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석과 존재-초기 프라이부르크 시절의 하이데거 철학 속에 나타난 해석학 개념의 신학적 기원에 관하여-

        한상연 ( Han Sang-youn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3 존재론 연구 Vol.33 No.-

        이 글의 주목적은 초기 프라이부르그 시절 하이데거 철학의 해석학적 전환은 그의 신학 연구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을 보이는 것이다. 특히 하이데거의 딜타이 및 슐라이어마허 연구가 중요했다. 하이데거는 딜타이와 슐라이어마허를 통해 존재의 존재론적 의미는 오직 현존재의 근원적 역사성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의 토대 위에서만 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던 것이다. 딜타이보다는 슐라이어마허가 하이데거에게 더욱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현존재의 역사성에 대한 존재론적 분석은 이론적 관심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 하이데거는 역사성 문제에 대한 딜타이의 접근은 이론적 관심에 의해 이끌렸다고 보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하이데거는 슐라이어마허의 종교철학이 이론적 관심과는 완전히 무관한 존재론적 방식으로 역사성 문제를 다루고 있다고 보았다. 물론 이로부터 하이데거의 딜타이 연구가 하이데거 철학의 해석학적 전환에 있어서 중요하지 않았다는 결론이 도출되는 것은 아니다. 하이데거를 슐라이어마허로 이끈 것은 바로 딜타이였던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the hermeneutic turn of Heidegger’s philosophy during his early Freiburg period was enabled by his study of christian theology. Heidegger’s study of W. Dilthey and F. Schleiermacher was especially important: Dilthey and Schleiermacher led Heidegger to realize that the ontological meaning of Being can be analyzed only on the ground of hermeneutic understanding of the fundamental historicity of Dasein. Schleiermacher’s influence on Heidegger was much more decisive than Dilthey’s. According to Heidegger, ontological analysis of Dasein’s historicity should be free from theoretical interest. And he believed that Dilthey’s analysis of historicity was led by theoretical interest. In contrast, Heidegger found in Schleiermacher’s philosophy of religion an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historicity which is completely free from theoretical interest. Of course, this does not mean that Heidegger’s study of Dilthey was not important for the hermeneutic turn of Heidegger’s philosophy. It was Dilthey who led Heidegger to Schleiermacher’s philosophy.

      • KCI등재

        시간과 초월로서의 현존재

        한상연(Sang-Youn Han) 한국현상학회 201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0 No.-

        이 논문의 목적은 칸트의 시간 개념에 대한 하이데거의 이해가 존재론의 발전에 있어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밝히는 것에 있다. 특히 ‘행위’로부터 ‘거주’로의 이행이라는 식으로 흔히 오인되어 온 하이데거 사유의 ‘전회’를 고려해 볼 때 하이데거가 칸트의 선험?초월론적 철학을 그 본질에 있어서 존재론적이라고 평가한 것은 하이데거 존재론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많은 연구자들이 ‘전회’를 선험?초월론적 철학으로부터 하이데거가 거리를 두기 시작함으로써 가능했던 것이라는 식으로 평가해 왔다. 하지만 이는 ‘전회’이전과 이후의 하이데거 철학의 차이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이다. 칸트적 시간개념에 대한 하이데거의 분석은 선험?초월론적 철학과 존재론 사이에 어떤 원리적 차이도 있을 수 없음을 잘 보여준다. 즉, 존재론과 선험?초월론적 철학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며, 하이데거의 존재론은 선험?초월론적 현상학 없이는 결코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다. 물론 하이데거에게 선험?초월론적 현상학은 훗설의 철학으로 환원될 수 없는 보다 광범위한 의미를 지닌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철학은 본질적으로 존재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를 출발점으로 삼는 선험?초월론적 존재론인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Heidegger’ understanding of the Kantian notion of Time can be evaluated as crucial to the development of Heidegger’ ontology. Especially in regard to the so-called ‘Turn’of Heidegger’ thinking, which has usually been misconceived as a shift from ‘doing’to ‘dwelling’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Heidegger regards the transcendental philosophy of Kant as ontological in essence. Many scholars have been believed that the ‘Turn’mark Heidegger’ critical detachment from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However, this is to overstate the difference. Heidegger’ analysis of the Kantian notion of time shows us clearly that there is no principal difference between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and ontology; both are essentailly same, which means that there can be no ontology in the Heideggerean sense without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It is noteworthy that for Heidegger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is not at all to equate with Husserl’ phenomenology. According to Heidegger, philosophy is essentially a transcendental ontology which begins with the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f Being.

      • KCI등재

        감통(感通)의 철학 : 위당(爲堂) 정인보(鄭寅普)의 『양명학 연론』과 F. 슐라이어마허의 『종교론』에 대한 현상학적 비교·연구

        한상연(Sang-Youn Han) 한국현상학회 2019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83 No.-

        이 글은 정인보와 슐라이어마허가 의식과 존재에 대한 매우 유사한 관점을 지니고 있음을 드러내려는 취지로 작성되었다. 양자 모두 현상학적 성찰에서 출발한다는 뜻이다. 이 글의 논지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정인보와 슐라이어마허는 현상학적 태도를 공유한다. 즉, 양자는 상습적인, 통상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는 이해의 방식들을 괄호치기한다. 2. 정인보와 슐라이어마허는 의식을 세계와 외적 대립의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양자에게 우리의 의식과 세계 사이에는 객관적으로 실증될 수 있는 어떤 거리도 없다. 즉, 순수하게 내부적인 의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3. 정인보와 슐라이어마허는 일종의 지각현상학을 공유하는 바, 세계의 존재자들은 능동적 주체로서의 우리에 의해 지각되는 정적 객체들이 아니라는 성찰이 그 근본 출발점이다. 양자에 따르면 우리가 그 무엇을 지각하는 순간은 우리가 지각된 존재자들과 언제나 이미 감각적으로-정서적으로 통하여 함께 상응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린다. 이것은 우리의 존재가 세계의 존재자들과 외적 대립의 관계를 형성하는 능동적 주체로서의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뜻한다. 양자의 관점에서 보면 우리는 세계와의 근본적 통일성인 그 자신의 존재에 반응하는 행위자로서 규정되어야 한다. This paper seeks to illustrate that Jeong Inbo and F. Schleiermacher have very similar viewpoints on consciousness and beings. They can be characterized as phenomenological. My argum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Jeong Inbo and Schleiermacher share a phenomenological attitude, which means that for both philosophers our habitual, taken-for-granted understandings are bracketed. 2. Jeong Inbo and Schleiermacher do not regard our consciousness as something that is opposed to the external world. For both philosophers there is no objectively verifiable distance between our consciousness and the world. Our consciousness is always already unified with the world, which means that there is no consciousness that is purely internal. 3. Jeong Inbo and Schleiermacher share a phenomenology of perception that denies that worldly beings are static objects perceived by us as active subjects. According to both philosophers, the moment that we are perceiving something indicates that we are always already sensually and emotionally corresponded with perceived beings. This means that we are not active subjects whose being is opposed with worldly beings, but rather agents whose being should be characterized by our responsiveness to the fundamental unifiedness of our being with the world.

      • KCI등재

        인간 현존재의 자기기만과 범죄

        한상연(Sang-Youn Han) 한국현상학회 2020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84 No.-

        이 글은 인간 현존재에게 범죄가 존재론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밝힐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논구의 출발점은 범죄에 대한 심판이 존재론적으로는 언제나 이미 사르트르가『존재와 무』에서 자기기만이라고 명명한 의식에 의거해서 일어나는 행위라는 것이다. 이 글의 논증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사르트르가 자기기만이라는 말로 묘사하는 것은 인간 현존재의 현사실성에 대한 기만적 이해이다. 사르트르에 따르면 나의 실존은 전체적으로 어떤 근본적인 이유도 갖지 않는다. 이성적 이유의 관점에서 보면 실존하는 나의 자유는 부조리하다. 2. 범죄에 대한 나의 심판은 윤리적으로 존재하거나 윤리적 존재가 되는 것이 나의 실존의 근본적 이유로 인정되어야 함을 암묵적이거나 공공연하게 전제한다. 3. 그러므로 범죄에 대한 나의 심판은 인간 현존재의 현사설성의 근본적 부조리를 무화하고 부정하려는 의식의 행위이다. 4. 그러나 범죄에 대한 심판이 언제나 이미 자기기만의 행위라는 존재론적 언명은 범죄가 존재론적으로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에게 알맞은 행위로서 정당화될 수 있음을 뜻하지 않는다. 범죄는 내가 아닌, 그러나 내가 되기를 원하는, 그러한 자기-존재를 실현하려는 나의 욕망과 의지의 표현이다. 범죄란 자신의 고유한 실존론적 자유를 제약하고 무화하는 실존의 이유를 스스로 자신의 근본적으로 부조리한 실존에 부여함으로써 초래되는 것이라는 뜻이다. This paper seeks to clarify the ontological meaning of crime for human Dasein. The starting point for my argument is that our judgment on a crime is ontologically always already an act of what Sartre calls in Being and Nothingness self-deception. My argum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s bad faith, Sartre describes one’s self-deception about the human reality. According to Sartre, my existence as a whole has no fundamental reason. From the point of view of reason, my freedom will appear absurd. 2. My judgment on a crime is based on an implicit or explicit premise that being or becoming ethical must be acknowledged as the fundamental reason for my existence. 3. Therefore, my judgment on a crime is an conscious act of negating and denying the fundamental absurdity of human reality. 4. But the ontological statement that our judgment on a crime is always already an act of self-deception does not mean that crime is ontologically justified as appropriate to one’s authentic self. Crime is an expression of my own desire and will to realize what I am not but want to become. This means that crime is an act resulting from giving my fundamentally absurd existence a reason for existence that limits and negates my own existential freedom.

      • KCI등재

        존재론적 당위성의 토대로서의 초월 - 슐라이어마허의 존재론적 윤리학

        한상연 ( Sang-youn Han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5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39

        이 글의 주목적은 슐라이어마허의 윤리학이 일종의 기초존재론에 토대를 두고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이 글의 논지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슐라이어마허의 종교론이 그의 윤리학의 철학적 토대이다. 2. 슐라이어마허의 종교론은 현존재의 존재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에서 출발하는 존재론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것은 슐라이어마허의 종교철학이 일종의 기초존재론이라는 것을 뜻한다. 3. 슐라이어마허는 종교를 우주에 대한 직관과 감정으로 규정한다. 이러한 규정은 초월과 처해-있음의 근본 양식으로서의 안에-있음이 존재론적 통일성을 이루고 있음을 전제한다. 4. 슐라이어마허에게 현존재가 다른 존재자와의 상호작용의 관계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바로 자신의 우주-안에-있음에 대한 현존재의 자각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that Schleiermacher’s ethics is based on a fundamental ontology. My argum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Schleiermacher’s ethics is based on his philosophy of religion. 2. Schleiermacher’s conception of religion should be regarded as an ontology that begins with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Dasein’s being, which means that Schleiermacher’s philosophy of religion is to be understood as a fundamental ontology. 3. Schleiermacher’s conception of the religious feeling which he calls a feeling or intuition of the universe is based on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unity between transcendence and being-in as the fundamental mode of disposedness. 4. For Schleiermacher it is Dasein’s awareness of its being as being-in-the-universe which enables Dasein, although it exists in interaction with other beings, to be free.

      • KCI등재

        은총과 역사

        한상연(Sang-Youn Han) 한국현상학회 2010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47 No.-

        이 글의 출발점은 슐라이어마허의 신학사상이 현상학적 사유에 근거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분명히 해두는 것은 그간 수많은 오해와 논쟁을 겪어야만 했던 슐라이어마허 신학의 이해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예를 들어 슐라이어마허 신학에 대한 주된 비판들 및 우려들은 대개 그것이 범신론적이라는 생각 때문에 일어난 것이다. 슐라이어마허 신학의 비판자들은 그의 종교 개념이-그들 생각으로는 범신론적인-세계와 신의 통일성 관념을 장려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에 대해 우려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들은 영원한 무한자라는 기독교적 신 개념 자체가 세계와 신 사이의 날카로운 구분을 불가능하게 만든다는 사실을 애써 무시하고 있다. 신은 세계에 외적으로 대립해서 있을 수 없는 바, 그 이유는 신과 세계 사이의 외적 대립이 신의 존재 방식으로서의 무한성이라는 관념 자체와 양립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신과 세계의 통일성은 정통한 기독교적 관점과 양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실은 그 핵심이기도 하다. 기독교회의 전체 교의가 신과 세계의 통일성이라는 관념을 바탕으로 삼고있는 것이다. 이 글은 슐라이어마허의 신학에 대한 주된 비판들 및 우려들이 슐라이어마허 철학의 현상학적 성격에 대한 무지로 인해 일어난 것임을 드러내려 시도할 것이다. 앞서 언급된 신과 세계의 통일성의 관념은 오직 세계의 실체화를 전제로 해서만 정통한 기독교적 관점과 양립할 수 없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세계의 실체와는 물론 현상학적 철학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것이다. 슐라이어마허에게 인간은 오직 신의 은총으로 말미암아 존재하는 자이다. 역사적 존재로 존재함은 우리로 하여금 실재의 절대적 진리를 알게 할 절대적 이성과 같은 비역사적 본질 없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The starting point of this paper is that Schleiermacher’s theological thought is based on certain philosophical premises that can be characterized as phenomenological. This is of vital importance to those who are interested in Schleiermacher’s theology which has undergone many misunderstandings and controversies. For example, it is well known that the main concerns and criticism about Schleiermacher’s theology are caused by the belief that it is pantheistic. Critics of Schleiermacher’s theology are concerned about Schleiermacher’s concept of religion which seems to promote an allegedly pantheistic notion of the unity between God and the world. But they ignore the fact that the Christian notion of God as the infinite Being of eternity makes it impossible to draw a sharp line between God and the world: God cannot be opposed to the world externally because the external opposition between God and the world is contradictory to the very notion of the infinity as the way of God’s being. Therefore, we must say that the notion of the unity between God and the world is not only compatible with the orthodox view of the Christianity, but also of vital importance to it; the whole belief-system of the Christian Church is grounded on the notion of the unity between God and the world. This paper seeks to clarify that most concerns and criticism about Schleiermacher’s theology are caused by ignoring the phenomenological character of Schleiermacher’s philosophy. The above mentioned notion of the unity between God and the world becomes contradictory to the orthodox view of the Christian Church only after the substantialization of the world, which, of course, is not compatible with a phenomenological philosophy. For Schleiermacher, a human being is a historical being which exists only through God’s grace. To be as a historical being means to be without an ahistorical essence like the absolute reason which enables us to know the absolute truth of reality.

      • KCI등재

        시간과 공감

        한상연 ( Sang-youn Han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8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51

        이 글은 시간과 공감 간의 존재론적 관계라는 어렵고 생소한 문제를 다룬다. 『존재와 시간』에서 하이데거는 불안이 현존재의 근본 기조라고 주장한다. 이 글의 주목적은 불안뿐 아니라 공감 역시 현존재의 근본기조로 간주되어야 함을 밝히는 것이다. 하이데거의 관점에서 보면 기분은 두 가지 방식의 열어 밝힘이다. 첫째, 기분은 현존재가 ‘그때-거기’에 던져져 있음을 열어 밝히며, 이는 또한 현존재의 존재에서 알려지는 두 가지 상이한 방식의 열어 밝혀져 있음을 함축한다. 하나의 전체로서 세계-안에-있음이 열어 밝혀짐이 그 하나이고, 현존재가 세계 안에서 만나는 것이 현존재에게 어떤 방식으로 문제가 되는지 열어 밝혀짐이 또 다른 하나이다. 둘째, 기분은 현존재의 존재가 죽음을-향한-존재임을 열어 밝히며, 이는 또한 현존재의 존재가 단순한 세계-안에-있음 이상의 것임을 암시한다. 죽음이 현존재의 가장 고유한, 세계와 근원적으로 무연관적이 될, 존재 가능성이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 나는 이 두 가지 방식이 모두 공감이 현존재의 근본 기조의 하나임을 뜻한다는 것을 밝히려 시도할 것이다. 그 기본 발상은 현존함이 남들과 함께-있음을 뜻한다는 하이데거 자신의 주장이다. 현존재는 그 비본래적 존재 방식에서나 본래적 존재 방식에서나 남들과 함께-있음이며, 이는 현존재가 공동 현존재와의 근원적 공감에 처해 있음을 강하게 지시한다. This paper addresses a puzzle with regard to the question of the ont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ime and sympathy. In Being and Time, Heidegger asserts that anxiety is a basic or fundamental mood of Dasein.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not only anxiety but also sympathy should be regarded as a fundamental mood of Dasein.In Heidegger’s Conception, mood is disclosive in two ways. Firstly, it discloses Dasein’s thrownness into its ‘there’(Da), which also implies two different kinds of disclosedness in Dasein’s being; disclosedness of Being-in-the-world as a whole and disclosedness of how beings that Dasein encounters within the world can matter to it. Secondly, it discloses Dasein’s being as a being-towards-death, which also indicates that Dasein’s being ist more than mere being-in-the-world because death is Dasein’s ownmost and radically non-relational possibility. In this paper I will try to show that both ways mean that sympathy is a fundamental mood of Dasein. The basic idea comes from Heidegger’s own assertion that Da-sein means being-with others. Dasein is being-with others in both inauthentic and authentic ways, which strongly indicates that it finds itself in a fundamental mood of sympathy with others.

      • KCI우수등재
      • 살/몸과 세계 :『거장과 마르가리타』 제1-3장에 나타난 선과 악, 그리고 절대선의 표지로서 드러나는 세계의 세계성에 관한 성찰

        한상연 ( Sang Youn Han ) 한국해석학회 2014 해석학연구 Vol.34 No.-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that ontologically the worldliness of the world should be determined as a sign of evil and absolute good. In my point of view, M. Bulgakov`s novel The Master and Margarita furnishes a good illustration of this ontological truth. Symbolically exemplifying good and evil, M. Bulgakov shows unmistakably that Dasein as a Flesh/Body absolutely coincides with having the world as a sign of evil and absolute good. My argum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roblem of good and evil can be dealt with only by clarifying the ontological meaning of Dasein as a Flesh/Body because only such a being can be receptive to the meaning of good and evil. 2. Being-good is a fundamental mode of Dasein; it is absolutely necessary for Dasein as a Flesh/Body to live with the idea of absolute good as an actual purpose of being-in-the-world. 3. But being-evil is a derivative mode of Dasein; there is no necessity for Dasein to live with the idea of absolute evil. Absolute evil can be thought of only as an abstract idea.

      • 살, 몸과 해석: 슐라이어마허 해석학의 존재론적 근거에 관한 성찰

        한상연 ( Sang Youn Han ) 한국해석학회 2014 해석학연구 Vol.35 No.-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존재론적으로 감각이 시원적임을 밝히는 것에 있다. 이는 구체적 삶의 상황 속에서 감각이 존재에 대한 현존재의 자각에 언제나 선행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감각이 시원적이라는 존재론적 명제는 지식이 오직 혹은 우선적으로 감각 경험으로부터 유래한다는 경험론적 발상과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 감각적 경험이라는 관념 자체가 이미 현존재와 세계 간의 외적 관계를 전제로 하고 있는 것이다. 존재론적 개념으로서의 시원적 감각은 구체적 삶의 상황 속에서 존재에 대한 현존재의 자각은 시원적 감각에 의해 가능해지는 것이라는 철학적 성찰로부터 비롯된 개념으로, 이러한 의미의 시원적 감각은 외적 세계로부터 유래하는 것으로 경험될 수 없는 것이다.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은 시원적 감각이라는 존재론적 개념에 기초해 있다. 특히 그의 종교 개념은 존재의 이해는 슐라이어마허가 경건한 감정 혹은 느낌이라고 부르는 시원적 감각의 파생적 양태임을 잘 나타낸다. 슐라이어마허가 시적으로 ‘경건한 감정’이라 부르는 특별한 감정은 유한한 존재자들로부터 비롯되는 감각들과 대조적으로 나뉠 수 없는 무한한 전체로서의 우주가 우리에게 행하는 연속적 행위를 알리는 것이다. The main idea of this paper is that ontologically senses are to be understood as primordial, which means that in a concrete life situation senses are always prior to Dasein`s awareness of Being. The ontological proposition that senses are to be understood as primordial, however, should not be confused with an empiricist idea that knowledge comes only or primarily from sensory experience. The very notion of sensory experience already presupposes an extrinsic relation between Dasein and the world, whereas the ontological notion of primordial senses results from the philosophical reflection that in a concrete life situation Dasein`s awareness of Being is enabled by primordial senses that as such cannot be experienced as coming from the external world. Schleiermacher`s hermeneutics is based on the ontological notion of primordial senses. Especially his concept of religion shows us explicitly that understanding of Being should be conceived of as a derivative of primordial senses that Schleiermacher calls poetically ‘the pious sense’ which, contrary to the senses from finite beings, signifies continuous action of the universe as the undividable infinite whole upon 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