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아동-청소년용 한국형 남녀평등의식검사(KGES-AC) 타당화

        하정,유성경,홍세희 한국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4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의 남녀평등의식을 측정하는 기존의 청소년용 한국형 남녀평등의식검사(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 for Adolescents: KGES-A)를 초등학생까지 포함하여 확대 실시할 수 있는 아동-청소년용 한국형 남녀평등의식검사(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 for Adolescents and Child: KGES-AC)로 타당화한 것이다. 서울시와 경기도에 재학 중인 초ㆍ중ㆍ고등학생 96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아동-청소년용 한국형 남녀평등의식검사(KGES-AC)는 가정생활, 학교생활, 직업생활, 사회문화생할 영역에서 나타나는 남녀평등의식을 측정하는 총 20개 문항으로 구성된 척도이다. 문항들의 내적 합치도 및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변별타당도를 구조방정식 모형과 상관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초, 중, 고등학생들에게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학교급간에 따라 KGES-AC의 생활 차원(하위척도)별 잠재평균분석을 한 결과, 청소년의 남녀평등의식은 학교급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가정생활 차원에서는 남녀평등의식이 고등학생이 초등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학교생활 차원에서는 고등학생이 초등학생과 중학생 둘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직업생활 차원에서는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차이가 나타났고 사회문화생활 차원에서는 학교급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GES(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 with the Korean adolescents and children. the KGES-AC was revised from the KGES-A(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 for Adolescents) to extent its use to the elementary student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964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Kyung-Ki. The internal consistency of KGES-AC was proved to be acceptable. The validity of the KGES-AC was verified by item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iscriminant validit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KGES-AC consisted of four-factor structure. The four-factor structure of the KGES-AC fit quite well with the elementary, the middle, and the high school students sample. Given the adequate configural, both metric and scalar invariance was tested and supported, which allowed the examination of school differences at the latent mean level. The latent mea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gender egalitarianis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t the three factors(home, school, work subscales) of the four facto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society and culture subscales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연기자의 스트레스 및 대처 경험

        하정,전지열,조효진,김행복,장문영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Experiences of Stress and Coping Mechanism of ActorsJung Ha, Jiyeol Jeon, Hyojin Cho, Haengbok Kim, & Moonyoung Ch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ctors’ stress and their experience on coping with it. Five actors participa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Narrative Inquiry method. Eight categories have been derived: ① living under nervousness and fear about future uncertainty; ② being put into relentless competition to survive as an actor; ③ confronting financial difficulty as an imminent challenge due to unstable income; ④ completely enduring hardship in distinctive culture of filming site and living a life as an actor; ⑤ the show business which is filled with persisting stress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⑥ surviving by finding their own way of managing stress; ⑦ struggling hard to solve practical problems; ⑧ waiting for opportunities by not quitting the job and regarding an actor’s life as a calling. Consequently, it is needed to establish a supporting plan to help actors to overcome their stress and we hope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Key Words: Actors, Stress, Coping, Narrative Inquiry, Qualitative Research 연기자의 스트레스 및 대처 경험하 정*ㆍ전 지 열**ㆍ조 효 진***ㆍ김 행 복****ㆍ장 문 영***** 연구 목적: 연기자의 스트레스와 대처 경험을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참여자는 5명이었고 분석 결과, 연기자의 스트레스와 대처 경험의 의미는 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결론 및 제언: 각 범주는 ① 불확실한 미래로 인한 불안과 두려움 속에 살아감 ② 연기자로 살아남기 위해 끊임없는 경쟁 구조에 놓임 ③ 수입이 안정적이지 못해 경제적 어려움이 전면에 떠오름 ④ 촬영장 문화와 연기 생활에서 오는 고충을 오롯이 겪어 내야 함 ⑤ 지속되는 스트레스와 심리적 어려움이 만연하는 연예계 ⑥ 나름의 스트레스 관리 방식을 찾아 버텨냄 ⑦ 경제적,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군분투함 ⑧ 연기의 길을 천직으로 여기며, 떠나지 못하고 기회를 기다림이었다. 따라서 연기자들이 당면한 스트레스를 잘 대처하도록 돕는 지원 계획 수립이 필요하며 본 연구가 그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핵심어: 연기자, 스트레스, 대처, 내러티브 탐구, 질적연구 □ 접수일: 2022년 11월 1일, 수정일: 2022년 11월 14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주저자,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First Author, Professor, Jeonju Univ., Email: hajung68@jj.ac.kr)** 공동저자 1,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강사(Co-author 1, Lecturer, Sungkyunkwan Univ.)*** 공동저자 2,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조교수(Co-author 2, Professor, Sungshin Women’s Univ.)**** 공동저자 3,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 박사과정(Co-author 4, Doctoral Course, Ewha Womans Univ.)***** 교신저자, Good Enough Mental Health Care 대표(Corresponding Author, COO, Good Enough, Email: goodenough_mhc@naver.com)

      • 음주동기 척도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

        하정,탁진국 광운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998 학생생활연구 Vol.9 No.-

        정신건강과 관련된 중독성 물질의 사용을 다룬 연구들을 보면 약물 중독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적 연구와 청소년기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약물 사용의 동기와 행동을 밝힌 연구로 구분된다. 중독성 물질 중에서는 알코올에 관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한다. 술은 인간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다른 중독성 물질에 비해 담배와 함께 사회·문화적으로 가장 용인되는 물질로 알려져 왔으며, 청년들은 다른 약물보다 알코올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실제로 한 연구(이은진, 오경자. 1998)에서 대학 신입생들의 중독성 물질의 사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술을 마셔 본 경험(전체 신입생의 86.3%)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흡연 경험(전체 신입생의 22.0%)이었다. 청소년기 대학생들의 경우, 이 시기는 성격·가치관 형성에 중요한 시기이며 대학입학과 함께 공식적으로 음주에 대한 사회적인 용인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음주행동에 매우 중요한 시기라고 볼 수 있다. Christiansen 과 Goldman(1983)은 청년기의 음주 양상이 성인기의 음주행동을 예언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이민규, 1993. 재인용). Cooper(1994)는 음주행동을 예견하고 음주행동과 관련된 문제를 예방하는 효과적인 예방 및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음주동기를 밝혀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동기는 행동을 유발하는 1차적 요인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술을 마시는 이유 즉, 음주동기에 대한 연구는 그 척도 개발과 함께 음주 행동과의 관련성을 밝히는 것이 주된 연구주제였다. 초기 음주동기에 대한 연구들은 알코올 효과에 대한 인지적 기대에 관심을 갖고 연구되어졌다. 초기 연구에서 밝힌 6가지 요인은 알코올에 대한 긍정적 기대들로 일반적이고 전체적인 긍정적 기대, 사회적이고 신체적인 기분 상승의 기대, 성적 고양, 공격성과 힘의 증가, 사회적 표현력의 증가 그리고 긴장감소였다(e. g. Rohsenow, D. J., 1983). Rohsenow(1983)는 이 요인들 외에 알코올에 대한 부정적 효과인 수행의 손상과 무책임한 행동에 대한 기대를 반영하는 두 가지 요인을 추가하였다. Newcomb, Bentler, Chou & Huba(1983)의 연구에서 밝힌 음주동기 척도는 부정적 감정의 감소, 긍정적 감정과 창의성의 고양, 사회적 결합, 중독(addiction)의 4가지 요인을 포함하고 있다. Cooper(1994)는 고양, 대처, 사교, 동조의 4가지 요인을 포함한 음주동기 척도를 개발하였다. 최근에는 Simons, Correia, Carey & Borsari (1998)가 Cooper(1994)의 음주동기 척도에 지각과 인식의 경험의 증대를 의미하는 확장(expansion) 요인을 추가하여 5가지 요인을 가진 음주동기 척도를 개발하기도 하였다. Simons 등(1998)은 음주행동과 음주동기와의 관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는데, Cooper(1994)의 4가지 음주동기 요인은 유의미한 설명량을 갖는 요인이었으나, 확장요인은 유의미하게 설명하지 못했다. 본 연구의 1차적 목적은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음주동기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imons 등(1998)의 연구에서 사용한 확장을 포함한 5가지 요인과 함께 Newcomb 등(1988)의 연구에서 포함한 중독 요인을 대학생의 실태에 맞게 습관 요인으로 대체하여 음주동기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로 음주동기가 음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음주 예방 방법 및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한편 기존의 연구를 보면 음주동기와 음주행동 간의 관계에서 남녀 차이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도 두 변인간의 관계에서 남녀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학업우수여자고등학생의 직업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하정,유성경 한국상담학회 2007 상담학연구 Vol.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essential experiences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academically talented female students in Korean social-cultural contexts. The Strauss and Corbin's(1998) grounded theory was adopted to explore the process and structure of their experiences.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wenty academically talented high school female students. A paradigm model was proposed. The core category in the experiences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female students was 'The autonomous finding of the way to eminent achievement'. And Participants went through six stages with time i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the stage of awareness, the stage of exploration ,the stage of choice, the stage of compromise with parents, the stage of self-regulation and internal and acceptance, the stage of commitment and propul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academically talented female students need more early specific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o assist their career development.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a policy issue, counseling issu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 words :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academically talented female students, autonomy, achievement, grounded theory 본 연구는 학업우수 여자고등학생의 직업결정과정 경험을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외국어 고등학교와 일반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업우수 여자고등학생 20명을 심층면담하고 질적 연구 방법 중의 하나인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우수 여자고등학생의 직업결정과정에 관한 패러다임 모형이 도출되었으며 핵심범주는 ‘탁월한 성취를 향한 자율적 길 찾아가기’로 밝혀졌다. 이를 바탕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직업결정과정은 결정의 필요성 인식 단계, 탐색 단계, 선택 단계, 부모와 조율 단계, 내적 수용 단계, 그리고 결정 확신과 추진 단계의 6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업우수 여자고등학생의 직업 결정 과정 경험의 실체를 논의하였으며 직업결정 단계별 상담 개입 방안 및 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논의하고 나아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학업우수 여자 고등학생의 직업결정과정에서의 경험의 구조와 과정을 동시에 통합적으로 탐색하였으며 개인의 주관적인 직업결정과정에 관한 연구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주요어 : 직업결정과정, 학업우수 여자고등학생, 자율성, 성취, 근거이론

      • KCI등재

        상담전문가의 역전이 관리 과정

        하정 한국상담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전문가들의 역전이 관리 경험의 구조와 과정을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담전문가 9명을 목적적으로 표집하여 반구조화 인터뷰 질문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21개의 개념, 55개의 하위범주, 2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압도당하고 붙들림’이란 중심현상을 중심으로 패러다임 모형이 도출되었고 핵심범주는 ‘압도됨 속에서 고군분투하다가, 오랜 기간의 수련을 통해 나를 알아차리게 되고 드러낼 수 있게 되면서 내담자의 핵심을 다룰 수 있게 됨’ 으로 밝혀졌다. 상담전문가의 역전이 관리 경험의 과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막힘’, ‘고군분투’, ‘알아차림’, ‘버티기’, ‘담아내기’, ‘핵심 다루기’, ‘문제해결 반복’ 그리고 ‘숙달’의 8단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전문가의 역전이 관리 경험에 관한 논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숙련된 상담전문가를 대상으로 상담 실제에서의 역전이 관리 경험의 구조와 과정에 관하여 심층적으로 밝힌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substantial theory describing the process of expert counselor’s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expert counselors.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121 concepts, 55 sub-categories and 24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open coding. The paradigm model of central phenomenon revealed as ‘overwhelmed and tied’. The core category was, ‘While struggling with being overwhelmed, they have been able to work with the client’s core problem by participating in self-awareness and self-disclosure training.”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stages in the process of expert counselor’s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the stage of being blocked’, ‘the stage of struggling’, ‘the stage of awareness’, ‘the stage of keeping moderate’, ‘the stage of containment’, ‘the stage of working with the core problem’, ‘the stage of problem solving’ and ‘the stage of mastery’. Finally,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 KCI등재

        학업우수 여자고등학생의 직업 결정 유형에 관한 질적 연구

        하정 한국상담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0 No.2

        본 연구는 학업우수 여자고등학생의 직업 결정 유형을 한국의 사회ㆍ문화적 맥락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외국어 고등학교와 일반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중인 학업우수 여자고등학생 20명을 심층면담하고 질적연구 방법인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학업우수 여자고등학생의 직업결정 경험과 관련하여 91개의 개념, 43개의 하위범주, 1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학업우수 여자고등학생의 직업결정 경험의 핵심범주는 ‘탁월한 성취를 향한 자율적 길 찾아가기’로 밝혀졌다. 둘째, 참여자들의 직업 결정 양상은 자기주도 성취형, 자기선택 만족형, 현실수용 타협형, 그리고 상황의존 갈등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범주에 대한 논의와 각 유형에 대한 상담 개입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학업우수 여자청소년의 진로발달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왔으며 우수아 집단에도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는 점과 이에 대한 차별적인 개입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한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types among academically talented female students in Korean social-cultural contexts. The Strauss and Corbin's(1998) grounded theory was adopted to explore their experiences.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wenty academically talente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 paradigm model was proposed. The core category in the experiences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experience of female students was 'The autonomous finding of the way to eminent achievement'. From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re category and the other categories, hypothetical statements were generated. As a result, four types were derived as follows: the self-initiative achievement type, the self-selective satisfaction type, the reality-receptive compromise type, and the context-dependent conflict typ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academically talented female students need specific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o assist their career development.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a policy issue, counseling issue, and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