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윌리엄 트위스의 신학 방법론: 작정의 순서와 예정의 대상에 관하여

        한병수 ( Byungsoo Han ) 한국개혁신학회 2017 한국개혁신학 Vol.53 No.-

        이 논문은 윌리엄 트위스가 작정론을 다룸에 있어서 취하였던 방법론을 논구한다. 그에 따르면 이 교리의 주된 이슈들은 작정의 순서와 예정의 대상과 관련되어 있다. 트위스는 심지어 경건한 신학자들 사이에도 이 교리에 대한 관점의 다양성이 있음을 발견하고 그 이유를 찾았는데 그것은 신학적인 다름보다 오히려 논리적인 혹은 방법론적 차이에서 비롯된 것임을 주장한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트위스가 자신의 저작들을 신학적방법론의 문제에 집중시킨 것은 놀랍지가 않다. 트위스는 작정론과 관련된 논쟁을 해명할 보다 정확하고 적합한 논증의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했다. 이러한 노력은 트위스로 하여금 중세의 탁월한 학자들을 탐독했고 영국과 유럽에 있는 경건한 학자들의 글들보다 로마에 있는 교황주의저자들의 책들을 더 많이 읽었을 정도였다. 트위스는 작정의 순서와 예정의 대상과 관련해서 전택설적 관점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의도와 실행의 역순적인 도식을 채택한다. 이러한 방법론을 사용하여 트위스가 주장하는 것은 세 가지이고 본 논문은 그 세 가지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내용과 방법의 분리는 불가능한 일인데 이는 방법이 내용을 산출하지 않고 내용은 방법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적용 없이는 훼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2) 모든 다른 작정들의 유일한 목적은 하나님의 영광이며 이것은 의도에 있어서 일순위를 차지하며 하나님의 다른 모든 작정들은 이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의 통합적인 수단을 위한 것들이다. 여기에서 하나의 수단을 위한 작정은 다른 수단의 작정에 종속되지 않는다고 한다. 3) 예정의 대상이 창조되지 않은 존재라는 주장과 관련하여 트위스는 죄의 의미를 의도와 실행의 문맥에서 파악하려 했다. 본 논문은 예정의 대상에 대한 트위스의 사상은 이렇게 1) 작정들의 유일한 목적인 하나님의 영광, 2) 목적과 수단의 순차적인 의도와 수단과 목적의 순차적인 실행의 역순적인 도식, 3) 죄도 예정의 대상보다 먼저 의도되지 않았기에 죄가 먼저 실행되고 있다는 사실에 비추어서 이해하려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theological method of William Twisse in his doctrine of divine decree. According to him, the main issues of the doctrine are concerning the order of decree and the object of predestination. Twisse observes that the diversity in perspective on the doctrine even among pious theologians are not caused by theological difference but mainly by a logical or methodological one. Therefore, no marvel if Twisse tried to focus his writings on the matter of theological methodology. His desire to find the more accurate and proper way of discussion in the controversy caused him to fall in love with the School divinity and read more writings of Papists in Rome than those of Divines in England and Europe. He, thus, adapt the scholastic axiom of the inverse rule in intention and execution mainly whereby to testify his supralasarian view on the order of decree and on the object of predestination as human not yet created. Three points this paper makes are what follows: 1) it is impossible for Twisse to divide content and method in that, whereas the latter does not produce the former, the former could be damaged without the proper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latter; 2) Twisse believes that the glory of God, as the only end of all other decrees, should be first in intention, and then all those other decrees of God should be intended for one entire coordinate and complete means conducing to the glory of God, any one decree of them not subordinate any of the others; 3) with regard to the object of predestination as massa nondum condita, Twisse intends to see the meaning of sin in the context of intention and execution. It is in light of these three points that this paper attempts to see Twisse`s view on the object of predestination.

      • KCI등재

        칼빈의 신학적 구조: Cognitio Dei et nostri in duplice cognitione Dei cum symbolo apostolico

        한병수 ( Byungsoo Han ) 한국조직신학회 2015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1 No.-

        본 논문의 목적은 하나님과 우리의 이중적인 지식(Cognitio Dei et nostri)을 중심으로 칼빈의 신학적 구조를 규명하는 것이다. 하나님과 우리의 이중적인 지식이 우리가 가진 지혜 혹은 기독교 교리의 총화라는 생각은 종교개혁 시대에 비로소 칼빈에 의해 창안되지 않았고, 교부들과 중세 인물들에 의해 이미 신학에 사상적 착상이 이루어진 개념이 칼빈에 의해 본격적인 체계화가 이루어진 개념이다. 신학의 구조에 각별한 관심을 가졌던 칼빈은 자신의 교의학 최종판의 구조적 배열에서 비로소 만족한다. 기독교의 진리를 요약한 최종판은 “하나님에 대한 지식”과 “우리에 대한 지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창조자 하나님에 대한 지식”과 “구속주 하나님에 대한 지식”으로 크게 구별하되 낯설게 느껴지지 않도록 모든 사람에게 가장 익숙하게 수용된 기독교 진리의 체계로서 성부 하나님과 성자 하나님과 성령 하나님과 교회로 구성된 사도신경 구조에 담아서 논하였다. 하나님의 이중적인 지식, 삼위일체 하나님, 사도신경 구조, 하나님과 우리의 이중적인 지식은 칼빈의 신학적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각각이 칼빈의 신학적 구조을 이해하는 유용한 접근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칼빈은 이러한 구조적인 틀들을 활용하되 배타적인 택일이 아니라 조화로운 수용과 통합을 도모했다. 즉성경에 계시된 순서를 따라 창조주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먼저 논하고 이후에 구속주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논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성경적인 성격을 가졌으며, 모든 지혜의 총화인 하나님과 우리에 대한 이중적인 지식을 논하되 하나님을 먼저 논하고 인간을 그 이후에논했다는 사실과 권의 제목들을 하나님에 대한 지식으로 정했다는 점에서 신론적인 성격을 가졌으며, 하나님의 이중적인 지식을 논하되 그것을 모든 사람에게 가장 익숙하고 가장 오랫동안 교회에서 성경 전체의 최고 요약으로 수용되어 온 사도신경 도식에 담았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성격을 가졌다는 것이 본 논문의 결론이다.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the structure of theology in Calvin by delving into the twofold knowledge of God and us. The idea that this twofold knowledge is the summa of our whole wisdom or of Christian religion was not finally invented by the Reformers like Calvin but had already been inplanted in the thought o the church fathers and medieval thinkers. It, however, is obviously true that it is Calvin who systematized this knowledge into the structure of theology or of Christian religion. With great interest in the theological structure of Christian truth, Calvin finally became content with the doctrinal arrangement in the final edition of his Institutio religionis christianae, a book that uses the concept of cognitio Dei et nostri and duplex cognitio Dei, God the Trinity, and the structure of the Apostles’ Creed to arrange Christian truth in the best organized form. As a result, the structure of theology in Calvin may be characterized as biblical in that the discussion of God the Creator is prior to that of God the Redeemer in the order of biblical revelation; theocentric in that the discussion of knowing God precedes that of knowing us in the frame of cognitio Dei et nostri; traditional in that the external structure of Calvin’s Institutio is formed largely in accordance to the frame of the Apostles’ Creed, which has been acknowledged as the summary of Christian truth by all the Christians in all the ages.

      • KCI등재

        주석에 나타난 칼빈의 기도론: 기도와 예정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한병수 ( Byungsoo Han ) 한국개혁신학회 2019 한국개혁신학 Vol.62 No.-

        본 연구는 신약에 대한 칼빈의 주석들에 기초한 기도의 이해를 추구하되 기도와 예정(작정)의 관계성을 탐구한다. 물론 칼빈의 기도론은 그의 교의학적 글들에도 나오지만 주석에는 그의 색다른 이해가 나타난다. 즉 그의 기도론이 <기독교강요> 안에서 은혜의 방편 즉 성령론 안에서 소개되고 기도와 예정에 대한 7|르침이 나란히 순서대로 논의되는 이유를 확인한다. 이 논문은 칼빈의 주석들 중에서도 기도와 예정의 관계를 가장 잘 보여주는 요한복음 17장에 대한 주석과 관계만이 아니라 기도가 먼저 논의되고 예정이 나중에 논의된 이유도 보여주고 성령론 안에서 기도가 논의되는 이유도 보여주는 로마서 8장과 9장에 대한 주석을 주목한다. 결론으로, 기도와 예정이 분리될 수 없는 이유는 요한복음 17장에 기록된 예수님의 기도가 아버지 하나님의 예정된 뜻을 따라 드려졌기 때문이며, 로마서 8장에 의하면 성령의 도우심과 이끄심이 없이는 기도가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고 기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에게 환난이 임한다고 할지라도 만세 전부터 정하신 하나님의 뜻과 섭리가 있기 때문에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는 차원에서 기도 다음에 로마서 9장에서 예정의 교리가 뒤따르기 때문이다. 이처럼 기도와 예정에 대한 칼빈의 온전한 사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교리만이 아니라 주석도 연구해야 한다. This paper digs into Calvin’s doctrine of prayer, especially in relation to his thought of predestination, based on his biblical commentaries. Calvin’s view on prayer indeed appears in his theological writings (Confession, Catechism, and Institutes) in a systematized form. Calvin’s commentaries, however, elucidate the reason why in The Institutes of Christian Religion (1559) he discusses the doctrine of prayer under the category of pneumatology and puts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in the very next. This paper, thus, explores his interpretations of John (Ch.17) and Romans (Chs. 8 and 9), because the former shows Calvin’s understanding on the indivisible relation of prayer and predestination as rooted in Christ’s exemplar of prayer, confirming that prayer is to ask God for the accomplishment of his decreed will, while the latter make evident his intention of placing the doctrine of prayer under the pneumatology before the discussion of predestination, teaching that prayer is impossible without the help and guide of the Holy Spirit and that everything, including even evil things, works good for those who love God and pray to Him. To understand Calvin’s complete thought of prayer in relation to predestination, thus, we should see both his commentaries and theological works.

      • KCI등재

        정통주의 시대의 교의학과 윤리학의 본질적인 통합: 케커만과 폴라누스 사상을 중심으로

        한병수 ( Byungsoo Han ) 한국개혁신학회 2016 한국개혁신학 Vol.52 No.-

        이 논문의 목적은 교의학과 윤리학의 관계에 대한 개혁파 정통주의 인물들의 입장을 변증하는 것이다. 교의학과 윤리학의 관계성에 대한 정통주의 인물들의 다양한 견해에 대해 19-20세기의 네덜란드 신학자 헤르만 바빙크는 세 부류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윤리학을 교의학 안에 통합하는 경우(멜랑히톤, 칼빈, 버미글리, 무스쿨루스, 소니우스 등), 교의학을 논의한 이후 신학의 후반부에 윤리학을 다루는 경우(폴라누스, 아메시우스, 하이데거, 볼레비우스, 벤델리누스, 마스트리히트, 브라켈 등), 그리고 교의학과 윤리학을 분리한 경우(다네우스, 케커만, 왈레우스, 폴리얀더, 아미랄두스, 픽테트, 드리센, 호른벡, 하이데거, 오스터발트, 튜레틴, 쉬타퍼, 베크, 엔데만 등)로 구분한다. 그러나 여기에서 폴라누스, 다네우스, 및 케커만과 관련된 바빙크의 분류법은 비록 그 자체로는 잘못되지 않았지만 그것이 교의학과 윤리학의 본질적인 분리를 뜻하지는 않음을 우리는 주의해야 한다. 특별히 폴라누스 경우에는 선행이 교리 이후에 위치하고 있지만 교리의 실천적인 적용이 모든 교리에서 언급되고 있기 때문에 교리와 선행이 신학의 구조 안에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누어져 있더라도 여전히 유기적인 통합을 이루고 있으며, 다네우스 경우에는 인간의 모든 행위들이 하나님의 영광을 유일한 목적으로 지향하고 있다는 사실을 윤리학의 주도적인 원리로 간주하고 있다. 케커만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윤리학도 신학과 무관하게 독립적인 학문으로 보지 않고 신학에 부수적인 것이라고 표명한다. 이처럼 이들은 모두 윤리학과 교의학 사이의 분리될 수 없는 관계성에 공감대를 드러내고 있다. 이 논문은 교의학과 윤리학의 관계성에 대한 정통주의 인물들의 입장을 바빙크의 분류법에 따라 이해하되 그들의 이해에 교의학과 윤리학의 실체적인 분리 개념은 없고 오히려 실체적인 통합의 관계성을 보이고 있음을 특별히 케커만과 폴라누스중심으로 살피고자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19세기와 20세기 독일 학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주장, 즉 교의학과 윤리학의 관계성에 관한 종교개혁입장과 정통주의 입장 사이의 신학적 단절이 지지될 수 없는 주장임을 보이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fend the view of the Reformed orthodox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ogmatics and ethics, a view that was unduly blamed by the German theologians of th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for their departure from the view of the Reformers on the issue. It is remarkable that Herman Bavinck distinguished the diverse views of the dogmatics-ethics relationship into three: 1) the inclusion of ethics into dogmatics (Melanchthon, Calvin, Vermigli, Musculus, and Sonius), 2) the orderly position of dogmatics and ethics in theology (Polanus, Amesius, Heidegger, Wollebius, Wendelius, Mastright, and a Brakel), and 3) division of dogmatics and ethics (Danaeus, Keckermann, Walaeus, Polyander, Turretin, and Amyraud). As to the cases of Polanus, Danaeus, and Keckermann, Bavinck`s classification is seemingly right but hardly in essential sense. Polanus, indeed, places dogmatics prior to ethics in his theological system but he argues an essential nexus of the two, dealing with practical application of each doctrine even within the part of dogmatics. Danaeus and Keckermann, though both publishing ethics as an independent volume, also regard as its overarching principle the fact that all the human acts are directed to the glory of God. Keckermann, moreover, makes ethics subjective to theology. On this ground,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re is no essential division of dogmatics and ethics in the thoughts of the Reformed orthodox, and thereby contends that the departure of Reformed orthodox theology from the Reformation theology urged by some German theologians of th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are not evident.

      • KCI등재

        신학의 원리인 삼위일체 하나님: 부카누스와 바르트를 중심으로

        한병수 ( Byungsoo Han ) 한국개혁신학회 2019 한국개혁신학 Vol.64 No.-

        본 논문은 삼위일체 하나님을 신학의 원리로서 탐구하되 삼위일체 하나님을 신학의 원리로 삼아 신학의 체계를 구성한 17세기 정통주의 신학자 윌리엄 부카누스(William Bucanus, -1603) 및 칼 바르트(Karl Barth, 1886-1968)를 비교한다. 신학의 원리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16세기의 일이었다. 대부분의 신학자는 성경을 신학의 원리로 간주한다. 그러나 하나님을, 특별히 삼위일체 하나님을 신학의 원리로 간주하는 신학자도 있다. 16세기 말과 17세기 초반까지 활동한 부카누스는 삼위일체 하나님을 신학의 원리로 삼은 대표적인 인물이다. 부카누스 신학을 잘 알고 있고 20세기 초반의 신학자인 바르트도 삼위일체 하나님을 신학의 원리로 삼아 신학의 체계를 구성한 현대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두 신학자는 모두 삼위일체 하나님이 존재에 있어서 분리되지 않는다는 것과 사역에 있어서도 삼위일체 하나님은 분리됨이 없다는 사실에 있어서는 일치하나 부카누스 경우에는 하나님의 일체성을 논의한 이후에 삼위성을 논하지만 바르트의 경우에는 삼위성이 일체성에 앞선다는 입장을 보인다는 점에서는 상이하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Triune God as a theological principium, focusing the views of William Bucanus and Karl Barth on the topic. It was the late sixteenth century when the theological interest in the concept of principium is seriously kindled. Most theologians of the century regarded Scripture as the principium of theology, but others, accepting Scripture as a theological principium, took the Triune God as the primary principium of theology, among whom Bucanus is a representative orthodox theologian. In the twentieth century, Barth is a representative theologian who introduced the devel-oped concept of the Triune God as the principium yielding and govern-ing all other doctrines of theology. My research findings, in this paper, indicate that both Bucanus and Barth agree that the Triune God is not divided in both His being and His doing, and that, whereas Bucanus places the oneness of the Triune God prior to His threeness in his theological system, Barth discusses His threeness and then His oneness.

      • KCI등재

        루터의 예정론

        한병수 ( Byungsoo Han ) 한국개혁신학회 2017 한국개혁신학 Vol.55 No.-

        본 논문은 루터의 예정론을 그의 문헌들에 근거하여 살펴보고 그 입장의 연대기적 흐름을 탐구한다. 많은 학자들이 예정론을 근거로 개혁파와 루터파를 구분하는 경우도 있고 루터와 칼빈 사이에 신학의 결정적인 차이로 부각시켜 이해한다. 어떤 학자들은 루터의 예정론이 칼빈의 것보다 더 강하다고 주장한다. 또 다른 학자들은 루터의 예정론이 구원보다 오히려 신적인 주권과 보다 강하게 결부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루터의 예정론에 대한 기존의 학문연구 일반을 살펴보면, 대체로 루터가 가진 특정한 시기의 입장을 그의 신학 전반에 걸친 보편적인 입장인 것처럼 과장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리고 때로는 문헌적인 근거가 분명히 있는데도 간과하는 경향도 보인다. 이것은 모두 루터의 일차적인 문헌에서 발굴한 객관적인 증거의 빈곤에서 비롯된 결과라고 생각된다. 본 논문은 루터의 신학적인 활동 초기부터 말기까지 저술된 문헌들을 두루 살피며 예정에 관한 루터의 관심사는 초기부터 말기까지 언제나 뚜렷했고 이중적인 예정론의 입장도 초기부터 말기까지 고수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정에 대한 인간의 과도한 호기심을 극도로 경계하며 성경의 경계선을 넘어가지 말 것을 엄중히 경고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루터가 비록 예정에 대한 관심은 가졌지만 독립된 단행복 혹은 논제로서 다루지 않았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ronological transition in Luther`s thought of predestination. Some scholars ground the crucial difference between Calvin and Luther, or between the Calvinists and the Lutherans, in their thoughts of predestination. Some argue that Luther`s doctrine of predestination is even stronger than that of Calvin. Some regard Luther`s thought of predestination as more strongly connected with divine sovereignty than with salvation. Previous scholarship on Luther`s thought of predestination quite overstate Luther`s partial stance of the issue, which is seldom evidenced in his works, as generally supported by them, ignoring some pivotal works of them that clearly show his thought of predestination. This problem may be caused by the insufficient discovery of documentary evidences spread throughout his works. With an abundant supply of documentary evidences, this paper argue that Luther concerned predestination during the whole period of theological activity, that he held fast the double predestination in his whole theological life, and still that he sternly warmed the excessive curiosity of predestination not to go beyond the literal boundary of Scripture. It is also true that Luther did not deal with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as a monolith or an independent locus.

      • KCI등재

        구속의 언약: 사무엘 러더포드 사상을 중심으로

        한병수 ( Byungsoo Han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60 No.-

        본 논문은 사무엘 러더포드 사상을 중심으로 구속의 언약 교리가 성경에 뿌리를 둔 것인지를 탐구한다. “구속의 언약”은 창세 전 삼위일체 하나님 안에서 성부와 성자 사이에서 맺어진 구속적인 언약을 일컫는 신학적인 용어이다. 이 교리가 성경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대표적인 사람들로 바르트, 스킬더, 로벗슨의 주장을 소개하고 온건한 입장을 취하는 네델란드 학자들의 견해도 소개한다. 논지전개 방식은 먼저 구속의 언약에 대해 다수의 부정적인 입장들과 온건한 입장들을 간략하게 소개한 후 부정적인 입장과는 달리 이 교리가 성경의 토대위에 세워진 것임을 논증하되 러더포드 문헌에서 발견되는 열두 가지의 논거들을 요약하여 제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러더포드라는 인물을 선택한 이유는 그가 구속의 언약을 신학적 전통이나 신학자들 사이의 합의에 호소하지 않고 구속의 언약을 지지하는 성경 텍스트를 선별하여 소개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주석적인 논증을 시도했기 때문이다. 성경에 기초하여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맺어진 언약과는 다른 성부와 성자 사이에 맺어진 언약의 존재는 우리의 구원을 원하시는 하나님의 무한한 사랑과 온전한 성취를 강하게 교훈한다. 이 논문의 기여도는 성경이 어떻게 구속의 언약을 지지하고 있는지를 12가지의 각도로 조명함에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whether the covenant of redemption is rooted in Scripture, by examining the thought of Samuel Rutherford. This word “Covenant of Redemption”(pactum salutis) is a theological term that signifies the covenant between God the Father and God the Son. There are some scholars, such as Barth, Schilder, and Robertson, who argue that this doctrine does have the support of biblical evidences. There are other scholars like Dutch theologians (Bavinck, Kuyper, and Berkouwer) who have a mild view on the covenant of redemption. The procedure of discussing this topic is, first, to introduce the negative and the mild views on the pactum salutis, and then to suggest twelve arguments that, unlike the former, prove there to be this covenant in Scripture, arguments that are keenly made by Samuel Rutherford on the scriptural ground. The reason for choosing Rutherford as an advocate of the pactum salutis is that he does not appeal to a theological tradition and the doctrinal consensus of his contemporaries but to the concrete texts in the Bible firmly supporting the doctrine. The existence of the pactum salutis in the Bible teaches the eternal love of God and its firm accomplishment.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probably, to illuminate how the Bible supports the doctrine of the pactum salutis by presenting the twelve biblical argu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