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참여형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주민 퍼실리테이터 양성과정 수업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M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선미(Han, Sunmi),이희수(Lee, Heesu) 한국지역사회학회 2019 지역사회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Jarvis의 촉진적 교수법을 적용한 주민 퍼실리테이터 양성과정 수업운영 개선방안 도출에 두었으며, 실제 M시의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주민 퍼실리테이터 양성교육의 적용 결과에 따른 의미 있는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첫째, 도시재생사업에 참여할 주민 퍼실리테이터 양성교육은 경험학습의 관점에서 자비스의 촉진적 교수법이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둘째, 주민 퍼실리테이터 양성교육의 목적이 퍼실리테이터에게 필요한 개념 탐색과 태도 변화라는 점에서 교수자의 즉각적인 피드백과 적절한 개입이 수반된 퍼실리테이션 적용 기법이 바람직하다. 셋째, 교수자는 학습자 상호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협동학습을 통해 그들의 다양한 관점을 열어주고 사고를 확장시키는 노력과 함께 학습내용을 반복할 실습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향후 지방자치단체에서 주도하는 주민참여형 도시재생사업 추진을 위한 주민 퍼실리테이터 양성교육에는 통장, 주민협의체장, 부녀회장, 공무원 등 이해관계자의 참석이 요구되고, 교육 후에는 퍼실리테이터 학습동아리의 활성화 및 현장실습의 체계적, 지속적인 운영 등 지역 주도 교육체계 확립에 대한 시사점을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find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s that teachers can apply more effectively in the training of citizen facilitator needed for the promo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conducted by the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The teaching is based on the facilitative learning model proposed by Jarvis, P. First, the teacher should establish a teaching from an experiential point of view in that it is an adult learner. Second, the facilitative teaching of the teacher is needed. The teacher should move away from the unilateral knowledge delivery method for adult learners to create a suitable learning environment and act as a facilitator in the learner’s knowledge structure process. Third, the teacher needs to provide lecture opportunities to learners repeatedly, as well as to open various perspectives to learners and expand their thinking. In addition, the training of residents facilitator who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by the government or the local autonomous entities includes various persons involved in the grassroots local autonomy such as panel chairman, residents’ council, women’s chairperson, public servant. After completion of the training, it is necessary to create conditions for continuing and repeated practice of the contents of education through facilitation learning club activities at the local community level have.

      • KCI등재

        퍼실리테이터의 성장 과정 탐색 : 비가시적 권력 대응의 근거이론적 접근

        한선미(Han, Sunmi),이희수(Lee, Heesu)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퍼실리테이터의 성장 과정을 이론적 모형으로 제시하고, 퍼실리테이터가 비가시적 권력을 어떻게 대응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퍼실리테이터 11명을 대상으로 근거이론 접근 방법에 의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퍼실리테이터 성장 과정은 비가시적 권력의 갈등 대응을 위해 퍼실리테이터로서 성찰이라는 인지적 과정, 감정적 공감이나 지지의 정서적 과정, 사회적 상호작용이 통합되어 자신-관계-퍼실리테이션으로 변화한다. 둘째, 퍼실리테이터의 갈등 대응 과정은 비가시적 권력이 참여자에게 전이되지 않도록 상황에 따라 저항과 타협 그리고 수용을 반복하며 확인단계-대응단계-조정단계 과정으로 발전하는 순환구조로 나타난다. 셋째, 퍼실리테이터 비가시적 권력은 퍼실리테이터와 의뢰자, 그리고 퍼실리테이터와 참여자 간에 다르게 작용한다. 퍼실리테이터는 참여자에게 활동통제와 동시에 참여자 존중의 형태로 권력을 행사하면서 해방적 차원의 저항이 나타난다. 또 의뢰기관 간, 스태프 간에는 굳어진 갈등적 권력 관계에서 권력을 인식하면서 저항하거나 타협과 수용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는 퍼실리테이터의 불안정한 고용구조로 인해 의뢰기관이나 메인 퍼실리테이터가 일방적인 상황을 형성하고, 의뢰기관으로부터 메인 퍼실리테이터와 스태프에게로 권력이 전이되는 악순환을 반복하게 만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growth process of the facilitator as a theoretical model and to explore how the facilitator responds to invisible power.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study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was conducted with 11 facilitators. The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rocess of facilitator growth, the cognitive process of reflection as a facilitator, the emotional process of emotional empathy or support, and social interaction are integrated to respond to the conflict of invisible power and change into self, relationship, and facilitation. Second, the conflict response process of the facilitator appears as a cyclical structure that develops into a confirmation stage, a response stage, and a mediation stage, repeating resistance, compromise, and acceptance depending on the situation so that invisible power is not transferred to the participants. Third, the invisible power of the facilitator acts differently between the facilitator and the client, and between the facilitator and the participant. As the facilitator exercised power in the form of respect for the participant at the same time as controlling the activity, an emancipatory level of resistance appeared. In addition, while recognizing the power in the conflicting power relationship that has been fixed between the client agencies and the staff, they resisted or responded with compromise and acceptance. This creates a one-sided situation between the requesting organization or the main facilitator due to the unstable employment structure of the facilitator, and repeats a vicious cycle in which power is transferred from the requesting organization to the main facilitator and staf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