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선 연산군대 童淸禮의 建州三衛 파견에 대하여

        한성주 만주학회 2012 만주연구 Vol.- No.14

        The dispatch of Geonjusamwi(建州三衛) of Dongcheongyre(童淸禮)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san(燕山君) was carried out to return the captives, to prohibit the invasion of the Jurchen by diplomatic communication, and to figure out roads and topographies in Geonjusamwi area for the future conquest taking the opportunity of the invasion of Wiwon(渭原) in the Amrok River basin. The first dispatch of Dongcheongrye was taken in 1496(2nd year of King Yeonsan’s reign), which took 12~13 days. Dongcheongrye under the title of ‘Samuigyeongchagwan(三衛敬差官)’ visited Geonjuwi(建州衛, Bonwi[本衛]) in person and distributed the edict of Joseon to return the captives during the invasion of Wiwon and to prevent invasion. However, he visited only Geonjuwi and failed to reach Jawi(左衛) and Wuwi(右衛). He got a promise of returning the captives, but no actual returning was made. He was promised not to make invasion to Joseon. And he hurriedly returned due to heavy snow promising to meet at Manpo(滿浦) in the next spring. When the meeting at Manpo was not kept, chiefs of Geonjusamwi requested the dispatch of Dongcheongrye by sending a letter, and there was another discuss to the re-dispatch of Dongcheongrye. At last, the 2nd dispatch was decided in 1497(3rd yeard of King Yeonsan’s reign) under the title of ‘Samwiseonyugwan(三衛宣諭官)’ for 20 days in Gyeonjusamwi. During the 2nd dispatch, they arrived at Geonjuwi(Bonwi) through the flat short-cut along with the Jurchen which was promised during the meeting in the first dispatch. They could see defense facilities installed by the Jurchen and there were also threats and intervention by Geunsanjeokha(金山赤下) who invaded into Wiwon. However, they could encounter chiefs of Geonjusamwi including Geonjuwi(Bonwi) Dalhan(達罕), Jwawi Toro(土老), Wuwi Bohwato(甫化土) and distributed the edict of Josen respectively. The Geonjusamwi chiefs welcomed Dongcheongrye by receiving gifts and goods and by hosting a party. They promised not to invade Joseon, and especially Dalhan introduced Dongcheongrye detailed road information. After achieving intended objectives, Dongcheongrye returned with 3 Joseon captives by the guard of 200 Jurchen people. It was regarded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was halted due to the Chomu(招撫) on Geonjusamwi during the King Sejo(世祖) and the intervention of Ming of it, but the diplomatic relation between Joseon and Geonjusamwi continued thereafter. The facts that King Seongjong(成宗) accepted diplomatic relation with Geonjusamwi by opening the traffic roads of Pyeongando(平安道) and King Yeonsan dispatched Dongcheongrye demonstrated the continued relation. In particular, the dispatch of Dongcheongrye shows part of Gimi(羈縻, carrot and stick) policy toward the Jurchen, and such policy continued until the Jurchen was integrated by the later Jin dynasty. 燕山君대 이루어진 童淸禮의 建州三衛 파견은 압록강유역의 渭原이 침입을 받은 것을 계기로 포로된 사람들을 쇄환시키고, 교섭을 통해 여진인들의 침입을 금지시키며, 향후 정벌을 대비하여 建州三衛 지역에 대한 도로와 지형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동청례의 1차 파견은 1496년(연산군 2)에 실시되었는데, 약 12~13일 정도가 걸리는 여정이었다. 동청례는 ‘三衛敬差官’이란 이름으로 건주위(본위)를 직접 방문하여 추장 達罕과 좌․우위에서 보낸 사람들에게 위원 침입시 포로로 잡아간 사람들을 쇄환하고, 침입을 금지하라는 조선의 敎旨를 반포하였다. 그러나 건주위만을 방문하였을 뿐 좌위와 우위까지는 도달하지 못하였으며, 잡아간 사람들의 쇄환을 약속받았지만 쇄환이 실제로 이루어지진 않았다. 다만 조선에 대한 침입을 금지하겠다는 약속을 받았고, 눈이 많이 쌓이는 관계로 급히 돌아오면서, 다음해 봄에 滿浦에서 다시 만날 것을 기약하였다. 그런데 만포에서의 만남이 이루어지지 않자, 건주삼위의 추장들은 書契를 보내 동청례의 파견을 다시 요청하게 되었고, 조선에서는 동청례의 건주삼위 재파견에 대한 논의가 일어나게 되었다. 결국 동청례의 2차 파견이 결정되어 1497년(연산군 3)에 ‘三衛宣諭官’이란 이름으로 약 20여 일 정도 건주삼위를 방문하였다. 2차 파견시에는 동청례를 영접하러 온 여진인들을 따라 1차 파견 회정 때 약속받았던 평탄한 지름길을 통해 건주위(본위)에 도착하였다. 도중에 여진인들이 설치한 방어시설을 볼 수 있었고, 위원에 침입한 金山赤下의 위협과 방해도 있었다. 그러나 건주위(본위) 達罕과 좌위 土老, 우위 甫化土(甫花土, 南華土) 등 건주삼위 추장들을 직접 대면하고, 각각에게 조선의 서계를 반포할 수 있었다. 삼위 추장들은 宣醞 및 물품을 받고 잔치를 벌여 동청례를 환영하였다. 이들은 조선에 대한 침입 금지를 약속하였고, 특히 달한은 동청례가 회정할 때 도로를 소상히 알고 가도록 하였다. 소정의 목적을 이룬 동청례는 포로가 되었던 조선인 3명을 돌려받고, 2백여 명의 여진인들의 호송을 받으며 돌아왔다. 세조대 건주삼위에 대한 초무와 이에 대한 明의 간섭으로, 이후 양자 간의 관계가 중단된 것처럼 여겨왔지만, 세조대 이후에도 조선과 건주위와의 교섭은 계속 지속되었다. 성종대 平安道의 교통로를 개방하여 건주삼위의 통교를 받아들인 사실이나, 연산군대 동청례를 건주삼위에 파견한 사실들이 이를 잘 대변해 주고 있다. 특히 연산군대 동청례의 파견은 조선의 여진에 대한 羈縻政策의 일단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기미정책은 여진이 後金으로 통합되는 과정까지 지속되었다.

      • KCI등재

        조선초기 受職女眞人 연구-세종대를 중심으로-

        한성주 조선시대사학회 2006 朝鮮時代史學報 Vol.36 No.-

        A Study on the Received the Office of Jurchens in the Early Chosun Dynasty-Focused into Sejong periodHan, Sung-joo 이 연구는 조선 건국 후 조선의 외교정책인 사대교린 체제가 확립되는 세종대까지 조선에서 관직을 받은 受職女眞人의 현황을 파악하고, 조선에서의 이들의 활용과 활동 및 이들에 대한 대우, 인식 등을 살펴보려 하였다.수직여진인은 조선 건국 후 태조 이성계가 자신에게 종군한 여진 대소추장에 대한 授職을 시작으로, 태조대에는 34명, 태종대에는 26명, 세종대에는 130여 명이 있어, 조선 건국 후 세종대까지 총 190여 명의 수직여진인이 파악되어진다. 특히 세종대에는 對여진관계의 변화에 따라 수직제도를 능동적으로 전개한 결과 그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즉 여진 세력의 이동과 두 차례의 婆猪江 정벌, 4군 6진의 설치로 인해 수직제도을 두만강압록강 유역 거주자와 중국의 관직을 받은 여진인에게까지 확대하였기 때문이었다. 이것은 4군 6진의 설치 이후 조선의 근경에 거주하는 여진을 복속시켜 변방을 안정시키려는 목적에서였다.따라서 조선에서는 수직여진인을 적극 활용하여 동류들을 회유하거나, 여진 정벌에 참여시키기도 하였으며, 간첩으로 삼아 적의 동정을 살피게 하거나, 변방을 방어토록 하기도 하였다. 국내에서 그들의 무력적 재능을 높게 평가하여 왕과 왕궁을 호위하는 侍衛로서 활용하는 등 수직여진인의 활동은 대내외적으로 다양하였다.이들에 대한 대우는 향화인에게 지급하던 일반적인 물품 이외에 두만강압록강 유역에 거주하던 수직여진인에게는 통교권을 보장해 주기도 하였고, 국내에서의 시위자 등에게는 녹봉 및 과전家舍를 지급하였으며 결혼을 시켜주는 등 우대를 하였다.한편 당시 수직여진인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일부 여진 시위자들에 대하여는 무력적 재능을 높게 평가하는 긍정적 인식과 경제적 목적으로 자원 시위한 자들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식이 상반되기도 하였다. 또한 시위로서 머물러 있던 여진인들이 각종 폐단을 일으킴으로써 이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심화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수직여진인의 품계가 높아도 낮추어보고 두려워하지 않고 여진인들도 벼슬 높은 것으로 맞겨루지 못하였다.조선 건국 후 약 60여 년 동안 190여 명의 여진인들에게 수직을 실시한 것을 보면 수직제도가 여진 세력을 조선에 복속시키는데 있어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기업의 공연예술 메세나 활동 적합성이 소비자 인식과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성주,조진희,이해준 한국무용과학회 202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a company’s fit for mecenat of performing arts on its consumer awareness and corporate image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tial power and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The following is the research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ose who have visited or recognized the actual performance halls of corporations (LG Art Center, Doosan Art Center, GS Caltex Yeulmaru, Interpark Blue Squar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 total of 273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samples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 Statistic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a company’s fit for mecenat of performing ar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both mecenat awareness and corporate awareness, which are sub-variables of consumer awareness. Second, a company’s fit for mecenat of performing ar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ll of corporate behavior image, social image, social responsibility image, which are sub-variables of corporate image. Third, mecenat awareness and corporate awareness, which are the sub-variables of consumer awaren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orporate behavior image and social image, which are sub-variables of corporate image. Corporate awareness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responsibility image. Fourth, consumer awareness was partiall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mpany’s fit for mecenat of performing arts and corporate image. In this vein, corporates may change the consumer attitude positively and achieve the most important goal, which is enhancing their images by performing mecenat more effectively by increasing companies’ fit for mecenat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for performing arts and strategic mecenat. 본 연구는 기업의 공연예술 메세나 활동 적합성이 소비자 인식과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변인들 간의 영향력 및 상호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기업 공연장(LG아트센터, 두산아트센터, GS칼텍스 예울마루, 인터파크 블루스퀘어)에 방문한 경험이 있거나 인지하고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273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표본은 IBM SPSS Statistic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공연예술 메세나 활동 적합성이 소비자 인식의 하위변인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공연예술 메세나 활동 적합성이 기업이미지의 하위변인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 인식 하위 변인인 메세나 활동 인식과 기업 인식이 기업이미지의 하위변인인 기업행동이미지, 사회적이미지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 인식은 공헌이미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소비자 인식은 공연예술 메세나 활동 적합성과 기업이미지의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기업은 공연예술 인프라 구축과 전략적 메세나 활동을 통해 메세나 활동 적합성을 높여 보다 효과적으로 메세나 활동을 수행하고 소비자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기업이미지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이끌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정묘호란 직후 ‘李仁居의 난’ 연구

        한성주 서울역사편찬원 2017 서울과 역사 Vol.- No.96

        When the Later Jin invasion of Joseon occurred in 1627(Injo 5), Joseon made a pledge of relationship of brother with the Later Jin(後金). But the pledge was against criticism on foreign policy of King Gwanghaegun(光海君) which is one of justifications for Injo(仁祖) coup. So some continued to oppose peace treaty with the Later Jin. ‘Rebellion of Lee In-geo(李仁居)’ occurred in September, 1627 just after the Later Jin invasion of Joseon was the first rebellion to oppose peace treaty with the Later Jin. Lee In-geo resented peace treaty with the Later Jin and called himself ‘ChanguiJoongheung Daejang(倡義中興大將)’, and said that he would gather up the military and go up to Seoul to punish retainers of group to oppose war(主和派) and fight with the Later Jin in Uijoo(義州). However, Jin Geuk-il(陳克一), a Confucian without official rank in Hoengseong(橫城) and Hong Bo(洪寶), the governor of Wonju(原州牧使) informed situation of rebellion to the Court. Especially, Hong Bo gathered soldiers before taking action by the Court and caught Lee In-geo.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on group of Lee In-geo, there was a statement that “a true lord(眞主) exists”. But he overlooked this statement. This is because he did not want to get royal clansmen to suffer in regards to the rebellion of Lee In-geo. On the other hand, so called ‘the rebellion of Yoo Hyo-lip(柳孝立)’ occurred in January, 1628(Injo 6). Yoo Hyo-lip etc., saying secret orders of Queen Mother and King Gwanghaegun, made Gwanghaegun another King and tried to have the honor of having Inseonggun(仁城君) as King. Injo ordered to burn statement to describe crime related to Yoo Hyo-lip to protect royal clansmen again. To Injo, it was no different from ‘Deposing mother and killing younger brother(廢母殺弟)’ of Gwanghaegun to punish royal clansmen only with simple statement and rebel’s statement. However, there was a statement that “a true lord exists” in regards to the rebellion of Lee In-geo. In the rebellion of Yoo Hyo-lip, he tried to have the honor of having Inseonggun as King. So public opinion at the time recognized that the two events were connected. As a result, investigation was made again on the group of Lee In-geo who stated that “a true lord exists”. In the end, Injo ordered exile and then suicide to Inseonggun. Since then, Injo held Hoimaengje(會盟祭) together with Somu meritorious retainers(昭武功臣) who contributed to suppress the rebellion of Lee In-geo and Nyeongsa meritorious retainers(寧社功臣) who contributed to suppress the rebellion of Yoo Hyo-lip etc. Two Nokhoons were integrated to one, 『Somunyeongsarokgwon Dogamuigwe(昭武寧社錄券都監儀軌)』. As the result of the Later Jin invasion of Joseon, Joseon could not discuss longer about criticism on Gwanghaegun’s betray of ‘Grace to save ruined nation(再造之恩)’ which was justification for Injo coup. Rebellion of Lee In-geo(李仁居) just after the Later Jin invasion of Joseon painfully pointed out self-contradiction of subject forces for Injo coup. And in the rebellion of Lee In-geo, rebellion of Yoo Hyo-lip etc., Inseonggun who was one of royal family was killed based on simple statement and rebel’s statement. This overshadowed criticism on ‘Deposing mother and killing younger brother(廢母殺弟)’ of Gwanghaegun which was another great justification. This also made lose cause of Injo coup.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조선은 後金과 형제관계의 맹약을 맺었다. 그러나 후금과의 맹약은 인조반정의 명분 중 하나였던 광해군의 대외정책에 대한 비판을 잃어버리는 것이었다. 따라서 후금과의 강화에 반대하는 주장이 계속되었다. 1627년 9월에 발생한 ‘이인거의 난’은 정묘호란 직후 후금과의 강화에 반대하여 일어난 최초의 역모 사건이었다. 이인거는 후금과의 강화에 분개하여 스스로 ‘倡義中興大將’이라 하고는 군사를 모아 서울로 올라가 主和派 신료를 처단하고 義州로 나가 후금을 막겠다고 성언하였다. 그렇지만 橫城의 幼學이었던 陳克一과 原州牧使 洪寶가 반란의 정상을 조정에 알렸고, 특히 홍보는 조정의 조치 전에 군병을 모아 이인거를 붙잡았다. 인조는 이인거의 무리를 취조하는 과정에서 “眞主가 있다”는 진술이 나와 문제가 되었음에도 이러한 진술을 묵과하였다. 인조는 이인거의 난과 관련되어 종친이 피해를 입는 것을 바라지 않았다. 한편 1628년(인조 6) 1월에는 소위 ‘柳孝立의 난’이 발생하였다. 유효립 등은 대비와 광해군의 밀지를 운운하며 광해군을 上王으로 삼고 仁城君을 추대하고자 하였다. 인조는 유효립의 공초를 불태우라고 명령함으로써 또다시 종친을 보호하려고 하였다. 인조에게 있어 단순한 고변과 역적의 진술만으로 종친을 처벌한다는 것은 광해군의 ‘廢母殺弟’와 다름이 없었다. 그렇지만 ‘이인거의 난’에서 “진주가 있다”라는 진술이 나오고, 유효립의 난에서 인성군 추대 시도가 나오면서, 당시의 여론은 두 사건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인식하였다. 따라서 “진주가 있다”고 진술하였던 이인거의 무리에 대한 재국문이 이루어졌다. 결국 인조는 부득이 인성군의 유배와 자결을 명하였다. 이후 인조는 이인거의 난을 진압하는데 공을 세운 昭武功臣과 유효립의 난을 진압하는데 공을 세운 寧社功臣 등과 함께 會盟祭를 거행하였으며, 두 차례의 녹훈을 한 차례로 하여 『昭武寧社錄券都監儀軌』를 만들었다. 정묘호란의 결과 조선은 인조반정의 명분이었던 광해군의 ‘再造之恩배반’이라는 비판을 더 이상 논할 수 없게 되었다. 정묘호란 직후 일어난 이인거의 난은 인조반정 주체 세력들의 자기모순을 뼈아프게 지적한 셈이 되었다. 그리고 이인거의 난과 유효립의 난 등 역적의 고변과 진술만으로 왕실의 일원인 인성군을 죽인 것은 인조반정의 또 다른 대명분이었던 광해군의 ‘폐모살제’에 대한 비판을 무색하게 만들었고 인조반정의 명분을 스스로 잃어버리게 하는 것이었다.

      • KCI등재

        누르하치의 두만강 유역 번호 침탈과 조선의 대응 고찰

        한성주 만주학회 2016 만주연구 Vol.- No.22

        Nurhachi's power was expanding to the Tumen River basin during Imjin War (1592). More than simply a military action aim at conquest and consolidation, he wanted to expand his influence and subjugate the Jurchens. During this time, in 1607, the Nurhachi army defeated the Bujathai military at Jongseongjin Ogalam (鍾城鎭 烏碣巖) ending with the elimination of boundaries of the Joseon. The Nurhachi, who was beginning to abolish many at the Tumen River basin, hoped for friendly relations, but also wanted to expand his power through the Tokai (東海) Region and dispatched military forces several. Thus, the victory at Ogalam and the eradication of boundary Jurchens at the Tumen River basin became the basis of integration of the East Sea with the opening of Jebu (諸部). Joseon eventually figured out the Manchuria regional situation. At the same time, Joseon had to strategize a diplomatic and military response. In essence, the Joseon had two diplomatic recourses. The indirect way was to suppress a Nurhachi's invasion through the Ming. The other was to send a vice minister and translator to Geonjuwi. In addition, the Joseon had also devised a strategy to defend the castle with firearms and trained cannon soldiers. Joseon also prepared for a full-scale invasion through the defense system re-organization of Pyeongando(平安道), Hamgyeongdo(咸境道) capitol. 임진왜란 전후부터 누르하치[奴爾哈赤, Nurhachi]는 직간접적으로 두만강 유역에까지 진출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본격적인 군사 행동을 통한 통합과 정복보다는 자신의 세력을 확장하고 주변의 여진인들을 복속시키기 위한 시도였다. 임진왜란 후 두만강 유역의 조선 번호를 침탈한 것은 울라[烏拉, 烏喇]의 부잔타이[布占泰, Bujantai]였으나, 부잔타이의 침탈을 받던 여진인들은 누르하치에 대한 귀순을 선택하였고, 이것은 결국 누르하치의 적극적 개입으로 이어졌다. 누르하치는 군사를 보내 피오성[縣城]의 사람들을 옮겨 오도록 했는데, 이것은 두만강 유역의 번호를 建州衛로 이주시키는 최초의 시도였다. 이 과정에서 1607년 누르하치의 군사가 부잔타이의 군사를 조선의 경내인 鍾城鎭 烏碣巖에서 격파하였고, 마침내 조선의 번호들을 철폐하기 시작하였다. 두만강 유역의 번호들을 철폐하기 시작한 누르하치는 조선과 우호적인 관계를 희망하면서도 東海 지역으로의 세력 확장을 시도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군사를 파견하였다. 따라서 오갈암에서의 승리와 두만강 유역 번호 철폐는 여진 諸部 및 동해 여진을 통합하는 기초가 되었다. 한편 조선은 만주 지역의 정세를 파악하는 한편 누르하치에 대한 외교적․군사적 대응을 고심했는데, 특히 외교적 대응은 명을 통해 누르하치의 침탈을 억제하는 간접적인 교섭과 건주위에 조선의 差官과 譯官을 파견하는 직접적인 교섭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조선은 火器를 중시한 守城 중심의 방어 전략으로의 수립과 전환이 있었고, 砲手를 양성하는 한편 평안도와 함경도 내륙의 방어, 수도권 방어 체제에 대한 정비 등을 통해 누르하치의 騎兵과 전면적 침입에 대비하기 시작하였다.

      • KCI등재

        조선 세조대 ‘女眞 和解事’에 대한 연구 - 申叔舟의 파견을 중심으로 -

        한성주 동북아역사재단 2012 東北亞歷史論叢 Vol.- No.38

        The Uryangkhad (兀良合) and the Odoli (斡朶里) moved southward to the current Southern Manchurian area to escape from the invasion of Oljeokhap (兀狄合). Since that, time conflict and struggle were repeated. The representative event of this conflict and struggle was the defeat of Tong Monqke Temur (童猛哥帖木兒), the head of the Odoli. The conflict sometimes caused a movement of reconciliation, but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世宗), it was decided to disperse power and to divide the Jurchen to be more helpful in the defense of the six commanderies rather than to seek reconciliation or integration. The Joseon’s policy began to change along with the reign of King Sejo (世祖). He stressed the legitimacy of the enthronement by noting the so called “heavenly calling,” which was also stressed in his diplomacy. King Sejo promoted the “Jurchen Reconciliation” (女眞 和解事) by dispatching Shin Sukju (申叔舟). This was made by boasting of the newly established power’s legitimacy even though it was caused by the conflicts between the Jurchens. Shin supervised the “Jurchen Reconciliation” in the six commanderies in Hamgil Province (咸吉道) for 80 days. First, he visited the five commanderies near the Tumen River in person and attracted that participation of various chiefs of the Odoli and the Uryangkhad. In the next place, he sent the intention of King Sejo to Uryangkhad leaders (諸種兀狄哈) in a translated into the Jurchen language. When he sent that letter, he used chiefs who had deep relations with Joseon. Finally, he attempted to get compassion from those leaders by giving a cordial reception of wives and children of captured Uryangkhad. Finally,the “Jurchen Reconciliation” was successful due to the participation of the Uryangkhad. However, Ming China objected to the diplomatic relations of the Jurchens of the three commanderies in Jianzhou (建州三衛) with Joseon, and the fact that Nangpaeahan (浪孛兒罕), a supporter of Joseon, interfered in the reconciliation and betrayed Joseon transformed the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Ming China and the Jurchen. Joseon accepted the request of Ming China regarding the Geonjusamui of Amnok River and declared not to make a communication with them. However, Joseon beheaded the family of Nangbalahan in Amnok River. Although Ming raised the issue of the punishment of Nangpaeahan, Joseon tried to conquer the Moryeonui (毛憐衛). Accordingly, Joseon’s recognition of the Amnok River and the Tuman River basin seemed different. Such recognition took place right after the foundation of Joseon. Since then, it was linked to Gongheomjin (公險眞), which Yun Gwan (尹瓘) of Goryeo had opened after the dispute with Ming China regarding the naming of Jurchen groups. And Joseon had in mind that the north of Tuman river basin,unlike the Amnok River basin, could be incorporated into Joseon’s territory by installing a commandery directly. Thus, the Jurchen in the adjacent areas of The six commanderies north of Tuman River basin intended to comply with the regulations and instructions of Joseon. While the Jurchen Reconciliation during King Sejo’s reign was executed to bring stability in the Tuman river basin, it was conducted under this recognition and background.

      • 무릉등처안무사 김인우의 활동에 대하여

        한성주 한국이사부학회 2020 이사부와 동해 Vol.16 No.-

        김인우(金麟雨)의 생몰년은 알 수 없지만, 그는 삼척(三陟) 사람이며, 조선 초기 안무사(安撫使)로 우산무릉등처(于山武陵等妻)에 세 차례나 다녀온 인물이다. 김인우는 고려말 삼척에 왜구가 침입하였을 때 남은(南誾)의 휘하에서 왜구 격퇴의 군공을 세웠던 삼척의 토착군인이었다고 보여지며, 이후 안인포만호, 판장기현사를 역임하였다. 왜구 격퇴와 수군 운영과 방어의 경험, 우산무릉과 가까운 삼척 사람이 라는 점이 김인우가 안무사로 발탁되어 우산무릉등처에 다녀오게 된 배경이었다고 할 수 있다. 김인우의 우산무릉등처 파견은 1416년(태종 16), 1417년(태종 17), 1425년(세종 7)에 이루어졌는데, 이것은 그의 역할과 관련하여 구분이 필요하다. 1차인 1416년의 파견은 직접적인 안무(按撫) 활동으로, 그 목적은 무릉도의 두목(頭目)을 깨우쳐서 데리고 오는 것이었다. 그런데 무릉등처 안무의 필요성이 김인우에 의해서 적극적으로 제기되었으며, 그 안무를 실행한 최초의 실무책임자가 김인우였다. 김인우를 무릉등처안무사로 삼은 1차 파견은 조선의 구체적인 무릉도 안무를 보여주는 최초의 사례였다. 1417년과 1425년에 이루어진 2 · 3차 파견의 목적은 ‘거민쇄출(居民刷出)’이었다. 김인우는 1차 파견에서 거주민 3명을 데리고 오고, 호구와 인구수를 조사하였는데, 이것이 ‘거민쇄출’의 배경이 되었다. 조선에서는 재차 김인우를 안무사로 삼아 다시 우산무릉등처에 들어가 그곳의 백성들을 거느리고 육지로 나오게 하였다(2차 파견). 그런데 다시 무릉도에 남녀 28명이 도망하여 들어가자, 8년 뒤인 1425년에 김인우를 안무사로 삼아 그들을 다시 쇄환하게 하였다(3차 파견). 김인우는 안무사로 조선의 ‘거민쇄출’ 정책을 두 차례에 걸쳐 수행한 실무책임자였다. 김인우의 3차 파견은 ‘거민쇄출’을 목적으로 했지만, 이미 태종 때 주민들을 육지로 나오게 한 이후 세종 때에 다시 각종의 역을 피하기 위해 우산무릉도에 숨어 들어간 사람들을 찾아내서 잡아오는 역할을 하였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김인우의 마지막 안무사로서의 활동, 즉 3차 파견의 복명 기록은 ‘수포(搜捕)’라는 용어를 쓰 로 있다. 따라서 김인우의 우산무릉등처의 안무사로의 활동은 ‘안무(按撫) → 거민 쇄출(居民刷出) → 수포(搜捕)’로 이어졌고, 이것은 조선 후기 ‘안용복 사건’ 이후 조 선의 우산무릉등처에 대한 수토(搜討) 정책으로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Kim In-Woo had lived in Samcheok(三陟), though it was not known when he was born and passed away. He had visited WoosanMooreung and such(于山武陵等妻) even three times as Anmusa(安撫使) in the Early Joseon period. Kim In-Woo was a soldier who contributed to defeating Japanese invaders under the command of Nam Eun(南誾)in the Late Goryeo. He also had careers of Aninpo Manho(安仁浦萬戶), Panjanggihyunsa(判長鬐縣事). Kim In-woo was appointed as Anmusa considering that he had experience to defeat Japanese invaders and to operate naval forces. Furthermore, he lived in Samcheok near Woosan Mooreung. Kim In-woo was sent to WoosanMooreung and such three times - 1416(the 16th year of Taejong), 1417(the 17th year of Taejong), 1425(the 7th year of Sejong). The purpose of the dispatches is different each other. The purpose of the first dispatch in 1416 is to cultivate a boss of Mooreungdo and bring him to the mainland. The necessity of pacifying Mooreung and such was actively suggested by Kim In-Woo. The first person in charge of pacifying Mooreung and such was Kim In-Woo. The first dispatch to Mooreung and such by Kim In-Woo as Anmusa was the first example to show concrete pacifying of Mooreungdo in Joseon. The purpose of the second and third dispatch in 1417 and 1425 was to bring residents to the mainland(居民刷出). In the first dispatch, Kim In-Woo brought three residents and surveyed number of houses and population of Mooreungdo. This was a background of ‘bringing residents to mainland(居民刷出)’ in Mooreungdo. Joseon government sent Kim In-woo as Anmusa to WoosanMooreung and such again(the second dispatch). He brought people to the mainland. But 28 women and men ran away to Mooreungdo. So 8 years later, Kim In-woo was sent as Anmusa in 1425 (the third dispatch) and they were brought to the mainland again. Kim In-woo was in charge of pacifying the island, carrying out policy of ‘bringing residents to mainland(居民 刷出)’ two times. The third dispatch aimed to ‘bringing residents to mainland (居民刷出)’ . However, it is thought that Kim In-woo played a role to arrest people who ran away to WoosanMooreungdo in Sejong period and stayed there to avoid various duties - they brought to the mainland in Taejong. Accordingly, his mission(復 命) record for the third dispatch, his last activity as Anmusa shows the term ‘seek and arrest(搜捕)’. Activity of Kim In-woo as Anmusa can be summarized thus - ‘pacifying(按撫) → bringing residents to mainlan(居民刷出) → seek and arrest(搜捕)’. This would be related to the policy to patrol periodically(搜討) for WoosanMooreung and such in Joseon after ‘An Yong-bok(安龍福) activity’ in Late Joseon.

      • KCI등재

        조선시대 접경공간의 시대적 변동양상 연구 -압록강 · 두만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성주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19 중앙사론 Vol.0 No.50

        The study tried to get overall outline on historical changes in northern border region of Joseon dynasty. Especially, this is about change of border region's space, its features, and modern modification, focusing on the Yalu and Tumen River basin. Ming dynasty continuously had conflicts with Gorye and Joseon, advancing into Liadong(遼東) in the times of Hongwu Emperor(洪武帝) and Yongle Emperor(永樂帝). In particular, Ming in the times of Yongle Emperor intended to subject Jurchen in the Yalu and Tumen River basin, using Wei-suo(衛所) system in the times of Yongle Emperor(永樂帝). It was not incorporation for complete territory and domain but a method to allow public post of Wei-suo to Jurchen tribal chief and guarantee friendly relation with Ming. Joseon also introduced the Chinese style on Jurchen in the Yalu and Tumen River basin. Joseon exercised more active influences on Jurchen in the Tumen River basin. Jurchen in the Yalu and Tumen River basin was controlled by Ming and Joseon while they maximized their profit, positively using friendly relation policy with the two countries and invading Joseon and Ming. As invasion from Jurchen had intensified, Joseon and Ming conquered Jurchen village. This pattern was general phenomenon in the 15th and 16th century. Nurhaci founded Later Jin, uniting Jurchen in the Manchuria. It means that flow of changes begun in border region affected Joseon and Ming on the contrary. Qing made the treaty of Nerchinsk with Russia for the first time as a national border treaty with other country. As an influence of Nerchinsk treaty, border line between Joseon and Qing along the Yalu and Tumen River was fixed, constructing Baekdu Mountain boundary monument(白頭山定界碑). The Yalu and Tumen River were reorganized as modern border region space of Joseon and Qing by construction of Baekdu Mountain boundary monument(白頭山定界碑). But Baekdu Mountain boundary monument was not constructed based on border talks or treaty but based on investiture relation through paying tribute, using superior status of Qing. Policy to prevent entering a certain place(封禁) was same, which was a one-sided measure. This also affected border region of the Yalu and Tumen River basin. Construction of Baekdu Mountain boundary monument and Policy to prevent entering a certain place(封禁) by Qing shows that traditional recognition of Qing about border region in Manchuria had continued. Meanwhile boundary(定界) of Baekdu Mountain boundary monument only borrowed outer appearance that delimits boundary in the modern way. Therefore it shows dual aspects that modern delimitation of boundary and traditional recognition on border region coexisted. 본고는 조선시대 북방 접경공간의 시대적 변천 양상에 대한 전체적인 윤곽을 그려보려고 하였다. 특히 압록강·두만강 유역을 중심으로 접경 공간의 변화와 특징, 그리고 근대적 변용 양상을 찾아보려고 하였다. 明은 洪武帝와 永樂帝 시기에 遼東으로 진출하면서 高麗·朝鮮과 연이은 갈등 관계를 일으켰다. 특히 영락제 시기 衛所제도를 이용하여 압록강·두만강 유역의 女眞人들을 복속하려 하였지만, 이것은 완전한 영역과 판도로서의 편입이 아니라 여진 酋長에게 위소 관직을 수여하고 明에 대한 통교권을 보장해 주는 방식이었다. 조선 역시 압록강·두만강 유역의 여진인들에게 중국의 방식을 차용하였는데, 두만강 유역의 여진인들에게 보다 적극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압록강·두만강 유역의 여진인들은 明과 조선의 통제를 받으면서도 양국의 통교정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이익을 극대화하였으며, 조선과 明을 침입하며 성장하였다. 여진인들의 침입이 격화되면 조선과 明은 여진 부락을 정벌하였는데, 이러한 패턴은 15∼16세기에 걸쳐 일어난 일반적 현상이었다. 누르하치는 만주 지역의 여진인들을 통합하여 後金을 건국하였는데, 이것은 주변 접경공간에서 시작된 변화의 흐름이 반대로 조선과 明에 영향을 주는 것이었다. 淸은 러시아의 남하로 네르친스크 조약을 맺어 최초로 국가 간 국경조약을 체결하였고, 네르친스크 조약의 영향으로 조선과도 白頭山定界碑를 건립하여 압록강·두만강을 국경으로 정하였다. 백두산정계비 건립으로 압록강과 두만강은 조선과 淸의 근대적 접경공간으로 재편되었다. 그러나 백두산정계비는 국경 회담이나 조약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전근대 朝貢冊封관계를 바탕으로 淸의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건립된 것이다. 淸의 일방적 조치였던 封禁정책도 마찬가지였는데, 이 역시 압록강·두만강 유역의 접경공간에 영향을 주는 것이었다. 淸의 백두산정계비 건립 및 봉금정책의 실상은 淸의 滿洲 지역에 대한 전통적인 접경공간에 대한 인식이 계속되어왔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더불어 백두산정계비의 定界는 국경을 획정하는 외피만을 근대적으로 차용하였을 뿐이어서 근대적 국경 획정과 전통적 접경 공간에 대한 인식이 공존하는 이중적 모습을 보여준다.

      • KCI등재

        조선 태종대 覺林寺의 중창에 대하여

        한성주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60

        The site of Gaklimsa temple(覺林寺) that had existed in Ganglim-myeon, Hoengseong-gun, Gangwon-do is extant. It is assumed through excavated roof tile fragment that Gaklimsa temple had existed from the Unified Silla dynasty. Gaklimsa temple was in disrepair in the end of Goryeo. But Shinjo(神照) close to Lee Seong-gye(李成桂) had ever sojourned there. Lee Bang-won(李芳遠), the fifth son of Lee Seong-gye studied at the temple in 13 years old. In the reign of Taejong, Gaklimsa temple was reconstructed and re-reconstructed under support from Taejong. Taejong had a special relationship with chief monks at the temple. Gaklimsa temple was reconstructed and completed in 1412. Taejong executed military training in Hoengseong and specially paid a visit to Gaklimsa temple. Especially, Taejong gave much support for reconstruction of Gaklimsa temple. He visited the temple again, partly for military training. Then he also promised to let Buddhist assembly to celebrate completion of reconstruction be held when the work to rebuild the temple will be completed. At last Gaklimsa temple was reconstructed in 1417. As Taejong promised, magnificent Buddhist assembly to celebrate completion of reconstruction was held. Taejong sent Byeon Gye-rang(卞季良) to cerebrate completion of reconstruction. Taejong also wished good fortune of royal family, peaceful and stable world. Thus, reconstruction and re-reconstruction of Gaklimsa temple was made under support from Taejong, that is, support from nation and royal court. This was possible because Taejong studied there in his younger times. 江原道 橫城郡 講林面에 있었던 覺林寺는 현재 그 터만 남아있지만, 출토되는 瓦片 등을 통해 통일신라시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각림사는 고려 말에 황폐해져 있었으나 李成桂의 측근이었던 神照가 머물기도 하였고,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이었던 李芳遠이 13세의 나이에 각림사에서 공부하였다. 태종 시기에 각림사는 重創과 再重創이 이루어졌는데, 이것은 태종의 지원 아래 이루어진 것이다. 태종은 각림사의 住持들과 특별한 관계를 맺고 있었고, 각림사의 중창에 많은 지원을 하였다. 이에 각림사는 1412년(태종 13)에 중창하여 落成하였다. 또한 태종은 횡성 지역에서 講武를 실시하면서 특별히 각림사에 행차하기도 하였다. 특히 태종은 각림사의 재중창에 역시 많은 지원을 하였는데, 강무를 겸해 각림사에 재차 방문을 하였다. 그리고 각림사에 방문해서는 각림사가 중창되면 落成 法會를 열어줄 것을 약속하였다. 마침내 1417년(태종 17) 각림사의 재중창이 이루어졌고, 태종의 약속대로 성대한 낙성 법회가 개최되었다. 태종은 각림사의 낙성 법회에 卞季良을 보내어 각림사 중건을 축하하고 왕실의 복됨과 세상의 태평 및 안정을 소원하였다. 이렇듯 각림사의 중창 및 재중창은 태종의 지원, 즉 국가와 왕실의 지원 아래 이루어졌는데 이것은 태종이 어렸을 때 각림사에서 修學한 것에 기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