 간 의사교환에 대한 비밀유지권은 헌법상 보장되는 당사자의 방어권 실현 및 사회 전체의 법치주의 강화라는 공익을 위하여 필수불가결하다. 이에 따라 미국, 영국, 캐나다, 독일, 프랑스, EU 등 주요 선진국은 의뢰인과 변호사 간의 비밀유지권을 철저하게 보호하고 있다. 주요 선진국의 의뢰인-변호사 간 비밀유지권 보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밀유지권은 의뢰인의 권리이고 변호사는 의뢰인을 위하여 비밀유지권을 행사하는 것이므로, 변호사뿐만 아니라 의뢰인도 비밀유지권의 주체가 된다. 둘째, 비밀유지권은 수사의 필요나 실체적 진실 발견보다 우선하는 핵심적인 절차권이라는 인식 하에, 비밀유지권의 예외사유는 현재 또는 장래의 범죄를 막기 위한 경우나 변호사 본인의 범죄에 관한 경우 등 매우 한정적으로만 인정되고, 비밀유지권을 침해할 소지가 있는 변호사에 대한 압수수색은 금지되거나 엄격한 절차적 요건 하에서만 허용된다. 셋째, 압수된 서류가 비밀유지권의 보호대상일 가능성이 있는 경우 수사기관이 그 내용을 보지 못하도록 일단 봉인한 후 법원에 전달하며, 법원이 비밀유지권의 보호대상인지 여부에 관한 심사를 마친 후에만 비로소 수사기관이 그 비밀을 지득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의뢰인에게 비밀유지권을 인정하는 명문의 규정이 없어 의뢰인에 대한 압수수색 과정에서 의뢰인과 변호사 간의 비밀이 수사기관에게 그대로 노출되며, 변호사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도 절차적 보호장치 없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수사기관이 의뢰인이나 변호사에 대한 심리적 압박을 통하여 의뢰인과 변호사 간 비밀이 포함된 서류를 임의제출받는 사례도 비일비재하다. 이와 같은 의뢰인과 변호사 간의 비밀에 대한 무분별한 침해를 막기 위해서는 관련 법률의 개정과 실무의 개선이 시급하다. 우선 변호사법에 의뢰인과 변호사 간의 비밀유지권을 일반적으로 보호하는 조항을 신설하고 그 예외사유도 엄격하게 규정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비밀유지권 침해 소지가 있는 압수물은 일단 봉인하여 법원이 그 침해 여부를 심사하고, 이러한 심사가 종료되기까지는 수사기관이 압수물의 내용을 지득할 수 없도록 하는 절차를 두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입법이 행해지기 전이라도 법원은 압수수색영장에 조건을 부가하는 등 현행 법규상 가능한 조치를 통하여 의뢰인과 변호사 간의 비밀을 보호하여야 한다.

      • KCI등재

        구분건물의 구조상 독립성 판단기준과 경매절차 - 최근 판례를 중심으로

        한애라 한국민사집행법학회 2019 民事執行法硏究 : 韓國民事執行法學會誌 Vol.15 No.-

        Subject to the Act on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the Aggregate Buildings (“Aggregate Buildings Act”), a section of a building should be physically separated by walls or by similar concrete boundaries from the rest of the building to be an object of an independent sectional ownership. In case of commercial buildings, physical separability may be achieved by concrete boundary marks on the floor instead of walls under the Aggregate Buildings Act Article 1-2, but still a certain physicality is required. However, in reality, walls or boundary marks that separate sections are often removed and the whole floor is unified, even if each section is separately registered under different owners. In principle, a section of which walls or boundary marks have been removed cannot be an object of sectional ownership, its sectional registration cannot be valid, and auction process based on such invalid registration should be dismissed, thus deterring the efficient liquidation of sections of aggregate buildings. Majority of scholars have recognized the problems and have insisted that the physical separability requirement for the sectional ownership should be more generously interpreted. Court precedents had previously taken a very strict position, but in recent cases the Supreme Court have applied more relaxed standards. There exist commercial needs to use sections of an aggregate building uniformly, and in doing so, a temporary removal of walls or boundary marks should not harm the sectional ownership. In this regard, the court’s changed positions properly reflects the demand of market reality. In applying more relaxed standards of ‘temporariness of the removal and restorability of the walls or boundary marks’ in the auction process, the auction court should examine whether the removal of the walls or boundary marks are permanent or temporary, and whether the boundary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restored according to the floor plan. If the sections of an aggregate building meet the above standards, the auction process is valid and it should not be dismissed. Even if the removed walls or boundary marks cannot be restored, in case the unified sections can be sold en bloc, the court should not dismiss the auction and instead sell the entire unified sections en bloc.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집합건물법 상 건물의 일부에 대 (‘ ’) 하여 구분소유권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구분건물의 물리적 독립성이 인정되어야 한다 집합건물법 제 조의 는 대형 상가건물의 경우 물리적 독립성 요 . 1 2 건을 완화하여 바닥에 설치된 견고한 경계식별 표지 및 견고하게 부착된 ‘ ’ ‘ 건물번호 표지 가 있으면 구분건물의 독립성을 인정한다 그런데 다수의 상 ’ . 가건물에서는 구분건물이 일단 각기 다른 소유자에게 분양된 후 구분건물간의 경계벽이나 경계표지가 철거되고 통합적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흔하다. 그 경우 당해 구분건물의 독립성이 상실된 것으로 판단되면 당해 구분건물은 더 이상 소유권이나 근저당권의 객체가 될 수 없고 이에 대한 경매신청도 , 기각되어야 한다 이는 구분건물의 경매를 저지하는 수단으로 빈번하게 악 . 용되어 왔다. 이에 대하여는 구분건물이 통합적으로 이용되는 거래현실을 고려할 때구분건물의 독립성 기준이 완화되어야 한다는 것이 학설의 다수가 되었고, 판례 또한 점차 구분건물의 독립성을 완화하여 왔다 판례는 당초 엄격한물리적 독립성을 요구하였으나 최근 들어 구분건물의 독립성 상실이 일시 , ‘ 적이고 경계벽이나 경계표지의 복원이 가능한 경우 구분건물로서의 독립성 ’ 을 인정할 수 있다고 보거나 사후적으로 물리적인 독립성이 회복되는 경우 , 구분등기가 소급하여 유효하다고 보거나 구분건물이 물리적인 독립성을 상 , 실하였더라도 일괄매각되는 경우 경매절차는 적법하다고 보는 등 전체적으로 구분건물의 독립성을 완화하는 추세에 있다 다수의 구분점포가 이용목 . 적에 따라 통합적으로 이용될 경제적 필요가 있고 일시적으로 경계벽이나 , 경계표지가 철거되었다는 것만으로 구분소유권을 상실시킬 경우의 여러 문제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판례의 태도는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 이에 따라 경계의 철거가 일시적이고 복원가능한 경우 를 구분건물의 독 ‘ ’ 립성 인정기준으로 삼는 경우 경매절차 진행 과정에서 경계의 철거가 일시 , 적인지 및 도면 등에 의하여 용이하게 복원될 수 있는지를 심사하여야 할것이다 일시성 복원가능성이 인정되는 경우 현재 물리적 경계가 존재하지 . , 않더라도 정상적으로 경매를 진행하여야 한다 만약 여러 구분건물이 통합 . 이용되고 확정적으로 구분건물의 독립성이 상실되었더라도 통합이용되는전체 건물부분의 일괄매각이 가능하다면 일괄매각 방식으로 경매를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1910년대 박용만의 국제 인식

        한애라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8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5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nd analyze Park Yongman’s capacity and perspective on the complicated and chaotic nature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r global conflicts between powers in 1910s, by analyzing his speech texts, letters and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s such as 『Shinhakwolbo』, 『Jekookshinmoon』, 『Shinhanminbo』 and 『Kookminbo』. Around March 1919,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established a provisional government in Korea, China and Russia with an emphasis on international diplomacy. At that time, Park Yongman was elected as the first foreign minister in the organized Seoul and Korea's interim governments. This proves Park Yongman's diplomatic prowess at the time was excellent. The leaders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were sure that he had high expectations. Although he had achieved what common people couldn’t do in various areas, most researches on him have been focused on his armed struggles against Japanese colonialism. But it seems to be part of what he was. Park Yongman, a young radical political reformer, was imprisoned three times. And in 1905 he left for America with great aspirations. But the reality of the United States was discouraging since USA was as bellicose as any other imperial nation. Park Yongman criticized the contradictions of Monroeism, which Americans are proud of, and constantly emphasized the need for calmness and self-sufficienc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e predicted that after 1915, the ambitions of Japan and America would collide with each other and war would take place. In order to rear up an independent army to go to war and to cultivate talented people to lead a new nation, and established the <Military School for Korea Youth(韓人少年兵學校)> and the <Korean Military Corporation(大朝鮮國民軍團)>. When the First World War broke out, Park Yongman extended the organization of the Korean Military Corporation to Korea, China and Russia. Park Yongman's choice of armed anti-Japaneseism and his argument for independence war was based on his recognition of international relations. 1919년 3월을 전후하여 한인 독립운동가들은 국내와 중국, 러시아에서 외교에 중점을 두고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이 시기 조직된 한성정부와 이후 통합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박용만은 모두 초대 외무총장에 선출되었다. 이는 당시 박용만이 갖고 있던 역량과 그에 대한 한인 독립운동 지도자들의 기대가 어느 정도였는지를 짐작할 수 있는 결과였다. 그러나 박용만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그의 활동의 한 부분인 무장 항일 활동에 치우쳐 있는 게 현실이다. 이 논문은 박용만이 망명을 전후한 시기와 망명 이후 초대 외무총장에 선출되기 이전까지 『신학월보』, 『제국신문』, 『신한민보』, 『국민보』 등에 발표했던 글과 국제회의에서 발표한 연설문, 그리고 서신 등을 통해 그의 국제사회에 대한 인식과 변화과정을 정리하고 분석한 것이다. 급진적인 정치개혁가의 길을 선택한 박용만은 상동청년회, 만민공동회, 보안회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1905년 미주로 망명하기 전까지 세 번이나 수감 될 정도로 개혁과 구국에 대한 의지가 굳건했고 실천적이었다. 그러나 큰 포부를 안고 도착한 미국에서 그가 목격한 미국은 다른 제국주의 국가들과 별반 다르지 않은 침략성을 갖고 있었다. 그는 미국인들이 자랑스럽게 내세우던 먼로주의를 강하게 비판하며 한인들에게 국제사회의 냉혹함과 자강의 필요성을 끊임없이 강조했다. 박용만은 1915년을 전후하여 미ㆍ일 전쟁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측하고 이때를 독립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했다. 그러기 위해 사회적 조직체인 국민회를 ‘정치적 조직’, 즉 임시정부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고, 對日 독립전쟁을 수행할 독립군 양성과 함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한인소년병학교와 대조선국민군단을 설립했다.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이에 대응하기 위해 국민군단의 세력을 국내와 중국, 러시아지역으로까지 확대시키며 독립전쟁을 위한 준비를 해 나갔다. 그는 1918년 윌슨이 발표한 민족자결주의나 파리강화회의 등에 기대를 걸지 않았고, 외교노선을 추구하며 수립된 임시정부의 외무총장직을 거부했다. 그는 자국의 이익이 없다면 어떤 나라도 한국인들의 호소를 받아주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1911년 일어나 세계를 주목시켰던 중국의 신해혁명에 대해서도 박용만은 남다른 분석을 내놓았다. 그는 당시를 혁명의 시대라고 보고 있었고, 궁극적으로는 공화혁명의 성공을 바라고 있었지만 중국이 처한 현실과 그에 따른 여파를 분석하며 혁명 이후의 상황을 크게 우려했다. 박용만은 수많은 글을 통해 국제사회의 현실을 알리고, 분석하며 한인들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설득했다. 그가 남긴 글에는 그의 국제관계 인식이 담겨있고, 그 변화과정이 드러난다. 또한 그가 무장 항일노선을 선택하고, 독립전쟁론을 주장한 배경이 결국 그의 국제관계의 인식을 바탕으로 한 실천적 독립운동이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 KCI등재

        반복 유산 및 착상실패를 보이는 환자에서 Th1 면역반응에 대한 연구

        한애라,양광문,곽영희,Han, Ae-Ra,Yang, Kwang-Moon,KwakKim, Joanne 대한생식의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7 No.3

        목 적: 반복적 유산 또는 반복적 착상실패 환자의 T 림프구의 Th1 면역반응 정도를 알아보고, T 림프구 활성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반복적 유산 및 반복적 착상실패를 경험한 37명의 환자를 연구군으로 설정하고, 유산이나 불임의 병력이 없이 정상분만의 경력이 있는 11명의 가임 여성을 대조군으로 모집하였다.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하여, 이들의 말초혈액 중 T helper 세포 내 TNF-$\alpha$와 INF-$\gamma$ 및 IL-10의 발현도를 측정하고 Th1/Th2 세포 비율 (TNF-$\alpha$/IL-10 및 INF-$gamma$/IL-10 발현도)을 계산하여 Th1 면역반응의 우세 정도 및 T 림프구의 활성도를 분석하였으며, 활성 표지자인 CD154와 CD69 발현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 과: 연구군의 평균연령은 $35.3{\pm}4.3$세였으며, 이들에서 T helper cell 내 TNF-$\alpha$/IL-10의 발현 비율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42.1{\pm}2.3$ vs. $28.7{\pm}2.7$, p=0.002), CD154와 CD69의 발현율 또한 대조군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았다. CD154의 경우, T helper cell ($1.7{\pm}0.5$ vs. $0.3{\pm}0.2$, p=0.038)과 T suppressor cell ($0.6{\pm}0.2$ vs. $0.1{\pm}0.0$, p=0.024) 모두에서 유의하게 높은 발현을 보인 반면, CD69의 경우, 전체 T 림프구 ($5.6{\pm}1.9$ vs. $1.3{\pm}5.4$, p=0.046)와 T suppressor cell ($4.8{\pm}1.3$ vs. $1.8{\pm}0.2$, p=0.035)에서 통계적으로 높은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반복적 유산 및 반복적 착상실패를 보이는 여성에서 T 림프구의 활성도와 Th1 면역반응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이들 여성에서 활성화된 T 림프구가 Th1 면역반응을 유도하여 초기 임신의 유지와 착상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o evaluate whether T helper 1 (Th1) immune response is predominant in women with reproductive failures (recurrent spontaneous abortion and recurrent implantation failure) and the activation of T cell is related to Th1 propensity. Methods: Women with a history of recurrent implantation failure or recurrent spontaneous abortion comprise the study group (n=37). Controls are normal fertile women without a history of infertility or pregnancy losses (n=11). Th1/Th2 ratios of interferon (INF)-$\gamma$/interleukin (IL)-10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IL-10 expression on $CD3^+/4^+$ cells, CD154, and CD69 expression on T cells are measured by flow cytometric analysis. Results: The ratios of TNF-$\alpha$ to IL-10 expressing on $CD3^+/4^+$ cells (Th1/Th2 cell ratios) are significantly higher in study group ($42.1{\pm}2.3$) 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s ($28.7{\pm}2.7$) (p=0.002). The overall trend of CD154 and CD69 expression on T cells are elevated in study group than those of controls. The proportion (%) of $CD3^+/4^+/154^+$ cells ($1.7{\pm}0.5$ vs. $0.3{\pm}0.2$, p=0.038) and the % of $CD3^+/8^+/154^+$ cells ($0.6{\pm}0.2$ vs. $0.1{\pm}0.0$, p=0.024) are significantly higher in study group. The % of $CD3^+/69^+$ cells ($5.6{\pm}1.9$ vs. $1.3{\pm}5.4$, p=0.046) and % of $CD3^+/8^+/69^+$ cells ($4.8{\pm}1.3$ vs. $1.8{\pm}0.2$, p=0.035) among $CD3^+/8^+$ cells a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study group. Conclusion: Women with reproductive failures have Th1 propensity with increased T cell activation. These finding means that activated T cell has a harmful effect on early pregnancy and implantation by induction of Th1 i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