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일제강점기 배재 축구부의 활동에 관한 연구

        하정희,김재우 한국체육학회 2024 한국체육학회지 Vol.63 No.3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 조선의 중등학교 축구를 대표하는 배재 축구부의 활동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 때 발행되었던 각종 신문을 기본 사료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배재는 조선체육회가 주최하는 전조선축구대회에서 대회 4연패라는 전대미문의 기록을 남겼고. 일본인 체육단체인 조선체육협회가 주최한 조선신궁경기대회에서는 참가한 모든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는 진기록을 수립했다. 그리고 배재는 경성 시내의 축구 발전을 위해 조직된 중등학교축구연맹의 창단 멤버로 참여하였고, 연맹이 주최한 축구 연맹전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였다. 또한 배재는 보성전문과 경성제대 예과가 개최한 중등학교 축구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올렸고, 조선을 대표하여 일본에서 개최된 전국 중등학교축구대회에 두 차례 출전하였다. 이상과 같이 배재 축구부는 일제강점기 개최된 각종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올리면서, 중등학교 축구 발전의 기반 조성과 활성화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utilized various newspapers as primary sources to clarify the activities of the PaiChai Football Team, which represented secondary school footbal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PaiChai won four consecutive titles in the All-Chosun Football Tournament (全朝鮮蹴球大會). Additionally, They won every Chosun Singung Competition (朝鮮 神宮競技大會) they participated in. Furthermore, PaiChai participated as a founding member of the Gyeongseong Secondary School Football Federation (京城中等蹴球聯盟), and they achieved multiple victories in the federation's sponsored football league matches. Moreover, PaiChai achieved notable results in the secondary school football tournaments organized by Boseong Vocational School (普成專門學校) and Keijo Imperial University Preparatory Department (京城帝大豫科). They also represented Korea and participated twice in the national secondary school Football tournaments held in Japan. Indeed, the PaiChai football team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advancement and promotion of secondary school footbal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y achieving outstanding results in various torunaments.

      • KCI등재

        군 병사들의 지각된 스트레스, 정신건강, 군 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

        하정희,이유경,최기현,주리애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affecting soldiers' adaptation to military life, focusing on perceived stress, mental health, and resilience. Further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adaptation to military life, and to see if resilience regulates the mediating effect in this proces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20 people serving in two army units located in Gyeonggi-do, and a total of 268 people were analyzed based on data excluding unscrupulous responses. The main results were: First, perceived stress, mental health, adaptation to military life, and resilience all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Second, mental health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adaptation to military life. Third, the influence of perceived stress on mental health was moderated by resilience.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mental health was adjusted in the path of perceived stress on adaptation to military life through mental health. 본 연구는 병사들의 군 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가운데 지각된 스트레스, 정신건강, 마음챙김을 중심으로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지각된 스트레스와 군 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마음챙김이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2개의 육군부대에 복무중인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불성실한 응답 등을 제외하여 총 268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지각된 스트레스, 정신건강, 군 생활적응, 마음챙김 모든 변인들이 서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정신건강이 지각된 스트레스와 군 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지각된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마음챙김에 의해 조절되었다. 넷째, 지각된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을 매개로 하여 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경로에서 마음챙김이 지각된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병사들의 군 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자료를 통하여 몇몇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판 청소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K-PSPS-Jr)의 타당화

        하정희,최기현,이유경,이재연,차경환,방성일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5

        The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cale-Junior Form (PSPS-Jr) is a measure of perfectionism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t focuses more on an interpersonal component of perfectionism, rather than on personality traits of perfectionism.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PSPS-Jr (K-PSPS-Jr). We recruited a total of 489 participants in South Korea, one group of which is grade 5-6, and the other group of which is grade 7-9. Consistent with previous literature, the 3-factor model was confirmed as follows: Perfectionistic Self-Promotion, Nondisplay of Imperfection, and Nondisclosure of Imperfection, showing good internal consistency. Also, the K-PSPS-Jr had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with an existing measure of perfectionism for adolescents, while we examined the relations of the K-PSPS-Jr with measures of social anxiety, depression, ambivalence over expressiveness, and self-esteem. Based on the findings, we expect that the K-PSPS would be a useful tool to better understand the essence of how perfectionism is expressed among youths. 본 연구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여 완벽주의의 대인관계적 측면을 측정하고자 개발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PSPS-Jr)를 번안하여 요인구조를 살펴보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6학년과 중학교 1-3학년 청소년 총 489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먼저 요인구조를 탐색한 결과, 원저자가 제안한 바와 같이 ‘완벽주의적 자기노력’, ‘불완전함 은폐노력-행동적’, ‘불완전함 은폐노력-언어적’으로 구성된 3요인 모델이 확인되었으며 내적일치도가 양호하였다. 또한, 한국판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는 기존의 완벽주의 척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와 사회불안, 우울감, 정서표현 양가성, 자아존중감과의 관련성을 확인함으로써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한국판 청소년용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완벽주의의 다양한 대인관계적 특성을 확인하는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내현적 자기애와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불안의 매개효과와 독립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하정희,허보연,강연우,송언희 한국상담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1 No.3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와 진로미결정과의 관계에서 불안의 매개효과와 독립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대학생 234명을 대상으로 하여 내현적 자기애 검사, 직업결정 검사, 불안 검사, 진로태도 성숙도의 독립성 검사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진로미결정의 하위변인인 ‘우유부단’ 간의 관계에서 불안이 부분적으로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둘째, 독립성 수준에 따라 내현적 자기애와 진로미결정의 하위변인인 ‘필요성 인식 부족’과의 관계가 달라진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독립성 수준이 낮을 때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클수록 진로에 대해 필요성을 덜 인식하지만, 독립성 수준이 높을 때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더라도 진로에 대한 필요성을 더 많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큰 사람들이 진로를 결정하지 못하게 되는 과정을 이해하고, 이들이 진로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독립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진로상담에 갖는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anxiety and moderating effect of independence, the subscale of career attitude maturity on the relation of covert narcissism and career indecision among 234 university student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xiety mediated partially the 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indecisiveness', the subscale of career indecision. Second, independence, the subscale of career attitude maturity,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the lack of recognition about necessity’, a subscale of career indecision.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on career counseling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관계에서 정서 억제의 매개효과

        하정희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11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정서억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의 수도권에 위치한 3개 중학교 1, 2, 3학년 남녀 학생 316명을 대상으로 하여 부모의 심리적 통제 척도, 아동용 정서통제 척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설문지를 실시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청소년의 정서억제 및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정서억제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의 관계에서 정서억제가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완벽주의의 대인 관계적 측면에 강조점을 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변인과 개인 내적 변인의 역할을 발견할 수 있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adolescent’s perceived parents’psychological control, emotion suppression, and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to find out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suppression between parents’psychological control and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For this study, 316 middle school students in capital area were surveyed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were conduc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parents’psychological control positively related to emotion suppression and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econd, emotion suppression positively related to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Third, emotion suppression worked as a mediator of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psychological control and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Based on this study findings,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environmental and internal variable influencing o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Lastly,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학생들의 자유학기제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하정희,김명희,조영아,김상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8 학교사회복지 Vol.0 No.4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tudent experiences during the free-learning semester. We interviewed eight students on their free-learning semester experiences and analyzed them using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at is considered appropriate for an advanced research on the experience process. Through the analysis, thirteen sub-categories and twenty-nine key concepts were identified from the three main categories--“satisfaction and pressure from learning”, “career development and drawbacks”, “positive effects on school life.” In summary, learning-related experiences during the free-learning semester left the most intensive and powerful impression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we were able to observe students’ contradictory perceptions and emotions arising from these experiences. In addition, the students went through diverse experiences related to their career development while showing ambivalent emotions. However, it was evident that it helped students to have a very positive experience with their school life, especially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peers and teachers. We hope this research will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policy discussion on improving the quality of students’ experiences by provid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free-learning semester from students’ perspectives. 이 연구는 자유학기 중학생들의 경험을 자유학기제 목표에 기반하여 학습, 진로, 학교생활 측면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험과정에 대한 심층연구에 적합한 합의적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총 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 기간에 겪은 경험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업에 대한 만족감과 부담감’, ‘진로개발에 대한 자극과 아쉬움’, ‘학교생활에의 긍정적 영향’이라는 3개 영역에서 13개의 하위범주와 29개의 핵심개념이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중학생들은 자유학기제에 학습과 관련된 경험을 가장 폭넓고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경험 속에서 상호 모순된 인식 및 감정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외에도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경험을 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도 양가감정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학교생활 측면 특히 또래나 교사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매우 긍정적인 경험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유학기제를 학생의 경험에 기반하여 이해하고 학생들의 실제적 경험의 질을 향상시켜 자유학기제가 한 단계가 도약하기 위한 방향을 논의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여대생의 거절민감성과 성적 자기주장의 관계에서 단절 및 거절도식의 매개 효과

        하정희 한국여성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disconnect and reject scheme, sexual assertivenes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Based on this study results, female students can predict their own vulnerability to sexual problems and provid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exual conflict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260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surveyed from July to August 2018 an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0.0 and Amos 18 program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isconnect and rejection scheme.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exual assertiveness, disconnect and rejection scheme and sexual assertiveness negatively. In relation to the research model, a complete mediating model is more appropriate that rejection sensitivity does not directly affect sexual assertiveness, but indirectly affects sexual assertiveness through disconnect and rejection scheme. Finall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disconnect and reject scheme, sexual assertiveness according to experience of date and sexual intercours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re were few research examined the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disconnect and rejection scheme on sexual assertiveness. So it is significant to reveal the mechanisms that influence sexual assertiveness. In addition, these findings can be applied to counseling,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female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relationship with others, includ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ecause of their rejection sensitivity, disconnect and rejection scheme, low sexual assertiveness.

      • KCI등재
      • KCI등재

        스트레스 지각과 부정정서와의 관계 -완벽주의와 인지적 평가의 매개 효과-

        하정희 한국상담학회 2007 상담학연구 Vol.8 No.4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cognitive appraisal and perfectionism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perception and negative emotion.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appraisal and perfectionism on the relation of stress perception to negative emotion among 355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ress perception, cognitive appraisal, and perfectionism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negative emotion in achievement-related and relationship-related stress events. Furthermore,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compared to concern over mistakes, was more closely related to negative emotion in relationship-related stress events. Second, cognitive appraisal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stress perception and negative emotion in relationship-related stress event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perception and negative emotion in achievement-related stress events was mediated by personal standards, concern over mistakes, and cognitive appraisal. Also,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and cognitive appraisal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tress perception and negative emotion in relationship-related stress ev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rfectionism and cognitive appraisa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lation of stress perception to negative emotion. Key words : stress perception, negative emotion, perfectionism, cognitive appraisal 본 연구는 성취스트레스 상황과 관계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스트레스 지각과 부정정서와의 관계를 살펴봄에 있어서 인지적 평가와 완벽주의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중․고등학생 355명을 대상으로 하여 성취 및 관계 스트레스 지각과 부정정서와의 관계에서 인지적 평가와 완벽주의의 중재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양 스트레스 상황 모두에서 스트레스지각, 도전지각, 위협지각, 개인적 기준 완벽주의, 실수에 대한 염려 완벽주의와 부정정서 간에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는데, 관계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완벽주의 차원 가운데 개인적 기준 완벽주의가 실수에 대한 염려 완벽주의보다 부정정서와 더 밀접하게 관련되었다. 둘째, 관계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스트레스 지각과 부정정서와의 관계에서 인지적 평가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성취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스트레스지각과 부정정서의 관계에서 인지적 평가와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개인적 기준 완벽주의와 실수에 대한 염려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고 인지적 평가의 매개효과 또한 부분적으로 발견할 수 있었다. 관계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스트레스지각과 부정정서와 관계에서 인지적 평가와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개인적 기준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고 인지적 평가의 매개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스트레스 지각이 부정정서를 유발시키는 데 있어서 완벽주의와 인지적 평가의 역할이 중요함을 확인시켜 준 것이다. 주요어 : 스트레스지각, 부정정서, 완벽주의, 인지적 평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