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ISCIESCOPUS

        Mini-MAP Stack 구현

        하정현,김현기,이전우,정하재,채영도,Ha, Jeong-Hyeon,Kim, Hyeon-Gi,Lee, Jeon-U,Jeong, Ha-Jae,Chae, Yeong-Do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2 전자통신 Vol.14 No.4

        본 고는 Mini-MAP 네트워크의 접속장치를 구현한 내용이다. 이 접속장치는 공장자동화 네트워크 시스팀에서 Mini-MAP 노드로 동작하며, PLC, CNC, robot와 같은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를 MAP 네트워크 환경에 접속하여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핵심 장치이다. 이 접속장치는 MAP 3.0의 Mini-MAP으로 구현하고 실현하였다. MAC 부계층은 Token Bus Controller(TBC)가 담당하며, LLC 부계층은 class 3로 설계하였고, MMS는 implementaton class MAP3를 설계하였다. 구현된 모든 소프트웨어는 Mini-MAP의 실시간 정보 전송 성능을 보증하기 위해 real-time 멀티 태스크 OS로 운영하도록 설계하였으며, 보드에 firmware로 탑재하였다. 프로토콜 분석기를 이용하여 LLC 수준의 오류검출과 전송기능을 확인하였으며, MMS는 적합성 시험을 이미 받은 MMS를 탑재한 상용 제품과의 통신 실험을 통해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 SCOPUSKCI등재

        Efficiency Factors of Singlet Oxygen Generation from Core-Modified Expanded Porphyric : Tetrathiarubyrin in Ethanol

        하정현,정국영,김민선,이양훈,신구,김용록,Ha, Jeong Hyeon,Jeong, Guk Yeong,Kim, Min Seon,Lee, Yang Hun,Sin, Gu,Kim, Yong Rok Korean Chemical Society 2001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22 No.1

        The photophysical properties and the singlet oxygen generation efficiency of tetrathiarubyrin have been investigated to elucidate the possibility of its use as a photodynamic therapy (PDT) photosensitizer by steady-state and time-resolved spectroscopic methods. The observed photophysical properties were affected by various molecular aspects, such as extended ${\pi}conjugation$, structural distortion, and internal heavy atom. The steady-state electronic absorption spectrum was red-shifted due to the extended $\pi-conjugation$, and the spin orbital coupling was enhanced by the structural distortion and the internal heavy atom effect. As a result of the enhanced spin orbital coupling, the triplet quantum yield increased to 0.90 $\pm$ 0.10 and the triplet state lifetime was shortened to 7.0 $\pm$ 1.2 ${\mu}s$. Since the triplet state decays at a relatively faster rate, the efficiency of the oxygen quenching of the triplet state decreases. The singlet oxygen quantum yield was estimated to be 0.52 $\pm$ 0.02, which is somewhat lower than expected. On the other hand, the efficiency of singlet oxygen generation during the oxygen quenching of triplet state, $f{\Delta}^T$, is near unity. Such high efficiency of singlet oxygen generation can be explained by the following two possible factors: The hydrogen bonding of ethanol which impedes the deactivation pathway of the charge transfer complex with oxygen to the ground state, the less probability of the aggregation formation.

      • KCI등재

        1970년대 저항문화 재현으로서 하길종 영화

        하정현(Ha, Jung-hyun),정수완(Jung, Soo Wan) 인문콘텐츠학회 2017 인문콘텐츠 Vol.0 No.46

        ‘영상시대’ 동인으로 1970년대 한국영화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던 하길종은 총 7편의 작품을 남기고 이른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감독의 이른 죽음과 1970년대라는 시대적 상황에 대한 선험적 판단은 하길종 작품에 대한 신화화에 이바지했다. 〈바보들의 행진〉과 〈병태와 영자〉는 1970년대 대학생들이 주인공이며, 당시 청년문화의 면모와 청년들의 삶을 보여준다. 특히, <바보들의 행진〉은 한국영화사에서 리얼리즘을 표방한 하길종이 동시대 청년을 재현한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속편 〈병태와 영자〉에 대한 평가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 연구는 그간의 하길종 연구에서 외면했던 〈병태와 영자〉를 전편인 〈바보들의 행진〉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다. 이 논의의 중심에는 〈바보들의 행진〉과 〈병태와 영자〉가 배경으로 하는 1975년과 1979년의 문화사적 차이가 있다. 1970년대 전체를 청년문화의 전성기로 읽을 수 없고, 1970년대 중후반의 정치적 변화는 청년문화를 포함한 저항문화의 전략 변화를 촉구했다. 때문에 청년문화가 활기를 띄던 시기에 제작된 〈바보들의 행진〉과 청년문화에 대한 비판과 억압이 강화된 시기에 제작된 〈병태와 영자〉는 동일한 정치‧사회적 맥락에서 읽을 수 없다. 따라서 이 연구는 1970년대 청년문화에 대한 관점의 세분화와 이에 따른 저항문화의 전략 변화를 기반으로 두 영화를 해석한다. ‘청년문화 전성기의 보고서’ 〈바보들의 행진〉은 유신의 억압에 저항했던 청년문화의 경험을 통해 시대에 대한 비판의식을 보여준다. 〈병태와 영자〉는 1975년 이후 쇠퇴하고 변색된 청년문화와 저항의 힘을 잃은 젊음을 대학생 스스로 비판하며 각성을 요구하는 ‘청년문화의 좌절 이후 자기비판’이다. 〈바보들의 행진〉과 〈병태와 영자〉의 이러한 1970년대 저항문화 재현은 세 가지 측면에서 두드러진다. 첫째, 〈바보들의 행진〉과 〈병태와 영자〉의 오프닝 시퀀스에서 프리즈 프레임은 각 영화의 주제를 함축한다. 둘째, 〈바보들의 행진〉에서 보여 준 영철의 죽음이 본편과 속편의 서사연계를 통해 〈병태와 영자〉에서 병태와 영자의 심경과 태도변화에 작용한다. 마지막으로 두 영화는 젊음을 상징하는 달리기 장면에서 카메라 워크(익스트림 롱쇼트, 패닝, 트래킹)의 반복과 차이를 통해 의미구조를 생성한다. Ha Gil-jong directed seven feature films in mid to late 1970s, and died young. ‘The March of Fools’ and ‘Byung-tae and Young-ja’, as Korean University Cinema, show those days Korean Youth Culture and College-Life. In this study, I suggest that the two films ought to be reread with diachronic changes of strategies of Counter-Culture, which relates segmented point of view of Korean Youth Culture in 1970s. I compare ‘The March of Fools’ and sequel ‘Byung-tae and Young-ja’ through cultural gap in 1975 and 1979, that each cinema covered. Mid to late 1970s’s political alteration raise diachronic changes of strategies of Counter-Culture include Korean Youth Culture at the instigation of intellectuals. So that, ‘The March of Fools’, filmed in the heyday of Korean Youth Culture, and ‘Byung-tae and Young-ja’, filmed in the after of frustrate of Korean Youth Culture as Counter-Culture, do not share the same political and social contexts. ‘The March of Fools’ reveals criticism on society with experiences and symbols of Korean Youth Culture that resists oppression of Yushin Regime. ‘Byung-tae and Young-ja’, as self-criticism after frustrated Korean Youth Culture, strikes a note of awakening to youth about the same age and critics himself about faded Korean Youth Culture and youth itself which lost a power to will of resistance. Representation of 1970s Counter-Culture in ‘The March of Fools’ and ‘Byung-tae and Young-ja’ reveals especially in three specific points. First, in each film, freeze frame implies topic of the work. And secondly, Young-chul’s death in ‘The March of Fools’ affects Byung-tae and Young-ja´s change of attitude in ‘Byung-tae and Young-ja’ with narrative connection. Lastly, two film generate semantic structure through repetitions and variations of camera works —extreme long shot, panning and tracking shot— in Running scenes which are symbolizing youth and liber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버렉터 다이오드를 이용한 가변 대역통과여파기 설계

        하정현(Ha, Jung-Hyen),신은영(Shin, Eun-Young),강민우(Kang, Min-Woo),권칠현(Gwon, Chil-Hyeun),박병훈(Park, Byung-Hoon),임종식(Lim Jong-Sik),최흥택(Choi, Heung-Taek),안달(Ahn Dal)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0 No.6

        본 논문에서는 통과대역을 가변하는 대역통과여파기를 제안하였다. 이 여파기의 구조는 2단 Direct Capacitive Coupled 공진기 대역통과여파기이며, 중심주파수의 가변을 위하여 여파기에 사용된 병렬 공진기의 캐패시터를 버렉터 다이오드로 대체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중심주파수 200MHz에서 최대 245MHz까지 가변되는 대역통과여파기를 제작하여 설계 이론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This paper proposed a tunable band pass filter. It is two-poles direct capacitive coupled resonator band pass filter which the capacitors of parallel resonators are changed by varactor diodes. The DC bias controls to change the value of capacitance in the parallel resonator for tunning the pass band. To validate the proposed design method, we fabricated the band pass filter which has tunable center frequency from 200MHz to 245MHz.

      • KCI등재

        베르그송의 이론으로 고찰한 즉흥적 행동을 통한 조형표현의 의의

        하정현 ( Jeong Hyun Ha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2 한국디자인포럼 Vol.37 No.-

        `즉흥적 행동을 통한 조형표현`은 비의도적인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조형표현의 한 방법으로, 논리적 사고과정을 거치지 않고 즉시적으로 표현되는 성질로 인해, 작가 내면의 감정을 솔직하고 자유롭게 드러낼 수 있는 표현 방법적 측면이다. 이는, 감정을 표현하여 이해를 끌어내는 예술의 궁극적 목표에 다가가기 위한 효과적인 표현 방법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즉흥적 행동을 통한 조형표현`은 그 의미적 특성에 있어서, 합리적·과학적 사고의 한계를 벗어나 존재론적 사유를 하는 베르그송의 이론과도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따라서 베르그송의 지속 이론을 통해 `즉흥적 행동을 통한 조형표현`의 의의를, <공간화 된 시간의 표현을 탈피한 새로운 조형표현>, <지속의 두께를 지니는 현재성의 표현>, <잠재적 상태로 존재하는 과거의 총체 표현>, <다양한 질적 창조의 지속으로서의 표현>이라는 네 가지로 분류하여, 미국의 추상표현주의 및 유럽의 앵포르멜 조형표현 사례 분석과 함께 고찰해 보았다. 본 연구는, `즉흥적 행동을 통한 조형표현`에 대한 의의를 베르그송의 이론을 통해 재조명하고, 이를 통해 즉흥적 행동을 통한 조형 표현의 응용이 적극 이루어져, 예술의 본질적 목적에 보다 가까이 다가가기 위한 창작의 탐구가 활발히 시도되는데 기여코자 한다. `Plastic art expression through the impromptu action` is one of the methods of molding expressions which was created in un-planned and illogical status and it shows the inner side of artist`s energy or emotion without rational thinking process and as a result, we could see the artist`s feeling in a frank and free manner. This, the plastic art expression through the impromptu, could be one of the effective expressions ways that are trying to get close to the ultimate goal of art, deriving the artist`s pure emotion. The semantic properties of this `plastic art expression through the imprompt action` which exclude the logical and rational way of thinking have quite close connections with the Bergson`s theory that is looking the world in terms of existence theory. Therefore, `plastic art expression through the impromptu action` based on the Bergson`s persistence theory `La duree` could be classified with the following 4 semantic properties such as < The new expressions escaped from spaced time expressions >, < The express -ions of currency that have thickness of persistence >, < Overall expressions of the past existed in the form of latent state >, < The expressions as the continuity of creations of various quality oriented > and have analyzed together with Abstract Expressionism and Informel.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new reason for one of the expression ways that is trying to be close to the real function of art by re-illustrating through the Bergson`s theory in order to evaluate the meaning and value of `plastic art expression through the impromptu action`.

      • KCI등재

        재일조선인 표상과 시선의 주체: 이마무라 쇼헤이 〈니안짱〉(1959)을 중심으로

        하정현(Ha, Jung-hyun),정수완(Jung, Soo Wa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22 씨네포럼 Vol.- No.41

        본 연구는 일본영화의 재일조선인 표상과 시선의 주체 문제에서 이마무라 쇼헤이의 〈니안짱〉이 원작과 다른 시선을 구축하는 것에 주목했다. 재일조선인 문학사적 관점에서 원작은 화자로서 재일조선인 아동의 주체성 문제와 일본 대중사회의 내셔널리즘적 소비의 문제가 있다. 이마무라의 〈니안짱〉은 원작의 이러한 문제와 거리를 두기 위해 가상인물들을 조형하여 원작을 재구성 및 재창조 했다. 이에 본 연구는 〈니안짱〉이 새롭게 조형한 일본인 복지사 가나코와 재일조선인 노파 사카다의 의의와 재일조선인 아동의 자의식 형성에 관계된 지정학적 조건을 살폈다. 〈니안짱〉이 탄생시킨 가상의 인물들은 원작의 재일조선인 아동 시선에서 구체화되지 못한 어른들의 문제, 즉 재일조선인을 둘러싼 일본사회의 차별적 시선을 담지한다. 〈니안짱〉은 가나코와 재일조선인, 가나코와 일본인 사이의 거리를 표상하여 재일조선인의 삶에 전제된 일본의 역사를 반추시킨다. 이때 가나코와 대조되는 사카다는 일본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재일조선인의 역사를 직접적으로 표명한다. 〈니안짱〉은 재일조선인의 삶이 일본이라는 지정학적 조건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사카다의 대사와 동선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재일조선인 1세의 삶에서 벗어나려는 다카이치의 의지는 보타산에 오르는 상승성을 통해 반복된다. 그러나 다카이치의 자의식에서 발생한 상승적 역동성은 일본인에 의해 저지되고, 회귀되기를 반복한다. 〈니안짱〉의 엔딩은 그럼에도 굴하지 않는 다카이치의 강인한 의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그것을 일본사회가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지 관객에게 되묻는다. As a matter of the representation of Zainichi (ethnic minority in Japan) in Japanese cinema, This study focused on Shohei Imamura’s Second Brother (1959) bears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e original work. There are several fictitious characters and new, related episodes in Second Brother. Following the difference, this study notices Kanako-Japanese social worker- and Sakada-old Zainichi woman- as fictitious characters and also surveys Japan as a geopolitical condition for Zainichi children’s identity. The fictitious characters from Second Brother connote Japanese ethnic discrimination or the perspective of the adult which cannot reveal itself because the original work had written by children. A gap between Kanako and Zainichi and between Kanako and other Japanese in Second Brother makes rumination on the history of Japanese imperialism that brings about the Zainichi and also there’s today. Sakada, another fictitious, expresses her stance directly as a Zainichi woman who has no choice but to live in Japan. And Takaichi, who is the second brother or the second generation of Zainichi, climbs Bota-Yama (slag heap of coal mine) repeatedly for the sake of getting over the closed conditions of selection. Whenever he expresses the will himself, the Japanese block him and sends him back to the place where they accord to Zainichi as implicit bias. Imamura asks back to Japan, how it is possible and what have to do now in the last scene.

      • KCI등재

        근대 단군 담론에서 '신화' 개념의 형성과 파생문제

        하정현(Ha, Jeong-Hyun) 고조선단군학회 2011 고조선단군학 Vol.24 No.-

        The term "myth(神話)" was introduced to the East Asia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Mythology discourse in the modern Korea society was established by disputation between Japanese scholars and Korean especially choi Namsun.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some Japanese historians insisted that Dangun has no relation with Kochoson. Some Korean historians had refuted their conjecture. The refutation between Japanese and Korean historians bring about the motive of the formation the concept of Shinwa(신화).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research the formartion of Shinwa in modern Korea by analysing 'Dasngun' discourse by Japanese historians and Koean who worked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The western term 'myth' was reconstructed in Japanese historical context. Since we call the story of Dangun Dangun Shinhwa(단군신화), there has been some the point at issues. For example "Dangun is mythical hero? or historical ruler?" They resulted from the term "myth" from the west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단일민족, 그 신화 형성에 관한 일 고찰: 종교 가르치기의 한 사례 연구

        하정현 ( Jeong Hyun Ha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6 종교문화비평 Vol.29 No.29

        신화는 일차적으로 고대인들의 사유와 표상이 담긴 이야기로서 전승집단의 종교와 삶의 규범을 담고 있는 유산이지만, 이 이야기는 전승과정에서 당대의 필요에 의해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 새로운 신화로 탄생한다. 동아시아의 근대국가가 성립할때 일부 지식인들이 고대로부터의 전승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여 민족과 국가의 기원을 설명해주는 이야기들을 구축했다는 것은 한중일의 공통적인 현상이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당대에 절대시하는 개념들 가운데 어떤 개념은 그 자체가 초역사적으로 신성시 되어 신화로 기능한다는 점이다. 역사적 위기상황의 극복을 위해 수용한 ``민족`` 혹은 ``단일민족``의 개념이 그렇다. 따라서 한국민족이 단일민족이라고 하는 것은 근대에 형성된 일종의 ``신화``로서 근대 민족주의 형성과 함께 만들어진 전통이다. 이 글에서는 종교가르치기에서 신화를 다룰때 반드시 짚어야할 신화(myth) 개념을 근대신화의 형성과정이라는 역사적 사례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역사적 사례를 통해 신화개념에 역점을 두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실 때문이다. 첫째, 동아시아 ``근대신화`` 형성의 토대와 그것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침략전쟁과 식민지배로로 점철된 ``근현대사``를 파악하는데 필수불가결하다. 아울러 신화개념을 통한 역사적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신화학을 교양과목으로 수강하는 학생들은 근현대사의 심층적 이해는 물론 현대문화비평의 안목을 기르는데 도움을 받을 것이다. 둘째, 신화라는 용어가 내포하는 복합적인 함의를 균형있게 살펴봄으로써 종교가르치기에서 종교의 역동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The term ``myth`` is modern terminology. It was introduced to the East Asia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some Japanese historians insisted that Dangun(檀君) has no relation with Kochoson(古朝鮮). Some Korean historians have refuted their conjecture. The argument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historians bring about the motives of making the concept of Shinwa(神話)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procedures of making myth of Homogeneous Korean as a case study of "teaching religion". For the scholar the historic beginning is to be distinguished from later myths of origins. The scholars, particularly among the historians of China, Japan and Korea take it as the beginning of the history to investigate myths, for the ending parts of narratives are in themselves involved in a social constructs in order to give legitimacy to the story. It is apparent to satisfy for the current social demands of the nation-states building. It is also an act of casting and projecting their national values into the far distant past which is considered to be authentic and authorative. The western term ``myth`` had been made up in Japanese historical context in order to build "nation-state concept". In Korea, the myth of homogeneous ethnicity of Koreans had been also reconstructed as modern myth during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y. We can call it the invention of the tradition according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