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연하 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들에게 전기자극치료가 연하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미애,구주희,나수연,박경진,원유진,한은지,전병진 대한연하재활학회 2010 대한연하재활학회지 Vol.2 No.1

        목적 :본 연구에서는 연하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전기자극치료가 연하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대학병원 및 재활병원에서 연하장애로 진단 받은 뇌졸중 환자 11명에게 주 5회,1회에 30분씩 3주 동 안 총 15회기 동안 전기 자극치료를 시행하였다.전기자극치료 전후에 삶의 질(SWAL-QOL)평가와 연하기 능 평가(MASA)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하 관련 삶의 질이 전기자극치료 전에 평균 121.09점에서 치료 후에 평균 155.36점으로 통계적으로 유 의미하게 향상되었고 연하기능에서도 전기자극치료 전에 평균 158.0점에서 치료 후 174.27점으로 향상되어 통 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결론 :연하 전기자극치료가 연하 기능 변화뿐만 아니라 연하 관련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작업치 료사들이 연하 치료에서 삶의 질 변화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무게감 있는 조끼 착용이 미치는 영향

        한미애,김지연,장기연,박미진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0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8 No.1

        목적 : 본 연구는 주변 환경에 민감하고 감정기복이 심한 감각조절장애 아동에게 무게감 있는 조끼 착용을 통한 고유수용성 감각을 제공하여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연구 대상자는 일반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만 7세 남아로 연구설계는 ABA’단일사례연구를 사용하였고, 14회기 실험을 실시하였다. 중재기간(B)동안 1.3kg의 무게를 첨부한 조끼를 착용하고 학습인지교육을 받았다. 결과 : 치료회기가 진행될수록 의자에서 엉덩이를 떼고 일어나거나 몸을 앞/뒤, 좌/우로 흔드는 경우 및 엄지손가락을 입에 넣기, 손등 입으로 가져가기, 손장난하기 등 행동적 측면에서의 문제행동은 점차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 연구결과 무게감 있는 조끼를 착용한 후 아동의 문제행동이 회기가 지날수록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무게감 있는 조끼가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감각통합치료의 효과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데 본 연구설계 및 중재기간상 제한점이 있어서, 무게감 있는 조끼가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었다기보다는 감각통합치료를 지속적으로 실시한 결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설계의 변형이나 연구회기의 증가를 통해 무게감 있는 조끼가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지속하는지에 대해 명확히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고, 감각조절장애 아동에게 무게감 있는 조끼를 착용시키는 것에 대한 적용방법, 무게, 적용시간에 대한 효율적인 프로토콜을 제시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wearing a weighted vest for sensory modulation disorder children. Methods : The participant of the study was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male, aged 7. The ABA single case study was used to design the study which was performed for 14 sessions. During the mediation period(B), the participant received the study cognitive education wearing weighted vest weighing 1.3kg. Results : Abnormal behaviors such as suddenly standing up from the chair, shaking body front and back, and left and right, sucking his thumb and putting the back of his hand to his mouth showed tendency to decrease gradually. Discussion : The participant's abnormal behaviors decreased as the sessions went by, which means the sensory integration therapy can improve the behavior of the child suffering the sensory modulation disorder. The design of the study had certain limitation to explain the influence a weighted vest to sustain the effect of the sensory integration therapy. New study design is needed for the extended studies to prove the lasting effect of a weighted vest for the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nd to suggest protocols incorporating wearing know-hows, proper wearing time, and the weight of a weighted vest.

      • 뉴로피드백을 이용한 뇌파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주의력에 미치는 변화

        한미애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2010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Vol.1 No.-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력이 짧은뇌성마비 아동 한명을 대상으로 뉴로피드백을 이용한 뇌파 훈련이 아동의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2010년 8월 2일부터 9월 3일까지 대전광역시 S 아동연구소에서 작업치료를 받은 아동 1명을 5주간에 걸쳐 주 3회씩 총 15회기로 뉴로피드백을 이용하여 훈련을 하였고, 훈련 전과 후의 주의력의 변화를 학습능력검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 결과: 뉴로피드백을 이용한 뇌파 훈련 후 참가자의 집중력은 43.1%에서 51.0%로 증가되었다. 또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stress 및 심리적인 요인들을 포함하는 작업부하도는 64.7%에서 58.8%로 감소하였다. ◉ 결론: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는 아니지만, 주의가 산만하여 과제에 집중이 어려운 뇌성마비 아동들에게 게임을 포함한 뉴로피드백 훈련을 제공함으로써, 스스로 자신을 통제할 수 있는 경험과 기회를 제공하여 집중력을 향상 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Electronic Encephalogram(EEG) training using neurofeedback for atten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1 children who did receive occupational therapy in a S child research institute in Daejeon to Aug, 2nd, 2010 until Sep, 3rd, 2010. The subject was neurofeedback trained for a 3 weekly intervention over a period of 5 weeks. The change of attention had assessed about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by a Cognitive Functions Assessment. ◉ Results : After brainwave training using neurofeedback, attention of participant was increased from 43.1% to 51.0%. Workload that contain problem solving stress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the participant also declined from 64.7% to 58.8%. ◉ Conclusion : On the basis of result of this study, providing neurofeedback training, included game, was seen to help chlidren with cerebral palsy, have difficulty in attention but not ADHD(attention deficit / hyperactivity disorder) on task because of distractedness, for improving attention by providing self-control experience and opportunity.

      • KCI등재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기능 및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한미애,장기연,김지연,한수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09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7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아동에게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여 아동의 운동기능 및 사회성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대전 S아동연구소 감각통합치료실을 이용하는 아동 중, 발달장애 및 정신지체로 진단받은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은 그룹 감각통합치료에 참여하는 아동 5명, 대조군은 개별 감각통합치료에 참여하는 아동 5명으로 주 1회 90분, 20주 동안 적용하였다. 아동의 운동기능 및 사회성 증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사전·사후 검사로 운동적합성 검사(Bruini 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2), 한국판 적응행동검사(Korean-Scales of Independent Behavior­Revised) 그리고 사회성숙도 검사(Social Maturity Scale)를 사용하였다 . 결과: 그룹 감각통합치료 적용 전·후 실험군 대부분의 아동이 손/상지협응(Manual coordination)과 신체협응(Body coordination), 사회성 전반적 영역에서 기능향상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전후 운동기능 및 사회성 향상의 차이는 실험군 아동이 대조군 아동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손/상지협응(Manual coordination), 손기민성(Manual dexterity) 하위항목, 사회성숙도 검사의 사회연령, 사회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기능 및 사회성 기능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추후 보다 다양한 장애 유형의 아동을 대상으로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증명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ether group Sensory Integration(SI) therapy has the effect on improvement of motor skill and social func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Method : The subjects were recruited among children received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t a Children’s Development Institute in Dae-Jeon, experimental group is total 5 participating in group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nd control group is also 5 participating in individual sensory integration therapy. The program was constructed for 90 minutes and all children either in the experimental or in the control group went through intervention for 20 weeks.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II, Korean-Scales of Independent Behavior-Revised and Social Maturity Scale were used in order to eval­uate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motor skill and social function. Results : Most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ment in overall aspects of motor skill and the social function comparing pre-intervention with post-intervention, but they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comparing experimental group with control group,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ment in motor skill and social function. Futhermore,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especially in manual coordination, manual dexterity, and social age and social quotient in Behavior-Revised and Social Maturity Scale. Conclusions : It is found that a group Sensory Integration therapy program has effect on motor skill and social func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in this study. In the future study, group SI therapy should be applied for children with diverse diagnosis in order to generalize the effectiveness of therapy.

      • KCI등재

        韩国和泰国学习者汉语阅读中断词单位大小的 初步研究

        한미애,강신(Jiang Xin) 한국언어연구학회 2018 언어학연구 Vol.23 No.1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different text presentation on the size of Chinese reading unit with word segmentataion task by Chinese as a second language learners. The participants were 30 Korean and 27 Thai, who were learning Chinese in Beijing Language and Culture University. They were divided into two language proficiency levels (intermediate and advanced) according to their Chinese words size and were required to add spaces in four Chinese passages. The results showed that: (1) the Chinese reading unit was smaller for Korean intermediate learners than it was for Thai learners. However, it was the same for advanced learners of both language backgrounds; (2) for Korean learners, the reading unit increased with the improvement of Chinese proficiency, while it would not change for Thai learners.

      • KCI등재

        Retranslation Hypotheses and Three Korean Translations of The Martyred

        한미애,조의연 한국번역학회 2014 번역학연구 Vol.15 No.4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whether the second and third Korean translations of the novel The Martyred by the Korean American writer Richard Kim are retranslation or not based on Chesterman’s (2000) retranslation hypotheses. We look at the difference between retranslation and revision and discuss the validity of a descriptive hypothesis, in which retranslations tend to be closer to the source text. The second translated text is claimed to be a retranslation while the third is a revision of the second. There seems a mutual dependency between the second and the third translated text since the third revises only a small part of the second and contains a large portion of the same interpretations found in the second. We also show that Chesterman’s descriptive hypothesis is not valid for some retranslation phenomena. It is shown that revisions tend to be rather closer to the source text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arlier translations in terms of a semantic and stylistic equival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