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일반 논문 : 일제 말 지방 유림의 동향과 친일시의 국면 -강릉 유림을 중심으로-

        한길로 ( Gilro Ha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科學 Vol.0 No.60

        1940년대, 일제는 중일전쟁의 장기화와 2차 세계대전의 발발 등 내외의 수많은 난제들을 극복하고자 정치·경제·사회·문화 각 방면의 모든역량을 이른바 ``총동원체제``에 복속시켜 나갔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지식인들을 포섭하여 식민지 조선의 모든 민중들의 참여와 동참을 조장했다. 특히 일제는 각 지역 단위의 민중들을 보다 효과적이자 효율적으로통제 및 감시하기 위해, 지역 내에서 적지 않은 ``권위와 영향력``을 갖고있던 ``지역 유림``을 대대적으로 활용하고자 했다. 1941년 강릉 유림에 의해 발간된 한시집 『명덕사조(明德詞藻)』는 당대 유림의 일면을 매우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 시집을 통해 강릉 유림들은 일제 파시즘체제에 대한 협력 및 동참의지를 자신들이 전유했던 언어였던 ``한시``를 통해 구현해 냈다. 즉 당시이른바 ``유림``들은 일제가 강요하고 이식하려 했던 정치사회적 이데올로기들을 한시라는 ``형식``을 빌려와 자신들의 협력의지를 표출하는데 활용하는, 일종의 ``정치사회적 도구``로 이용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행위주체로서 ``유림``은 명망 있는 유학자라기보다 지역의 하급관료 및 유지(有志)집단에 가까웠다는 사실도 보여주고 있다. 이들은 천황이 신년에 내리는 칙제(勅題)와 「성전(聖戰)」, 그리고 지역의 고적들을 시제(詩題)로 활용하여 전시체제 및 지역 관리를 찬양·미화하고 민중의 참여를 독려하는 내용을 전달하는데 주력할 뿐 한시가 갖고 있던 미학전통은 사실상거세해버렸다. 결론적으로 이 시집은 일제 말 총독부의 조선 유림 통제정책이 지역유림을 통해 어떻게 실행되고 있었는지에 대한 단면을 보여주는 동시에 기존 친일문학(국문, 일문)과는 다른, 전근대의 논리와 수사로 점철된 친일한문학의 일면을 반영하고 있다. In the 1940s, Japan tried to extensively make use of ``the provincial Confucians`` who had ``authorities and influences`` that were not disbanded completely in local areas in order to regulate and surveil the populace of each local area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Myeoungdeoksajo (明德詞藻), a collection of poem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was published by the Confucians in Gangneung in 1941, unveiled the situations of the Confucians in the period very frankly. In this book of poems, the Confucians in Gangneung showed their will to cooperate with and participate in the Japanese fascist system through Sino-Korean poetry and the poetry club that were their words and culture. In other words, the so-called Confucians then took advantage of sociopolitical ideologies that Japan tried to force and implant as a kind of sociopolitical tool by using a format of Sino-Korean poetry only and applying it to the cause as a means of expressing their will of cooperation. Besides, it showed the fact that this work was ignited by the bureaucrats in a lower class and a group of community leaders in local areas not by renowned Confucians. They only focused on delivering the contents that praised and beatified the wartime situations and local officials and urged participation of the populace using chikje (勅題) and "the holy war" that were bestowed upon by the Japanese Emperor and historical spots as a subject for a poem. In fact, they eliminated the tradition of aesthetics in Sino-Korean poetry. In conclusion, this book of poems shows not only an aspect of how the policy of controlling Confucians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the Joseon dynasty was carried out through the provincial Confucians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but also brings up the necessity of studying pro-Japanese Sino-Korean poems that differentiated themselves from the existing pro-Japanese literature (written either in Korean or Japanese).

      • KCI등재

        한계 이승희(韓溪 李承熙)의 북경행의 배경과 교유시의 일면 -「서유록(西游錄)」을 중심으로-

        한길로 ( Han Gilro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科學 Vol.- No.80

        을사조약이 늑약 체결된 1905년 이후, 나라의 붕괴와 균열상을 지켜만 볼 수 없었던 지식인들은 국외 이주를 도모하게 된다. 이 행렬은 이민족의 지배 하에서 유가적 이상을 실현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했던 유림들이 중심이 되었다. 한주학파를 이끌며 항일운동을 전개했던 한계 이승희 역시 그 중 한 사람이었다. 그는 1908년(당시 62세) 해삼위로 향해 그곳에서 유교 공동체 구성과 독립운동 기지 구축에 전념했다. 1911년 신해혁명 이후에는 ‘공교(孔敎) 운동’의 중심에 서며 이른바 ‘재중(在中) 유림’을 대표하는 인물로 거듭난다. 1913년 그는 당시 한인 사회의 갈등과 국난극복 해결을 기대하며 동삼성한인공교회를 설립하였다. 지회 승인을 위해 직접 북경으로 건너가 공교 간부들과 만난 이승희는 공교 문제와 더불어 세계정세나 중국의 현안, 그리고 ‘근대(성)’에 관한 문제를 놓고 진지한 필담과 문필을 이어갔다. 이 과정에서 탄생한 「서유록(西遊錄)」 속의 시문들에서 이승희는 ‘소중화나 모화(慕華)사상’의 견지를 넘어, 확고한 ‘(유교적) 주체의식’을 표출하였다. “아동(我東)”이 아닌 “아화(我華)”로 진화한 것이다. 또한 중국의 중심으로 건너가 자신의 이상을 직접 실천하고 적극적으로 구현하려던 근대 유림의 사상적 무장과 실천적 면모를 잘 보여줬다. 그리고 「서유록」은 양국 유림(문인)들의 교유 국면에서 한국유림에 대한 달라진 위상을 담고 있는데, 과거 다소 고압적이었던 중국 관료(문인)들의 모습은 사라졌고 이승희는 유도의 담지자 및 전수가로서 매우 극진한 대우를 받았다. 즉 이 자료는 이승희로 상징되는 근대 유림의 새로운 방식의 중국기행과 변모된 위상을 보여주는데 특히 한국 공교 운동의 배경·전개·추이를 잘 반영하고 있다. 동시에 근대 한중 유림의 인적교류 국면과 그 이면에 담긴 내면을 생생히 기록하고 있다. 요컨대 이 책은 이른바 ‘연행’루트를 벗어난 근대기 유림의 중국 기행(체험)을 잘 보여주는 ‘근대 중국(북경) 기행문’의 시원(始原)에 해당되면서 근대기 한중유림의 합작과 공조의 초기 모습을 선명히 증언하고 있다. In 1905, Japan forcibly signed a treaty with the Korean Empire. The fall of the country and the collapse of Confucianism were so shocking that intellectuals at the time considered immigration. Lee Seunghee (李承熙), the leader of the Hanju School (寒洲學派), was also one of the intellectuals who considered immigration. In 1908, 62-year-old Lee Seung-hee took a ship bound for Vladivostok, the border between Russia and China, where he devoted himself to establishing a Confucian community and building a base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1911, when the Xinhai Revolution broke out in China, he became a central figure in the Confucius Religion Movement (孔敎運動) and also grew to represent the Confucian scholars living in China. In 1913, he founded the Korean Organization of Confucius Religion Church of the Three Provinces in Northeast China (東三省韓人孔敎會) in anticipation of overcoming the conflict and national crisis in the Korean community at that t ime. I n the w orks in Seoyoulok (西遊錄; The Records of Travels in the West), Lee manifested his own Confucian spirit and active will to put it into practice, neither resorting to minor Sinocentrism nor showing a trait of a Sinophile. At the same time, the book vividly records the reappearance and the elevated status of Korean Confucians in modern China. In short, the book marks a new beginning of the Modern China (Beijing) Travel Literature, which records the Korean Confucians’ travel to China in the new modern period, not based on the so-called previous routes, and shows an early appearance of the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Confucians in Korea and China of the modern period.

      • KCI등재

        일헌(一軒) 조병택(趙昺澤)의 「서정일록(西征日錄)」 연구 - 서간도행의 배경과 기행 소회를 중심으로 -

        한길로 ( Han Gilro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62

        본고는 함안 유림 일헌(一軒) 조병택(趙昺澤, 1855∼1914)이 중국 서간도 일대를 둘러보고 남긴 기행문에 주목한 연구이다. 1905년 이른바 을사조약 체결을 목도한 그는 두문불출하며 유자 본연의 가치를 수호하는데 진력했다. 이후 대한제국의 망국이 현실로 다가오던 1910년 초, 그는 서간도로 향해 그곳에서 삶을 마감할 계획을 삼는다. 근대기 미증유의 난세와 마주한 유림들이 고뇌 끝에 제시한 출처관 중에 하나인 ‘거지수구(去之守舊)’의 결행이었다. 이런 배경에서 1910년 1월 19일 사우들과 함께 고향 함안에서 기차에 오른 그는, 압록강을 건너 서간도에 당도하여 그곳을 살핀 뒤 3월 9일 고향에 돌아왔다. 49일간에 거친 5200여 리의 여정이었다. 기행의 실상과 당시 그의 소회는 「서정일록(西征日錄)」과 관련 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피지’의 장소로 낙점된 서간도 일대는 어린 시절부터 끊임없이 상기되었던 유교의 본향이면서 옛 부여와 고구려의 고토였다. 그곳은 이미 그의 친척들이 이주하여 전통의 풍속을 고수하며 생활하고 있는 새로운 삶의 터전이었고, 유인석의 문인들이 부자묘를 건립하여 ‘오도(吾道)’를 보존할 수 있는 기초가 되어있음을 두 눈으로 확인했다. 이거(移去)를 결심한 그에게 당시의 중국 서간도는 ‘이역 아닌 이역’의 땅으로, 단순한 ‘동경’의 대상이 아닌 ‘생존’을 위한 땅이었던 것이다. 요컨대 중국으로의 월경과 귀경의 소회를 담고 있는 그의 시문은 해외로 떠난 사대부들의 거주 경험이 아닌 이주의 ‘모색과 회귀’의 과정을 보여주면서, 이주에 실패한 뒤 국내에 남아 통한의 삶을 살다간 한 지방 노유의 삶과 내면을 대단히 선명히 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즉 급변하던 정세 속에서 근대기 국내 유림이 작성한 중국 서간도 기행문의 시점과도 같은 작품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life background of Cho Byeong-Taek (1855-1914), a Confucian scholar in Yeongnam Province, and the travel across the border. Witnessed the signing of the Eulsa Treaty of 1905, he cut ties with the world and concentrated in studies, and at the same time depth exploration of the value of Confucianism. He decided to leave Korea and cross the border to China. 「SeojeongIlok」 is about the experiences and feelings of Confucian intellectuals who returned to Korea after moving to China at that time. The specific place was the West Gando area of Manchuria. He left for West Gando with his friends in January 1910 and crossed the Amnok River to arrive in China. He returned to his hometown on 9 March, a journey of 2040km for 49 days. He thought it was the land of the past and judged it to be his ideal space. Because it was a sacred place of Confucianism, where his relatives lived, and where Confucian intellectuals formed a community. For him, it was a special place that could not be defined simply as a foreign country, nor could it be declared to be the object of admiration. That is, it was the site of his survival. Against this backdrop, his travel writings are a significant text of the inner world of modern Confucian intellectuals. Conclusionally, This document equates to the beginning of modern travel records in China.

      • KCI등재

        한계 이승희의 한시에 나타난 도해(渡海) 전후 시정(詩情)의 전개

        한길로 ( Han Gilro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論叢 Vol.77 No.4

        본고는 1908년 해삼위로 건너가 한인 공동체와 독립운동기지를 구축하고 또 공교(孔敎) 운동을 전개하며 유도의 복원을 도모했던 한계 이승희(韓溪 李承熙, 1847-1916)의 한시를 검토하는 논문이다. 특히 도해(渡海)를 결정하고 그것을 이행하는 과정과 도해 이후의 다양한 활동 속에 담긴 그의 내적 고뇌와 번민의 일면에 주목하고자 한다. 1905년 을사조약으로 말미암아, 대한제국은 사실상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게 되었다. 당시 이승희는 이 조약의 위법성과 부당성을 규탄하고 ‘을사오적’의 주살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리게 되는데 그는 이 일로 옥고를 치르게 된다. 이 일을 계기로 도해(渡海)를 결심하게 된 당시 그의 심사는 한시에 여실히 녹아 있었다. 해삼위로 떠나기 전에 창작된 그의 시는 미증유의 현실과 마주하게 된 비통과 분한이 가득했다. 각종 개혁조치로 인해 ‘종사와 강상(綱常)이 땅에 떨어지고, 오랑캐와 같았던 일본의 수중에 강토가 넘어가고 말았다’라는 상황인식 하에서 그의 내면은 끝을 알 수 없는 탄식과 애탄이 뒤엉켜 있었다. 특히 신하이자 지식인으로서 다가오는 ‘부끄러움’은 결국 그가 해외 이거(移去)를 결정하게 만드는 중요한 감정이 되었다. 도해 이후 그의 시에는 임금을 잃은 유신(遺臣)의 통한과 함께 ‘유민(遺民)이자 유민(流民)’의 처지로 전락해 버린 방랑객의 정서가 대단히 짙게 드리워져 있었다. 요컨대 그의 시는, 대한제국을 떠나기로 결심한 지식인의 고뇌와 함께 이역에 머물며 고군분투하던 한 유림의 우국우세(憂國憂世)의 일면을 잘 보여준다. 나아가 비록 몸은 타향에 있지만, 자신의 고유성과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또 한인들의 역량을 강화하여 독립운동에 일조하기 위해 헌신했던 근대 초기 재외지식인들의 분투를 담고 있다. 특히 그 당시 자신의 내면에 찾아온 고독감과 비애 그리고 조국애와 향수의 면모를 대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즉, 초기 이산문학의 원형적 면모를 담고 있는 그의 한시는 이방인을 자처했던 근대기 재중 지식인들의 치열했던 삶과 지적 고뇌의 일면을 여실히 웅변하고 있다. In 1908, Hangyue Lee Seung-hee (1847-1916) went to Vladivostok to establish a Korean community and an independence movement base. He was also a Confucian scholar who sought to restore Confucian teachings through the Confucius movement. In this paper, his Chinese poems are analyzed and reviewed.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values, and literary significance, especially before and after exile, of the poems will be examined. The state and dynastic situation had become so unsettled that he decided to seek asylum abroad. At that time, he spent his daily life grieving and agonizing, acknowledging the reality. These characteristics are easily found in his poems; his heart, which had to leave his hometown and country, was very bitter and sad. His time overseas was spent in Vladivostok, Russia, and Manchuria, China; he spent approximately eight years overseas prior to his death. As he began to live abroad, some changes took place in his poems. His longing for the motherland and hometown in- creased, and the sorrow of asylum seekers without fixed dwellings was further enhanced. In summary, his poems show the anguish of an intellectual who decided to leave the Korean Empire for failing to withstand the collapse of the dynasty and the fall of the state. It also shows the psychological pain and grief of Confucian intellectuals struggling in a different space. Also, his literature shows the early and original aspects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Furthermore, it is meaningful that his poems demonstrate both resistance and self-reliance that were never created in colonial Joseon, which was locked in colonial control and strict censo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