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OECD 국가의 교통부문별 에너지 효율성 비교 분석 - 에너지 원단위 분석법 및 맘퀴스트 분석법을 적용하여 -

        한상용,서영욱 한국교통연구원 2010 交通硏究 Vol.17 No.4

        The transport sector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a huge benefit in other industry sectors and national economic activity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the provision of mobility and accessibility and accounting for about 21% of domestic energy consumption and about 19% of greenhouse gas emissions(CO2 emissions). Therefore, in this respects, the evaluation of energy efficiency for the transport sectors is very important. However, the case study of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for evaluating energy efficiency of transport sectors in OECD countries have been a little performed.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erform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for evaluating energy efficiency of transport sectors(road, railway, aviation and navigation) in OECD countries from 1990 to 2007 using each energy consumption and actual transportation data. For this purpose, we specifically used the methodology for the evaluation of energy efficiency of passengers/freight and transport mode in the OECD countries in this paper, that is energy intensity method(energy efficiency index) and Malmquist approach(MPI,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Especially, we used energy consumption data and actual transportation data(passenger : passenger, passenger-㎞, freight : ton, ton-㎞) for transport sectors(road, railway, aviation and navigation) of the individual countries in order to estimate energy efficiency index and Malmquist Productivity Index(MPI) of transport sectors in OECD countries. Hereafter, it is estimated that this study plays an important role in offering suitable information for the decision of policy direction for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of transport sectors through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for energy efficiency of transport sectors(road, railway, aviation and navigation). 교통부문은 ‘이동성(mobility)’과 ‘접근 용이성(accessibility)’의 제공을 통해 타 산업부문 및 국가경제활동에 직․간접적으로 막대한 편익을 제공함과 동시에 국내 에너지 사용량의 21%,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19%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교통부문의 에너지 효율성에 대한 평가는 중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 OECD 국가들을 대상으로 교통부문 간 에너지 효율성을 평가한 연구 사례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OECD 국가의 교통수단별 에너지 소비량 및 수송실적 자료를 이용하여 OECD 국가의 교통부문별 에너지 효율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특히 국내뿐만 아니라 주요 OECD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다년간의 에너지 효율성 분석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원단위 분석법 및 맘퀴스트 분석법을 활용하여 국내를 포함한 OECD 국가의 교통부문별 에너지 효율성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국내외 에너지 효율성 평가 사례를 고찰하고, 국내를 포함한 OECD 국가별 여객/화물 및 교통수단별 에너지 효율성 평가를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OECD 국가의 교통부문별 에너지 효율성 원단위 및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MPI,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산정을 위해 개별 국가의 도로, 철도, 항공, 해운 등 교통부문별 에너지 소비량 및 수송실적(여객 : 인, 인-㎞, 화물 : 톤, 톤-㎞) 자료를 이용하였다. OECD 국가의 교통부문별 에너지 효율성 평가를 위한 연구방법론으로는 에너지 효율성 원단위의 산정을 위해서는 에너지 원단위 분석법(Energy Intensity Method)을 활용하였고,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MPI) 산정을 위해 비모수적 생산성 분석법인 맘퀴스트 분석법(Malmquist Approach)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교통부문별 에너지 효율성 평가를 통해 향후 교통부문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정책방향 설정에 있어 중요한 정량적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가상패널자료를 이용한 승용차 통행수요 탄력성 추정 연구

        한상용,이재민,김태승 대한교통학회 2012 대한교통학회지 Vol.30 No.2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onstruct pseudo-panel data set and estimate price and income elasticities of car travel demand, using 1995-2007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data, in order to provide quantitative information for analyzing related policy effects in the transport sector. We categorized household survey data into 14 cohorts based on the birth year of the household head. As the result, a total of 133pseudo-panel data sets was created for estimating price and income elasticities of car travel demand. Especially,price and income elasticities of car travel demand were separately estimated both short-term and long-term. We analyzed the panel model considering fixed effect within cohorts, using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previous year’s fuel consumption, real household income after tax, education level of the household head, the number of children under five, and the share of household type averaged by cohorts. As results, the short-term and long-term price elasticities of car travel demand were calculated as 0.2974-0.4280 and 0.4087-0.6275, respectively. Similarly,the short-term and long-term income elasticities were calculated as 0.3364-0.6281 and 0.7098, respectively. 가구의 지속적인 승용차 보유 증가로 인한 승용차 이용 증대는 교통부문에서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가구의 승용차 통행수요는 가구원수, 가구소득, 거주지역 등 다양한 가구특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이러한 가구특성 변수들이 승용차 통행수요에 미치는 영향, 즉, 가구의 승용차 통행수요에 대한탄력성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995부터 2007년까지의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가상패널자료를 구축하고, 이 자료를 토대로 패널모형을 추정하여 가구의 승용차 통행수요에 대한 장․단기 가격 및 소득탄력성을 추정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승용차 통행수요의 단기 가격탄력성은 0.2974∼0.4280, 장기 가격탄력성은 0.4087∼0.6275로 분석되었고, 단기 소득탄력성은 0.3364∼0.6281, 장기 소득탄력성은 0.7098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승용차 통행수요에 대한 장·단기 가격 및 소득탄력성 추정결과는 향후 교통수요관리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는 데 정량적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공공자전거 시스템 확대 보급을 위한 지불의사액 추정모형 비교 연구

        한상용,신희철,김동준 한국교통연구원 2013 交通硏究 Vol.20 No.2

        The public bike system have various economic benefits that can consist of user benefits (mobility and health improvement, transport cost reduction) and social benefits (the reduction of air pollution, noise, congestion, and bike accidents and the employment effect). Some of these benefits, however, have been underestimated or have never been reflected in public bike system projects in Korea. As a result, public bike system projects in some cities were delayed or abrogated without their economic benefits being assessed explicitly.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omparatively estimate the willingness-to-pay attached by the users for expansion of public bike system in the Changwon-city using a contingent valuation survey, aimed at providing policy-makers with useful information to make an informed public decision in introducing or expanding public bike system.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arefully designed and implemented to meet a number of recommendation rules suggested in the literature. This paper compares three models (single-bounded model, double-bounded model, and spike model) to estimate respondents' willingness-to-pay and economic benefits for expanding public bike system in the Changwon-city. The estimation results reveal that double-bounded model and spike model are superior in terms of WTP estimates' significance and economic benefits' confidence intervals to the single-bounded model. The overall results show that the respondents received the hypothetical scenario well and would be willing to pay yearly about 6,420~10,035 KRW for the proposed programme. The economic benefits stated by the public amounted to approximately 2.50~3.92 billion KRW per year. This quantitative information can be used in cost-benefit analysis for public bike system projects. 공공자전거 시스템은 개인적 편익(이동성 개선편익, 건강 증진편익, 교통비용 절감편익)과 사회적 편익(대기오염, 소음, 교통혼잡 감소, 자전거 사고 감소, 고용 창출 효과) 등 다양한 경제적 편익을 지니고 있으나, 이러한 편익들 중 일부 편익들은 국내 공공자전거 시스템 사업 시행에 있어 부분적으로 과소평가되거나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다. 그 결과, 일부 공공자전거 시스템 사업들은 공공자전거 시스템 편익이 정확하게 산정되지 않은 채 보류되거나 폐기되어 왔다. 본 논문의 목적은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적용하여 창원시의 공공자전거 시스템 확대 보급 프로그램 시행을 위한 이용자들의 평균 지불의사액을 추정함으로써 향후 공공자전거 시스템의 신규 도입 및 확대 보급 시 정책 결정자들에게 유용한 정량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관련 문헌들에서 제시하는 지침을 준수하여 조사계획을 수립하고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창원시의 공공자전거 시스템 확대 보급을 위한 평균 지불의사액과 경제적 편익 추정을 위해 단일경계모형, 이중경계모형 및 스파이크모형 등 3개 모형들을 추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중경계모형과 스파이크모형이 단일경계모형보다 평균 지불의사액 추정치의 유의성과 경제적 편익 추정치의 신뢰구간 측면에서 더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응답자들은 가상으로 설정된 시나리오를 잘 이해하였으며, 응답자들의 가구당 연평균 지불의사액은 6,420~10,035원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제안된 프로그램 시행에 의한 연간 경제적 편익은 25.0~39.2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정량적 정보는 향후 공공자전거 시스템 관련 사업의 비용-편익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국내 가구 교통비의 지출 구조 및 영향요인 분석

        한상용,이재훈 대한교통학회 2010 대한교통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1995~2007년까지의 도시가계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국내의 가구 교통비 지출구조를 분석함과 동시에 교통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하고, 교통비 지출에 의한 소득분배효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교통비 지출구조 및 소득효과 분석에 있어 경제학적 방법론의 적용과 탄력성 분석을 통해 다양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분석결과, 가구 교통비 지출 부담은 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에서 상대적으로 더 크고, 공공교통비보다는 개인교통비의 증가가 도시 근로자들의 교통비 지출액 증가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경제․사회 및 통행특성 등 가구 특성을 반영하는 다양한 요인들이 공공교통비, 개인교통비, 대중교통비용, 자가용 승용차 비용 등 4개의 개별 교통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교통비 지출은 소득 양극화를 가중시키고 있으며, 특히 공공교통비보다는 개인교통비 지출에 의한 부정적 영향이 상대적으로 큼을 알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expenditure structures and impact factors of household’s transportation cost in order to provide policy-maker with quantitative and economic information for reducing household’s transportation costs, using 1995-2007 household survey dat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erformed various economic analysis, including econometric regression analysis and income re-distributional effects. The four models were separately estimated with dependent variable (personal and public costs, public transit and private car costs) and independent variables (family, employ, age, education, cars, household income, region dummy variable). In addition, We analyzes impacts of transport policy instruments on the transportation expenditure. These instruments include changes of oil price and public transit fare, reform of public transport system, and extension of subway facilities. Finally, income re-distributional effects before and after transportation expenditure, using Pechman-Okner (PO) index and Wolfson index.

      • KCI등재후보

        OECD 국가의 교통부문 녹색 경쟁력 비교 분석

        한상용,서영욱 한국교통연구원 2011 交通硏究 Vol.18 No.4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omparatively evaluate the green competitiveness of transport sectors (road, railway, aviation and navigation) in OECD countries, using data on energy consumption,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air pollution. We propose political implications by evaluating green competitiveness of transport sectors for 1995-2007 period. We investigated numerous domestic and foreign cases and index methodologies,including the sustainable transportation index. As an unweighted evaluation result, the green competitiveness indices of domestic transport sectors (road, railway, aviation and navigation) in 2007 year ranks 25, 17, 25, 25, respectively. Weighted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the green competitiveness indices of domestic transport sectors (road, railway, aviation and navigation) in 2007 year rank 26, 16, 27, 23, respectively. These evaluation results are explained by low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maintenance costs as well as high road accident injuries and mortalities in relation to population and cars. This paper offers quantitative information that can be significant for determining policy directions for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by the transport sector. 본 연구의 목적은 에너지소비량, 온실가스 배출량,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등 OECD 국가 자료를 이용하여 OECD 국가의 교통부문별 녹색 경쟁력을 비교, 평가, 분석하는 데 있다. 특히 국내뿐만 아니라 주요 OECD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다년간의 녹색 경쟁력 분석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통부문 지속가능성 관련 지수 및 유사 분야의 관련 지표 산정방법 등을 벤치마킹하여 교통부문별 녹색 경쟁력 평가를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고 2007년 기준으로 국내 녹색 경쟁력 지수를 산정한 결과 도로부문 25위, 철도부문 17위, 항공부문 25위, 해운부문 25위, 교통부문 전체 23위를 나타내었고, 가중치를 적용한 경우 도로부문 26위, 철도부문 16위, 항공부문 27위, 해운부문23위, 교통부문 전체 23위를 나타내어 철도의 녹색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국내의 교통부문 녹색 경쟁력이 취약한 이유는 경제성 분야의 GDP 대비 교통부문별 기반시설 투자 및 유지비용이 상대적으로 낮고, 안전성 분야의 인구 및 차량 대비 도로교통사고 건수와 인구 대비 도로교통사고 부상자 및 사망자수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OECD 국가의 교통부문별 녹색 경쟁력 평가를 위해 에너지소비량, 온실가스 배출량,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및 녹색 경쟁력 지수 자료 등 다양한 평가지표들을 활용하여 국내외 교통부문의 녹색 경쟁력 지수 및 순위를 산정함과 동시에 다년간의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교통부문별녹색 경쟁력 평가를 통해 향후 교통부문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정책방향 설정에 있어 중요한 정량적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