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두줄망둑(Tridentiger trigonocephalus) 자치어의 골격발달

        한경호 ( Kyeong-ho Han ),이성훈 ( Sung-hun Lee ),김두용 ( Doo-young Kim ),서원일 ( Won-il Seo ),박재민 ( Jae-min Park ) 한국어류학회 2018 韓國魚類學會誌 Vol.3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는 두줄망둑의 자치어 골격발달을 관찰하여 분류학적 연구자료로 이용하는 것이다. 부화 후 7일째 평균전장 4.44±0.28mm(n=5) 일 때 섭이기능을 하는 윗턱에는 전상악골, 주상악골이 골화하였고, 아래턱에는 악골이 골화하기 시작하였다. 부화 후 13일째 평균전장 5.62±0.24 mm (n=5) 일 때 두개골의 액골, 노정골, 상이골이 골화하였다. 부화 후 32일째 평균전장 11.8±0.28 mm(n=5) 일 때는 견대부에 사출골, 후쇄골이 골화하였고, 부화 후 40일째 평균전장 13.3±0.21mm(n=5) 일 때 두개골의 측사골이 골화하면서 모든 골격의 골화가 완료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development of the autonomous skeletal development of the Tridentiger trigonocephalus. Seven days after hatching, the skeleton of the two line cranes began to ossify at premaxillary, maxilla and dentary when the average total length was 4.44 mm (n=5). At thirteen days after hatching, the frontal, parietal, and epiotic ossicles were observed in the cranium when the average total length was 5.62 mm (n=5). At thirty-two days after hatching, actinost and post cleithrum were ossified at the shoulder when the average total length was 11.8 mm (n=5). At forty days after hatching, the lateral ethmoid of the skull was ossified with an average total length of 13.3 mm (n=5) and all skeletal development was completed.

      • KCI등재
      • KCI등재

        최승희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경자 ( Kyung Ja Han ) 한국체육사학회 2012 체육사학회지 Vol.17 No.1

        최승희에 관한 연구는 1990년대부터 월북예술인에 대한 금기가 풀리면서 시작되었다. 연구현황은 단행본 18권, 국내외 박사학위 논문 9편, 석사학위논문 17편, 학술지 연구논문 50편과 최승희를 주제로 하는 학술대회집 11권을 포함한 총 105건의 연구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연구성과물의 분석결과 최승희의 연구현황은 생애사나 월북이전의 예술행적과 예술성향, 작품내용등의 사적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최승희는 월북이후 조선민족무용기본과 조선아동무용기본을 정립하는등 교육자로서의 역할이 뚜렷하다. 따라서 향후 최승희 춤의 발굴과 복원을 연구의 과제로 할 때, 최승희 춤 메소드에 관한 실체적 이론과 실기의 균형있는 후속연구가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study on Choi Seung Hee started from 1990 when the prohibition of artists who defected to North Korea was removed. There are the total 105 research papers including 18 books, 9 doctoral theses, 17 master`s theses, 50 research papers, and 11 symposia so far. The analysis of research papers shows that most of the papers are on her life and her artistic activities and viewpoints before the defection. After her defection, she strongly worked as an educator by setting up the foundation of Chosun National Dancing and Chosun Children`s Basic Dancing. On the assumption that the succeeding researches are on unearthing and restoration of Choi Seung Hee`s dancing, the balanced research between the solid theory and actual techniques on Choi Seung Hee`s dancing needs to be expanded through multilateral studies.

      • KCI등재

        인문학적 관점에서 본 최승희의 예술 활동

        한경자 ( Kyung Ja Han ) 대한무용학회 2013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1 No.2

        Seounghee Choi, who had created over 310 dance works and performed all around the world, has been criticized by Korean community because of her pro-japanese tendencies.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her ethnicity and counter arguments against her Japanism through the analysis of her unreleased literature and references in humanistic perspective. The result shows that even though Japanese military forced her to do entertaining performances for the Japanese army, there were no contents admiring Japanese imperialism, on the contrary, there were many evidences of her nationalism in her works. This research has focused on discovering and recouning her nationalism.

      • 정보기술특성과 경영지원특성이 사용자 저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경일(Han, Kyungil),박종미(Park, Jongmi) 한국산업정보학회 2008 한국산업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10

        본 연구는 농협을 대상으로 정보시스템 사용자의 저항요인을 감소시키고 사용자의 만족을 제고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정보기술 특성 및 경영지원 특성이 사용자들의 저항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았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기술특성과 사용자 저항변수간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정보기술의 유용성과 용이성은 사용자저항과 부(-)의 관계가 발견되어 정보기술의 유용성과 용이성이 높을수록 사용자 저항은 감소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기술의 유용성, 용이성은 사용자 저항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경영지원변수 중 경영자지원과 사용자 저항 간 분석결과에 의하면, 전혀 유의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정보기술특성요인이 경영지원 특성요인보다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 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농협이 CRM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축하고 운영하는데 있어 필요한 정보기술시스템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사용자 저항의 원인변수 중 정보기술특성 및 경영지원특성에 관한 변수만을 사용하였다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보다 다양한 사용자 저항 영향요인들을 고려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 요양급여 비용의 부담관계

        한경식 ( Kyong Sik Han ) 청주대학교 법학과 2010 法學論集 Vol.32 No.2

        근로기준법 제78조 제1항은 재해근로자에 대한 요양보상의무를, 건강보험법 제48조 제1항은 요양급여 제한사유와 다른 법령에 의하여 보상을 받게 된 때에는 요양급여를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들 규정에 따라 건보공단은 산재보험법상 요양급여의 대상이 되지 않는 산재후유증과 산재보험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업무상 재해에 따른 요양비용 전액을 사용자에게 환수하고 있다. 건강보험제도의 공적인 성격 및 취지, 근로자의 건강보험료 50%를 사용자가 부담하고, 건강보험법에 대한 산재보험법의 특별법 성격 등을 고려하면 재해근로자의 요양급여 비용은 건보공단이 부담하도록 입법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요양급여 비용의 구상범위는 가해자인 제3자가 부담하는 손해배상의 범위 내에서 보험자가 지급한 요양급여가 되는 것이므로 가해자인 제3자가 피해자에게 부담하는 손해배상 범위를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요양급여 비용 전액을 구상하거나 당사자의 민사합의 또는 손해배상의 면제 및 포기가 있다는 이유로 아예 보험급여를 지급하지 않는 것은 요양급여 수급권의 과도한 제한이다. 민사합의서에 당사자의 명확한 의사표시가 없는 한 법정요양급여 이외의 추가손해에 대한 합의로 가 있는 것으로 추정함으로써 피해자의 건강보험급여 수급권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을 이유로 한 보험급여의 제한은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범죄행위를 야기한 자에 대한 징벌적 의미를 가지는 것이므로 비난가능성이 적은 경과실에 의한 범죄와 행정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행정범죄에 대해서는 요양급여를 지급하도록 하는 입법적 개선이 수반되어야 한다. The injured worker due to the industrial accident can claim the care expenses against the employer, the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Corporatio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Conjunction with the care expenses the Labor Standard Action stipulated so that the employer obligate injured worker`s care expenses an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action stipulated so as to discharge the care expenses`s obligation if the injured worker will receive the compensation due to the other law. Therefore the employer must burden the injured worker`s general care expenses came not under the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Action`s care pay. But the employer must burden the injured worker`s care expenses deprive the employer`s insurance profit if we are considere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ion`s public purpose, the employer`s burden against the injured worker`s health insurance fee, and the special law`s formation against the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Action. So it must be improved the law so that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an be applied to the injured worker`s care expenses came not under the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Action`s care pay. The insurer succeeds the status of the sufferer to the Attacker because the right to indemnity of the insurer against the bona-fide third party is came under subrogate of the law.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insurer is limited to the insurance benefits supplied in the within of the damages that the sufferer can claim to the attacker. If it weren`t clearly stated that the person the concerned have the intentions all the damages including the insurance benefits in the written agreement, it is a necessity that the social security of the sufferer must be protected by the presuming the agreement on the addition damages exceeding the insurance benefits.

      • 헝가리 계몽주의-개혁시대의 문학

        한경민(Han,Kyung-min)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2 동유럽발칸학 Vol.4 No.2

        헝가리 계몽주의-개혁시대의 문학은 전 국민을 결집시키는 거대한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조국의 독립과 발전이라는 목적을 이루어 내기 위해, 이 시기 문학가들은 문학이 어떠한 방법과 방향을 지녀야 할지를 고민하였다 일차적으로 계몽주의 문학은 민중의 계몽을 위해 교육적 기능을 담당하였다. 더 나아가 개혁시대의 문학은 현실 사회의 개혁에 이바지하는 모델 제시를 주안점으로 하였다. 계몽주의 시대부터 문학을 비롯한 다른 문화 영역에서도 민중을 계몽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노력이 선보인다. 이 시기 가장 중요한 문화운동은 언어개혁 운동이었으며, 카진치 페렌츠를 중심으로 하여 10년 간의 논쟁이 이어진다. 이 과정에서 모국어와 조국에 대한 사랑과 관심이 확대된 것은 자명한 일이다. 마침내 신어 운동가가 승리하면서, 헝가리 어는 광범위한 어휘확대와 언어 규칙의 정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개혁 시대는 정치 변화를 통해 직접적으로 현실을 개혁하려는 의지가 발원된 시기이다. 이 시기 문학은 과거의 사건을 소재로 하여, 외세를 몰아내고 독립을 쟁취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 헝가리 민족극으로 인정받는 반크장군 을 쓴 커토너 요젭이나 현재 애국가로 불리는 가 이 시대에 태어났다. 이 작품들은 모두 독립을 간절히 염원하고, 헝가리의 새로운 미래가 다가오기를 간구하는 내용을 지닌다.헝가리 계몽주의-개혁시대의 문학은 전 민중의 의지를 결집하여 조국의 독립과 발전을 이루려고 투쟁한 시기이다. 이 시대의 문학은 이후 1867년 헝가리가 부분적인 주권을 갖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제국이 성립되도록 초석을 놓았다. 또 헝가리가 근대로 진입하여 봉건사회에서 탈피하여 시민국가로 이행하도록 교량이 되었다. The Hungarian literature of enlightenment-Reform age had a goal of Hungarian People to join the independence of their mother country and development. The literary men in this period were in agony with the way of methods and the directions of the literature. Primarily, the literature had a role to enlighten the ignorant people in the street. And the very important role of the literature in the age of enlightenment was to reform the realities of life and society. The reform movement of the Hungarian language as the most important cultural one in the period. Kazinczy Ferenc kept standing in the movement. It was really natural that Hungarian people became proud of their language and their mother country. Finally, new reformists took this advantage to arrange and reform the rule of the language and to enrich the vocabularies. The reform period is the beginning of literature, taking its rise from reforming and innovating the society and real life through the change of the politics. So the themes of the literature were centered on the historical event to show the fellow Hungarians to drive out the foreign powers and finally to get the independence. The masterpieces of the period was Bank capital , which were distinguished Hungarian national drama and the , now the Hungarian national anthem. These have contents to desire and wish the independence of their mother country and the new future. The literature of this period was a foundation stone to dual monarchy of Austria and Hungary, and had contributed that Hungary became a modern country, breaking from the old feudal society.

      • KCI등재

        상해박물관장초죽서(上海博物館藏楚竹書)(참(參))의 『주역(周易)·송괘(訟卦)』에 대한 새로운 해석

        한경호 ( Han Kyungho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8 東洋學 Vol.73 No.-

        『周易』이라는 책은 기본적으로는 占書임이 유래이며, 이후 儒學의 사상 발전에 따라 註釋이 덧붙여져 왔다. 그러나, 근년에는 馬王堆및 阜陽에서 출토된 西漢의 帛書와 竹簡, 그리고 1994년 上海博物館이 발굴하여 정리한 戰國時代楚지역의 竹簡중에서 『周易』이 발견되면서, 『周易』과 관련된 여러 가지 새로운 성과를 내는 데에 기여를 하는 데에 이르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기본적으로 중국어 역사음운론 등 역사언어학적인 이론에 의거하여 上博簡『周易』의 「訟卦」에 대하여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기로 한다.본고는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첫째, “?” <sup>*</sup>lek<sup>a</sup>과 “?” <sup>*</sup>tek<sup>a</sup>聲字“□”의 異文이 나타난 원인에 대해서는 野原將揮(2009)와는 달리, 상고음의 無聲流音(liquid) <sup>*</sup>l-이 적어도 전국시대에는 중고음과 같은 파열음인 t<sup>h</sup>- 쪽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둘째, 本卦初六爻의 “不出御事” <sup>*</sup>pi?<sup>b</sup>.k<sup>hj</sup>ut(s)<sup>b</sup>.ŋas<sup>b</sup>.dzris<sup>b</sup>에서 나타난 “御” <sup>*</sup>ŋas<sup>b</sup>와 今本“所” <sup>*</sup>sŋra?<sup>b</sup>의 대응이 보여준 것은 바로 앞 음절의 “出”이 使動용법으로 쓰인 <sup>*</sup>k<sup>hj</sup>utsb>t<sup>h</sup>jwi’이었음이다.셋째, 本卦九二爻의 “ ” <sup>*</sup>sreŋ?<sup>b</sup>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특징을 나타냈다. 1) 上博『周易』의 書寫者는 <sup>*</sup>sreŋ?<sup>b</sup>라는 의미요소에 대하여 ‘종교적’인 관념을 지녔기에, ‘?’이라는 글자에 자형상 제사와 유관한 의미를 나타내는 部首인 ‘示’를 더하였다는 점; 2) 上博“□”과 대응되는 馬帛의 ‘省’<sup>*</sup>seŋ?<sup>b</sup>은 음가상 유사하다는 것 이외에도, 揷入辭(infix)의 유무를 통한 의미 파생관계를 지닐 수 있었음을 확인하였다.넷째, 중국어 역사음운론적인 각도에서 本卦九四爻를 보았을 때, 今本‘?’와 馬帛‘兪’ <sup>*</sup>lo<sup>b</sup>가 上博‘愈’ <sup>*</sup>lo?<sup>b</sup>와 대응되는 異文을 보인 원인은, 그 다음에 이어지는 음절인 ‘安’ <sup>*</sup>qan<sup>a</sup>~?an<sup>a</sup>의 聲母가 앞 음절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다섯째로는 今本의 ‘?帶’와 대응되는 上博의 ‘□’이 자형상 부수로 從‘絲’이 되는 이유는, 아마도 筆寫者가 ‘帶’(띠)가 ‘線’과 유관하다고 여겼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I-Ching originated as a book about the divination. Later, further annotations were added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the Confucian philosophy. Recently, I-Ching texts were found among the excavated silk scripts and bamboo slips of Western Han era from Mawangtui and Fuyang, and Shanghai Museum bamboo slips of Chu (the Warring State). This discovery contributed to many new works on I-Ching. This study basically suggests new interpretations of I-Ching Song Gua of Shanghai Museum bamboo slips based on historical linguistics, especially the historical phonology of Chinese languages.The new facts found by this study are listed below.First, I don’t agree with Nohara (2009) about the reason of variant writing of “?” <sup>*</sup>leka and “?” <sup>*</sup>teka. This variation shows that the voiceless liquid of Old Chinese <sup>*</sup>l- had been already changed into a plosive which resembles Middle Chinese t<sup>h</sup>- by the Warring States era.Second, in 本卦初六爻, there is a clause “不出御事” <sup>*</sup>pi?b.k<sup>hj</sup>ut(s)b.ŋasb.dzrisb. In this clause, “御” <sup>*</sup>ŋasb corresponds to “所” <sup>*</sup>sŋra?b in the current version of the text. This correspondence shows that the former syllable, “出”, is actually a causative verb <sup>*</sup>k<sup>hj</sup>utsb>t<sup>h</sup>jwi’.Third, in 本卦九二爻, the character <sup>*</sup>sreŋ?b shows two characteristics. One is that the scriber of Shanghai Museum bamboo slips had a ‘religious’ perception about this semantic unit, so he added the semantic component ‘示’ (indicates relatedness to the rituals) to this character. The other one is that the character ‘省’<sup>*</sup>seŋ?b written in Mawangtui silk scripts is not only similar in the phonetic value with the corresponding character “” written in Shanghai Museum bamboo slips, but may be also in a relationship of derivation by an infix.Fourth, when we analyze 本卦九四爻in perspective of historical phonology of Chinese languages, we can see that the writing variants of ‘?’ in current version, ‘兪’ <sup>*</sup>lob in Mawangtui silk scripts, and ‘愈’ <sup>*</sup>lo?b in Shanghai Museum bamboo slips, are because the onset of the following syllable ‘安’ <sup>*</sup>qana~?ana somehow affected the preceding syllable.Last, ‘□’ in Shanghai Museum bamboo slips, which corresponds to ‘?帶’ of the current version, contains the semantic component of ‘絲’. This may be because the scriber perceived the belt ‘帶’ as something related to the string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