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념 및 범주 학습에서 학습전략 효과성 인지 및 활용

        하효림(Hyorim Ha),김세진(Sejin Kim),강예원(Yewon Kang),이희승(Hee Seung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21 敎育心理硏究 Vol.35 No.1

        개념 및 범주 학습은 지식을 적용하고 확장하는 데 필수적인 과정으로, 학습자는 효과적인 범주 학습전략을 잘 알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효과성이 검증된 6개의 개념 및 범주 학습전략(다양한 사례학습, 대표적 사례학습, 시험(후방효과/전방효과), 특징강조기법, 교차학습)을 정리하고, 시나리오 기반 설문을 사용하여 이에 대한 학습자의 효과성 인지와 활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추가로 메타인지적 자기조절, 학점과 학습전략의 효과성 인지와 활용 간 관계를 보았다. 서울 소재 사립대학교 한 곳에 재학 중인 학부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본 연구의 대학생들은 개념 및 범주 학습에서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학습전략 중 4개의 전략은 대체로 잘 알고 활용하는 편이었으나 2개 전략(다양한 사례학습, 교차학습)의 인지와 활용 수준은 낮았다. 특히, 대부분의 대학생은 교차학습의 효과성을 알지 못하고 오히려 비효과적인 묶음학습을 효과적이라고 믿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대학생들은 6개 전략 중 교차학습을 가장 낮게 활용했다. 메타인지적 자기조절은 일부 학습전략의 활용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학점은 학습전략의 효과성 인지 및 활용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종합하면 대학생들은 효과적인 개념 및 범주 학습전략을 모두 정확히 인지하고 활용하지 못했으며 특히 효과성을 알지 못하는 학습전략의 활용도는 매우 낮은 편이었다. 연구결과는 학습자가 잘 알지 못하는 효과적인 개념 및 범주 학습전략에 대한 정확한 안내와 활용을 위한 교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As concept and category learning is an essential process for applying and expanding knowledge, it is important for learners to know and use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metacognitive awareness and use of the six learning strategies (multiple, variable samples, idealized training, testing (backward/forward effect), coaching, and interleaved learning) that have been empirically supported by previous studies in concept and category learning. To achieve this goal, we developed a scenario-based survey and collected data from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one of the private universities in Seoul. We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grade, metacognitive awareness, and use of the learning strategies. Results showed a high level of metacognitive awareness and use among the undergraduates with four strategies but not with the others (multiple, variable samples and interleaved learning). In particular, most of the students were not aware of the effectiveness of interleaved learning; rather, they believed blocked learning was more effective, resulting in the lowest use of interleaved learning among the six strategies.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only with the use of some other learning strategies, but grades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ffectiveness awareness or utilization. In summary, students seemed to have limited knowledge of the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resulting in their suboptimal use, especially when they were not aware of their effectiveness. Our finding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teach students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that they are not familiar with to enhance concept and category learning.

      • KCI등재

        대학생의 뇌과학 지식 수준과 확신성, 학습경로 및 성장신념 간 관계 탐구

        하효림(Ha, Hyorim),Lan Anh Do,이희승(Lee, Hee Seung)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미래교육학연구 Vol.33 No.2

        With a sample of 312 undergraduate students, the present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evel of brain knowledge, the major learning pathway, the certainty of knowledge, and how the certainty of inaccurate knowledge varied as a function of students’ learning pathway. In addition,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brain knowledge and the growth mindset (i.e., the belief that intelligence is malleable). Results showed that, first, many students demonstrated inaccurate understanding about the brain and high level of certainty toward their false beliefs about the brain. Among the neuromyth items, the VAK learning style myth showed the highest rate of incorrect answers (i.e., 91.3%). Second, students reported they acquired brain knowledge mainly from TV and the internet, books, and the people around them. Inaccurate knowledge about the brain was also obtained mainly from TV and the internet, books, and the surrounding people. Third, the level of brain knowledge did not predict students’ growth mindset, but the level of neuromyths significantly predicted students’ effort beliefs. Our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s should acquire their brain knowledge via credible learning pathways so that they can obtain accurate knowledge about the brain. 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의 뇌과학 지식 수준과 지식에 대한 확신성을 조사하고, 특히 잘못된 뇌과학정보의 주된 학습 경로에 따라 지식의 정확도와 확신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성장신념과 뇌과학 지식 수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대학생 31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많은 대학생이 잘못된 뇌과학 지식을 갖고 있었으며 이에 대해 높은 확신성을 보였다. 특히 뇌신경계신화 중 오답률이 가장 높았던 것은 VAK 학습유형 원리였다(91.3%). 둘째, 학생들은 뇌과학 정보를 주로 방송 및 인터넷을 통해 학습하였으며 잘못된 뇌과학지식의 주요 학습 경로는 방송 및 인터넷, 책, 주변 사람들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뇌과학 지식 수준이 성장신념을 예측하지는 못했지만, 신경계신화 수준은 노력에 관한 믿음을 예측했다. 본 연구결과는 학습자가 정확한 뇌과학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학습자들에게 올바른 학습 경로를 제시하고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개념 및 범주 학습에서 시험이 메타인지적 판단과 학습시간 및 학습 수행에 미치는 영향

        하효림(Hyorim Ha),이희승(Hee Seung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9 敎育心理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개념 및 범주 학습에서 시험이 후속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참가자에게 화가의 그림 양식을 학습하는 과제를 주고, 실험 1에서는 중간시험 이후 동일한 자료를 반복해서 학습할 때, 실험 2에서는 중간시험 이후 새로운 자료를 학습할 때 시험이 학습자의 메타인지적 판단, 후속 학습시간과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 1에서 학습자들은 12명의 화가를 하나의 섹션을 통해 학습하였으며, 실험 2에서는 12명을 6명씩 두 개의 섹션(A, B)으로 나누어 학습하였다. 학습자들은 중간 활동의 조건에 따라 시험을 보거나 재학습을 진행했으며, 학습 단계가 끝날 때마다 방금 배운 화가의 그림을 얼마나 잘 배웠는지에 대해 메타인지적 판단을 했다. 실험 1, 2 모두 중간 활동 이후의 학습은 학습자가 원하는 만큼 공부할 수 있도록 시간제한 없이 진행되었다. 최종 시험에서는 새로운 그림을 보고 어느 화가의 작품인지를 맞혀야 하는 전이 과제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실험 1에서는 재학습 집단이 시험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자신감을 보였으나, 학습시간과 수행에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이와 달리, 실험 2에서 새로운 자료를 학습할 때는 집단 간 전체 학습시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중간시험 집단이 재학습 집단보다 학습 초반에 유의하게 많은 시간을 투자하였고 이는 섹션 B에서의 유의하게 높은 학습 수행을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조절 학습상황에서 시험이 학습시간을 늘리지 않으면서 학습의 효과성을 높임을 보였고, 이는 시험이 평가가 아닌 효과적인 학습전략으로써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esting on subsequent study in concept and category learning. We examined how interim testing affected learners’ metacognitive judgments, study time, and learning performance, when studying old (Experiment 1) and new materials (Experiment 2) following an interim test. University students studied the painting styles of various artists.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studied 12 artists within one section, whereas in Experiment 2, the 12 artists were split into two sections (Section A, B) of six artists. After the learning phase, participants made metacognitive judgments on how well they learned the painting styles. Then, they either took an interim-test or did an interim-restudy on the previously learned materials. In both experiments, after the interim activities, participants were allowed to study at their own pace. In the final test, they had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artists of the new paintings that were created by the learned artists.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restudying the same materials (Experiment 1), the interim-restud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judgments of learning than the interim-test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mount of study time and learning performance. In contrast, when studying new materials (Experiment 2), the interim-test group spent significantly more time in the early phase of learning than the restudy group. Further, they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in the final test of Section B, even 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total study time between the two groups. The current study supports the idea that testing could be an effective learning tool, while it does not necessarily increase the study time.

      • KCI등재

        작은 패키지 사이즈가 자기통제 의도에 미치는 효과: 분리 효과와 조절초점을 중심으로

        김재휘,하효림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6 No.2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ondition that people use small packaged products to do self-control easily, only to fail self-control. Taking in small packaged products by ones is definitely so successive eating situation that calories are accumulated. Although people should add up all the cases, they perceive the cases independently. This is called isolation effect. On this basis, we tried to prove isolation effect through small packaged products. In Study 1, it is assumed that isolation effect has influence on self-control intention when tempting products came into small package formats. Yet, when tempting products came in large package formats, isolation effect does not affect self-control intention. Study 1 shows us self-control intention decrease in small packaged products than in large packaged products. Also, we found out isolation effects mediated this result. Further to the result above, we tried to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isolation effect and regulatory focus has effect on self-control intention. The study designed 2(isolation effect: unrestrained isolation effect/restrained isolation effect) x 2(regulatory focus: promotion focus/prevention focus) and measured self-control intention of each group in study 2. Finally these hypothesis was verified by the study. What we found through the study was the interaction between isolation effect and regulatory focus has effect on self-control intention in eating small packaged formats. Moreover, Our findings extend package size research by examining isolation effect. Also, it is important to know that situation regulatory focus decrease this bias. 본 연구는 다이어트와 같은 장기적인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이용하는 작은 패키지 사이즈로 인해 오히려 자기 통제에 실패하는 상황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앞서 섭취한 사건이 전체적인 칼로리에 영향을 주는 것을 지각하지 못하고, 바로 눈앞에 존재하는 작은 패키지 사이즈의 작은 손실만을 고려하게 되는 분리 효과(isolation effect)가 발생할 것이라 보았다. 연구 1에서는 패키지 사이즈에 따라 분리 효과의 여부가 달라지며, 이에 따라 소비자의 자기통제 의도가 달라질 것이라 가정하였다. 패키지 사이즈(큰 패키지 사이즈/작은 패키지 사이즈)를 처치하고, 각 처치 이후 자기통제 의도와 분리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제품이 큰 패키지로 제공된 조건에 비하여 작은 패키지로 제공된 조건에서 자기통제 의도가 더 낮게 나타났다. 또한, 큰 패키지 사이즈 제품 조건보다 작은 패키지 사이즈 제품 조건에서 자기 통제의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분리 효과가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2에서는 분리 효과의 처치 여부와 사건을 바라보는 방식이 달라지는 조절초점이 자기통제 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은 2(분리 효과: 분리 효과 비억제/억제) x 2(조절초점: 향상초점/예방초점)로 설계되었으며 연구 1과 마찬가지로 자기통제 의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분리 효과가 억제되지 못했을 경우, 향상 초점이 점화되었을 때 자기 통제 의도가 증가하지만 분리 효과가 억제되었을 경우에는 예방 초점이 점화되었을 때 자기통제 의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작은 패키지 사이즈 제품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분리 효과의 억제 여부와 조절초점에 따라 자기통제 의도에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패키지 사이즈 연구에서 심리적인 기제인 분리 효과와 관련하여 확장된 연구를 하였다는 점과 이러한 편향이 덜 나타나는 조건을 조절초점을 통해 찾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