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북한의 남한 "촛불집회" 인식과 보도 연구 2002년, 2008년 사례를 중심으로

        한승대 ( Seung Dae Han ),권태상 ( Tae Sang Gwon ),김경윤 ( Kyung Yun Kim ),김용현 ( Yong Hyun Kim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15 북한학연구 Vol.11 No.2

        이 연구는 북한의 관영 매체인 『로동신문』의 보도가 북미관계, 남북관계 또는 대미정책, 대남정책 등에 영향을 받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그 사례로 남한의 2002년과 2008년 촛불집회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두 사건 모두 남한에서 벌어진 사례이면서 미국과 연관되어 있다. 2002년의 경우 우호적인 남북관계를 고려하여 미국에 비난의 초점이 맞춰졌다. 2008년의 경우 경색된 남북관계로 인해 남한 정부에 비방을 일삼았다. 반면, 미국과는 관계 개선을 모색 중이었기에 비판을 자제하는 모습을 보였다. 전통적으로 『로동신문』의 보도 태도는 북한 당국의 정책적 입장을 벗어나지 않고 있다. 다만, 복잡하게 변화하는 대외관계의 현실 속에서 『로동신문』의 보도는 일시적이나마 미묘한 차이가 있다. This research examines that the reporting coverage of the daily of Worker’s Party of Korea(WPK) called 『Rodong Sinmun』 was influenced by the U.S.-North Korean, Inter-Korean, and even North Korea’s policies towards the U.S. and South Korea. The candlelight rallies of 2002 and 2008 in South Korea were analyzed as case studies. Both cases were rallies that occurred on South Korean soil regarding international issues with the U.S. In the case of the rally of 2002, it focused on criticizing the U.S. based on friendly Inter-Korean relationships. In the case of the rally of 2008,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uffered from criticism because of strained Inter-Korean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outh attempted to recover relations with the U.S., there was some degree of restraint for criticism. Generally speaking, the reporting coverage of 『Rodong Sinmun』 reflects the position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What I would like to point out is that the coverage of 『Rodong Sinmun』 allows for a large degree of flexibility in choosing words and subtle nuances, especially in diplomatic affairs.

      • KCI등재

        헤테로토피아로서의 금수산태양궁전: 변천 과정과 정체성 변화를 중심으로

        한승대(Han Seung Dae),김용현(Kim Yong Hyu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1 다문화사회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북한 지도자의 시신이 안치된 ‘금수산태양궁전’을 미셸 푸코(Michel Foucault)가 언급한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로 보고 이 장소의 변천과 정체성 변화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평양에 위치한 금수산태양궁전은 김일성 주석이 생전 집무실로 사용하던 공간이다. 당시에는 ‘금수산의사당’이었지만 김일성 사망 이후 그의 시신을 영구 보존하면서 ‘금수산기념궁전’으로 개칭하였다. 금수산기념궁전은 김정일 위원장 사망 후 또 한 번의 변화를 겪게 된다. 김일성, 김정일이라는 두 지도자가 함께 자리하면서 이름도 금수산태양궁전으로 바뀌었다. 일종의 묘지인 금수산태양궁전은 살아있는 사람들의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고, 설명하는 데 중요한 도구이다. 많은 사람은 금수산태양궁전이 북한 사회의 변화와 거리가 멀고, 북한체제가 유지되는 한 불변의 장소라 생각한다. 김정은 위원장이 집권한 지 10년 언저리에 있고, 현 지도자가 전임지도자의 위상과 권위를 대부분 취득했기 때문에 금수산태양궁전을 의례적인 장소로 여길 수도 있다. 금수산태양궁전의 효용 가치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북한 사회에서는 여전히 김일성, 김정일이라는 두 지도자를 호명하고 있으며, 그 색채가 완벽하게 지워지지 않았다. 여전히 금수산태양궁전은 지도자의 통치방식과 사회의 통합을 위해 존재하고 있다. This study regards “Kumsusan Palace of the Sun” (the Palace) where the bodies of the leaders of North Korea have been enshrined as a heterotopia mentioned by Michel Foucault and analyzes the changes in this place and in its identity. Located in Pyongyang, the Palace was the space used by Kim Il-Sung, the leader of North Korea, as his working office during his lifetime. At the time, it was known as the “Kumsusan Assembly Hall” but was renamed the “Kumsusan Memorial Palace” as Kim Il-Sung’s body is preserved permanently since his death. Kumsusan Memorial Palace experienced one more change after the death of the North Korean Chairman Kim Jong-Il. As the two leaders, Kim Il-Sung and Kim Jong-Il are placed together, its name was changed into Kumsusan Palace of the Sun. The Palace, which is a type of mausoleum, is an important means to form and explain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identities of living people. Many people think that the Palace is removed from changes in North Korean society and is an unchangeable place as long as the North Korean regime is maintained. It has been almost 10 years since North Korean Chairman Kim Jong-Un came to power, and the present leader acquired most of the status and authority of the former leaders. Thus, the Palace can be considered a ceremonial place. The effective value of the Palace cannot but gradually decline. However, North Korean society still calls the two leaders, Kim Il-Sung and Kim Jong-Il, and the colors have not completely been erased. The Kumsusan Palace of the Sun still exists for the leader’s governing style and social integration.

      • KCI등재
      • KCI등재

        정부 지원 대학통일교육 현황과 과제에 관한 연구

        한승대 ( Seungdae Han ) (사)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6

        본 연구는 정부(통일부) 지원 대학통일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과제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재 남북한은 평화의 새 시대를 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이러한 분위기에 발맞춰 통일교육의 중요성도 점차 강조되는 추세다. 하지만 대학사회는 현실의 장벽에 가로막혀 통일문제에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 대학사회의 통일교육 저변 확대를 위해 지난 2016년부터 통일교육 선도대학, 옴니버스 특강, 통일·북한 강좌가 진행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사업별 선정 대학수를 분석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대학 통일교육이 나아갈 바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난 3년간 정부의 지원으로 많은 대학이 통일교육을 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대학이 통일교육의 사각지대에 있으며 권역별 편중 현상도 심하다. 전국 4년제 국·공·사립 대학교 이외의 대학은 통일교육의 기회조차 없다. 앞으로 대학통일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기회의 확대, 통일교육의 학문적 지위 획득, 참여형 통일교육 확충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ate of the government (Ministry of National Unification)-supported university unification education and get ready for tasks in the future. Currently,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making various efforts to open a new era of peace, and going along with this atmosphere, the importance of unification education also gradually tends to be emphasized. However, college communities cannot raise their voices, concerning the issue of unification, obstructed by the barrier of reality. To expand the base for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university society, leading universities for unification education have been designated, and omnibus special lectures and lectures on Unification and North Korea have been in progress since 2016. This study would draw implications, analyzing the number of universities designated by each project and suggest directions in which university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proce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Many universities have provided a unification education by the government support for the past three years. But still many universities are in the blind spot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unequal distribution by region is severe. Colleges other than four-year national, public and private universities do not even have a chance to provide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make efforts for the revitalization of university unification education, including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the acquisition of the academic status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the expansion of participatory unification education.

      • KCI등재

        북한 후계자 등장 관련 한국 언론의 보도 비교 연구 - 1974년, 2009년을 중심으로

        한승대(Han Seungdae),김용현(Kim Yonghyu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6 No.3

        북한에 대한 정보가 넘쳐나면서 정보의 사실 여부를 가려내는 일이 중요해지고 있다. 무엇보다 한국에서는 북한 지도자에 관한 모든 문제가 주요 관심사항이다. 특히, 우리 언론은 ‘북한 후계 문제’에 신속한 반응을 보여 왔다. 대부분 북한 정보에 대한 접근이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언론은 가장 중요한 정보 접근의 창(窓)이다. 본 연구는 국내 언론의 1974년 김정일, 2009년 김정은 보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두 시기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두 시기 모두 불투명한 취재원, 해외보도의 무비판적인 인용, 언론사간 유사한 보도 등을 통해 오류가 발견되었다. 또 일부 언론은 중대한 오보를 발생시켜 독자에게 혼란을 주기도 했다. 물론, 북한 사회의 폐쇄성으로 인해 정보에 대한 판단을 내리기는 어렵다. 하지만 적어도 지나친 가십 기사나 확인할 수 없는 기사는 경계할 필요가 있다. 북한 관련 보도가 대북정책과 남북관계, 국민 정서에 중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항상 인지할 필요가 있다. As information regarding North Korea is overflowing, identifying what is true and what is not is becoming important. In Korea, issues regarding North Korean leaders are main matters of interest above all. In particular, Korean media has shown rapid responses to ‘North Korean successor issues’. Because access to information regarding North Korea is blocked off, the media is a very important window to information access.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d domestic media reports on Kim Jung Il in 1974 and Kim Jung Eun in 2009 and compared the two time periods. Conclusively, errors such as ambiguous sources, uncritical citations of overseas reports, and similar reports among the press were discovered in both periods. Also, some press members have made false reports, causing confusion among readers. Of course, due to the obstructive nature of North Korea’s society, it is difficult to judge information regarding it. However, it is at least necessary to be cautious towards excessive gossip or articles which cannot be verified. People must always be aware that reports about North Korea greatly affect North Korean policies, North-South relations, and public sentiment.

      • KCI등재

        평양영화축전의 성립과 그 정치적 의미에 관한 연구

        한승대 ( Seung Dae Han ),전영선 ( Young Sun Jeon ),김용현 ( Yong Hyun Kim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15 東亞 硏究 Vol.34 No.2

        이 연구는 ‘평양영화축전’의 성립 배경과 대내외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평양영화축전은 1987년 처음 개최된 이후 정기적으로 열리고 있는 북한 유일의 국제영화제이다. 평양영화축전은 제3세계 비동맹 국가들이 친선영화제를 축제 형식으로 평양에서 개최하기로 하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영화제는 2006년 제10차부터 ‘평양국제영화축전’을 공식 명칭으로 사용하고 있고, 2014년에도 개최되었다. 북한이 처음 영화제 개최를 주도하게 된 것은 제3세계 비동맹국가와의 친선 강화가 주목적이었다. 한편, 김정일은 과거부터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 시기를 체제 정당성의 근간으로 삼았다. 현지지도와 각종 지원을 통해 이때 창작된 문화예술을 정치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영화제를 통해 후계자 김정일은 국제적 이미지를 구축하고자 했다. 아울러 김일성의 국제적 위상 제고에도 영화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평양영화축전은 북한 지도자의 정치적 성과를 대내외에 과시하기 위한 좋은 수단이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Pyongyang International Film Festival of the D.P.R.K(PIFF) and its internal and external political meaning historically. The event originated in 1987 as the PIFF of the non-aligned and other developing countries, which means that as the name precisely delineated, the goal of the PIFF was cultural exchange and to reinforce the relations between countries of Non-Aligned Movement and other developing countries familiar with North Korea. The film festival returned in 1990 and would be regularly held every other year. North Korea had internationally tried to establish Kim Jong-il`s high leadership as a political heir of Kim Il-sung, founder of North Korea, through the PIFF. Kim Jong-il regarded Kim Il-sung`s anti-Japanese guerrilla activities as his regime legitimacy and politically exploited culture and arts. In particular, movie played a pivotal role in advertizing his regime legitimacy. For these reasons, the PIFF have been the most useful tool to show off his political power and achievements.

      • KCI등재

        북한 김정일·김정은 위원장의 지도자 참배와 혼종적 마음

        한승대 ( Seungdae Ha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3

        본 연구는 현재의 북한 지도자가 전임 지도자의 시신이 안치된 곳을 참배하는 이유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김정일 위원장과 김정은 위원장의 방문 사례를 취합하여 특징을 살피고, 상호 비교를 통해 지도자가 참배하는 이유를 분석하였다. 김정일 위원장은 지난 17년간 금수산기념궁전을 총 29차례 방문하였다. 김정일 위원장의 주된 방문 동기는 일종의 전임 지도자 기일(忌日)을 맞아 추모의 예를 다하는 유교 문화적 마음이 우세했다. 김정은 위원장은 2020년 5월 현재, 햇수로 9년간 총 58차례 금수산태양궁전을 찾았다. 김정은 위원장은 김정일 위원장의 선례를 따르면서도 국가의 기념일이나 주요 행사 일에도 자주 방문하였다. 이는 국가 지도자로서의 의례적 행위를 통해 통치 리더십을 보여주기 위한 행동으로 판단된다. 북한 지도자의 마음이나 의도를 지나치게 단순화하거나 이원론적으로 볼 것이 아니라 여러 혼종적 성격을 탐색한다면 보다 확장된 연구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reveal the reason why the present leader of North Korea worships the place where the previous leaders’ corpses are enshrine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the cases of Chairmen Kim Jong-Il and Kim Jong-Un’s visit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 reason why the leader worships there through a comparison of the two. Chairman Kim Jong-Il visited Kumsusan Memorial Palace 29 times for 17 years. His main motivation for the visits was predominantly a kind of Confucian cultural mind in accord with the courtesy of remembrance on the anniversaries of the previous leaders’ deaths. Chairman Kim Jong-Un visited Kumsusan Palace of the Sun 58 times for 9 years as of May 2020. Chairman Kim Jong-Un followed Chairman Kim Jong-Il’s precedent, but he frequently visited there on the national anniversaries or days of major events. It is judged that this is an action to show his ruling leadership through the ritual act as the leader of a country. It would be possible to secure a more extended research sight if we explore various hybrid characters, instead of excessively simplifying or looking at the North Korean leader’s mind or intention from a dualistic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북한 "사회주의 완전승리"의 개념사적 접근

        한승대 ( Seung Dae Han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12 북한학연구 Vol.8 No.1

        본 글은 과거 북한 당국이 목표 규정으로 삼았던 ‘사회주의 완전승리’가 정치사회적 흐름 속에서 어떠한 의미 변화를 겪어왔는지 분석하였다. ‘사회주의 완전승리’는 고도로 추상화 된 개념으로 북한의 현실과는 일정 부분 거리를 두고 있다. 이것을 단순히 지도자 수준에서 할 수 있는 정치언어적 기술로만 인식한다면 북한 사회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분명 한계가 있다. 사실, 북한의 텍스트에서 설명하고 있는 이러한 개념은 정형화 된 박제처럼 보인다. 하지만 장기간의 긴 호흡을 가지고 살펴보면 개념의 미세한 변화가 감지된다. 텍스트 공간에서 벌어지는 미묘한 변화는 물리적 공간의 역동성을 기반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북한의 사전류와「김일성 저작집」을 통해 논의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물론 이러한 접근만으로 당대의 정치사회적 맥락 및 역동성을 온전히 파악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하지만 보다 많은 근거를 통해 해석의 논리를 두텁게 한다면 텍스트는 북한 사회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전망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zed ``The Complete Victory of Socialism`` that North Korean authority established as their goal principle in the past to find outhow its meaning has been changing in the political and social trend. ``The Complete Victory of Socialism`` is a highly abstract concept and ha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eality of North Korea. If it is perceived simply as a political rhetoric of national leader level, it would have a limit to figure out the trend of North Korea`s society. In fact, Such concept explained in the North Korea`s text looks like a stereotyped and stuffed one. However, if observed with a long-term view, a minute change in the concept can be detected. A delicate change that occurs in the text space is based on the dynamism of physical space. The change of topics was traced down through North Korea`s dictionary and 「Kim Il Sung`s Writings」. Of course only by such approach, it is difficult to consider the contemporary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and dynamism could be completely figured out. However, if the logic of such interpretation can be reinforced through more grounds, the text can be a useful tool to empirically analyze and prospect the North Korea society.

      • KCI등재

        북한 정치인의 주요 국장(國葬) 사례 분석

        한승대 ( Seungdae Ha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논문은 북한의 개별 정치인 연구를 심화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국장(國葬) 사례를 발굴하고, 종합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북한 정권 수립부터 최근까지 장례 관련 자료를 수집ㆍ정리하고, 체계화하였다. 연구 결과 국장 대상자는 김일성과 김정일을 포함하여 총 46명이었고, 남성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이들은 큰 틀에서 지도자와의 친밀성, 국가 발전의 기여도, 정치ㆍ사회적 지위, 사망 당시 나이, 개인의 살아온 환경 여부가 망자(亡者)의 위상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자료 접근의 어려움으로 지도자를 제외한 44명이 왜 국장 대상자가 되었는지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 다만, 북한 지도자 이외의 인물 연구가 부재하기 때문에 이 연구는 후속 연구를 촉발하는 마중물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iscover cases of state funerals and sum them up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as part of deepening research on individual North Korean politicia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sorted out and systematized the materials related to funerals drawn up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to the pres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ubjects of the state funerals included a total of 46 persons, including Kim Il Sung and Kim Jong Il, and most of them were men. It is judged that intimacy with leaders, contributions to national development, political and social rank, age at death, and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individuals had lived might be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status of the deceased. Due to the difficulty in having access to the materials, it is hard to understand why 44 persons excluding the leaders became the subjects of the state funerals accurately. And yet, since there are few studies of figures other than the leaders of North Korea, this study would be priming water that could trigger follow-up studies.

      • KCI등재

        2012년 북한 외교정책의 기본이념 변경과 혼합에 관한 단상

        한승대 ( Han Seung Dae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21 북한학연구 Vol.17 No.1

        이 글은 북한 외교정책의 기본이념인 ‘자주, 평화, 친선’이 2012년 신년 공동 사설에서 ‘자주, 친선, 평화’로 변경된 점에 주목하여 그 용례를 찾은 후 함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북한 외교정책의 기본이념은 1988년 9월 이후 2021년 6 월 현재까지 자주, 평화, 친선이다. 다만, 2012년 신년 공동사설 등 일부 자료에 서 한시적·예외적으로 자주, 친선, 평화를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변화의 흐름을 추적하고자 북한의 당 기관지인 『로동신문』을 주요 텍스트로 활용하였다. 다음, 해당 사례가 갖는 의미를 당시의 북한적 상황과 연관 지어 귀납적 방법으로 추론하였다. 연구 결과 2012년에 자주, 친선, 평화가 등장하였지만 기존의 자주, 평화, 친선이 배제된 것은 아니었다. 두 기본이념은 혼합적으로 사용되었다. 외교정책의 기본이념이 변경된 가장 중요한 이유는 2011년 김정일 위원장의 중국, 러시아 방문을 들 수 있다. 이 ‘전통적 친선국가들’의 방문이 평화와 친선의 순서가 바뀐 원인으로 보인다. 2012년이라고 하는 과도기적 상황 역시 주목해서 보아야 한다. 당시 북한은 지도자 교체기였고, 후계문제를 안정화하는 차원에서 기존 국가와의 친선관계 도모에 집중하고자 했을 것이다. 이러한 북한의 의도가 일부 자료에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럼에도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관련 문서의 확인 작업이 필요하다. This study would pay attention to the change in the fundamental ideology of North Korea’s diplomatic policy, ‘Independence, Peace, Friendship’ to ‘Independence, Friendship, Peace’ in the 2012 New Year’s Joint Editorial and look for examples to reveal the implications. The fundamental ideology of North Korea’s diplomatic policy has been ‘Independence, Peace, Friendship’ from September 1988 through to June 2021. And yet, some materials like the 2012 New Year’s Joint Editorial temporarily and exceptionally mentioned ‘Independence, Friendship, Peace.’ This study first utilized North Korea’s Party Bulletin, Rodong Sinmun as the main text to trace the flow of the change. Then, this study inductively inferred the significance of the case concerning North Korea’s situations of the times. As a result of the study, ‘Independence, Friendship, Peace’ appeared in 2012, but the existing ‘Independence, Peace, Friendship’ was not excluded. These two fundamental ideologies were used. The most important reason the fundamental ideology of diplomatic policy was changed is Chairman Kim Jong Il’s visits to China and Russia in 2011. His visits to these ‘traditional countries in friendly relations’ caused a change in the order of ‘Peace’ and ‘Friendship.’ It is also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transitional situation of the year 2012. At the time, North Korea was in a period of change of leaders, and it would concentrate on the promotion of the existing friendly relations with countries in the dimension of stabilization of the problem of succession. It is judged that North Korea’s intent was reflected in some of the materials. Nevertheless, it is necessary to work on checking the related documents to understand its exact mea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