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독플랑크톤(와편모조류(渦鞭毛藻類)를 중심으로) 에 관한 고찰

        한명수 한국수산학회 199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3 No.1

        Some species of dinoflagellates were considered as one of the causative organisms of PSP(Paralytic Shellfish Poison) or DSP(Diarrhetic Shellfish Poison). Fish and shellfish are intoxicated by feeding of toxic plankton, sometimes human is intoxicated by feeding on these intoxicated fish and shellfish. In past ten years, the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studies of the toxic plankton has been investigated for development of monitoring system and preventation and control measures of PSP. However, in our country still little is known on a research for the toxic dinoflagellates. This paper reviews the general biology, taxonomic problem, physioecology and culture method of the toxic planktons such as Protogonyaulax and Dinophysis.

      • 광주· 전남지역 지역사회 간호사의 역할수행 및 교과과정에서의 중요성 인식도

        한명수 中央醫學社 1989 中央醫學 Vol.54 No.4

        In order to investigate to the degree of role performance and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in curriculum of community health nurses,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6th to March 6th, 1989. The subjects were 19 school nurses, 19 nurses in-health center, 22 occupational nurses and 22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in Kwangju and Chonnam area.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their age, 25(30.9%) of total subjects were in 30-39 age group and their average age was 34.4 years. In their education, 54 (66.7 %) subjects graduated in diploma course and 35 (43.2 %) of them have field experience under 5 years and its average was 8.2 years. 2. In the degree of role performance, school nurses marked relative high score in manager (3.5), team member (4.0), data collector (4.1) and counselor (3.9). Care provider (4.3) and evaluator (3.5) was marked high in occupational nurses and promotor (3.5), counselor (4.1), educator (3.6) in CHP. But the scores of nurses in health center were lower than other groups relatively. 3. In the degree of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in nursing curriculum, school nurses perceived more important the role as care provider (4.2) and educator (4.2), nurses in health center in care provider (4.0), counselor (39), occupational nurses in care provider (4.6) and educator (4.6) and CHP in counselor (4.2), educator (3.9). However, occupational nurses marked higher score than other groups in all items and all the subjects high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ose roles as counselor (4.2), educator (4.2) and care provider (4.1). 4.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performance and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in nursing curriculum, the scores in role performance showed significant lower than those of the importance perception in nursing curriculum and the subjects suggested further teaching in basic nursing education.

      • KCI등재

        수자원 생태복원 기술의 현황, 전망 그리고 생태적 기능의 중요성

        한명수 한국환경생물학회 2002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20 No.-

        21세기는 환경의 시대로서 환경과학 및 공학의 발전과 더불어 환경산업(ET)의 성장 잠재력 또한 매우 커서 IT, BT, NT분야와 함께 21세기 육성산업의 핵심분야로 부상하였다. 특히, 수처리 용역과 환경복원, 창조, 환경컨설팅 및 엔지니어링 분야가 미래의 유망분야로 분류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국내 주요 환경기술의 수요변화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어, 수자원 및 수질 분야의 기술수요도 전통적인 사후처리에서 환경복원 및 청정기술의 개발로 확대 발전될 전망임을 의미한다. 과거 한국의 수자원 정책은 경제발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실용주의적 사고에 기초한 인간중심주의(anthropocentrism)의 수자원 관리 기술에 힘이 실려있었으나, 최근은 '인간과 자연이 더불어 사는 생명공동체'라는 생물중심주의(biocentrism)의 진보적 개념의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수와 치수만의 기능으로서는 수자원의 질적 관리를 위한 많은 한계점이 있고, 동식물의 서식처가 훼손되지 않은 채로 보존될 수 있는 생태계의 기능이 유지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는 멸종위기의 동식물 보호와 생태계 보전 뿐만 아니라, 홍수 조절기능, 오염수질의 자정 및 여과 작용 그리고 경관기능을 보유하게 되어 인간생활의 질적 향상을 위한 역할까지도 제공한다. 또한, 습지기능과 수변역 습지식물의 기능 강화 그리고, Bio-remediation(생물복원)과 Bio-manipulation(먹이연쇄조작)과 같은 생태기능의 접목은 자연보존기능의 복원 및 창조를 통한 수자원의 질적관리를 위한 21세기 수자원관리의 신 환경기술로서 매우 중요한 환경기술이 될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생명환경중심의 통합물관리 방향

        한명수,계명찬 한국환경생물학회 2002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20 No.-

        생명환경 중심의 통합물관리 방향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 대책 및 전망 등을 논의하였다. 먼저 고려해야할 점으로는 지속 가능한 수자원 관리와 기술개발 노력의 필요성이다. 한국의 경우 이를 위해서는 전국토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농지의 친수생태적 농업수자원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수변완충녹지관리를 통한 물환경 생태복원이 가능하며 이를 통한 수질관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하수처리 기술개발은 도시형의 대규모 처리시설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오염부하 및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자연정화기술, 생태공학적 수처리 개념을 적극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기존의 수질에 대한 개념을 물리화학적 조건에서 생물학적 수질기준을 추가 보완함으로서 미래환경 지향적 안정적 수자원확보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조경적 측면의 접근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물환경 생태 정보시스템 구축 및 활용이 필요하다. 특히 도시지역의 생태적으로 훼손된 하천을 복원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연형 하천공법의 적용하여 생물서식처 복원이 절실하다. 생명환경 중심의 물환경 관리기술은 환경의 시대인 21세기에 산업의 핵심분야로 높은 부가가치가 예상된다. 국가와 사회의 모든 분야에서의 친 환경적인 개념과 인간과 자연이 더불어 사는 생명공동체라는 생물중심주의(biocentrism)의 도입이 절실한 시점에 있다. 이를 위해 관련 기반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노력과 함께 생명환경 보전을 위한 언론 및 시민단체의 교육과 노력이 요구된다.

      • 힘 북돋우기(Empowerment)에 대한 개념분석

        한명수 中央醫學社 1996 中央醫學 Vol.61 No.9

        Recently, the concept of health is changed from the biochemical paradigm to the sociomedical and socioecologic paradigm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 of social status. So, active maintenance of health balance for the health improvement and enhancement of the health capacity are emphasized instead of the simple trend of preventive medicine about the specific disease or functional impairment. Empowerment is the one of the very important concept for the request of the change among the health-specialists. It cannot be summarized so simply, furthermore, it will be interpretated as another meaning according to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is researcher tried to analyze the concept of empowerment of the literature to develop the strategy of empowerment in order to apply to the nursing practice. Followings are the attributes of the empowerment: First, it maximizes the independence by the gain of the control about the environment . Second, it shares the individual power by mutual respect and trust Third, it accepts the responsibility according to the self-participation and decision making. In consequence of these attributes, the definition of empowerment will be redefined that it develop the personal ability by share of power based on the mutual respect and trust, and accept the respons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