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기능적 몸과 공간의 상호관계

        하용삼(Ha, Yong-Sam)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3 No.3

        이 논문은 공간은 인간의 몸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라는 물음에서 시작한다. 근현대에 정신과 육체의 분리는 공동체공간의 기능적 분할에 의해 서비가시적으로 한층 더 강화된 형태로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우리는 공동체 공간에 의한 육체와 정신의 분리를 해체시킬 수 있는 대안을 찾아보아야 한다. 우리는 이 대안을 인간이 (비)개체적 존재라는 것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 존재는 ‘아무할 일 없는 존재’로서 기능의 가능적 존재이고, 이 존재는 비기능적 공간으로서 상대적·자연적·원초적 공간’에 있다. 그러므로 인간은 주어진 절대적·기하학적·인간적 공간에 기능적 존재로 규정되어있지만, 상대적·자연적·원초적 공간에서 ‘아무 할 일 없는 존재’로서 무수한 가능적인 것에 열려있다.

      • KCI등재

        국가와 공통적인 것의 공동체

        하용삼(Ha, Yong-Sam)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코기토 Vol.- No.84

        칸트는 국가공동체가 자연 상태와 대립되는 법적 상태라고 말한다. 이런 점에서 국가공동체는 법적 상태에 대한 공동적 이해로 연결된 협소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칸트의 국가공동체는 이성에 의해서 필연적으로 추론되는 법칙에 따라서 전체 국민이 통합되는 구성체이다. 그러므로 국가공동체는 단지 이성의 로고스에 의한 법칙에서만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국가공동체를 비판하는 입장에서 J. 랑시에르는 법을 구성하는 로고스와 단지 쾌감이나 고통, 동의나 반항을 표시하는 목소리를 명확하게 분리할 수 없다고 말한다. 또한 그는 로고스의 이중성(셈과 말)에 의해서 수립된 법은 지배 장치가 되기도 하고, 또한 평등과 자유의 거점이 되기도 한다고 말한다. 마르크스는 자연 상태를 무연고적 원자적 개인들 사이의 ‘상호 무력행위’로 보지 않고, 언어(로고스)를 가진 종족과 공동체라고 전제한다. 자연 상태의 인간은 근대적 무연고적 원자적 개인이 아니고, 오히려 ‘객체적인 노동조건’으로서 ‘공통적인 것들(the commons)’의 공동체에서 공유인이다. 이런 점에서 무연고적 원자적 개인은 국가와 자본의 인위적 산물이다. 근대 이전의 공유인은 공통적인 것들로서 자연과 공동체의 자치를 통해서 물질적․정신적 유대와 인적 유대를 맺었다. 근대 이전의 공통적인 것들의 공동체는 마르크스에 의해서 자본주의적 사적 소유의 부정으로서 ‘생산수단의 공동점유’와 연결된다. 그리고 M. 하트는 ‘생산수단의 공동점유’와 ‘비물질적 노동의 생산물로서 공통적인 것(the common)’과 상관성을 강조한다. 이와 연장선상에서 탈근대의 시민들은 비물질적인 공통적인 것을 통해서 경제적 자율성을 확보하고, 이와 평행하게 이것의 공동체에서 정치적 자치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낙관적 전망과 달리 비물질적 생산에서 노동자들의 지식의 차이가 심화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하여 시민들 사이의 불평등이 더욱 심화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법 앞에서 평등’으로서 국가와 비물질적 공통적인 것의 공동체의 공통성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물질적 공통적인 것의 재발견과 더불어 비물질적 공통적인 것의 생산과 확장을 통해서 자본주의적 사적 소유에 대해서 공통적인 것의 공동체를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다. Kant says that a state community is a legal status contrary to a natural one. In this regards, the state community has a narrow meaning linked to common understanding of the legal status. Kant’s state community is the construct in which the whole people are integrated by laws inferred inevitably by reason. Therefore, a state community becomes possible by laws through logos of reason. Based on criticism to the state community, J. Rancière says that logos composing of law cannot be clearly separated from a voice signaling just pleasure or pain, consent or revolt. He also says that the law established by a duality (account and speech) of logos becomes a ruling apparatus and also a center of equality and freedom. Marx assumes the natural status as a race and community with language (logos), not as ‘mutual military action’ between unattached atomic individuals. Human beings of the natural status are not unattached atomic modern individuals, but rather commoners in the community of ‘the commons’ as ‘objective working conditions’. In this sense, an unattached atomic individual is an artificial product of the state and capital. Commoners in the pre-modern era established material․spiritual bonds and personal relations through nature as the commons and autonomy of the community. The community of the commons in the pre-modern era is linked to ‘co-possession of the means of production’ as a denial of the capitalist private ownership by Marx. And M. Hart emphasizes the correlation between ‘co-possession of the means of production’ and ‘the common as a product of immaterial labor’. In this regard, citizens in the post-modern era secure economic autonomy through the immaterial common. In parallel to this, they can carry out the political autonomy in the community. On the contrary of a positive perspective, laborer’s knowledge differentiation in an immaterial production will be deepened. Such a differentiation will deepen an inequality among citizens. We can find a commonality between a state as the equality before the law and the community of the immaterial common. So we can suggest the community of the common as an alternative against a capitalistic private ownership through the production and expansion of the immaterial common as well as a rediscovery of material one.

      • KCI등재

        비물질적 노동에 의한 공간의 재전유

        하용삼(Ha, Yong-Sam)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코기토 Vol.- No.81

        이 논문은 ‘거주함’과 ‘기하학적 · 수학적 공간’, 유기체와 무대장치로서 도시 공간, 과학과 재현에 의한 정체(정적임) · 폐쇄성 · 비이동성의 공간과 정치와 정치적인 것에 의한 개방성 · 이질성 · 생동감의 공간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자본의 사적 소유와 국가의 공적 소유에 의한 정체 · 폐쇄성 · 비이동성 · 과학 · 재현의 공간을 비물질적 노동의 생산물로서 공통적인 것(the common)을 매개하는 개방성 · 이질성 · 생동감의 공간으로 재전유하고자 시도할 것이다. 먼저 하이데거는 거주함의 본질에 속하는 사유함과 건축함의 공조에 의해서 공간들이 만들어지고, 이 공간들이 기하학적 · 수학적 공간의 유래라고 말한다. 다음으로 하비는 발자크와 플로베르가 제2제정기 전후의 파리의 도시를 유기체와 무대장치로 표현했다고 말한다. 근대의 공간이 정적인 것 · 폐쇄적인 것 · 비이동적인 것으로 개방적인 활력을 잃게 되면, 시간적 · 역사적 개방성도 생명력을 잃게 된다. 이와 같이 근대의 공간과 평행하는 근대의 역사는 국민과 이질동형으로서 국민국가를 분리된 경계의 정적 · 폐쇄적 · 비이동적 공간으로 가정한다. 더 나아가서 근대의 역사는 국가의 공적 소유와 자본의 사적 소유는 이질동형으로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으로 분리된다고 가정한다. 이와 관련해서 우리는 공간을 정치경제학적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근대의 사적 · 공적 공간을 개방성 · 이질성 · 생동감의 공간으로 재전유하고자 시도할 수 있다. 근대의 공간은 정체 · 폐쇄성 · 비이동성 · 과학 · 재현의 공간이 되었고, 이 공간은 정치와 역사를 위해서 개방된 공간이 될 수 없게 되었다. 근대의 공간에 대항해서 시민들은 비물질적 · 삶정치적 생산을 통해서 공통적인 것을 생산하게 되면서, 공적 · 사적 공간을 공통적인 것을 매개하는 개방성 · 이질성 · 생동감의 공간으로 재전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시민들은 연속성 · 비가역성 · 개방성의 시간과 더불어 개방성 · 이질성 · 생동감의 공간에서 개방적 역사와 정치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examine ‘dwelling’, ‘geometric · mathematical space’, urban space as an organic body, a stage set, the static․closed․immobile space by science and a representation, and the open · heterogeneous · living space by politics and the political. We will try to re-appropriate the space of stasis · closure · immobility · science · representation owned by the private ownership of capital and public ownership of the state into the space of openness · heterogeneity · liveliness that mediates the common as a product of immaterial labor. Heidegger asserted that spaces are created by the cooperation of thinking and building which belong to the essential of dwelling, and these spaces are the origins of geometric and mathematical spaces. Next, Harvey says that Balzac and Flaubert expressed the city of Paris in the time of before and after the Second Empire to be an organic body and a stage set. If modern space loses the open vitality by the static · closed · immobile ones, the temporal and historic openness also lose the vitality. In this way, modern history parallel to modern space assumes the nation state, which is the isomorphism with people, as a static · closed · immobile space of separated boundaries. Furthermore, modern history assumes that the public ownership of the state and the private ownership of capital are divided into public and private spaces as the isomorphism. In this regard, we can try to re-appropriate the private and public spaces of modernity as the space of openness · heterogeneity · liveliness by examining our space from the political and economic perspective. Modern space became a static · closed · immobile․scientific · representative space and could not become the open space for politics and history. As citizens against modern space producing the common through immaterial and biopolitical production, they could re-appropriate the public and private space as open · heterogeneous · living space that mediates the common. Citizens will therefore be able to carry out open history and politics with the time of continuity · irreversibility · openness in the space of openness · heterogeneity · liveliness.

      • KCI등재

        도시 공동체와 국가의 이중성

        하용삼(Ha, Yong-Sam),문재원(Mun, Jae-W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21

        현재 도시는 상품화되고, 원자적 개인의 집합체로 되었다. 자본이 도시의 핵심적 요소가 되었다. 도시 공동체를 구성하기 위해서 우리는 국가와 공통적인 것의 관계에서 자본순환을 탐구해야 한다. 자본순환 도식은〔G―W(A+Pm)…P…W’―G’〕이다. 자본순환의 생산과정에서 자본가의 생산수단(상품)이 공통적인 것이 되면, 자본주의적 사적 소유는 지양될 것이다. 산업생산은 노동하는 주체성과 다른 상품생산이다. 이에 반해 탈산업생산은 노동하는 주체성의 생산이다. 노동자는 비물질적 생산에서 더 많은 자율성을 가질 수 있다. 비명시적으로 국가와 법이 자본순환의 중심축에 있다. 역사적으로 국가와 법은 공동체의 산물이다. 그러나 국가는 자본순환의 실패를 구제하기 위해서 개입한다. 이런 의미에서 공동체와 국가는 상호 대립물이다. 국가는 자본가를 위한 지배 장치이다. 노동과 여가(정치적 활동)를 배타적으로 나누는 시간과 공간은 ‘감각적인 것의 나눔’이다. 고대 그리스 폴리스에서 모방자는 이중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감각적인 것의 나눔을 ‘민주주의적 감각적인 것의 나눔’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근대 도시에서 순종적 활동과 자유로운 비활동의 불일치를 수행함으로써 노동자는 ‘감각적인 것의 치안적 나눔’을 ‘민주주의적 감각적인 것의 나눔’으로 변화시키고자 한다. 랑시에르는 아리스토텔레스이래로 “허구는 합리성의 구조”라고 말한다. 이런 의미에서 말과 필름은 허구적으로 (평등한 불평등한) 시간과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자유인과 노동자의 ‘감각적인 것의 나눔’의 근거는 로고스(logos)이다. 한편으로 로고스(셈)에 의해서 구성된 법과 국가는 지배 장치로서 자격들을 나누는 역할을 한다. 다른 한편으로 로고스(말)가 국가의 헌법을 제정하고 있다. 로고스(말), 헌법, 이미지, 지식, 정동은 동일한 비물질적인 삶 정치적 생산물이고, ‘공통적인 것’이다. 원자적 개인은 이러한 비물질적인 생산물의 공유를 통해서 도시에서 공통적인 것의 공동체를 구성할 수 있다. 도시는 비물질적인 생산물을 통해서 더 이상 원자적 개인들의 집합체가 아니라 공통적인 것의 공동체로 될 수 있다. Modern city has been a commodity and the collection of atomic individuals. Capital became a main element of city. It is necessary for us to investigate capital circulation of relations between states and the common, to build a city community. The diagram of capital circulation is expressed as a〔G―W(A+Pm)…P…W’―G’〕. The production means of a capitalist became the common in the production processes of capital circulation, and the capitalized private ownership can be nullified. The industrial production is a commodity production different from labouring subjectivity. On the contrary, the post-industrial production is a production of labouring subjectivity. A worker can have a much autonomy in the production of immaterial products. State and law implicitly take a central role in capital circulation. Historically, they are the product of a community. However, state intervenes to save the failure of capital circulation. So the community and state is a confrontational object. State is a controlling apparatus. Time and space of exclusively dividing Labor and leisure (political activity) is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An imitator as a dual being in the ancient Greek polis can change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into ‘the democratic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By performing a disagreement between an obedient activity and a free non-activity in modern city, workers want to change ‘the polic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into ‘the democratic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J. Rancière says that “fiction is a structure of rationality” since Aristotle. In the such meaning, speech and film fictionally can consist of (an equal or inequal) time and space. Also a basis of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about freeman and worker is logos. In one way, state and law composed by logos(account) take a role of dividing qualifications as a ruling apparatus. In another way, logos(speech) makes a constitution of state. Logos(speech), constitution, image, knowledge and affect are immaterial biopolitical products, and they are the common. An atomic individual can compose a community of the common in a city through a sharing of immaterial products. A city is not an aggregation of atomic individuals. It can be a community of the common through immaterial products.

      • KCI등재

        공공성과 로컬리티의 재구성 : 공적영역으로서 주민도서관을 중심으로

        하용삼(Ha Yong-Sam),문재원(Mun Jae-Won) 새한철학회 2011 哲學論叢 Vol.66 No.4

        본 논문은 현대사회에서 공적·사적영역의 변화와 로컬 공공성의 재구조화를 다루고자 한다. 우리는 국가 공공성과 자본의 개인화와 상품화를 비판하고, 주민들이 함께 숙고·토론·참여하는 로컬 공공성을 모색한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공공성에 대한 한나 아렌트, 칼 마르크스, 자크 랑시에르의 이론을 검토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로컬의 주민도서관에서 실천적 활동을 통해 사적영역과 공적영역을 재구성하는 출발점을 찾으려고 한다. 주민도서관에서 로컬 공공성의 재구조화는 주민들의 삶의 재편과 관계한다. 주민도서관에서 공적·사적영역을 재구성하기 위해서 주민들이 육아, 교육과 문화활동 그리고 지역 현안들을 동시에 해결하려고 한다. 주민도서관에서 주민들은 노동과 행위의 위계적·수평적 분할과 기존의 감성분할을 폐기하고, 민주주의적 감성분할을 추구한다. 그래서 주민 도서관은 개인적 육아와 보살핌을 공적영역으로 이끌어 내는 공간이기도 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활정치의 공간이 된다.

      • KCI등재

        이질적 인식과 실천의 장으로서의 로컬, 부산 차이나타운 -상해거리, 축제, 화교학교를 중심으로-

        박규택 ( Kyu Taeg Park ),하용삼 ( Yong Sam Ha ),변광석 ( Kwang Seok Byu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 세계화, 탈산업화, 도시의 재구조화 등과 관련되어 나타나고 있는 대도시 도심의 쇠퇴를 막고 나아가 도심을 재개발시키고자 실행한 부산 차이나타운의 건설을 비평적으로 논의한다. 부산 차이나타운의 개발과 유지 과정에 화교를 포함한 지역주민의 능동적 참여가 배제되었을 뿐만 아니라 지난 100년의 역사 속에서 만들어진 화교 문화와 건조환경, 장소성 등이 거의 고려되어 않았다. 로컬의 인식은 역사적으로 만들어진 로컬에 대한 인식과 다양한 주체들의 새로운 가치(혹은 이념)에 따라 만들려고 하는 인식의 로컬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 특히 후자는 상이한 주체들의 인식에 의해 로컬을 새롭게 만들려는 노력이다. 이러한 로컬의 인식과 실천의 사례는 부산 차이나타운의``상해거리``의 명명(naming)과 축제를 통해 고찰해 볼 수 있다. ``상해거리``의 명명은 부산 화교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전통경관과는 무관하게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의도적으로 공간에 각인되었고 이를 시각적으로 혹은 사회적으로 수행시키기 위해 다양한 상징물이 세워지고 축제가 개최되었다. 주체들의 상이한 인식에 따라 로컬을 새롭게 만들려고 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로컬 문화, 장소의 정체성, 로컬인은 주변화 혹은 타자화되기도 한다. This thesis is to critically discuss the construction and performance of ``Busan Chinatown`` whose purposes is to regenerate the urban center of Busan Metropolitan City degraded due to globalization, reorganization of local government, and deindustrialization. In the processes of developing and performing Busan Chinatown, Chinese and local residents have been excluded, and also Chinese culture and society, and placeness have not been considered. It is necessary for Local cognition to be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related to the local developed historically, and the other is about the local newly being made by various subjects` values or ideologies. The naming of ``Sanghae Street`` in Busan Chinatown is a typical example of the latter. It was forcefully given by the local government, and it was not related to the culture, society, and landscape of the local developed historically. To perform the Sanghae Street visually and socially, Chinese symbolic materials have been built and also festival opened every year. In the processes of making a new local by various subjects, local culture, placeness, and local people can be excluded or marginaliz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