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과정중심적 양육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양주경,한근영,원주영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scale for the mensuration of parent’s parenting affecting adolescent learning- motivation. Based on researches of Ames and Savell(1987), Kim ji-kyung(2008) as well as theoretic consideration of the scale for the rearing of children, 39 preliminary items were created and the validity of items was confirmed by verification of a group of pundit. The operation of data-processing was applied to juvenile residents in metropolitan area and 211 data was utilized as analysis materials. The crucial 18 items were strictly selected by factor analysis, and searched form fit indices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between items of the scale was relatively reliable to .92(=a) and 3 subordinate features (encouragement of challenging, allowed autonomy, respect) were established. Results of a correlation analyses revealed that higher levels of process-centered parenting related to more learning motivation and a higher learning flow. Overall,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CPS has both valid and reliable psychometric properties. This study ends with researching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습동기 형성을 촉진하는 부모의 과정중심적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mes와 Savell(1987)의 연구와 김지경(2008)의 연구, 그리고 기존 척도와 양육문헌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39개의 예비문항을 작성한 후 연구자들의 검토를 통하여 내용 타당도를 확립하였다. 자료 수집은 12~19세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회수된 질문지 가운데 무응답 및 자료로 이용하기에 부적절한 질문지를 제외한 총 211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주로 활용한 통계분석방법은 요인분석이며,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분석을 통하여 최종 18문항을 추출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델의 적합도를 알아보았다. 척도의 문항 간 내적합치도(α)는 .92로 양호하였으며, 총 3개의 하위요인(도전에 대한 격려, 자율부여, 존중)이 확인되었다. 또한 청소년이 지각한 과정중심적인 양육태도는 학습동기와 학습몰입과의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청소년이 지각한 과정중심적 양육척도가 신뢰롭고 타당한 심리측정적 속성을 지닌 도구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의의 및 추후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용 심리구조(Mindset)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윤지혜,한근영,원주영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2 미래청소년학회지 Vol.9 No.2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the Mindset Scale for Juvenile as well as verifying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estimates. Based on mindset theory and the measure suggested in Button(1996), Day et al(2002) and study of the theories concerning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critical preliminary items were selected and the content of logicality was established through the class of psychology pundit.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and psychometric credibility of the Mindset scale, the items were administered to 23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Mindset scale was relatively reliable in term of internal consistency (a= .82), and it confirmed that the Mindset scale consisted of 5 subordinate concepts, labeled Awareness of Others, Openness to Learnig, Failure Avoidance, Approval Seeking, Learning Seeking. For the criterion validity of the scale, we examinded the correlation 5 factors of the scale and the Flow scale. The resul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low and Openness to Learnig (.63), Failure Avoidance(-.32), and Learning Seeking(.79). This study ends with researching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청소년용 심리구조(Mindset)척도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Button(1996), Day 등(2003)의 연구에서 사용했던 척도와 관련 이론들의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예비문항을 작성한 후 전문가 집단의 평정을 통해 내용 타당도를 확립하였다. 예비문항으로 선정된 48문항을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N=232)에게 실시하여 요인구조 및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척도의 문항 간 내적합치도(α)는 .82로 양호하였으며 총 5개의 하위요인(타인의식, 학습기회 개방성, 실패회피, 인정추구, 학습추구)이 확인되었다. 준거관련 타당도를 알아본 결과, 학습몰입척도와 하위요인들의 상관관계는 학습기회 개방성(.63), 실패회피(-.32), 학습추구(.79)가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또한 학습동기와 하위요인들의 상관관계는 학습기회 개방성(.63), 학습추구(.64)가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며, 경쟁동기와 하위요인들의 상관관계는 타인의식(.55), 실패회피(.32), 인정추구(.57)가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으며, 회피동기와 하위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타인의식(.67), 실패회피(.60), 인정추구(.44)가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 과제에 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 Xception 과 영상처리를 이용한 분말 공정에서의 과립 분류 방법

        이현정(Hyeon Jung LEE),조혜연(Hye Yeon JO),양혜린(Hye Rin YANG),정의현(Eui Hyun JUNG)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세라믹 분말 공정 과정에서 과립의 품질은 세라믹 제품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전체 과립에서 비정상 과립의 비율이 높을수록 제품의 품질이 떨어질 확률도 높아진다. 따라서 제품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품 공정 전에 전체 과립의 개수에서 비정상 과립의 비율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미경으로 촬영한 과립 이미지에서 영상처리를 통해 개별 과립을 검출하고, 딥러닝 모델인 Xception 을 사용하여 과립의 품질을 분류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KCI등재

        위기청소년의 자살사고 보고 여부에 따른 MMPI-A와 로샤검사의 반응 특성에 관한 연구

        고태연,김보기,박지훈,한근영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0 청소년상담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response to psychological tests in order to identify at-risk adolescents who may have suicidal thoughts.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Adolescent (MMPI-A), a representative self-report test, and Rorschach test, a projective test, were conducted to at-risk adolescents at the Incheon Youth Counselling and Welfare Center. Specifically, scores of each subclinical scale of MMPI-A, signs and indicators of Rorschach test, the Exner's Suicide-Constellation (S-CON, 2003) and Silberg and Armstrong's Rorschach Suicidal Index (RSI) for youth (1992) were used to identify suicidal ideation. Test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one consisted of 50 adolescents with suicidal ideation reported, and the other consisted of 32 adolescents without suicidal ideation reported. Results showed that, compared to the group that did not report suicidal ideation, the scores of the group that reported suicidal idea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on L and K scales and higher on the F scale among MMPI-A validity scales, and were significantly higher on Hs, D, Hy, Pd, Pa, Pt, Sc, Ma, and Si scales among MMPI-A clinical scales. In particular, the score on the D scale in the group that reported suicidal ideation was higher than 70T, and the scores of Hs, Pt, and Sc scales were higher than 65T, which was clinically significant. Also, compared to the group that did not report suicidal ideation, the Rorschach sign of the group that reported suicide ide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on M, M-, and DQ+ in the cognitive section, 3r+(2)/R, (2), Fr+rF, and An+Xy in the self-perception section, and HVI, H, H+(H)+Hd+(Hd), and isolate/R in the interpersonal section. The difference between S-CON and RSI was not significant. In order to prevent suicide in adolescents at risk, it is necessary to follow up on the evaluation of suicidal ideation through psychological tests. It is also needed to identify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 gende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or the level of maladjus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위기청소년들 중 자살사고의 가능성이 있는 청소년을 변별하기 위한 심리검사의 반응 특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 의뢰된 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대표적인 자기보고식검사인 MMPI-A와 투사검사인 로샤검사를 실시하였고, 자살사고 보고 여부에 따라 50명의 자살사고 보고집단, 32명의 자살사고 비보고집단으로 나누어 집단 간의 반응 차이를 비교하였다. 특히, MMPI-A의 각 하위임상 척도의 점수와 로샤검사의 기호를 비롯하여 Exner(2003)의 자살군집(S-CON)과 Silberg와 Armstrong(1992)의 청소년을 위한 로샤자살지표(RSI)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자살사고 보고집단은 자살사고 비보고집단에 비해 MMPI-A의 타당도 척도에서 L, K 척도는 낮고 F 척도가 더 높았고, 임상 척도에서는 Hs, D, Hy, Pd, Pa, Pt, Sc, Ma, Si 척도가 더 높았다. 특히, D 척도가 70T 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Hs, Pt, Sc 척도는 65T 이상으로 임상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높았다. 또한, 로샤 기호 중에서는 인지영역에서는 M, M-, DQ+, 자기지각 영역에서는 3r+(2)/R, (2), Fr+rF, An+Xy, 대인관계 영역에서는 HVI, H, H+(H)+Hd+(Hd), isolate/R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두 집단 간에 S-CON과 RSI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위기청소년의 자살 예방을 위해 심리검사를 통한 자살사고의 평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청소년의 성별, 정서적, 행동적 문제의 유형이나 부적응 수준에 따라 분류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