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 말 구(舊)지식인의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추도시 연구- 『춘무공삼십년기추도시집(春畝公卅年忌追悼詩集)』(1938)을 중심으로 -

        한길로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7 한국문학연구 Vol.0 No.53

        A memory of Itou Hirobumi is restructured in earnest with 20th anniversary of his death in1929. In other words, he was lightened as ‘a hero’ who died tragically in dedicating to a peace for Japan and Joseon not to a collapse of Korean Empire and an instigator of the invasion to Joseon. In 1932, as “Bakmun temple” was built, the remembrance of him began to take shape. This place was reformed as the sights for paying respect with ‘Joseon Shrine․Japanese shinto shrine’. In 1938, when Wartime-mobilization began, reaching 30th anniversary of Itou'sdeath, the group of (pro-Japanese) former intellectuals who was a contemporary of Itou commemorated his death and wrote poems about praising his charitable deeds with Japanese and offered it to the dead. The first book of memorial poems on which Japanese and former intellectuals of Joseon, a colony, ‘collaborated’ was born after Itou's death. This book of poetry is derived from Itou's poems that expressed “Being concerned about the country and being devoted to the king(憂國忠君)” and it contains 80 poems that 49 Japanese and 31 people of Joseon wrote. The average age of people of Joseon was 65.5 so they were considered as elders as a generation in the period of empire of Korea. In other words, the Japanese Empire established the legitimacy by lightening Itou through “words” from the generation who directly experienced Itou. They who still used Chinese letter as a written language(文語) left poems that Itou's time was comparable to Tang-Song(唐宋) Period when civil administration was frequent or Itou was praised as the hero of the day through Sino-Korean poetry. They are elders who were born with the baptism of the tradition of Josen Dynasty and lived from the Residency-General to the collapse of the Japanese Empire and also typical former intellectuals of the time who had conformed to the colonial power. Such a point of these are ‘expressed’ in their poetry as well. Their poetry that reached the twilight ‘the official writers and artists of colony who were born as a literary man of Joseon’ speaks the one aspect of ‘the crumpled portrait’ of former intellectuals who had lived through Japanese colonial era and ‘Chinese literature that lost its identity’ seized by a colonial power. 1929년, 그의 죽음 20년을 계기로 조선에서의 이토 히로부미에 대한 ‘기억’은 본격적으로 재구축 되었다. 대한제국 멸망과 조선침략의 ‘원흉’이 아니라 일본과 조선의 화평을 위해 헌신하다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 ‘영웅’적 인물로 현창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후 1932년 “박문사”가 완공됨에 따라 그에 대한 추모 분위기가 더욱 고조되었는데 이후 이곳은 ‘조선신궁․경성신사’와 함께 참배 명소로 거듭나기도 했다. 그리고 전시동원체제가 시작된 1938년, 이토 사후 30년 기일을 맞아 함께 그의 시대를 함께 살아간 조선의 (협력적) 구지식인 집단은 일본인과 함께 그의 죽음을 다시금 추모하는 동시에 그의 공덕을 찬양하는 시를 작성해 박문사 영전에 올린다. 이토 사후, 일본인과 식민지 조선의 지식인들이 ‘합작’한 최초의 추모시집이 탄생한 것이다. 위 시들은 “우국충군(憂國忠君)”의 뜻을 피력한 이토의 시를 차운한 것으로 시집에는 일본인 49명과 조선인 31명이 작성한 93수의 시를 수록하고 있다. 당시 이곳에 시를 수록한 조선인들의 평균연령은 65.5세로, 사실상 이들은 당대의 ‘원로’에 가까운 인물이었다. 즉 원로급 조선인 유력자․한학자․종교가 등을 이토 추모 행사에 동참시킴으로써 내지인뿐만 아니라 식민지인 역시 그에 대한 추모의지를 갖고 있음을 ‘전시’하려 했던 것이다. 과거처럼, 여전히 한자를 ‘제 1문어(文語)’를 활용하던 그들은 한시를 통해 이토의 시대를 문치(文治)가 빈빈(彬彬)했던 과거 당송(唐宋) 시대와 비견하거나 그를 일세의 영웅으로 칭송하는 시를 남겼다. 이들은 조선조 전통의 세례를 받고 태어나 통감부를 거쳐 일제 패망까지 살아간 원로이면서 식민권력에 순응해 온 당대의 전형적인 구지식인이라 평할 수 있는데 그들의 시 역시 이러한 점을 여실히 ‘표출’하고 있었다. 즉 식민지 공간에서 ‘기성의 언어이자 기득권의 문예’였던 한시가 차지하고 있는 한 지점, 다시 말하면 한시를 통해 일제와 그 주변의 권위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기획’되어 전개되고 있던 식민지시기 한시 창작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한계 이승희(韓溪 李承熙)의 재만(在滿) 시기 한시 고찰

        한길로 한국문학언어학회 2023 어문론총 Vol.95 No.-

        This paper examines the Chinese poetry of Lee Seung-hee, who died in Bongcheon, China in 1916 after choosing a voyage to Vladivostok in 1908.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state the main phase of Chinese poetry created during the period of residence in Manchuria (1908-1916), and examine the inner side of Korean Confucian scholars who moved to Manchuria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the poem, his feelings and anguish at the time, when he had to live a hard life as if drifting between northern and southern Manchuria for about nine years, were clearly expressed. In his Chinese poems in northern Manchuria, the sorrow for his homeland and his longing for his hometown and acquaintances, including his family, were relatively clear. The works of the period when he moved to Bongcheon, Nammanju in 1913 expressed his deep camaraderie and solidarity toward his comrades, and his willingness to overcome reality. In short, his poetry shows well the life and inner side of the Korean Confucian scholars living in Manchuria during this period who moved abroad to overcome the difficult reality, carried out their beliefs, and struggled to solve the national task. This is a characteristic aspect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in the modern period, and the works evoke a deeper introspection on the lives and literature of Korean Confucian scholars living in Manchuria during this period. 본고는 1908년 노령 ‘블라디보스토크’로 도해(渡海)를 택한 뒤 1916년 중국 봉천에서 생을 마감한 한계 이승희의 한시를 고찰하는 논문이다. 특히 재만(在滿) 시기(1908∼1916)에 창작된 한시의 주요 국면을 살피며 20세기 초 만주로 이주한 한인 유림의 내면을 고찰하고자 한다. 시에는 약 9년이라는 시간동안 북만주와 남만주 사이를 표류하듯 살아가야 했던 그의 당시 심정과 고뇌가 역력히 표출되어 있었다. 북만주에서의 한시에는 고국을 향한 애수와 가족을 포함한 고향 및 지인들에 대한 그리움이 비교적 선명히 드러났다. 1913년 남만주 봉천 일대로 몸을 옮긴 시기의 작품에는 동지들을 향한 진한 동지애와 연대의지, 또한 현실에 대한 극복의지 등이 십분 피력되어 있었다. 요컨대 그의 시는 국내의 어려운 현실을 극복하고자 해외로 몸을 옮겨 자신의 신념을 관철하고 민족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투하던, 이 시기 재만 한인 유림들의 삶과 그 내면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는 근대기 한문학의 특징적 국면으로, 작품들은 만주라는 새로운 문학공간에서 창작된 한시의 특성들을 여실히 드러내며 이 시기 재만 한인 유림들의 삶과 문학에 대한 보다 깊은 성찰을 환기시키고 있다.

      • KCI등재

        근대 홍콩을 향한 진암 이병헌의 시선과 공간 인식 고찰– 『중화유기(中華遊記)』를 중심으로

        한길로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2 로컬리티 인문학 Vol.- No.28

        식민지로 전락한 조선의 현실과 유도의 쇠퇴를 근심 가득한 시선으로 지켜보던 진암 이병헌은 직접 해외로 몸을 옮겨 그곳의 실정을 정확히 관찰하고, 또 유교 복원의 방도를 찾아 현실 개선에 일조하고자 했다. 이에 그는 1914년 1월 중국으로 떠나 압록강을 건넜다. 그의 발길은 ‘안동-봉천-북경-곡부-상해-항주’에 이어 홍콩까지 도달했다. 그곳에 도착한 이병헌은 자신을 포함한 근대기 지식인에게 상당한 지적 자극을 준 강유위(康有爲)를 직접 찾아가 그와의 대면에 성공하였다. 이 기간 총 4차례에 걸쳐 강유위를 만났던 그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무더운 홍콩 이곳저곳을 연신 누비며 그곳의 도시 면모를 세밀하게 관찰했다. 홍콩에 오기 전 그에게 이곳은 ‘해적들의 늪’ 정도로 인지되었다. 하지만 미려한 자연 풍광과 어우러진 서구 기술문명과 제도의 실질을 본 그는 서구에 대한 선입견과 편견에서 벗어나 현실을 직시하고 보다 유연한 태도로 이를 살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하게 된다. 또한 그는 홍콩은 이제 영국인과 중국인만이 살고 있는 장소가 아니라는 사실도 발견했다. 그리하여 홍콩은 이주 한인들의 안정과 정착을 염원하게 만드는 장소로 다가왔다. 요컨대 이병헌에게 홍콩은 자신이 구상하던 개혁 방향의 연장선 위에서 스스로의 개혁 의지를 뒷받침 해주는 중요한 공간적 근거로 인지되었고 또 이주 한인들의 평온한 삶과 공존을 기대하는 새로운 터전으로 각인되었다. 즉, 『중화유기』 속 홍콩 관련 기록은 근대 홍콩의 풍경을 상세히 담고 있으면서도 통상적인 구지식인에게서는 발견하기 어려운 이병헌의 개방ㆍ개혁적 면모와 유연한 시각이 선명히 표출되어 있는 유의미한 한문 기행문으로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한말(韓末) 대계(大溪) 이승희(李承熙)의 한시에 나타난 저항과 번민의 일면 - 대구경찰서 투옥 전후를 중심으로

        한길로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용봉인문논총 Vol.- No.57

        This thesis focuses on Lee Seung-hee's poems among Confucians who fought against Japan after the Treaty of 1905. Lee Seung-hee is an important Confucian intellectual and Hanju school(寒洲學派) in Gyeongbuk areais one of the leaders. In 1905, he heard that Japan forced the treaty by threatening the Korean Empire government. He recognized it very critically and decided that it should be destroyed immediately. After signing the treaty, he sent a document to the king asking him to punish the traitor and nullify the treaty. He went to Seoul with 300 colleagues and tried to meet the king in person, but failed. Returning home, he was arrested by Japanese police and imprisoned in a prison at Daegu Police Station. Because of this incident, he spent about 103 days in Daegu prison from December 6, 1905 to April 7, 1906. In prison, he expressed his willingness to resist through poetry and expressed his feelings of sadness. Although he was saddened by the reality of the Korean Empire, which was about to be defeated, he was seen fighting against Japan until the end. In his poem, the sentiment of his agony and sorrow was very well illustrated, representing the sentiments of Confucian intellectuals at that time. His poems express Confucianism's will to resist very well and also show effort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times without ignoring them. Even through his poems we can see the pain of intellectuals and also the possibility of exile abroad. In conclusion, his poem can be defined as a representative work showing the inner side of the Confucian people of the time. 본 논문은 1905년 을사조약 체결 이후, 대일투쟁을 전개한 여러 사대부들 가운데 한주학파의 지도자 이승희(李承熙)가 남긴 한시에 주목한 논문이다. 이른바 상소투쟁을 전개하다 옥고를 치른 기간 동안 창작된 그의 한시는 당시 일본에 적극 투쟁했던 사대부들의 저항의지와 함께 복잡다단한 감정과 고뇌의 면모를 대표적으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을사조약 체결 소식을 듣고 약 300여 명의 지역 유림과 함께 상경한 그는 ‘오적을 주살하고 조약을 파기’하라는 내용의 상소를 고종에게 직접 전하려 했다. 하지만 일본의 직·간접적 저지로 끝내 이 일을 성사시키지 못했고 이내 고향으로 내려와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려 했다. 하지만 이 일을 계기로 12월 6일(양력 1906년 1월 19일) 수인(囚人)이 된 이승희는 이듬해 4월 7일(양력 1906년 5월 1일)까지, 약 103일간의 옥고를 치르게 된다. 상소투쟁에 이은 옥중투쟁의 과정 속에서 그는 당대 대한제국의 상황을 오랑캐였던 원나라에 의해 패망했던 남송 말기의 상황과 비견하며, 마지막까지 투쟁했던 송나라의 충신들의 정신에 주목했다. 그들의 숭고한 정신을 지속적으로 환기하면서, 단순한 비관과 한탄을 극복하고 옥중 투쟁의 ‘동력’으로 삼았던 것이다. 그는 이를 떠올리며 저항의지를 견고히 가져갔지만 동시에 보호국 처지가 된 조국의 참담한 상황을 외면할 수 없었기에, 비탄과 통한 가득한 심사를 시를 통해 표출했다. 출옥의 순간에는 치욕과 굴종만이 가득한 대한제국에서 더 이상 온전한 자신의 삶을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의사를 내비치며, 해외 망명이라는 새로운 길을 모색하려는 일면도 노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시기 작성된 그의 시들은 일본에 대한 비분강개한 저항의지를 잘 보여준다. 동시에 비탄과 절망, 감상(感傷)과 회한의 정조로 통한의 세월을 보내면서도 나름의 대안을 모색해야 했던 당대 유림의 절절하고도 치열했던 삶의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즉 직면한 시대의 문제를 회피하거나 그것에 편승하지 않고 대의명분을 관철시키기 위해 온 몸으로 부딪치며 ‘행동’으로 나아갔던 당대 지식인의 실천적 면모를 대단히 잘 담고 있다.

      • KCI등재

        晦堂 張錫英의 滿洲·露領 기행시의 시적 구현 양상 -遼左紀行 을 중심으로-

        한길로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2 嶺南學 Vol.- No.80

        Hoedang Jang Seok-young is a person who inherited the studies of Hanju Lee Jin-sang together with Lee Seung-hee and Kwak Jong-seok. He is also a modern Confucian scholar and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He traveled to China in 1912 for the liberation of his country and the revival of Confucianism, which in fact meant immigration. In other words, for him, China was not just a travel destination, but a base for the independence of the country and preservation of Confucianism. His destination was Milsan, North Manchuria, where his colleague is located, but he even visited Far East Russia. His travel poems were full of sadness and lamentation about the reality of his country, and he met his comrades and expressed his inner psychology. At the same time, his poems also had concerns and serious reflection. about the place of migration. Finally, it also reflects the difficult pain and lifestyle of the Korean diaspora. In conclusion, his literary work contains new contents and themes of Modern Sino-Korean Literature, so it is especially worthy of notice. 본고는 이승희·곽종석 함께 한주 이진상의 학맥을 계승하는 동시에 독립을 위해 헌신했던 근대 유학자이자 독립운동가인 회당 장석영의 해외 기행시에 주목하는 논문이다. 그는 국망의 현실을 극복하고 유도의 쇠퇴를 막기 위해 해외 이주를 모색했던 유림이었다. 그는 북만주 蜜山에 머물던 한계 이승희와 더불어 해외 한인공동체를 논의할 계획으로 중국과 러시아 일대로 향했고 그곳을 주람했다. 약 100일간 15,000리에 걸친 긴 여정이었다. 그의 요좌기행 은 중화에 대한 동경에서 벗어나, 직접 중국으로 건너가 중화의 재현과 고국의 독립 및 이민자들의 생활 안정을 도모했던 1910년대 한국 유림의 현실인식과 그 내면을 웅변하고 있다. 그의 기행시는 식민지가 되어 버린 고국을 뒤로한 채, ‘떠남을 위한 기행’을 시작한 遺民의 憂愁로 시작된다. 중국에 도착한 그는 한·중 ‘동지’들을 만나 잠시 마음의 안정을 갖고 자신의 내면을 표출하기도 했지만, 60대 老儒의 몸으로 북만주 및 노령과 같은 낯선 이역을 기행하는 과정은 唐 玄奘과 비견된다고 할 만큼 고된 길이었다. 여기에 이역을 전전하며 流民이 되어버린 한인들이 겪고 있던 삶의 실상이 목도되면서, 비감과 통한 그리고 客愁의 서정은 배가 되어 온전히 시에 담기게 된다. 동시에 시에는 移居地에 대한 모색과 고뇌의 감정도 점차 고조되고 확대되어 나타났다. 요컨대 그의 기행시는 근대기 유림이 실행한 독립운동의 일면과 함께 해외 이거를 모색하던 당대 유림의 내면을 매우 사실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또한 ‘한·중’과 ‘중·러’의 경계에서 소수자로 살아가던 한인 이민자와 난민을 바라보며 나타난 다양한 내적 갈등과 자기 정체성의 모색, 또 고국에 대한 깊은 향수까지를 모두 담고 있었다. 즉 그의 작품은 근대기 한문학의 특징적 국면들을 대단히 잘 반영하고 있다.

      • KCI등재

        1910년대 지방 유림의 중국 이주 과정과 귀향의 동인 고찰 서천 조정규의 봉천 덕흥보 사례를 중심으로

        한길로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論叢 Vol.79 No.1

        The Haman (咸安) scholar Seocheon Jo Jeonggyu (趙貞奎) planned to move away from the colonial reality, and in 1913 he crossed the Amnok River to Beijing to check up on the actual situation of the region. He discovered the disastrous lives of Korean immigrants living in Seogando, China. Accordingly, on his way back, he met Lee Seung-hee (李承熙), who was in Andong (安東) at the time, and made a detailed plan. After returning to his hometown, he hurried to prepare for immigration by selling his property, and in August 1914, he arrived in Fengtian (奉天), China, and began to build a base for the Korean community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His participation was of great help to Lee Seung-hee, who was leading it, and eventually h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immigration to Bongcheon. They expected a stable life by purchasing the land of Deokheungbo (德兴堡), which was 2/3 the size of Yeouido in Seoul. However, various disasters continued and unfortunately the community building at Deokhungbo ended. Later, he tried to immigrate again to the Qufu (曲阜) of Shandong Province, Confucius’ hometown, but he also failed; in 1916, Lee Seung-hee, his close friend and senior, died. In 1917, the Confucius Branch in Korea was also established. In 1918, when he returned to his hometown due to illness, his immigrant life also ended. As a result, his trip to China can be judged as a series of failures and frustrations. However, his actions also meant meaningful Confucian resistance in the modern era, which included social responsibility and brotherly affection of the intellectual. Therefore, Deokheungbo is a meaningful historical site that retains the sadness of modern Confucian scholars and Korean immigrants. In addition, his return contains the symbolism of the transition of the center of the Confucius movement from China to Korea. 본고는 1910년대 중국으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삶을 마감하려 했지만 결국 귀환을 택해야만 했던 당대 유림의 실정과 내면을 살피는 논문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함안 유림 서천 조정규라는 인물을 통해 현지에서 그들이 마주했던 현실과 난간들을 조명하면서 ‘귀환의 동인’에 주목하려 한다. 강제병합 이후 ‘피세와 피지’를 염두했던 조정규는 1913년 압록강을 건너 북경까지 유람하며 당지의 실황을 확인한다. 그곳에서 한인 이주민들의 처참한 생활을 목도한 그는, 귀국길에 당시 안동에 머물고 있던 이승희를 만나구체적인 계획을 타진하였다. 이듬해인 1914년 8월경, 그는 마침내 중국 봉천에 당도하여 한인 유교공동체와 독립운동 근거지 구축에 착수했다. 그들은 요중현(辽中縣) 덕흥보(德興堡)의 황무지 56만여 평(현 여의도의 2/3 크기)을 매입하여 성공적인 정착을 기대했지만, 대내·외적 재난이 겹치며 허무하게 막을 내리고 말았다. 이후 곡부로 발길을 돌려 그곳으로의 이주를 타진했지만 그 역시 실패하였고 1916년 벗이자 동지였던 이승희역시 죽음을 맞이하며 공교운동은 크게 위축된다. 이 사이 입적 강요와 비적들의 횡포, 일제의 회유 등으로 유림들의 재이주와 귀환이 이어지는 가운데 1917년에는 국내 공교지회도 설립도 추진되었다. 국내 지회 설립을 지원한 그는 1918년 ‘귀환’하며 약 5년간의재중 이민자의 삶도 종결된다. 이러한 그의 행적은 직접 중국으로 건너가 국난을 해결하는데 일조하고, 또 유학의 인문정신으로 약육강식의 시대와 맞서 투쟁하려던 근대 유림의 ‘유교적 저항’을 보여주는 궤적이었다. 더불어 이민자들의 난간을 외면하지 않고 이를 함께 극복하고자 노력했던 동포애와 이주 지식인으로서의 ‘소명의식’ 실천을 잘 보여주는 사례였다. 또한 그의 귀국은 공교운동의 방향이 국내로 전환됨을 상징하는 행보로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일제 말 『매일신보』 소재 신년 현상 한시 연구 - 칙제(勅題)를 중심으로 -

        한길로 열상고전연구회 2017 열상고전연구 Vol.55 No.-

        본고는 신춘문예와 맥락을 같이하며 유지된 “신년현상한시”에 주목하며 전시체제기 한시 창작의 특징적 면모를 분석해 보았다. 당시 이른바 ‘민족말살정책’이 강행된 시대적 상황은 ‘신년현상한시’에도 짙은 흔적을 남기고 있었는데, 일제는 신년 궁중행사인 ‘우타카이 하지메(歌会始)’ 시행에 앞서 제시되는 ‘칙제(勅題)’를 『매일신보』의 신년 시제로 제시하며 조선인의 동참을 유도했다. 즉 조선인의 한시 창작 전통과 일본의 신년 행사를 결합하여 조선인 역시 일본인과 동일한 방법으로 칙제라는 ‘천황의 성지(聖旨)’를 수용하도록 구조화하며 황민화를 조장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기획에는 대략 1000여 명이 넘는 인원들이 참여할 정도로 비교적 성황리에 진행되기도 했는데 지방의 하급관리나 유림 출신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는 이들 작품들은 지배층․저명인사․문단작가들에 한정되지 않은 일제의 전방위적인 ‘총동원’의 흔적과 동시에 그것에 대응하며 살아간 각 지역 보수 엘리트 인물들의 ‘식민지적 대응’을 반영한다 할 수 있다. 즉 일제는 ‘구체제적 인사’들을 체제 속으로 편입시키는 하나의 방편으로 이들이 여전히 향유하고 있는 문예물인 ‘한시’를 하나의 고리로 활용한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작성된 시들은 전시이데올로기를 ‘유교적 에토스’로 수용하고 있었고 전통적 ‘천하관’을 견지하며 ‘일본 신민’의 입장에서 세계를 주시하는 태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이들 작품은 ‘봉공과 멸사’를 의무화하고 ‘만세일계(萬世一系)’라는 신화를 주입하려던 일제의 전시이데올로기와 근대기 한문맥의 왜곡된 결합 양상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context of Times when so-called ‘genocide policy’ is enforced left a heavy trace and the Japanese Empire induced Koreans’ participation proposing ‘chikje(勅題)’ as a subject for a poem, which is suggested before ‘Utakai Hajime(歌会始)’, an event in Royal Court in New Year, is started. In short, they combined Koreans’ tradition in creation of Sino-Korean Poetry and Japanese New Year’s event and aggravated Imperial Citizen Forming structuralizing Koreans in order to accept ‘a shrine of the Japanese emperor’, chikje(勅題), in the identical way with Japanese. Roughly more than 1,000 of people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and it went successfully. Most ‘winners’’ backgrounds were not identified and some identified ones were minor officials in the provinces or from Confucians. In other words, these people constituted creating class of Sino-Korean Poetry in the late Japanese Empire and they took charge of ‘pro-Japanese’ Sino-Korean Poetry at this time. As a link, the Japanese Empire utilized Sino-Korean Poetry, a Literary Works that is still enjoyed as an instrument to make famous figures or writers‘ ‘words’ but also unknown ‘specific figures’ who are not well-known but work on all social standings include in a system. Poetry written in this background embraced the war time ideology as ‘the emotion of the context in Chinese letter’ and watched the world from a point of view of Japanese by sticking to the traditional world view. In conclusion, these works directly show the skewed aspect of combination of the war time ideology and the context in Chinese letter in Modern times, which required ‘a public duty and devotion for the country’ andself-annihilation for the sake of one's country self-annihilation for the sake of one's country indoctrinated the mythology, ‘Manseilgye(萬世一系)’.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