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항암제 CLA의 기능성 농·축·수산물 생산을 위한 신 기능성소재로서의 역할

        하영래,박구부,강석중,박원석,박경아 경상대학교 농업자원이용연구소 1998 심포지엄 자료집 Vol.1998 No.1

        Conjugated linoleic acid (CLA)는 여러 동물실험에서 항암성을 나타내었다. 항암성 외에도 CLA는 항동맥경화 효과, 면역촉진 효과, 체지방감소 효과와 같은 생리활성을 나타내었다. 주요 CLA source는 반추동물로부터 유래되는 고기 (쇠고기 등)와 유제품이다. 최근 이러한 생리 활성을 갖는 CLA를 사효첨가제 또는 식품첨가제로 이용하여 CLA-달걀, CLA-닭고기, CLA-돼지고기, CLA-쇠고기, CLA-우럭, CLA-새우, CLA-감자 등과 같은 여러가지 기능성 농·축·수산물을 생산하는 연구가 수행되고 잇다. CLA는 생체 내에서 함암성과 같은 생리활성을 나타냄은 물론, 기능성 식품에서 cholesrerol의 함량감소, 지방감소 및 저장성 증진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CLA는 우럭종묘의 활력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CLA의 합성단가가 높아, CLA 함유 기능성 식품 생상네는 고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따라서 CLA의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exhibited anticarcinogenic activity for several animal models:7,12-dimethylbenz-[a]anthracene (DMBA)-induced mouse epidermal carcino-genesis, benzo[a]pyrene (BP)-un-duced mouse forestomach tumorigenesis, DMBA-induced rat mammary carcinogenesis, 2-amino-3-methylimidazo[4,5-f]euinoline (IQ)-induced rat colon carcinogenesis, and S-180 in-duced mouse ascites cancer. In addition, CLA showed activities of anti-atherosclerosis, immune stimulation, and body fat reduction in animal models and human as well. Major sources of CLA was meats and dairy products derived from ruminant animals. currently, lots of attempts have being conducted to produce CLA-containing functional products of agricultures, meats and marine fish by dietary CLA or adding CLA during prcessings. The typical CLA-containing functional products were eggs (CLA-eggs), chickens (CLA- chickens), porks (CLA-porks), beef patties (CLA-beef patties), eels (CLA-eels), rockfish (CLA-rockfish), shrimps (CLA-shrimps) and potatoes (CLA-potatoes). The functions of CLA in these products were appeared to be the reduction of cholesterol content in CLA-eggs, CLA-porks and CLA-shrimps, reduction of total fat content in CLA-porks, exten- sion of storage stability in CLA-pork and CLA-beef patties, enhancement of survival rate of rockfish seeds in CLA-rockfish, and inhibition of browning reaction in CLA-potatoes. One of shortcomings for the production of these functional products was found to be the high cost for manufacturing CLA from plant seed oils containing relatively higher linoleic acid; hence, methods to synthesize CLA at lower cost should be developed for utilization of CLA as feed ingredients. We believe that functionally active CLA-containing agri-cultural, animal and marine products should appear on market so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Conjugated Linoleic Acid (CLA)의 생리활성효과

        하영래,박구부 한국축산식품학회 1998 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Vol.- No.21

        Ground beef에서 처음으로 분리된 Conjugated Linoleic Acid (CLA)는 mouse epidernal carcinogenesis, mouse forestomach, rat forestomach tumor, rat mammary carcinogenesis 및 colon carcinagenesis를 억제하는 항암성 효과를 지니고 있다. CLA는 항암성뿐만 아니라 anti-atherosclerosis, immune function과 항산화성 등의 생리활성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CLA의 주요 source는 반추동물에서 유래된 meat, 우유 및 유제품이며 일반 식물성유에도 미량으로 존재한다. 최근 국내외에서 CLA를 이용한 기능성 meat 및 식품을 생산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CLA에 관한 간단한 review와 본 연구진의 연구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 SCOPUSKCI등재

        새로이 分類된 天然 抗癌劑 : Conjugated Dienoic Derivatives of Linoleic Acid (CLA)

        하영래(Yeong L. Ha),마이클 파리자(Micheal W. Pariza)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0 No.4

        동물실험을 통하여 새로이 밝혀진 항암제(anti-initiator/anti-ptomotor)인 CLA는 grilled ground beef에서 처음 분리되었다. CLA는 grilled ground beef외에도, cheese 및 이들 관련식품에 많이 존재한다. CLA는 반추동물의 위에 서식하는 혐기성 bacteria에 의해 linoleic acid로부터 생성되며, 식품 가공 중에서도 생성된다. 이것은 또한 in vivo에서 linoleic acid의 carbon centered free radical 형태의 산화에 의해 생성되기도 한다. CLA는 아주 강력한 항산화제임이 밝혀져,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았는 free radical에 대응하여 membrane을 보호하는 in situ defense mechanism 역할을 한다. 이는 또한 cytochrome P450 isozyme의 활성을 저해하는 반면, ODC 효소 활성 역시 저해한다. 그래서, 적어도 CLA의 이 세가지 biological activity가 CLA 항암기작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Anticarcinogenic conjugated dienoic derivatives of linoleic acid(CLA) is present in grilled beef, cheese, and related foods. CLA is generated via isomerization of linoleic acid in the cow's rumen by anaerobic bacteria and food proceessing as well. Another source of CLA is its endogenous generation via the carbon centered free radical oxdation of linoleic acid. We propose that the formation and generation of CLA in vivo represents a previously unrecognized in situ “defense mechanism” against membrane attack by oxygen free radicals. The cis, 9-trans, 11 CLA isomer is selectively incorporated into cellular phospholipid, which exhibits a potent antioxidant, reduces the activation of 2-amino-3-methylimidazo 〔4, 5-f〕 quinoline (IQ) for bacterial mutagenesis, and inhibits ornithine decarboxylase(ODC) activity induced by 12-0-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TPA). We believe that at least these three biological activities of CLA explain the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CLA.

      • KCI등재

        CLA의 생물학적 기능

        하영래(Yeong L. Ha),김정옥(Jeong O. Kim),김영숙(Young S. Kim) 한국생명과학회 2017 생명과학회지 Vol.27 No.8

        CLA는 탄소가 18개(C18)인 linoleic acid의 이중결합이 C9,C11; C10,C12 위치로 이동됨으로 생성되는 입체이성(c,c; c,t; t,c; t,t)체를 총괄적으로 일컷는 말이다. 이론적으로 가능한 이성체 중에서 c9,t11-CLA가 rumen bacteria, lactic bacteria, 버섯균 등의 linoleate isomerase에 의해 linoleic acid로부터 생합성된다. 그러나 linoleic acid를 알카리 이성화로 합성한 CLA에는 이론적으로 가능한 모든 CLA 이성체가 존재한다. 그 중 c9,t11-CLA와 t10,c12-CLA가 약 45%씩 동일량 존재한다. CLA가 1939 년 linoleic acid의 elaidinization 반응에서 처음으로 소개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과학적인 이용가치가 없어 과학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지 않았다. 그러나 1987년에 CLA가 7,12-dimethylbenz[a]anthracene (DMBA)으로 유도한 mouse skin carcinogenesis에서 항암성이 있다는 보고 이후 CLA에 관한 연구는 급속도로 증가하여 현재까지 약 6,100 연구논문이 발표되었다. CLA와 c9,t11-CLA 및 t10,c12-CLA 이성체는 in vitro와 in vivo에서 항암성, 항당뇨성, 항혈압성, 항동맥경화성, 면역증강성, 항산화성, 체지방감소성, testosterone 생산성 등의 생물학적 기능이 갖는다고 밝혀졌다. 이들 생리활성에 c9,t11-CLA와 t10,c12-CLA가 in vitro와 in vivo에서 다른 활성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합성 CLA에 소량 혼합되어 있는 t,t-CLA가 carcinogen으로 유도한 동물모델이나 암세포에서 다른 이성체 보다 강한 항암성을 보이는 결과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될 것이다. 본 총설에서는 CLA 관련 연구가 시작된 1939년부터 현재까지의 CLA 연구 트렌드를 살펴보고 밝혀진 주요 기능성을 보고한다.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is a group of positional and geometric isomers of linoleic acid with conjugated double bonds at C9,C11 and C10,C12 positions. Of possible CLA isomers, a naturally occurring CLA isomer is c9,t11-CLA which is produced from linoleic acid by linoleate isomerase from various rumen and lactic bacteria, and mushroom mycelia. Meanwhile, synthetically prepared CLA contained an equal amount of c9,t11-CLA and t10,c12-CLA isomers, and other isomers as minor constituents. CLA was firstly mentioned in 1939 during the elaidinization reaction of linoleic acid. Thereafter, CLA was not an attractant to scientists because it was not scientifically interested any more. However, since the anticarcinogenic action was driven from 7,12-dimethylbenz[a]anthracene (DMBA)-induced mouse skin carcinogenesis in 1987, CLA-related researches were drastically elevated, resulting in approximately 6,100 research papers in literature, so far. CLA exhibited the significant biological activities: anticarcinogenic, antidiabetic, antihypertensive, antiatherosclerotic, body-fat reducing,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testosterone producing and other activities. Interestingly, two major CLA isomers, c9,t11-CLA and t10,c12-CLA, exhibited different biological activities. Meanwhile, t,t-CLA isomers which is minor constituent of chemically synthesized CLA from linoleic acid exhibited more potent anticarcinogenic activity in carcinogen-induced animal models and cancer cell lines than other CLA isomrs. In the present review, the significant biological activities of CLA were discussed along with historical studies of CLA since 193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