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열공망막박리에서 일차유리체절제술의 결과

        한남수,이성복,조영준,Nam Su Han,Sung Bok Lee,Young Joon Jo 대한안과학회 2006 대한안과학회지 Vol.47 No.1

        Purpose: To report the anatomic and visual results of vitrectomy without scleral buckling in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Methods: Primary vitrectomy without scleral buckling for the treatment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was done in 41 eyes (41 patients) and followed up for a mean period of 21.5 months(range 6~65 months). Indications of primary vitrectomy were uncertain preoperative breaks, the presence of large breaks, the presence of breaks near equator, multiple breaks, proliferative vitreoretinopathy not related to breaks and presence of inferior vitreous hemorrhage. Results: The anatomic success rate after a single operation was 90.2%. Visual acuity was improved or stable in 37 eyes (90.2%). Progression of lens opacity (35.7%) and formation of epiretinal membrane (12.2%) constituted the major complications after primary vitrectomy. Conclusions: Primary vitrectomy without scleral buckling can be a safe, effective method to repair primary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s in selective cases.

      • KCI등재

        쿵주(空竹)놀이의 변용과 축제화 과정

        한남수(Han Nam-su) 비교민속학회 2012 비교민속학 Vol.0 No.47

        중국의 민속놀이 쿵주(空竹)는 다른 전통놀이와 발전과정이 다르다. 대부분 민속놀이가 춘절(春節)에 집중되어 성장했다면, 쿵주는 시간적 제약을 벗어나 자연스럽게 생활의 오락으로 거듭났다. 쿵주는 중국 현대 도시의 공공장소를 중심으로 여러 사람들이 함께 모여 공연문화의 형식으로 발전했고 놀이단체를 조직하면서 지역사회의 시민축제로 성장했다. 도시 공간에서 전통놀이의 보급과 유행은 특정한 상업 활동을 병행하지 않고서는 좀처럼 발전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그러나 쿵주놀이는 시민이 중심이 되는 자발적인 놀이문화의 실례이다. 쿵주가 도시중심의 축제로 활성화되면서 놀이의 대중성이라는 관계를 형성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특히, 베이징의 성공적인 쿵주 축제에 이어 지역적 축제로서 그 위상을 보여주고 있는 바오딩의 ‘쿵주예술제’는 민속놀이의 축제적 변용을 고찰하는 의미있는 과정이 될 것이다. 도시놀이의 다각적인 변화가 시대적인 변화를 수용하면서 민속놀이는 도시라는 공간에 새롭게 변용하고 있다. 쿵주는 베이징의 근현대의 역사적인 변화와 굴곡 속에서 성장 쇠퇴 발전의 단계를 겪었다. 이제 쿵주는 시민과의 시대적 소통을 이끄는 매개이며 도시 문화를 대변하는 콘텐츠로 새로운 축제의 영역을 넓히고 있다. 이 같은 변화는 바오딩의 ‘쿵주 예술제’ 에서 더욱 구체화 되고 있다. 도시의 변천과정과 함께 민속놀이의 발전과 사회적 의미를 살펴보는 일은 도시민속학의 새로운 출발점이 될 것이다. 민속놀이가 도시공간에서 성장할 수 있는 동력과 축제적 위상으로서의 변용적 가치는 도시공간을 새롭게 해석해야하는 과제라 할 수 있다. 나아가 바오딩(保定)의 지역사회를 대표하는 시(市) 전체의 축제로써 민속놀이의 성장과 변용은 도시공간에서의 놀이연구에 의미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One of Chinese folk game, Kongzhu has different process of development. Most of folk games were developed especially during the Spring Season but Kongzhu was turned over to kind of game getting out of timely limitation. It was developed in the public places of Chinese modern city which was become a kind of performing art of culture and it became a festival in a community. It is not easy to develop such folk game in a modern city when it’s not with doing of certain industrial activities. However, Kongzhu is a good example which became a center of community and folk game. It is noticeable that Kongzhu formed a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and a folk game which was revitalized to be a kind of festival in the middle of the city. Especially, ‘Kongzhu Festival’ in Beijing became a festival not only in Beijing but in other local places and it will be a meaningful progress when studying cultural transmission. A versatile changes led those people to accept those folk games in the modern city. Kongzhu has been undergoing growing and declining development when there was lot of changes in modern Beijing. Now Kongzhu became a media tool which leads the communication between civil and community and it is becoming a new icon which represents the culture of city. It is getting actualized in ‘Kongzhu Festival’ of Baoding. The thing we looking closely at the meaning of society and development of folk game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will be a new starting point of city folklore. It is task to construe the city what is the power that the folk game develope in the city and what is the value of cultural transmission that became a one of festival. Furthermore, It is a typical festival which represents an entire city of Baoding and the cultural transmission and development of folk game will be a meaningful source for studying games that can be done in the modern city.

      • KCI등재

        북경 천교(天橋) 예술공간의 표상화 과정

        한남수 ( Nam Su Ha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2 No.-

        2013년 12월 천교가 재건되었다. 80년 역사의 공백을 넘어 市井문화 광장이 다시 회복된 것이다. 천교의 재건과 이 일대 공연문화예술지구의 설립은 천교 100년을 향한 문화 북경의 새로운 中軸線을 만들기 위함이다. 천교는 황제가 天壇과 先農壇의 제천 의식을 위해 지나는 다리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후 지역을 대표하는 이름으로 고착되면서 시장과 공연문화의 무대로 유명세를 더했다. 雜技, 空竹, 曲藝, 武術, 評書, 相聲, 大鼓 등의 기량이 뛰어난 才華가 전국에서 우후죽순으로 모여 들어 천교는 예술의 각축장이 되었다. 척박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빚어낸 演藝의 精髓는 중국 문화의 우수성과 독자성을 확보하면서 전통 문화의 메카로 성장했다. 천교는 잡기, 演藝人의 요람으로, 북경 문화의 精髓이며 민속.문화예술의 발원지가 되었다. 중국 정부 또한 천교와 이 일대의 역사적인 주요 문화 광장을 현대적 의미로 환원, 계승해 ‘12.5’ 문화사업 정책의 지속적인 명맥을 잇고자 한다. 淸末 신해혁명, 民國시대, 신중국 건립에서 문화혁명까지 천교는 문화 중국의 명맥을 굳건히 유지했다. 천교는 자연 발생의 시정 문화 외에도 황실, 귀족과 사대부들에게 옷과 신발 등 주요 생활용품을 제조, 공급하면서 특화된 시장 기능도 담당했다. 청말 민국초기 천교는 이 일대 廟會와 더불어 상업과 오락 중심의 복합 문화공간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2009년 북경시정부는 성남가속발전행동추진계획推進城南加快發展行動計畵을 정식으로 공표했다. 2011년 10월 북경 西城區는 ‘공연예술지구’ 건립 계획을 추진하며 전통문화 회복과 문화 공간 확장을 위한 구체적인 플랜을 제시했다. 2012년 6월 20일 서성구는 국가오페라하우스, 중국대외문화기업 그리고 19개 京演예술단체와의 협의를 통해 천교공연예술지구 설립에 전격 합의했다. 공연예술지구는 예술총본부, 문예연출, 문화전시, 휴식체험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국제수준의 문화 광장을 조성한다는 것이다. 2015년 올해가 바로 그 완공의 해이다. 천교 문화예술공간의 설립은 낡고 낙후한 저층 기반 시설을 교체해 도시의 실용성과 이미지 개선의 필요성을 우회적으로 선회하는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문인의 문화, 시장의 문화, 廟宇의 문화, 공연의 문화가 모여 북경 문화 공간에 새로운 전통 공간을 재창조하기 위한 공정이다. 물론 이 같은 노력과 계획이 천교의 예술적 가치와 의미를 일깨우고, 전통 문화공간으로서 시민의 지속적인 소통을 이끌어 낸다면 매우 성공적인 사례가 될 것이다. ‘百年天橋 天橋百年’이 가까운 미래에 와 있다. 따라서 80년 시공을 초월에 새롭게 창조된 전통 문화 광장이 융합과 소통의 기회를 열어갈 지는 북경 도시 문화 공간의 예술적 의미와 수준을 가늠하는 바로미터가 될 것이다. In December 2013, Tianqiao was reconstructed. It was the time when an urban culture plaza was recovered after 80-year absence. Reconstruction of Tianqiao and establishment of the performance culture art district are to build a new axis of Cultural Beijing toward the centennial celebration of Tianqiao. Tianqiao is the name given to the bridge the Chinese emperor had to cross to hold the heaven-worshiping rite at the Altar of Heaven and the Xiannong Altar. Then, it became the name of the district of a market and performance art. Numerous talents superb in various techniques and arts such as circus, diaobolo, martial arts, pingshu, shangsheng, dagu gathered here from all corners of China, and Tianqiao became to the place of competition of arts. The arts and techniques they performed here led this district to secure excellence and uniqueness of Chinese culture, and grow to be the mecca of traditional culture. The district became to be the cradle of performance art and acrobatics, essence of Beijing culture, and the origin of folk culture and art. The Chinese government also tries to take over the tradition of the cultural plaza of Tianqiao and the district, and include it as part of the ‘12.5’ Culture Project. Over the history from the end of Qing Dynasty, Xinhai Revolution minguo period, founding of the New China, to Cultural Revolution, Tianqiao maintained its tradition of Cultural China. In addition to providing an urban culture, Tianqiao also played the role of a specialized market which manufactured and supplied major daily items for the royal family, aristocrats and government officials. Around the time of the end of Qing and the early Mingook period, Tianqiao developed as a complex cultural space of commerce and entertainment, together with miaohui. In 2009, the Beijing Municipal Government announced the Accelerated Development Action Project for the chengnan Area In October 2011, xichengqu Beijing, while promoting the plan to establish ‘Performance Art District’, announced a concrete plan for the recovery of traditional culture and expansion of cultural space. On June 20, 2012, xichengqu made an agreement with the National Opera House, China External Culture Corporation, and 19 Art Groups to establish the Tianqiao Performance Art District. The Tianqiao Performance Art District is supposed to a world-class cultural plaza providing the functions of art center, art performance, art exhibition, and leisure, etc. In 2015, it will be completed. The culture and art space of Tianqiao has the meaning beyond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old and outdated infrastructure to fit the practical use and new image of modern Beijing. It is the process in which culture of scholars, culture of market, culture of miaohui, and culture of performance are collected, and a new traditional space is recreated in Beijing. If such efforts and plans awaken artistic values and meanings of Tianqiao, and stimulate continuous communication among citizens as a traditional cultural space, it will be a very successful case. ‘One Hundred Years Tianqiao, Tianqiao One Hundred Years’ will be realized soon. Whether the traditional cultural plaza newly created after 80 year absence will open an opportunity of convergence and communication will be a barometer measuring the artistic meaning and level of urban cultural space of Beijing.

      • KCI등재

        묘회(廟會)에서의 춘절(春節)표상화 과정 -현대 북경 지단(地壇)과 용담(龍潭) 공원을 중심으로-

        한남수 ( Nam Su Ha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8 No.-

        개혁개방 이후 공원 묘회(廟會)에서의 춘절(春節) 재개는 전통문화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정부의 ‘문화만들기’에서 시작되었다. 북경의 지단(地壇)과 용담(龍潭) 공원이 묘회의 주요 개최지로 시범 운영되면서 춘절을 맞이하는 세태도 변화가 일어났다. 묘회는 춘절의 전통적 가치와 일상을 자연스럽게 융합시키고, 특정 공간을 향유하는 동력으로서 문화적 정체성을 강화한다. 때문에 묘회는 개인과 사회, 공동체 모두에게 춘절을 체현하고 발원하는 곳이다. 그러나 유구한 역사를 간직해 온 춘절이 신해혁명 이후 여러 정치.사회적 갈등으로 인해가치와 정서 그리고 전통적 유산들이 폄하되거나 파기되었다. 이로 인해 정부는 혁명의 실패를 만회하고자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기 시작했고, 문화정책에 실천적 의지를 표명했다. 1980년대중반 개방 정책 이후의 경제적 상황이 일정 부분 실효를 거두면서, 춘절도 정치적인 방벽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특히 1984년 북경의 용담공원과 1985년 지단이 춘절 묘회 개최지로 확정되면서 전통적 가치에 대한 문화적 의미가 강조되기 시작했다. 이 두 공간은 춘절 문화의 정서를 환기하고 문화적 정체성을 회복하는 통로로 시민의 지지를 받았다. 오랜 기간 춘절은 내전과 정치적 불협화음으로 위기에 봉착했고, 시민의 나눔과 교류가 부재한 채 정치적 교화의 장으로 변질되었다. 정부는 이 같은 정치적 현실을 만회하기 위해 전통문화의 회복을 서둘러야 했다. 그런 의미에서 북경 공원 묘회의 탄생은 춘절이란 민족적 정서를 공고히 하고 동시대의 전통적 가치를 회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사례가 아닐 수 없다. 공원 묘회에서의 춘절의 재개는 단절된 과거로부터 전통 문화의 상흔을 회복하고, 문화를 향유하는 주체자로서 시민을 중시하는 첫 단계로 의미를 지닌다. 때문에 공원에서의 묘회의 개방은 일상의 공간, 시민의 공간, 춘절 축제의 공간으로 종교적인 색체를 과감히 제거하면서도 ‘전통’이란 이미지를 극대화할 수 있었다. 물론 이 ‘전통’의 의미가 과거의 역사적 정서를 그대로 옮겨오기에 한계가 있었지만 시민에게는 묘회와 춘절이란 명칭만으로 여전히 그 유효한 가치를 심어주었다. 시민들은 묘회에서의 춘절을 통해 소통과 교류 그리고 문화적 정서를 공유할 수 있었고, 묘회를 문화 광장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묘회는 거대한 박람회장을 방불케 하며 시민들의 다양한 요구와 삶의 변화를 수용했고, 정부 역시 전통문화공간으로서의 춘절의 이미지를 구체화하면서 자연스럽게 주도권을 행사할 수있었다. 지단 공원은 도서 시장인 서시(書市) 개최를 지원하면서 책과 시민의 만남을 수용했고, 용담 공원 호수의 자연 자원을 활용해 단오(端午)에 용선절(龍船節) 축제를 열어 전통 문화 체험 장으로 자존감을 높였다. 현대 북경 공원 묘회는 춘절의 강력한 메시지를 전하고 있으며, 전통적 정서와 일상 공간으로서의 정체성을 부여하는 문화 광장의 새로운 동력이 되고 있다. The re-starting of Chinese New Year in the park temple fair after the Reforms and Openness in the 1980s began with the ‘culture making’ by the government in its effort to find the identity of traditional culture. With the pilot operation of Jidan Park and Yongdam Park in Beijing as major sites to hold temple fair ,the custom of holding Chinese New Year among people has also changed. temple fair naturally fuses traditional values and daily life of Chinese New Year, and strengthen cultural identity as the driving force of enjoying a specific space. Therefore, temple fair is the place which leads individuals, society, and community to experience Chinese New Year and prey for something. The value, mood, and traditions of Chinese New Year which had a long history were despised and destroyed by various political and social conflicts following the Sinhai Revolution in 1911. Then, the government, to compensate for the failure of the revolution, collected opinions from various sectors of the society, and expressed its willingness to pursue cultural policy. As the economic situation became better after the Open-door policy in the mid-80s, Chinese New Year also could escape from the political obstacle. Especially, with Yongdam Park in Beijing being selected as the site for holding Chinese New Year temple fair in 1984, and Jidan Park being also chosen as such a site in 1985, the cultural meaning of traditional value began to be emphasized. Those two sites received the citizens`` support as the channels of reviving Chinese New Year culture and recovering cultural identity. For a long time, Chinese New Year had faced crisis because of the civil war and political dissonance, and changed into the site of political teaching lacking citizen sharing and communication. The government, to compensate for such a political reality, had to hurry recovery of traditional culture. In such a respect, re-birth of park temple fair in Beijing was an important case where people could strengthen nationalistic mood and recover contemporary traditional culture. To re-start Chinese New Year in temple fair in the park has the meaning of being the first step to recover the customs of the traditional culture from the extinct past, and attach importance to citizens as subjects who enjoy culture. Thus, the opening of temple fair in the park was the space of daily life, of citizens, and of Chinese New Year festival, and could maximize the image of ‘tradition’, while drastically eradicating religious colors of it. Of course, there are limits in reviving historical mood of the past in the ‘tradition’. But, the names temple fair and Chinese New Year were effective to make people enjoy tradition. Through Chinese New Year in temple fair, people could share communication, exchange, and cultural mood, and began to recognize temple fair as a cultural plaza. temple fair resembled a huge exhibition which embraced various demands and change of living styles. The government, by concretizing the image of Chinese New Year, could naturally lead the event. Jidan Park, with its support for the ‘Book City’, book market, supported the meeting of books and citizens. Using natural resources of the Yongdam Park Lake, it held the Yongseonjeol festival at The Dragon Boat Festival, upgrading its pride as the place of experiencing traditional culture. Currently, park temple fair in Beijing provides new driving force of cultural plaza which sends a strong message of Chinese New Year, and gives the identity of traditional mood and daily space.

      • KCI등재

        한국 죽방울돌리기의 변화와 전망 -한중비교를 중심으로-

        한남수 ( Han Nam-su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9 No.-

        죽방울돌리기는 중국의 도우쿵주(?空竹) 연희와 유사한 놀이이다. 1900대 전후로 전문 연희패와 보부상들에 의해 연행됐다. 2004년 진주 솟대쟁이보존회가 복원작업을 시작했다. 다년간 노력으로 초보적인 단계를 벗어나 연희자의 개성을 중시하는 놀이로 거듭났다. 죽방울돌리기는 주요 무대가 시작되기 전에 단막으로 등장해 관객의 호기심과 흥취를 한껏 올리는 놀이다. 오랜 단절과 척박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전통 목재 모형을 제대로 복원했고, 익살스런 재담은 관객과의 소통을 중시하는 전통연희의 특성과 가치를 잘 보여주었다. 반면 중국의 쿵주는 1990년대 전후로 서서히 회복되다가 2006년 무형문화유산으로 등록되면서 광폭의 성장을 이어갔다. 정부의 적극적 재정지원은 베이징(北京) 올림픽을 위한 대규모 쿵주 대회를 개최하면서 연희자의 급증으로 이어졌다. 전승자 외에도 민간과 국가 서커스단은 각기 다른 연희자의 변용을 수용하면서 대중적 보급에도 성공했다. 때문에 유사한 전통놀이가 각기 다른 토양과 문 화 환경에서 대중적인 문화공간으로 확대 재생산 되고 있다는 것은 연희자의 다양성과 무대 공간의 다변화를 촉구하는 좋은 사례이다. 본고는 죽방울돌리기가 쿵주와 차별된 한국적인 특징을 어떻게 고수하며 대중적인 문화공간으로 확대 발전하고 복원되었는지 주시한다. 첫째, 죽방울돌리기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자료와 현지조사 인터뷰 등을 활용해 분석한다. 둘째, 전문 민간 연희단체인 솟대쟁이와 보부상놀이에서의 죽방울돌리기의 복원과 변화과정을 살핀다. 셋째, 연희자, 기법, 제작, 재담 연희 공간 등을 통해서 죽방울돌리기의 연희 양상을 논의한다. 넷째, 놀이의 지속적인 발전 가능성과 보부상촌 설립 후의 과제에 대해서 전망한다. 2018년 보부상촌이 완공되면 상설무대가 마련 된다. 무형문화유산의 가치로서 전통적인 원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대중적 놀이로서 접근성의 극대화는 오랜 숙원이고 과제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반짝하고 사라지는 관치축제의 답습을 경계해야 국제적인 무대로서 성장할 수 있다. 전국의 다양한 연희단체, 해외 단체와의 공조와 협업으로 창의적인 무대를 열어가야 한다. 보부상촌 설립을 계기로 산재한 죽방울돌리기가 보다 응축된 놀이로 성장함은 물론 쉽고 재미있는 여가 오락 놀이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 Jukbangul spinning is similar to the Chinee play of kongzhu (空竹). It was carried out around the 18th century by professional performing art groups or traveling merchants. In 2004, the Jinju Sotdaejaengyi Coservation Association started their restoration project. Thanks to multiple years of efforts, it became reborn as a play that valu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er and player. Jukbangul spinning was a game that piqued people`s curiosity and excitement before a major stage play was performed, and it usually consisted of a single act. Despite the long break in history and harsh conditions in the environment, the traditional wooden sample has been restored. The witty jokes show well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traditional performances and games where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was important. Meanwhile, the Chinese kongzhu was gradually restored around the 90`s and was finally register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in 2006. Since then, it has seen progress in leaps and bounds. The massive subsidies provided by the Chinese government led to large-scale kongzhu competitions for the Beijing Olympics and a rapid increase in performers.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artisans, both public and private circus groups adopted variations in their style and contributed to the mass appeal of the performing art genre. This makes it a good example of how traditional play and game can be expanded, built upon and reproduced through the popular cultural space in different cultural and geographical environments. This paper will examine how Jukbangul spinning sticks to distinctive Korean characteristics which are differentiated from kongzhu and developed into popular cultural space and restored. First,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Jukbangul spinning will be analyzed using data and field survey interviews. Third, performance aspects of Jukbangul spinning will be discussed through performers, techniques, production and joke play space and etc. Fourth, the possibility of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play and the issues after the foundation of peddler village will be expected. Once the Bobu Sangchon is completed in 2018, a permanent stage will be established for the art. Preserving the original prototype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and promoting it as a popular play is a long held hope and task that needs to be achieved. Only when the government-led events that make such cultural assets a one-off occasion are averted can the art grow onto the international stage. Creative stage performance opportunities must be sought through collaboration with overseas performing groups as well as performing groups across Korea. This researcher hopes that Jukbangul spinning which has thus far grown in a scattered manner will become more concentrated and consistent to serve as a fun, interesting and easy to learn game for the masses.

      • KCI등재
      • KCI등재

        놀이의 공간 변화와 소비 - 베이징 어린이 놀이를 중심으로 -

        한남수(Han, Nam-Su) 비교민속학회 2021 비교민속학 Vol.- No.73

        놀이는 시대를 조명하는 거울인가. 후퉁과 묘회는 전통적 어린이 놀이의 역사와 변화를 담아온 살아있는 공간이다. 도시화 이후 공교육에서 다루지 못하는 일부 놀이는 대형학원, 사설기관, 체육관으로 옮겨지면서 공간의 변화를 이끌었다. 공간의 변화는 놀이의 유형, 형식, 참여자의 다양성으로 이어진다. 어린이 놀이는 스포츠 영역의 일부를 수용하면서 다양성과 개성을 추구했고, 문화소비산업으로 성장하였다. 여기에 놀이와 거대 자본이 결합되면서 테마공원 환러구가 탄생하게 되었다. 환러구는 도시 테마공원으로 특수한 영역을 누리며 어린이에서 중장년, 가족, 단체 모두를 포함하는 대형 놀이 시설로 성장하였다. 펜싱, 축구 또한 어린이 놀이로 수용되면서 특화된 공간의 놀이로 소비를 촉진하고 있다. 반면 형식의 변화도 눈에 띈다. 전통적 놀이로 팽이, 연날리기, 제기차기는 어린이 놀이를 넘어 전국적인 여가 스포츠로 발전해 대중적 오락으로 성공하였다. ‘놀이에서 스포츠로, 스포츠에서 놀이’로의 발전은 정부의 지원과 체육협회간 긴밀한 공조 속에서 가능하였다. 다양한 대회 활동과 상설무대가 늘어나면서 시민 체육활동의 여가문화로 정착되었다. 어린이 놀이의 가치와 역할은 두 가지다. 첫째는 문화유산으로서 보호와 전승이라는 명분을 얻고, 소비산업으로서 문화콘텐츠로 자리잡은 것이다. 둘째는 세대와 소통하고 교류하는 도구로서 놀이 공간의 확장성이다. 공간의 자유로운 이동은 전통적 놀이 방식에 창의성을 부여하며 학습하는 놀이로 변용되었다. 놀이가 시대의 변화를 읽어내고 세대와의 긴밀한 소통을 이어가기 때문에 어린이 놀이는 중국 도시 문화의 성장과 문화소비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다. 본 연구는 놀이가 갈등을 해결하고 다양한 참여자 간의 교류를 통해 세계를 인식하며 사회 정화와 문화유산의 가치와 의미를 높이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Is the entertainment a mirror that reflects the times? Hutong and Miaohui are living spaces that contain the history and changes of traditional entertainment for children. After urbanization, some of the entertainment that could not be handled in public education were moved to large academies, private institutions, and gyms, leading to changes in space. Changes in space lead to the type, format, and diversity of participants. As entertainment for children embraced parts of the sports sector, it pursued diversity and individuality, growing into a cultural consumption industry. Combining the entertainment with large capital created the theme park ‘Huanlegu’. Enjoying the special area as an ‘urban theme park’, it has grown into a large play facilities including everyone such as children, middle-aged people, families, and groups. Also, the fencing and soccer are accepted as children’s play, which is promoting the consumption as a play with specialized space.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of form is also remarkable. Such traditional plays like top, kite-flying, and jianzi were developed into national-level leisure sports after exceeding children’s play, which became successful as popular entertainment. The development of ‘from play to sports, from sports to play’ could be done only because of the governmental support and close cooperation between sports associations. With the increase of diverse competition activities and permanent stage, it was settled down as leisure culture of civil physical activities. The value and role of children’s play are divided into two kinds. First, it obtained justice of protection and transmission as cultural heritage, and also settled down as cultural contents in the consumption industry. Second, it is the expandability of play space as a tool for communicating and exchanging with generations. Because the play reads the changes of the time and continues close communications with generations, the children’s play is an important case showing the growth of urban culture and the current state of cultural consumption in China. This thesis expects to see that the play could contribute to solving conflicts, perceiving the world through exchanges between various participants, and raising the value and meaning as social purification and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