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립 러닝을 활용한 특수학급 체육 수업이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건강 및 신체운동능력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하창완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8 No.2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based physical education class for special education classroom including the basic physical activities and new sports activities on the health and physical exercise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is, this study selected total ten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special education classroom (Experimental group: 5 students, Control group: 5 students), and then conducted total 30 sessions of systematic class and intervention for 12 weeks. As the contents for verification, the health and physical exercise ability were measured through the modified PAPS-D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by examining the change aspect of each group and individual and also conducting the ANCOVA with the use of mean score of pre-post tests. As a result of study, the flipped learning-based physical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health and physical exercise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such contents, this study presented th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of flipped learning-based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for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nd positive changes in health and physical exercise ability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기본적인 신체활동과 뉴스포츠 활동이 포함된 플립 러닝 기반의 특수학급 체육 수업이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건강 및 신체 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특수학급 발달장애 학생 10명(실험집단 5명, 통제집단 5명)을 선정, 12주간 총 30회기에 걸쳐 체계적인 수업과 중재를 실시하였다. 검증 내용으로는 수정된 PAPS-D 검사를 통해 건강 및 신체 운동 능력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의 분석은 사전-사후 검사 평균 점수를 활용하여 집단, 개인별 변화양상과 함께 공분산분석(ANCOVA) 검정을 실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플립러닝 기반의 특수학급 체육 프로그램은 고등부 특수학급 발달장애 학생들의 건강 및 신체운동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플립러닝 기반의 특수학급 체육활동과 발달 장애학생들의 건강, 신체운동 능력의 긍정적 변화에 대한 논의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An Impulse-time Perturbation Approach for a Symmetric Extrainsensitive Input Shaper

        하창완,이동욱,류근호,김경수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Vol.16 No.3

        In this study, symmetric perturbation extra-insensitive input shapers (SPEI-ISs) are proposed to enhance the robustness of the impulse-time perturbation approach, particularly toward the low-frequency range, with respect to the modeled natural frequency. These perturbation-based extra-insensitive input shapers (PEI-ISs) provide a wider range of robustness than the well-known robust input shapers, which include derivative input shapers (e.g., ZVD, ZVDD, and ZVDDD shapers) and extra-insensitive input shapers (EI-ISs). However, robustness may be lost, particularly at lower frequencies, as a result of asymmetric placement of the notch points on the sensitivity curve. To address this issue, an SPEI-IS is derived by placing the notch points symmetrically to enhance robustness, particularly in the low-frequency range. In single-, two- and three-hump cases, explicit solutions are presented to demonstrate the usability of the proposed shapers. The robustness and transient response are evaluated through simulation and experiment and are compared to the response of conventional robust input shapers. It is concluded that the proposed SPEI-IS improves robustness and transient response.

      • KCI등재

        뉴스포츠 프로그램 중심의 통합 체육교실 운영이 정서·행동장애 청소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하창완 한국특수체육학회 2018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6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operating an inclusive physical activity class using new sport program on problematic behavior and social skills among adolescents with emotional-behavioral disorders. Out of 20 participants (10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10 students with disability) in the inclusive physical activity class, total three male students were assigned to a special class after being diagnosed as having emotional/behavioral disorders and provided with total 30 sessions of the systematic intervention for 15 weeks. To verify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rend of changes was understood through the intervention, by comparing the pre/post scores of dependent variables like problematic behavior(internalization, externalization) and social skill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except for student C who did not show much change in the internalized problematic behavior area, other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ir problematic behavior and social skills. Based on tho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measures to draw positive changes in emotion of students with disorders through interesting physical activities that could be easily participated based on the modified rules of new sports or activities, and also to have physical activities as an integrated subject that could provide positive effects to both students with/without disorders, and also help students with emotional-behavioral disorders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life. 본 연구는 뉴스포츠 프로그램을 활용한 통합 체육교실 운영이 정서·행동장애 청소년의 문제행동(내재화, 외현화)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통합 체육 교실 참가자 20명(일반학생 10명, 장애학생 10명)중 특수학급에 정서·행동장애로 진단받아 배치되어 있는 남학생 3명으로 15주간 총 30회기에 걸쳐 체계적인 중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확인을 위해 종속변인인 문제행동과 사회적 기술에 대해 사전-사후 점수 비교, 변형된 AB설계를 통한 변화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로 C 학생의 경우 내재화 문제행동 영역에 있어 다소 큰 변화가 없었으며 이를 제외한 연구대상 학생들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기술이 모두 긍정적으로 변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뉴스포츠나 활동의 규칙변형을 통한 재미있고 참여가 용이한 체육활동을 통해 장애학생들의 긍정적인 정서 변화를 유도하도록 하고, 통합교과로서 체육활동이 장애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상호 긍정적 효과는 물론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PAPS-D를 활용한 특수학급에서의 체육수업이 자폐성 장애 학생의 기초체력과 수업태도에 미치는 효과

        하창완 국립특수교육원 2017 특수교육연구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 건강체력평가(PAPS-D)를 활용한 특수학급에서의 체육 수업이 자폐성 장애 학생의 기초체력과 수업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의 진행을 위해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중인 자폐성 장애 학생 3명을 대상으로 PAPS-D 프로그램을 이용한 체육 활동 프로그램을 작성하였고 총 14주 48차시의 수업활동을 구성하여 중재를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으로 기초체력의 평가 영역은 PAPS-D의 측정 요인 중 근기능, 순발력, 유연성, 심폐기능 영역을 대상으로 측정하였으며 수업태도의 평가는 표적행동을 직접 관찰하여 수업 태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A,B,C 아동 모두 유연성을 제외한 기초체력의 긍정적인 향상의 변화 가 있었으며 수업태도 변인에서는 A아동이 모든 영역에서 표적행동의 감소가 있었고 B, C 아동의 경우 ‘무의미 발화’ 행동을 제외한 모든 표적행동에서 감소의 결과가 나타나 대체적으로 수업 태도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through PAPS-D program in special class on the basic physical fitness and learning attitude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For the study experiment, a physical education program was established based on PAPS-D program for 3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a high-school special class.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implemented in 48 sessions for 14 weeks in total. The dependant variable of basic physical fitness was assessed based on the myofunction, agility, flexibility and cardio pulmonary function among the PAPS-D measurement factors. The learning attitude was assessed by directly observing the target behaviors to understand any change in their learning attitude in class. As a result of the study, all of the three – student A, student B and student C – were found to experience positive increase in their physical fitness excluding flexibility. With respect to the learning attitude, student A showed target behavior decrease in all of the areas. Students B and C showed target behavior decrease in every area excluding meaningless speech behavior.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positive effects of the proposed program.

      • KCI등재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다중 독해 전략 교수가 고등학교 학습장애 학생의 읽기 유창성과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하창완,정대영 국립특수교육원 2016 특수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다중 독해 전략 교수가 고등학교 학습장애 학생의 읽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특성화 고등학교의 학습장애 학생 5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비교를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실험집단의 읽기 유창성과 이해력 모두에서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향상을 보여 중재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가 읽기 단계별로 효과적인 다중 읽기 전략을 적용한 앱 의 활용이 다중 독해 전략 교수로서 하나의 학습 형태를 제시하였고, 읽기 과정에서 어떠한 전략을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를 자연스럽게 훈련하는 과정으로 제공하여 읽기 능력의 전반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후속 연구로는 연구에서 사용된 앱 활용 전략과 같은 내용들이 장애학생의 교육 환경이나 학습 전략에 부가적으로 첨부하는 수준이 아닌, 스마트 러닝의 교육 환경이 특수교육 이론 및 다양한 교수방법들과 융합되어 체계적인 교수학습 모델 개발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supposed to identify what the application based multiple reading strategies make effects on the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For the study, 5 students attending the specialized high school with learning disabilities were compared statistically by pre-post comparison. The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especially a big improvement in the reading comprehension. This result shows that when the application based reading process including the effective strategy for each stage of reading suggests one type of learning as the multiple reading strategies, it i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the general reading ability for students as it trains the students on what strategy to be used on the reading. As subsequent studies, there shall be not just the simple addition of application based strategies to the education environment and learning strategy of th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learning strategy for the student with learning but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atic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y converging the special education theories and various teaching methods wit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smart learning.

      • KCI등재후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학습장애 고등학생의 직업교육 활성화 방안 논의

        하창완 국립특수교육원 2018 특수교육연구 Vol.25 No.1

        The purposes of study were to consider awareness and problems ofinteragency officials related to the employment of special educationalteachers and disabled people for activation way of vocational educationof high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o draw activationway of vocational edu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disabilities through this. Study objects was special educational teachersand interagency officials, and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fulfilledthrough structural and open interview. As a result of study, a result offour categories and nine sub-areas was drawn through coding,conceptualization, and analysis process of interview contents. Fourcategories are (1) learning disabilities as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2) curriculum, (3) the related laws and policy support, and (4) awarenessimprovement and capability reinforcement. Based on this result, thestudy discusses activation way of vocational education of students withlearning disabilities through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learningdisability,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through support to reinforcesociality and self-determination, legal rights and mandatory employmentof disabled people, and active job-seeking support including support forlearning disabilities in adult life. 본 연구는 학습장애 고등학생의 직업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한 특수교사 및 장애인 고용 관련 유관기관 관계자들의 인식과 문제점 등을 고찰하고, 이를 통한 학습장애 고등학생의 직업교육 활성화방안을 도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특수교사와 유관기관 관계자 6명으로 구성하였고 구조적 및 개방식 인터뷰를 통한 포커스 집단 면담(FGI)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로써 면담내용을 코딩, 개념화, 분석과정을 통해 4개의 범주와 9개의 하위영역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4개의 범주로는 (1)특수교육대상자로서 학습장애, (2)교육과정, (3)관련 법 및 정책적 지원, (4)인식개선 및 역량강화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 장애의 개념과특성, 사회성 및 자기 결정력 강화 지원을 통한 직업교육 프로그램, 장애인으로서의 법적 권리와 의무고용, 성인기 학습장애 지원을 포함한 적극적인 취업 지원 등을 통한 학습장애 학생들의 직업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 하였다.

      • KCI등재

        가상현실 기반의 게임형태 체육수업이 자폐성 장애 학생의 기초체력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하창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9 특수교육 Vol.18 No.1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hysical education lesson for special class using the virtual reality-based game program on the basal physical fitness and at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emotional/behavioral disorder and autistic disorder. Method: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was used on 10 students with emotional-behavioral disorder of five special classes in two high schools. Using the ANCOVA and the mean value of each group, the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Resul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effects in all the sub-areas of basal physical fitness and attention. Conclusion: The VR-based game physical activities targe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would be a lesson approach having positive effects on the basal physical fitness and attention. It is also impli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additional researches on the effects of diverse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virtual reality. 연구목적: 가상현실 기반의 게임 프로그램을 활용한 특수학급에서의 체육수업이 자폐성 장애 고등학생의 기초체력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2개 고등학교 5개 특수학급의 자폐성 장애 학생 10명을 연구대상으로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적용하여 집단별 평균 점수를 활용한 공분산분석(ANCOVA)을 통해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독립변인으로는 XBOX 키넥트 스포츠 프로그램을 활용한 체육수업으로 10주간 총 30회기의 중재가 이루어졌으며, 종속변인은 장애학생 건강체력평가(PAPS-D)와 ATA주의집중 검사를 통해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기초체력과 주의집중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중재가 기초체력과 주의집중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하나의 수업 접근방법임을 제시하였고, 가상현실 기반의 다양한 신체 활동을 통한 효과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뉴스포츠 프로그램을 활용한 특수학급 체육수업이 자폐성 장애 고등학생의 주의집중력 및 기초체력에 미치는 효과

        하창완 국립특수교육원 2017 특수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뉴스포츠 프로그램을 활용한 특수학급 체육 수업이 자폐성 장애 고등학생의 주의집중력과 기초체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으로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자폐성 장애 학생 14명(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을 선정, 15주간 총 30회기에 걸쳐 체계적인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이는 특수학급 교육과정 조정과 훈련된 교사에 의해 전달되었다. 연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ATA 주의집중력 검사, 장애학생 건강체력평가(PAPS-D)의 사전-사후검사 평균 점수를 활용하여 변화양상과 함께 공분산분석(ANCOVA) 검정을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뉴스포츠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특수교육 교육과정으로 체육교과 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에 비해 주의집중력이 향상되었으며 기초 체력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특수학급 체육활동으로서 뉴스포츠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자폐성 장애 학생의 기초체력과 주의집중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수업 접근방법임을 제시하였고, 뉴스포츠를 활용한 특수 체육활동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using a new sports program in special class on the attention and physical fitness of students with autism disorder. As study subjects, 14 students with autism disorder in a special class of high school (experimental group: 7 students, control group: 7 students) were selected. They had systematic intervention for 15 weeks, a total of 30 sessions, which was performed through the special class curriculum adjustment and by trained teachers. To find the effect, Advances Test of Attention (ATA), the mean of the pre-post test of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PS-D),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ere conducted for analysis.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new sports program more improved their attention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had physical education on the basis of general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all areas in physical fitnes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influenced. This result showed that the physical activity based on new sports as the physical activity for special class positively influenced students with autism disorder. basic physical strength and attention. In addition, the result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new sports based special physical activity additionally.

      • KCI등재

        장애학생 학습중심 현장실습 운영 현황과 문제: 경남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을 중심으로

        하창완 한국특수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학연구 Vol.54 No.4

        본 연구는 특수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중심 현장실습의 현황과 문제점 등을 알아보고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경남지역 93개 고등학교 140개 특수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학습중심 현장실습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으며, 특수교사 및 유관 관계자를 대상으로 FGI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학습중심 현장실습 적용상의 문제로 제도 자체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 부족과 특수학급에서의 적용을 위한 행정 및 절차상의 어려움, 그리고 학생 안전 및 유관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형성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특수교사들의 관련 연수를 통한 전문성 신장과 국가적 지원 확대를 통한 책무성 강화가 요구되고 있었으며, 학습중심 현장실습 과정의 행정절차 간소화를 통한 실습 과정의 적극적 참여가 필요한 것으로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of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practice of learning-centered placement at special educational sites as well as way to revitalize this proces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e surveyed 140 special education classes from 93 high schools in the Gyeongnam region to identify the awareness associated with learning-centered placement, and also to conduct FGI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related officials.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have identified the problems with the application of learning-centered placement, which include teachers'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system itself, the administrative and procedural difficulties for application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and the difficulty with forming a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safety and other related agencies. To resolve these problems, we suggest a serie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workshops that would trai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well stronger accountability through an increase in national support. Moreover, we suggest active participation in the entire process by simplifying the administrative procedures of the learning-centered placement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