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문화의 맥락에서 본 교육의식: 한국사회에서 교육적 성취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

        한성열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4 No.1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gative circumstances of Korean education and to provide some suggestions in terms of cultural psychology. Researcher considered the negative situation as Han(恨) to Korean people and analyzed it with the cultural psychological theories. In Korean culture, Han(恨) could be overcome by Shinmyeong which is known as a Korean unique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 According to results of a recent research, Han has been thought that it was the negative feeling from loss of self-worth, and Shinmyeong might be the feeling related with retrieval of self-worth. On the base of discussion about Shinmyeong, several psychological solutions to negative circumstances of Korean education were proposed.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교육현실의 기저에 존재하는 한국사람들의 교육의식과 현재의 상황이 한국사람들의 마음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현재의 부정적인 상황을 전환하기 위한 방안을 문화심리학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집합주의 문화권에 속하는 한국사람들은 자신들의 부정적인 현재 상황을 내부귀인할 확률이 크며, 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자신이 기울일 수 있는 노력, 즉 교육에 모든 힘을 기울일 것이다. 또한 유교적 전통과 가족중심적 사고의 영향으로 부모는 자녀의 학업적 성취를 통해 자신의 욕구를 대리적으로 해결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교육의식은 학생들의 자율적 동기를 저해할 뿐 아니라 학부모의 경제적, 심리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공교육을 고사케 하는 등의 부정적 결과를 야기한다. 즉, 현재 한국의 교육현실은 학생들과 교육기관뿐만 아니라 학부모 모두에게 한(恨)으로 지각될 소지가 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을 극복하는 한국의 문화적 기제인 신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재의 교육현실을 극복하고, 교육장면에서 학생들뿐만 아니라 교육자 및 학부모들이 모두 신명을 경험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전통 상장례의 문화콘텐츠 활용 불교 상장례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한성열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0 애니메이션연구 Vol.16 No.3

        The storytelling and music contents such as a funeral song (a dirge) have mainly been the subjects of the cultural contents of tradition Funeral. In addition, the funeral is also used as a source material for various cultural contents such as plays, movies, dramas, plays, and animations. In this field of study, it shows that the funeral culture can carry out a certain amount of function. We need to suggest the meaning of death through humanities refl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erly understand the death and have a natural attitude to it. In order to pass down the cultural content in Buddhist Funeral, first, it should seek to new measures to activate the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e. It is a matter that should be avoided to follow the phenomenon that the traditional entertainment events are inevitably staged by professional transmitters, but not transmitted in the living field. In addition, it is not advisable to research and study confined to the functions and entertainments regulated by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Second, it requires a flexible learning process. Excessive emphasis on complex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 hinders the variability of intangible heritage. It is necessary to keep the principle of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 but to recognize the flexible learning process. Third, it needs to expand infrastructure that will promote social demands. There is no exclusive space for foreign tourists as well as Koreans, so we need a dedicated space to show our traditional performances. Fourth, it should strengthen the educational foundation for performing and passing down the funerals. In particular, it is an intangible heritage useful for fostering community awareness in youth personality education. Fifth, it should create representative tourism contents with intensive investment. It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sublime a place of sadness, a funeral, into a festival. 전통적인 상장례의 문화콘텐츠는 주로 스토리텔링과 상엿소리(만가) 등의 음악콘텐츠가 주 연구의 대상이되어 왔다. 그 밖에도 연극·영화·드라마·희곡·애니메이션 등 여러 문화콘텐츠에서도 상장례를 원천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이는 이 분야 연구에서 상장례 문화가 일정 정도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우리는 죽음에 대한 의미를 인문학적 성찰을 통해 제시할 필요가 있다. 죽음을 제대로 이해하고 자연스럽게 대하는 태도를 갖자는 것이 본고가 지향한 목표이다. 불교 상장례 문화콘텐츠의 전승을 위해서는 연구결과, 첫째, 무형문화의 전승 활성화에 대한 새로운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오늘날 전통예능 종목들이 생활현장에서전승되는 것이 아니라 불가피하게 전문 전승자에 의해 무대 종목화 되어 전승되고 있는 현상을 답습하는 것은 지양되어야 할 문제이다. 또 문화재보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능·예능에 국한시켜 조사·연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둘째, 융통성 있는 전수과정이 요청된다. 원형유지 원칙에 따른 사승관계를 지나치게 강조하면 무형유산의 가변성을 저해한다. 원형의 유지 원칙은 유지하되, 융통성 있는 전수과정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적 수요를 진작시킬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 내국인은 말할 것도 없고 외국관광객에게 보여줄 전용공간도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우리의 전통공연을 보여줄 전용공간이 필요하다. 넷째, 상장례를 공연 및 전승시키기 위한 교육 기반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청소년 인성교육에서 공동체 의식을 키우는 데에 무형유산만큼 유용한 자원도 없다. 다섯째, 집중적인 투자로 대표적 관광콘텐츠를 만들어야 한다. 상장례라고 하는 슬픔의 장을 축제의 장으로 승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말이다. 따라서 이제는 상장례 문화에 대한 현대적 개념의 문화콘텐츠화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법의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아울러 이러한 연구는 한국의 상장례 문화콘텐츠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인문학적 접근의 토대 마련에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몰입의 부정적 기능: 중요타인과의 관계적 맥락을 중심으로

        한성열,장훈 여가문화학회 2010 여가학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unction of flow in relational context. Previous studies on the function of flow suggested that flow has a positive effect on personal growth and happiness in individual context. However, early studies were only focused on individual context and aspect.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function of flow c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exts. To verify this assumption,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negativity of individual flow in relational context. Results of the study1 demonstrated that there was a negative effect of flow in everyday context that approximately 30% of participants(N=1805) were experienced relational conflicts for flow. In detail, 34.8% reported conflicts for other's flow pursuing in close relational context and 23.4% were perceived other's negative feelings for one's flow pursuing in close relational context. Flow conflict also statistically differed in flow domains. Study2 showed results that previous flow studies context was an individual context assuming significant other's conceding on flow and the function of flow changed negative on significant other's disapproval. These results discussed in social compatibility of personal flow. 본 연구는 기존의 몰입연구가 중요타인의 인정이라는 맥락을 전제한 상태에서 이루어져 긍정적으로 편향되었다는 점과 관계의 맥락이 추가되면 개인적 몰입이 부정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탐색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두 가지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대규모 조사를 통해 일상적인 맥락을 포괄한 상태에서 개인의 몰입이 중요타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일상적인 맥락의 30%수준에서 개인의 몰입은 상대방에게 상대방의 몰입은 개인에게 부정적인 영향이 있음이 나타났고, 몰입영역에 따라 부정적인 영향의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기존의 몰입연구가 중요타인의 인정을 전제로 진행되었다는 점과 인정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몰입의 개인적 효과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의 몰입연구 조건(통제조건)은 중요타인이 개인의 몰입에 대해 긍정 혹은 보통의 태도를 취하는 맥락과 유사한 상태였다. 중요타인이 개인의 몰입에 부정적인 태도를 취할 때는 개인의 긍정적인 정서가 감소함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당사자가 몰입이 타인에게 부정되면 타인뿐 아니라 자신에게 몰입이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은 추후 연구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고, 이와 관련된 부분을 논의 하였다.

      • 노인들의 과거에 대한 투자와 회상의 기능

        한성열 고려대학교 행동과학연구소 1986 行動科學硏究 Vol.8 No.1

        This study represents the first attempt to adapt the naturalistic, observational research design to investigate elderly people's time investment on the past and the function of reminiscence by analyzing the spontaneous conversations under natural setting. The subjects consisted of 22 Korean elderly males who emigrated to U.S.A. The results showed that in spontaneous conversations under natural setting, elderly people spent more time talking about the topics of the present than talking about the remote past (reminiscence), and that they used reminiscence as a way of story-telling and information exchange frequently more than either as a way of life-review or as a way of maintaining and enhancing the present self. Two reasons of this were assumed and further study was suggested.

      • KCI등재후보

        자기고양 편파와 심리적 적응의 관계에 대한 비교문화 연구

        한성열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3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9 No.2

        자기고양 편파와 심리적 적응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두 가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자기고양 편파를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척도를 제작한 후, 한국 대학생들의 자기고양 편파 경향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 대학생들에게서 자기고양 편파와 심리적 적응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 대상에 노동자를 포함시켜 개인주의 문화권인 독일과 비교한 연구 2에서도 한국인의 자기고양 경향과 심리적 적응의 상관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주의 문화권에서는 자기고양 편파 경향이 나타나지 않으며, 심리적 적응과도 관련이 없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상반된 것으로서 매우 흥미로운 현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자기고양 편파 경향의 문화적 차이를 좀더 심도 있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더욱 세련된 측정 방식과 다양한 비교문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wo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nhancement bia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In study 1, a scale for measuring the self-enhancement bias was construc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nhancement bia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was examined in Korean college stu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was significant in Korean college students. At study 2, college students and laborers in Korea and Germany participa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It was significant both samples. This is very interesting result because it is reverse the existing outcomes that there are no self-enhancement bias and no relationship between self-enhancement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in collective cultures. It is need to develop more refined measure tool and to do comparison with various cultures for more profound research on self-enhancement bias and cultural difference.

      • KCI등재후보

        한국사회의 신뢰와 불신에 관한 심리학 연구의 과제 및 제언

        한성열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1 No.특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eight researchers on the trust and mistrust of Korean society, and to suggest the tasks of psychological researches in terms of cultural psychological perspective. In traditional Korean culture, feeling of trust is emerged from the family relationship formed by the blood ties based on father-son relation. In this respect, the meaning of trust might be different from that of western culture, which is emerged from the market relationship formed by the contract based on husband-wife relation. Now, the Korean family seems to be disorganized rapidly, so in this sense, it is suggested that recent Korean society might be the trust-absent society rather than the mistrust society. Also,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psychological researches must be performed in the serious consideration of the indigeneous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이 글은 본 특집호에 게재된 여덟 편의 논문을 소개하면서 현재 한국 사회의 신뢰와 불신에 대한 연구의 과제를 문화심리학적 입장에서 제안한 것이다. 한국의 전통적 문화에서 신뢰는 혈연을 기초로 맺어진 부자 관계를 중심으로 한 가족적 관계에서 배태된 것이라는 점을 밝히고 계약에 의해 맺어진 부부 관계를 기반으로 한 시장적 관계에서 배태된 서양의 신뢰와는 서로 다른 의미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 이런 의미에서 전통적 가족 관계가 급하게 해체되어 가는 현재 한국 사회는 불신의 사회가 아니라 신뢰부재의 사회라고 명명하였다. 그리고 앞으로의 심리학적 연구는 이런 한국적 문화의 특성을 충분히 배려한 토착심리학적 고려를 바탕으로 수행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 KCI등재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대인관계와 문화적응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한성열,이종한,채정민,이영이,금명자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3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South Koreans and the North Korean defectors to identify mutual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traits, and to acquire adaptation capacity for the other's cultur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n we validated the effect of this group program. This program was based on the existing program even if that was not validated through research work. Actually this program was for encouraging the South Koreans and the North Korean defectors to acquire interpersonal ability through mutually dependent and cooperative work based on the equal status naturally and to adjust themselves to corresponding culture. Each session continued for 1.5 hour per week. And the sessions were done for 4 weeks. This research was analys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control group'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reatment group revealed significantly positive outcomes than control group. But, five participants among the North Korean defectors were dropped out in the course. So North Korean defectors' credibility got lowered. 본 연구는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이 상호 간의 문화와 개인적 특성을 파악하여 좀 더 원활한 대인관계 능력을 획득하고, 상대방 문화에 대한 적응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구성된 집단상담프로그램의 구성과 그 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기존 연구들에서 실제 검증되지 못한 프로그램들이 가진 장점을 최대한 반영하여 양측 주민들이 동등한 입장에서 상호의존적 협동 작업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대인관계 능력을 획득하고, 상대방 문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각 회기는 1.5시간씩이고, 총 4회기로 1주일 간격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사전-사후 조사에 의해 검증되었고, 통제군도 설정되어 있는데, 통제군에 비해 본 프로그램 참가군이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 단, 북한이탈주민 중 5명이 중도에 이탈하여 프로그램 효과 중 남한 주민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신뢰감을 낮추는 효과가 발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