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말의 부정문을 가려잡는 조사 연구

        한길(Han, Ki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 Vol.0 No.57

        이 논의에서는 조사 중에 부정문에서만 적격하게 쓰이는 조사를 선정하고, 이에 해당하는 각 조사의 통사적 특성과 의미 기능을 규명하였다. 부정문을 가려잡는 조사로는 ‘밖에’, ‘이라고는’, ‘커녕’, ‘은커녕’이 선정되었고, 부정과 관련된 조사로는 ‘인들’이 선정되었다. ‘밖에’는, 형식적으로는 부정문에 해당하지만 내재적으로는 긍정의 의미적 기능을 나타낸다. 극히 일부 형식상 긍정문이지만 부정의 의미 기능을 나타내는 반어법 문장에서 쓰이는 통사적 특성을 지닌다. ‘밖에’는 단순 부정이나 능력 부정을 가리지 않으며, 부정어 ‘아니다’, ‘없다’, ‘모르다’를 가려잡을 수 있다. ‘이라고는’은 보조사 ‘이라고’와 ‘는’이 결합과정을 거쳐 도출된 합성조사로, 부정문을 가려잡는 통사적 특성을 지닌다. ‘이라고는’은 단순 부정이나 능력 부정을 가리지 않으며, 부정어 중에 ‘없다’를 가려잡는다. 보조사 ‘뿐’이 쓰인 긍정문에서도 적격하지만, 내재적으로 부정의 의미를 함의한다. ‘커녕’은 통사적 구성 ‘A커녕 B도/조차/마저 부정’으로 주로 쓰인다. A와 B는 같은 의미 부류에 속하는 단어로, A보다는 B가 덜 하거나, 못하거나, 안 좋은 것을 나타낸다. 뒤에 놓이는 부정의 수식 영역은 B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A에도 영향을 미친다. ‘A커녕’은 ‘A+(조사) Vst-기커녕’으로 의미상 별 차이 없이 바꾸어 쓸 수 있다. ‘은커녕’은 통사적 구성 ‘A는커녕 B도/조차/마저 부정’으로 주로 쓰이며, ‘커녕’과 용법 및 의미가 대체로 일치한다. ‘커녕’의 힘줌말에 해당한다. ‘인들’은 반어법을 실현하는 의문문을 가려잡는다. 형식상 부정문지만 내재적으로 긍정문에 해당하거나, 형식상 긍정문지만 내재적으로 부정문에 해당하는 문장을 가려잡는다. 극히 일부 형식상 긍정의 서술문이지만 내재적으로 부정의 서술문으로 해석되는 문장을 가려잡는다. In this paper, we selected particles that was used only in negative sentences among the particles, and identified the syntactic and semantic functions of each of the particles. In the particles to select the negative sentence, "bakke", "iragoneun", "kheonyeong", "eunkheonyeong" were selected and "indeul" were selected by particle related to negative. "Bakke" is formally a negation, but implicitly represents a semantic function of affirmation. Although there are some formally positive sentences, they have the syntactic properties used in the meaning of negation. "Bakke" does not discriminate between simple negation and ability negation, and it can be selected with negative words, "anida", "eopsda" and "moreuda". "Iragoneun" is a compound particle derived from the combination of "irago" and "neun", and has a syntactical characteristic that selects negative sentences. "Iragoneun" is used in simple negative sentences and ability negative sentences, and is selected negative word "eopsda". In this case, it implies the meaning of negative in the implied sense. "Kheonyeong" is mainly used as a syntactic composition "A-kheonyeong B-do/jocha/majeo negation". A and B are words belonging to the same semantic class, indicating that B is less, less well, or worse than A. The area of the negative expression that lies behind does not only affect B but also A. "A-kheonyeong" can be replaced "A + (particle) Vst-gikheonyeong", which can be used without any difference in meaning. "Eunkheonyeong" is mainly used as a syntactic composition "A-eunkheonyeong B-do/jocha/majeo negation". It corresponds to the power of "kheonyeong". "Indeul" can be used in the interrogative sentences that realizes the irony. It is a formally negative sentence, but implicitly corresponds to a positive sentence, or a formally positive sentence, but intrinsically implies a negative sentence. It selects a sentence that is interpreted as an implicitly statement of negation, although it is formally a statement of affirmation.

      • KCI등재
      • KCI등재

        정도부사 ‘훨씬’, ‘가장’, ‘더/덜’의 용법

        한길(Han, Ki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5

        우리말의 정도부사들은 공통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각각 개별적인 특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 논문은 정도부사 중에서 ‘훨씬’, ‘가장’, ‘더/덜’의 개별적 특성으로 통사적 제약 현상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정도부사는 일반적으로 형용사와 일부 부사, 상태성 동사, ‘상대적 개념의 명사+이다’ 앞에서 이들을 수식하는 기능을 가지며, 의미적으로 수식받는 말의 정도의 높고 낮음을 나타낸다. ‘훨씬’은 비교어가 명시적인 문장에 쓰여야 적격해지므로, 비교어가 ‘훨씬’에 의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부가어에 해당한다. 이 부가어는 ‘훨씬’의 바로 앞자리에 놓이는 문장성분을 구성하는 단어와 대립관계를 이루는 단어에 비교격 조사 ‘보다’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 부가어와 ‘훨씬’은 필수적으로 매여 있지만 결속력이 느슨하여, 일정한 조건 아래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가장’은 ‘대상이 속한 부류 중에서’란 문장성분이 명시적으로 실현된 문장에 쓰여야 적격해진다. 이 문장성분이 ‘가장’에 의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부가어이다. ‘가장’에 의해 요구되는 부가어는 ‘가장’의 바로 앞자리에 놓이는 문장성분을 구성하는 단어가 속한 부류인, 상위개념을 나타내는 단어와 ‘중에서’ 등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 부가어와 ‘가장’은 필수적으로 매여 있지만 결속력이 느슨하여 일정한 조건 아래 이동이 가능하다. 정도부사로 쓰이는 ‘더/덜’은 <비교 대상이 비교어보다 정도가 높게/낮게>란 의미적 특성을 가진다. ‘더/덜’은 ‘훨씬’과 마찬가지로 비교어가 명시적으로 나타나는 문장에 쓰여야 적격해지므로 비교어가 ‘더/덜’에 의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부가어에 해당한다. 이 필수 부가어의 구성과 이동 조건, ‘더/덜’과 부가어의 결속력, 수식 관계 등은 ‘훨씬’에서와 같다. The Korean degree-adverbs have common properties, on the contrary each degree-adverb has its own properties. This study is about the syntactic restrictions of "hwolssin", "gajang", "deo/deol" among the Korean degree-adverbs. The degree-adverbs generally modify descriptive verbs, [+state] action verbs, [+relative] noun+ida(이다), and another adverbs, and their meaning is the high or low degree of modified words. The meaning of "hwolssin" is that the degree of comparative object word is prett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word. The "hwolssin" obligatorily requires comparative word in other to grammatical sentence. The comparative word is usually constituted by the contrast word of the comparative object. The "hwolssin" and the comparative word have co-occurrence relation, but the comparative word can move another places on the given conditions. The meaning of "gajang" is that the degree of object word is highest or strongest among the class word of object. The "gajang" obligatorily requires constituent of sentence that was made up of the class word of object in other to grammatical sentence. This constituent of sentence is usually constituted by "the class word of object + jungeseo(중에서)". The "gajang" and obligatorily additional word have co-occurrence relation, but the additional word can move another places on the given conditions. The meaning of the degree-adverb "deo/deol" is that the degree of comparative object word is higher/lower than the comparative word. The syntactic usage of "deo/deol" is similar to the syntactic usage of "hwolssin".

      • 한국어 반어법의 실현방법

        한길(Han Ki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5 江原人文論叢 Vol.13 No.-

        누군가의 발화나 생각, 상황에 반향적 특성을 보이며, 발화 자체의 축어적 의미와 내재적 의미 사이에 반대 관계나 모순 관계를 보이는 표현들은 모두 반어법 범주에 포함된다. 반어법 실현은 음운적, 굴곡적, 어휘적, 통사적, 화용적 층위 등에서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이루진다. 각 층위의 반어법 실현 요소들은 독자적으로 반어법 실현에 결정적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단열한 요소에 국한하여 반어법이 실현되는 경우보다는 대체로 반어법 실현의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반어법이 실현된다. 음운적 층위에서 반어법을 실현하는 데 관여하는 요소를 보면, 억양, 음조, 강세, 휴지, 장단 등으로 운소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굴곡적 층위에서 반어법 실현에 관여하는 요소로는 종결어미와 연결어미, 조사 가운데 일부와 종결어미 중첩형, 종결어미와 조사의 결합형, 종결어미 반복형을 들 수 있다. 어휘적 층위에서 특정 단어에 의해 반어법이 실현되거나, 반어법 표현이 더 강화되기도 한다. 부사 중 일부와 의문사, 극히 일부의 형용사 따위가 반어법 실현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 통사적 층위에서의 반어법은 통사적 구성체에 의해 반어법이 실현된 것을 일컫는다. 반어법의 실현방법 가운데 이 방식이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생산성도 큰 편이다. The category of rhetorical irony includes all expressions with the shown opposite relations or contradictory relations between the literal meaning and the inward meaning in sentences. Rhetorical irony is realized by various elements in the phonological level, inflectional level, vocabulary level and syntactic level, etc. Each element in all levels which realized rhetorical irony distinctively plays an important role, but rhetorical irony generally is realized by various mixed elements. The elements which realize rhetorical irony in the phonological level are intonation, tone, stress, pause and duration. The elements which realize rhetorical irony in the inflectional level are partial sentence ending suffixes, sentence connecting suffixes, particles, mixed sentence ending suffixes, combined sentence ending suffixes and particles and reduplicated sentence ending suffixes. The elements which realize rhetorical irony in the vocabulary level are interrogatives, partial adverbs and descriptive verbs. The elements which realize rhetorical irony in the syntactic level are syntactic structures, playing the most important role with the most productive power among all elements realizing rhetorical irony.

      • KCI등재

        부정문을 가려잡는 ‘도’ 결합 부사어 연구

        한길(Han, Ki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0 No.46

        부사어 중에 일부는 문장 구성이나 문법 범주에 영향을 미친다. 부정문에서만 수식어로 쓰여 부정법에 영향을 미치는 부사어가 부정법 제약 부사어에 해당한다. 부정법 제약 부사어 중에 일부는 긍정문이나 부정문을 가리지 않는 부사나 부사 이외의 단어 및 어절에 보조사 ‘도’가 결합되어 부정문만을 가려잡는 부사어가 만들어지는 경우가 있다. ‘도’ 결합형에는 ‘조금도’, ‘하나도’, ‘추호도’, ‘털끝만큼도’, ‘눈곱만큼도’, ‘꿈에도’가 있다. ‘도’가 결합되기 전에는 부정문만을 가려잡지 않았지만, ‘도’가 결합됨으로써 부정문의 수식어로만 쓰이고, 의미상으로도 ‘도’ 결합 전과 달라진다. 용법에서도 다른 부사들과 동일하게 쓰이기 때문에 이들은 부사어에 포함된다. 이들 부사어는 축자적 의미와는 달리 <전혀>라는 내재적 의미를 지니기 때문에 한 단어로 보아 부사의 범주에 넣을 수도 있지만, 조금도’, ‘하나도’, ‘추호도’, ‘털끝만큼도’, ‘눈곱만큼도’가 의미상 차이 없이 불연속 형식인 조금의 …도’, ‘하나의 …도’, ‘추호의 …도’, ‘털끝만큼의 …도’, ‘눈곱만큼의 …도’로 확대되기 때문에 부사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 글에서는 ‘도’ 결합형인 ‘조금도’, ‘하나도’, ‘추호도’, ‘털끝만큼도’, ‘눈곱 만큼도’, ‘꿈에도’가 왜 부정문을 가려잡는 부사어에 해당하는지를 규명하고, 이들 부사어가 어떤 통사적 특성을 보이는지 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Some tertiaries have an influence on the grammatical category. The tertiaries to influence on negation are used as modifier in negative sentences. Those are syntactic tertiaries to select negation. A part of syntactic tertiaries to select negation is made by words not to select only negation attached auxiliary particles "do", words without adverb attached "do" and phrases attached "do".Some tertiaries have an influence on the grammatical category. The tertiaries to influence on negation are used as modifier in negative sentences. Those are syntactic tertiaries to select negation. A part of syntactic tertiaries to select negation is made by words not to select only negation attached auxiliary particles "do", words without adverb attached "do" and phrases attached "do". Syntactic tertiaries attached "do" to select negative sentences are "jogeumdo", "hanado", "chuhodo", "theolkkeutmankheumdo", "nungopmankhuemdo" and "kkumedo". Before "do" is attached to them, they didn"t only select negation, but after attaching "do" they are used as modifier in negative sentences and the meanings are changed, the usages are same with adverb. For those reasons they are included in tertiary category. This study is on the reason why they are included in the tertiary category and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that they have in sentenc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보충어를 요구하는 통사 부사의 용법

        한길(Han, Ki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9

        한국어 부사 가운데 일부는 문장 구성에 제약을 가하거나 문법 범주에 제약을 일으킨다. 문장 구성이나 문법 범주에 통사적 제약을 일으키는 부사는 통사 부사에 해당한다. 이 글에서는 통사 부사 중에서 특정의 문장 성분을 보충어로 요구하는 부사로 ‘더불어’, ‘아울러’, ‘하여금’, ‘같이’, ‘함께’, ‘고사하고’를 선정하고, 이들 부사가 문장 안에서 어떤 통사 제약을 일으키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더불어’가 문장 안에서 수식어로 적절하게 쓰이기 위해서는 ‘N+과’나 ‘N+으로’의 보충어를 필요로 한다. ‘N+과’나 ‘N+으로’는 ‘더불어’와 긴밀한 구성을 이루어 그 사이에 어떤 요소도 끼어들 수 없다. ‘아울러’는 ‘N+과’의 보충어를 필요로 한다. ‘아울러’ 앞에 목적어가 있으면 ‘아울러’는 부사가 아니라 타동사 ‘아우르다’의 활용형에 해당한다. ‘하여금’은 장형 사동문에서 필수 성분으로 쓰이며, 사역 행동의 주체인 ‘N+으로’를 필수 보충어로 요구하는 통사 특성을 가진다. ‘하여금’이 생략되기도 하지만, 반드시 ‘N+으로’의 보충어와 함께 생략되어야 한다. ‘같이’는 ‘N+과’의 보충어를 필요로 한다. ‘같이’의 뜻에 따라 보충어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함께’는 ‘N+과’의 보충어를 필요로 한다. ‘함께’의 뜻에 따라서 ‘N+과’의 보충어가 문맥이나 상황에 따라 생략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함께’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보충어도 함께 생략되어야 한다. ‘고사(姑捨)하고’는 문장 구성에서 적절하게 쓰이기 위해서는 ‘N+는’이나 ‘Vst+기는’이란 보충어가 반드시 필요하다. ‘고사하고’의 보충어가 ‘N+는’인 경우에는 ‘고사하고’ 바로 뒤에 명사가 놓이고, ‘Vst+기는’인 경우에는 용언이 놓인다. This study is on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deobureo", "aulleo", hayogeum", gachi", "hamgge", "gosahago" in the Korean adverbs. There are two kinds of adverbs according to whether the adverbs have syntactic restrictions or not. The adverbs to have syntactic restrictions are syntactic adverbs, the adverbs not to have syntactic restrictions are morphological adverbs. "Deobureo", "aulleo", "hayogeum", "gachi", "hamkke", "gosahago" are the syntactic adverbs to require the supplementary words. If the "deobureo" is used properly as a modifier in the sentence, the supplementary word "N+kwa" or "N+euro" is sure to require in front of "deobureo". But the supplementary word of "deobureo" can be omit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r context of expectation. If the "aulleo" is used properly as a modifier in the sentence, the supplementary word "N+kwa" is sure to require in front of "aulleo". The "aulleo" next to object "N+leul" is not adverb but conjugation of verb "aureuda". The "N+kwa" can be omit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r context of expectation. The "hayogeum" is the obligatory constituent in the long formed causative sentences. The supplementary word "N+euro" is sure to require in front of hayogeum". The "hayogeum" and "N+euro" can be omitted at the same time, but only the "hayogeum" can not be omitted. The "gachi" is not the obligatory constituent but the optional constituent in the sentence, and requires the supplementary word "N+kwa" in front of the "gachi". The supplementary word "N+kwa" can be omitted or can not be omitted according to the meanings of "gachi". The "hamkke" is the optional constituent in the sentence, and requires the supplementary word "N+kwa" in front of the "hamkke". The supplementary word "N+kwa" can be omitted according to the meanings of "hamkke". If "hamkke" is omitted, "N+kwa" is sure to be omitted. The "gosahago" requires the supplementary word "N+neun" in front of the "gosahago" in the sentence. There are a lot of restrictions to be used "gosahago" grammatically in the sentence.

      • 우리말의 융합 형태소와 형태소 중복 현상

        한길(Han Ki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江原人文論叢 Vol.15 No.-

        일반적으로 형태소는 어휘적 의미이든 문법적 의미이든 하나의 의미소(sememe)를 가진다. 하나의 형태(morph)가 둘 이상의 의미소를 가지면 의미 수 만큼 각기 다른 형태소가 됨은 자명하다. 그러나 한 형태가 둘 이상의 문법적 의미나, 어휘적 의미와 문법적 의미를 가지되, 늘 같은 자리에서 동시에 이들 의미가 실현되는 것들이 있다. 이를 융합 형태소라 한다. 한 형태소가 둘 이상의 문법적 의미를 동시에 가지는 것이 순수 융합 형태소이고, 어휘적 의미와 문법적 의미를 동시에 가지는 것이 준 융합 형태소이다. 이 글에서는 융합 형태소로 어떤 것들이 있으며, 각 융합 형태소는 어떤 의미적 특성들을 가지는가를 규명하였다. 융합 형태소의 예로, ‘우리’는 〈청자+화자 가리킴>, <복수>, <안높임〉이란 세 가지 문법적 의미가 같은 자리에서 동시에 실현된다. 형태소 중복 현상은 인접해 있는 두 형태소가 부분적으로, 때로는 전체적으로 하나로 녹아 붙어 표면상 형태소 분석이 안 되어 마치 단일 형태소처럼 보이는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형태소 결합이나 통합 과정에서 두 형태소가 동시적으로 녹아 붙어 표면상 분석 불가능한 것들을 형태소 중복(morphemic overlap)이라 한다. 형태소 중복 현상은 두 형태소 사이에 녹아 붙어 줄어드는 현상이기 때문에 단일 형태소 안에서의 주는 것은 형태소 중복 현상에 해당되지 않는다. 1인칭 대명사 ‘나’와 접속조사 ‘의’가 결합하여 ‘내’가 되면, 표면상 분석 불가능하기 때문에 형태소 중복에 해당하지만, ‘아이’가 ‘애’로 축약되는 것은 형태소 중복과 관계없다. Morphemes generally have one sememe even though it is lexical meaning or grammatical meaning. It is axiomatic that the morph is divided into different morphemes as much as the number of sememes if it has two more sememes. But there are morphs that one morph simultaneously has two more grammatical meanings or lexical meaning and grammatical meaning at the same place. These are named portmanteau morphemes. The pure portmanteau morpheme is that one morpheme has two more sememes at the same time and place. The quasi-portmanteau morpheme is that one morpheme has lexical meaning and grammatical meaning at the same time and place. This paper argued about the kinds of portmanteau morphemes and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m. The example of a portmanteau morpheme is ‘우리[we]’ that has three grammatical meanings that is, <the indication of hearer and speaker>, <plural> and <-honorific>. The phenomena of morphemic overlap is that two morphemes which are adjoining each other stick partially or wholly not to be separated. The linguistic form of morphemic overlap is not divided into two morphemes in the surface structure. The contraction in the morpheme is not the phenomena of morphemic overlap because it is not the contraction between two morphemes. The example of the phenomena of morphemic overlap is ‘내[my]’ which is sticked ‘나[I]’ and ‘의 [connective parti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