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지속가능한 공간디자인을 위한 재사용 재료 활용에 대한 사용자 인식 및 선호 조사 연구

        하숙녕 ( Sooknyung Ha ),이준민 ( Joonmin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지속가능한 공간 디자인을 위해 기존에 사용했던 재료들을 공간에 다시 적용하는 개념의 Reuse는 두 번이상 같은 소재를 다시 사용한다는 환경용어로써 기존의 요소가 같은 기능을 위해 그대로 다시 사용되는 개념과 다른 기능에 사용되기 위해 새롭게 재탄생되는 요소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디자인을 전략적으로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미흡한 현 시점에서 지속가능한 공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재사용 재료에 대한 인식을 제고함으로써 재사용 재료가 지속적이고 동조 범위가 넓은 파급력 있는 디자인 전략으로 충분하다는 장점을 부각시켜 공간 디자인 활용에 지속가능성의 충분요소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조사를 위해서 문헌분석을 통해 추출한 재사용재료 사용에 대한 내용을 참고하여 조사 및 분석항목을 크게 4부분으로 분류하였으며, 예비조사를 거쳐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300명을 대상으로 모바일과 웹을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조사대상의 일반사항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재사용재료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 선호도, 경험도에 대하여 기술통계분석 및 교차분석, 분산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조사결과. 조사 대상자는 서울, 경기, 인천에 거주하는 40대가 많았으며 응답자의 48%가 재사용 재료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었고, 재사용 재료에 대한 정보 수집 방법으로는 응답자의 72.3%가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간 디자인을 계획할때 재사용 재료 사용 여부에 대하여 70.3%의 응답자가 사용할 의사가 있음을 적극적으로 나타냈으며, 재사용 재료에 대한 선호도 역시 응답자의 56.0%가 응답함으로써 재사용 재료에 대한 긍정적인 관심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대상자는 재사용재료를 적용한 공간을 경험해 본 경우는 약 60%가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이 경험한 공간 유형으로는 상업공간, 문화/전시공간, 실외공간, 주거공간, 기타 순이었으며 이는 대체로 카페, 레스토랑과 같은 상업공간에 주로 재사용 재료가 활용 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재사용 재료가 활용된 공간에 대한 만족도에 대하여 응답자의 73.0%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95.3%의 응답자는 다시 방문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속가능한 공간디자인을 위해서는 재사용 재료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재사용 재료를 활용할 수 있는 공간 디자인의 다양성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히 재사용 재료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가 높아지고 이에 따른 필요도 및 실제 활용 빈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되며 향후 지속가능한 공간디자인을 위해서는 재사용 재료의 체계적인 공급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는 방안으로 재사용 재료 콘텐츠를 개발하고 실현할 수 있는 방법과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ncept of “reuse,” which means reapplying to a space materials used already for the same or some other purpose and thus rendering the space design sustainable is an environmental term implying that same material is used more than once. It encompasses the concept that existing elements are used in their original forms for the same functions and the concept that the materials are re-created for use in other function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focused on the inclusion of reused materials and applying them in design strategically. Thus, there is a need to highlight the advantages of reused materials that can serve an adequate design strategy characterized by high constancy and ripple effect with wide-ranging synchronicity based on improvement of perception towards reused materials to promote sustainable space. That is, an approach needs to be taken to highlight reused materials as a sufficient element of sustainability for utilization of spatial design. (Method) For the investigation, the study classified the items of investigation and analyses into four categories, referring to the details related to utilization of reused materials based on literature study. Through preliminary investigation, an online survey was completed by 300 ordinary people residing in Seoul and the capital region via mobile phones and websit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of respondents were in their 40s, residing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nd that 48% of respondents were aware of reusable materials. For the method of collecting the information on reused materials, 72.3%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resorted to the Internet to gather the information. For the question about whether they utilized reused materials when planning their spatial design, 70.3% of respondents indicated actively that they were willing to utilize the reused materials. For the preference of reused materials, 56.0% of respondents gave their answers, suggesting that there was a positive interest in reused materials. About 60% of the respondents were found to have experienced a space where reused materials were applied. The types of space that they experienced most often were (in order of frequency) commercial space, culture/exhibition space, outdoor space, residential space, and others, which showed that reused materials were adopted mainly in commercial space such as caf?s and restaurants. Regarding the extent of satisfaction with the space applying the reused materials, 73.0% of the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y were satisfied while 95.3% of the respondents showed the willingness to visit such space again. (Conclusions) For sustainable spatial areas, it would be necessary to explore not only the methods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reused materials but also the diversity of spatial design, which enables utilization of reused materials. Methods and strategies can be presented for development and realization of contents created with reused materials as a measure for access from the angle of systematic supply of reused materials to render sustainable spatial design in the period amid heightened perception and preference towards reused materials and resultant prospect for a growing need for and utilization of reused materials.

      • KCI등재

        RE(Rescue Earth)의 디자인에 나타난 재사용 재료 활용에 관한 연구

        하숙녕 ( Ha Sookny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2

        (연구배경 및 목적) 디자인을 개발하는 데 있어 재료는 두말할 나위 없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더군다나 이미 사용했던 공간 또는 제품을 다시 활용하여 재탄생시키는 작업이야말로 새로운 재료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욱더 창의적인 작업과 공정과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국내 친환경 기업 RE(Rescue Earth)는 폐목재를 활용하여 디자인을 개발하고 있다. 2009년부터 현재까지 10년간 꾸준히 한 길을 걸어온 그룹으로 제주도에 거주하면서 지속가능한 디자인 개발을 위해 폐기 직전의 수많은 목재들을 다시 활용하여 새롭게 재탄생키고 있다. 특히, RE에서 추구하고 있는 재사용 디자인은 오늘날 새로운 디자인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는 레트로(Retro)와 뉴트로(Newtro)와도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옛것을 그대로 활용하는 레트로와 옛것을 새롭게 재해석한 뉴트로의 개념을 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뉴패러다임의 디자인을 확산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RE의 디자인 배경으로는 재사용 가능한 자원을 관리하는 디자이너의 사회적인 책임과 함께 디자인계에 제공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재료의 활용가능성에 대한 전문가의 통찰력이 다급히 필요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기업 RE가 추구하는 재사용 디자인이 환경을 지속시킬 수 디자인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그들의 디자인 과정과 특성을 통해 재사용 디자인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2019년 8월 14일, 약 3시간에 걸쳐 RE의 재료공장 방문 후 전시장에서 RE의 대표와의 인터뷰를 실시한다. 인터뷰 내용으로는 그들이 추구하는 디자인의 방향과 철학, 재료의 구입경로와 디자인과정 그리고 향후 계획 및 제언 등을 통해 재사용 디자인의 활용을 위한 개선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결과) 친환경 그룹 RE는 제주도에서 발생하고 있는 폐목재를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실현하고 있다. 그들의 디자인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재료로 사용하고 있는 목재는 반드시 실내에서 사용되었던 오래된 목재를 재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둘째, 수작업을 통해 오래된 목재의 미를 충분히 살림으로써 예술적 가치를 창출한다. 셋째, 복잡하고 장식적인 디자인보다는 미니멀하고 기능적인 디자인을 제작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편암함을 제공한다. 넷째, 금속류를 사용하는 가공기술보다는 원목과 원목이 서로 교차하는 전통적인 연결기법을 추구함으로써 안정감과 구조미가 있는 디자인을 추구한다. 다섯째, 상업적으로 이용하기보다는 기업의 철학이 잘 나타날 수 있도록 합리적인 가격을 제공하고 있다. (결론) 지속가능한 공간환경을 위한 폐자재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해 온오프라인상의 유통체계는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폐자재를 인식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누구나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체계화시켜 제시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Needless to say, in developing a design material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Recreating space or products that have already been used requires more creativity and work processes than using new materials. Rescue Earth (RE), a Korean eco-friendly company, is developing designs using waste wood. While the group, located in Jeju Island, has steadily walked on one path for 10 years from 2009 to present, it has recreated and reused a lot of wood just before disposal to develop sustainable design. In particular, the reuse design that RE pursues is closely related to Retro and Newtro, which are emerged as new design trends today. They spread a new paradigm in design by applying the concept of Retro, which uses old things in their original forms, and Neutro, which reinterprets old things, to design. The background of RE design is the urgent need for expert insight into the availability of sustainable materials in the design world along with designers' social responsibility to manage reusable resources. In this study, we try to find ways to activate the reuse design through their design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on the premise that the eco-friendly RE's reuse design can be an alternative to the sustainable design. (Method) For this study, an about 3-hour interview with CEO of the RE is conducted at its exhibition hall after visiting RE's material factory on August 14, 2019. We try to derive improvements for the reuse design through the interview which should include the direction and philosophy of their design, the purchase path of materials and design process, and future plans and suggestions. (Results) The eco-friendly group RE realizes the sustainable design centering on waste wood generated in Jeju Island. Their design strategy is as follows. First, only old wood used indoors should be used as a main material in principle. Second, it should create an artistic value manually by fully utilizing the beauty of old wood. Third, it should provide consumers with comfort by producing minimalist and functional designs rather than complex and decorative designs. Fourth, it should pursue a design of stability and of structural beauty with traditional wooden joints rather than with a metal processing technology. Fifth, they provide reasonable prices for the corporate philosophy to be well expressed rather than used commercially. (Conclusions) An on/off line distribution system is essential for the continuous supply of waste materials for a sustainable space environment. In addition, waste materials should be recognized and accessed in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way, for which we need to present a systematic method that can be applied by anyone easily.

      • KCI등재

        지속가능한 공간을 위한 재사용 디자인 현황 분석

        하숙녕 ( Sooknyung Ha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2

        (연구배경 및 목적)지속가능한 개발 개념을 바탕으로 한‘제로 웨이스트’제도 도입과 높은 관심과 달리 현재 우리나라는 산업화에 따른 오랫동안 버려진 공간을 그대로 방치하고 그 속에서 폐기 처리되는 재료들이 산재하고 있다. 재사용 디자인은 재료들을 두 번 이상 그대로 활용하거나 다른 용도에 맞게 재가공하여 새롭게 재탄생시키는 디자인으로 오래되고 버려진 유용한 요소들을 재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는데 기여 한다. 즉, 재사용 재료는 원재료에 대하여 간단한 물리적 가공을 통해 재료를 다시 사용하는 것, 원재료에 대하여 조립, 해체함으로써 재료를 다시 사용하는 것, 원재료 자체가 훼손이 되지 않고 썩지 않은 재료로 세대를 교체하여 영구히 사용하는 것 그리고 원재료의 부품이나 일부분 또는 제품 전체를 제품의 수명이 다한 후에서도 부가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개발될 재사용 콘텐츠들의 보급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조사 단계로써 재사용을 활용한 국내.외 공간사례들의 현황 조사를 통해 재료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여 필요한 카테고리의 항목들을 추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본 연구는‘재사용적’개념의 재료와 공간으로 그 범위를 한정한다. 조사대상은 국내·외 재사용 사례 20곳이며, 조사대상 별 공간의 유형 및 디자인 특성을 파악하고 어떠한 재사용재료를 활용하였는지 파악한다. 자료는 2015년 5월 1일부터 12월 31일 동안 현장답사, 문헌, 웹사이트를 통해 발췌하였다. (결과)국내·외 재사용 재료가 활용된 공간유형 분석결과, 국내의 경우, 복합문화공간, 카페, 휴식공간, 공원 등에서 재사용 재료를 활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카페가 다른 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사용 재료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국외의 경우, 주거공간, 문화예술공간, 놀이공간, 공원, 상업공간 등에서 재사용 재료를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 공간에 사용된 재사용 재료는 폐건물, 폐콘테이너, 폐금속재, 폐목재, 폐플라스틱 파렛트, 폐목재 파렛트, 폐금속소품 등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국내의경우, 대부분 카페를 중심으로 재사용 재료를 적용하고 있었고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반면 국외의 경우, 폐쇄된 공장, 역사적 가치가 남아있는 건물을 그대로 재사용하는 사례가 많이 있으며 일시적인 재사용 공간이 아닌 지속가능한공간으로 개발함으로써 경제적 가치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의 경우, 일시적으로 특정 지역에서만 일어나는 사회적 현상으로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다른 지역 또는 다른 공간 유형으로도 발전 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분석한 재사용 재료현 황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재사용 재료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그리고 요구사항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and Purpose)Korea is confronted with problem of waste materials being discarded in the idled space that is left unattended for a prolonged period in the wake of industrialization of nation despite introduction of‘Zero Waste’ system and heightened interest in the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underlying no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Reuse design is a concept of using materials more than twice for their original purpose in the original form or reprocessing them for other purposes so as to re-create them, and contributes to conservation of energy and resources because useful elements can be recovered from old and discarded materials for use in their original form without need for reprocessing. In other words, utilization of reused materials means reuse of materials through simple physical processing of raw materials; reuse of materials through assembly and dismantling of raw materials; use of materials permanently through generation exchange of undamaged and undecomposed raw materials; and auxiliary use of parts of raw materials or entire or products in whole or in part even after the end of life. Thu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lassified materials systematically and identified the items of necessary categories through investigation into domestic and overseas cases involving utilization of reused materials as a basic investigation aiming to spur supply and promotion of reused contents to be developed in the period ahead. (Method)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the materials and space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reuse’. In this study, 20 domestic and overseas cases involving utilization of reused materials were investigated. We examined the type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being investigated and looked into the type of reused materials that were utilized. The data were obtained from field trip, literatures, and websites from May 1, 2015 to December 31 of same year. (Results)The study analyzed the type of space where reused materials were utilized in domestic and overseas cas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reused materials were utilized in complex cultural space, cafe, leisure space, park, etc., in Korea. Particularly, reused materials were utilized in cafe relatively more commonly than other space. In overseas cases, reused materials were utilized in residential space, Culture and art complex, amusement space, park, commercial space, etc. In addition, waste space, waste container, waste mwtal, waste wood, waste plastic pallet, waste articles were utilized for floor, wall, and ceiling among waste materials reused for interior components. Among others, waste container and waste wood were used commonly for floor, wall, and ceiling altogether. (Conclusions)In Korea, reused materials were found to be used primarily in cafe and their utilization increased in specific regions. In overseas countries, shutdown factories and historically significant buildings were often reused in their original form and were developed into sustainable space, rather than being reused temporarily, thereby acquiring economic value. In Korea, it would be therefore necessary to expand the reuse into other regions or other spatial types, so that the reuse does not remain a social phenomenon limited to specific regions and occurring only temporarily. For that, succeeding studies would need to investigate into perception of users towards reused materials, extent of their satisfaction, and requirements based on results of analysis in this study on current utilization of reused materials.

      • KCI등재후보

        디자인계열 재학생의 업사이클링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하숙녕 ( Sook Nyung Ha ),이정교 ( Jung K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8 No.4

        (연구배경 및 목적)디자인을 전공한 학생들은 졸업 후 사회로 진출하여 미래의 산업사회를 책임지고 갈 중요한 의무와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의 급변하는 환경적 측면에서 볼 때, 미래에 필요로 하는 디자인이 무엇이고, 어떻게 준비해야하는지 알아야 할 의무가 있다. (연구방법)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지구온난화 방지에 기여를 한 영화 한 편과 업사이클링 디자인을 다룬 다큐멘터리 한 편에 대해 각각 시청 전과 후로 구분하여 두 번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조사 결과, 많은 학생들이 시청각 자료에 대해 교육 전과 후의 차이가 크게 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 환경문제의 심각성과 쓰레기(폐기물)의 재사용/재활용에 관한 질문에는 교육 전과 교육 후의 변화는 크지 않았다. 반면, 업사이클링 디자인의 활성화 및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서는 동영상 시청 전에는‘그렇다’와‘보통이다’로 응답한 학생들이 시청 후에는‘매우 그렇다’로 응답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국, 환경과 업사이클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편견을 변화시킬 수 있었으며, 관심을 가지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Background and Purpose)Design-majors recognize their responsibilities and roles in meeting the challenges of our industrialized society in the future. Therefore, they anticipate the kind of design needed and prepare proactively for a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Method)As part of this research, a film documentary regarding upcycling design was produced in recognition of the need to prevent global warming. Two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viewers(before and after viewing).(Result)Consequently, many students expressed their views about the subject before and after viewing the audio-visual material. Answers about the severity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 reuse and recycling of wastes were not very different before and after participants watched the video. To questions regarding the need for upcycling design, however, students who answered ”Yes, it is,” or “It is generally so” before watching the video responded with stronger acknowledgements regarding the need after watching it. Therefore, education was found to alter antagonistic views and generate actual interest in the proposal for upcycling.

      • KCI등재

        지속가능한 공간디자인을 위한 건축재료 웹 사이트 비교 분석

        하숙녕 ( Ha¸ Sookny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2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들어 뉴트로, 레트로와 같이 옛날의 과거를 그대로 재현하거나 새롭게 재해석하는 공간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공간을 디자인하는데 있어서 과거에 사용했던 재료를 재사용하면서 감성을 더해 새로운 가치를 부여한 공간으로 재탄생 시킴으로써 현 시대의 대표적인 디자인 트렌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을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재료를 재사용함에 있어서 체계적인 재료의 정보와 빠른 공수방법이 필요할 것이다. 오늘날, 4차 산업혁명시대에 직면하면서 모든 것이 연결되고 보다 지능적인 사회의 중심이 되면서 웹상의 참여와 공유, 개방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웹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시스템화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료 재사용에 대한 웹 정보는 아직 체계적으로 구축되어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재료들 중 재사용을 취급하는 국내외 기업들의 웹 사이트의 현황을 비교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지속가능한 공간디자인을 위한 재료 웹 사이트 관련 국내외 이론을 고찰하고 웹 동향 등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홈페이지들의 구체적인 항목들과 함께 특징을 파악하여 비교 분석해보고자 한다. 특히 국외의 경우, 재료 재사용에 있어서 앞장서고 있는 네덜란드 건축디자인회사인 슈퍼유즈(Superuse)에서 개발한 하비스트맵의 검색항목들을 중심으로 특징을 살펴보고 국내의 홈페이지와 비교분석한다. 분석방법은 각 가업별 웹상에서 확인가능한 콘텐츠의 유무여부를 조사하였으며, 내용으로는 취급하는 폐자재 종류, 규격, 가격, 현장적용 사례이미지, 온라인주문 등이다. (결과) 국내외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 재료확보 및 조달방법의 개선필요,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재료들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웹 개발필요, 유통과정의 시스템화 개선필요, 온·오프라인상의 재료 플랫폼 마련 등 개발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재료를 조달하고 있는 국내기업의 웹사이트 9곳을 조사한 결과, 취급하고 있는 재료들이 다양하지 못하고 제한되어 있으며, 홈페이지 상 상세한 내용들은 찾기 어려웠다. 또한 주문방법이 대부분 전화주문이었으며, 공수방법은 직접수거 및 배송가눙으로 표기되어 있다. 반면, 선진사례의 경우, 온라인 상의 맵을 통해 다양한 재료들을 한눈에 볼 수 있었으며, 실제로 적용된 프로젝트들을 공유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이해를 높였다. 특히, 공수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필요한 재료를 가장 근접한 거리에서 주문하고 공급받을 수 있도록 알려줌으로써 운송시에도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결론) 지속가능한 공간환경을 위한 재사용 재료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해 온라인상의 정보모델 개발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체계적인 웹페이지 구성으로 인해 누구나 쉽게 주문하고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 시대가 요구하는 디자인을 더욱더 활성화시킬 수 있은 방안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recent years, there are an increasing number of spaces that reproduce the past as they were, or reinterpret it like Newtro or Retro. In designing a space, the reuse of materials used in the past has established itself as a representative design trend of contemporary times by adding sensitivity and recreating a space with new values. However, in order to design such a space, above all, systematic material information and fast transport methods are needed in reusing materials. (Method)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and compare specific items and characteristics of currently running material websites by reviewing domestic and overseas theories and examining web trends for sustainable spatial desig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overseas countr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rvest map developed by Superuse, a Dutch architecture studio leading the way in the reuse of materials, were examined and compared with the domestic website. In the analysis,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tents that could be checked on the web by each company was investigated, and the contents included the types of waste materials handled, specifications, prices, images of field applications, and online orders. (Results) As a result of examining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 trends, there was a need to improve material acquisition and procurement methods, to develop a web to see various types and sizes of materials at a glance, to improve a distribution process system, and to develop a material platform on- and off-line. As a result of a survey of nine websites of domestic companies that were procuring materials, the materials handled were limited and not diverse, and it was difficult to find detailed information on the website. In addition, most of the ordering methods were phone orders, and the transport was marked as direct collection and deliver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advanced case, various materials could be seen at a glance through an online map, and the consumers' understanding was raised by sharing the projects that were actually applied. In particular, in transport, there was an advantage of saving energy during transportation by notifying users to order and receive the necessary materials from the nearest distance. (Conclusions) The development of an online information model is indispensable for the continuous supply of reused materials for a sustainable spatial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n that can further activate the design required by the contemporary times that will allow anyone to easily order and receive supply through a systematic web page configuration.

      • KCI등재

        재사용 재료 웹 구현을 위한 디자인 개발

        하숙녕 ( Ha Sookny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6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PC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인터넷 접속이 일상화되어 웹상의 참여와 공유, 개방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웹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시스템화되고 있다. 즉, 초고속 정보화 사회에 직면하면서 모든 것이 연결되고, 보다 지능적인 사회의 중심이 되면서 공간의 개성화와 다양화, 그리고 트렌드에 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디자인은 웹상의 재사용 재료 정보제공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재사용 재료를 필요로 하는 불특정 다수의 입장에서 최적화된 재료의 웹사이트를 설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재료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재사용 재료를 활성화 시키는데 의의가 있다. 궁극적으로 산업적으로 중요한 건축재료를 쉽게 재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웹을 제안하는 것으로 공간을 디자인함에 있어 사용된 후 버려질 산업제품이나 이미 사용했던 자원들을 다시 사용하기 위해 원활한 공급과 수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사용 재료 정보 웹사이트를 설계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진행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사용 재료의 개념을 고찰하고 디자인 웹 관련 연구동향을 살펴본다. 아울러 국내·외 재사용 재료를 취급하는 회사들의 홈페이지를 검색하여 현황을 조사하고 비교 분석함으로써 웹 설계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체계화 방향을 모색한다. 둘째, 재사용 웹은 크게 재료 선정단계, 디자인 설계 및 프로세스 단계, 디자인 결과단계로 진행한다. 셋째, 현실에 적용 가능한 유연한 방식의 콘텐츠를 통해 재사용 웹을 도출한다. (결과) 본 디자인 개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료 선정단계는 메인 창을 시작으로 하여 공급업체정보와 디자인 갤러리가 검색가능하다. 디자인 갤러리는 재사용 재료를 사용하여 완료된 공간과 제품들을 검색할 수 있으며, 디자인 시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둘째, 디자인 설계 및 프로세스 단계는 공급을 필요로 하는 각 재료들에 대하여 재료 검색, 재료 위치, 재료 선택, 재료상세정보, Q&A, 주문 및 배송으로 계획하였다. 이는 향후 시연을 통해 보완될 예정이다. 셋째, 디자인 결과단계는 시공 후 공간의 이미지를 공유함으로써 재료의 활용도를 높이고 확산시키는데 의의가 있다. (결론) 향후 웹 구현을 위한 프로세스에서는 본 연구에서 설계한 웹 디자인에 대하여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보완하고 발전시킨 후, 시스템 스펙 구성, 데이터베이스 설계, 웹사이트 구현, 테스트, 배포(서비스)의 과정을 거치며 지리적 위치 정보(Geolocation) 및 지도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활용하여 SNS플랫폼에 공유를 위한 기능을 통합한 재료정보사이트를 구현하여 실행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oday,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the user-customized web, characterized by participation, sharing and openness on the web, real-time Internet access using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as well as PCs has become commonplace, and it is being systematized so that desired information can be easily found. In other wor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time when it is possible to rapidly respond to spatial individuation and diversification, and trends in the face of a high-speed information society where everything is connected, and it becomes the center of a more intelligent society. This design study on the provision of re-used materials information on the web has significance in promoting the use of re-used materials by designing a website optimized for materials from the point of view of unspecified individuals in need of re-used materials to select desired materials. (Method) This study proceeds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re-used materials is reviewed and research trends related to design web are examined. In addition, the direction for systematizing the database for web design is explored by searching the websites of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handling re-used materials,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and comparatively analyzing them. Second, the stages of the reuse website largely proceeded in the order of material selection, design and process, and design results. Third, it derived the reuse website through contents in a flexible way that can be applied to reality. (Results) The contents of the design development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material selection stage, supplier information and a design gallery can be searched starting from the main window. In the design gallery, spaces and products completed using re-used materials are searched, which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applicability during design. Second, in the design and process stage, each material that needs to be supplied are arranged as Search materials, Locate materials, Select materials, Details in materials, Q&A and Order and delivery. It will be supplemented through future demonstrations. Third, in the design results stage, it aims to increase and spread the applicability of materials by sharing the image of the space after construction. (Conclusions) In the process for web implementation in the future, this study intended to build and realize a material information website that integrates the sharing function on SNS platforms by utilizing geolocation and map API through the processes of system specification configuration, database design, website implementation, testing, and distribution after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requirements for the web design of this study to be supplemented and developed.

      • KCI등재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의 재사용 조명디자인 개발 연구

        하숙녕 ( Sooknyung Ha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3

        (연구배경 및 목적)본 연구는 사람들이 많이 왕래하는 재래시장과 상점이 만나는 먹자골목에 위치한 조명이라는 점에서 친숙하게 느껴져야 하는 가로등임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조명은 매우 현란한 조도와 산만한 조합으로 계획되어 있다. 따라서 현 조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함으로써 수년 간 이 지역, 이 시장을 방문해 온 사람들에게 보다 편안하고 친밀감 있는 골목이 될 수 있도록 재계획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설치된 낡은 조명환경을 개선하고 시장 활력을 제고하기 위해 조명의 조도를 정비하고, 재계획하여 새로운 디자인으로 개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한 디자인 방법으로는 우선 원재료를 다시 사용하여 개발된 국내·외 조명사례의 사례들을 조사, 분석함에 있어 디자인의 방향을 설정하고, 나아가 본 조명디자인을 위한 디자인 정비 및 주변 환경 정비 현황을 통해 재사용 디자인 콘셉트를 설정하고 전개함으로써 새로운 연출보안등으로 거듭나고자 한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물인 LED 연출보안등은 기존 보안등의 별, 달 연출조명을 그대로 사용하되 콘트롤상에 문제가 있었던 부분을 보완하였고, 추가 제작 및 재조합 과정을 통하여 새로운 조명으로 재탄생되었다. 이를 위해 기존 19개 폴에 사용되었던 별, 달의 LED조명을 모두 수거하여 세척 후, 다시 조립하고 재배치하였으며, 기존의 폴은 주변의 색과 어울리는 색 계열로 다시 도장하고, 별, 달 조명을 지탱해주는 철재 프레임 구조물은 추가로 제작하여 연장하였다. 그 결과로써 현란했던 조명의 색은 속도조절과 시간 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색상의 변화를 준 디밍효과로 인해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통일성 있게 변하였으며, 주변과 자연스럽고 조화롭게 연출되었다. (결론) 대량생산과 대량소비의 시대에 사용이 끝난 제품도 폐기가 아닌 귀중한 자원이 된다는 것을 바탕으로 자원순환시스템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버려진 재료들이 자원화로 다시 돌아가는 것이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매우 유리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페자원들의 해체, 수집, 운반 등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실천할 수 있는 재료들의 순환시스템 개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street lamps have been planned based on flashy lighting with extreme high intensity of illumination and visual clutter causing the distraction even in the food alleys, the intersection of conventional marketplace and stores bustling overpopulating with people, although the lighting would need to be felt familiar to the passers-by Thus,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current problems of current lighting and revamp it so as to redesign the lighting in such a way that it can create the alleyways that the visitors, who had visited this marketplace in this region over the last few years, could find familiar and comfortable with. For that, it would be meaningful to improve currently old lighting environment, adjust the illumination and revitalize the market, thus re-planning them into novel designs. (Method) For the design methods necessary in this study, we will set the basic course of design for investigating and analyzing practical cases of lighting design refurbishment in Korea and abroad which involved the reuse of raw materials, and furthermore, set and apply the design concept of the reuse design by looking into current status of design revamp and environment refurbishment for this lighting design, pursuing the new lighting based on presentation and security lamps. (Results) The LED presentation and security lamps, the results of this study, used the presentation lighting that featured the shape of stars and moon on the existing security lamps, but made improvement by eliminating the control problem. They were transformed into new lighting through the process of recombination. For that, we collected all LED lamps creating the shape of stars and moon, which were used on existing 19 poles. After washing these those LED lamps, we reassembled and rearranged them, applied the paint to existing poles in colors blending harmoniously with those of the surrounding area, and additionally made the steel frame structures supporting the star and moon lighting, and then connected them together. It was achieved by the dimming effect causing natural variation of color in a way that suited the passage of time, along with the adjustment of speed (Conclusions) It would be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create the resource recycling system constantly based on the realization that the products at the end of life can be also turned into valuable resources, rather than being discarded, even in this era of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Converting the discarded materials into resources would bring significant benefits to the society and economy. Thus,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basis for exploring the measures necessary to develop the recycling system of materials which would enable constant management of waste resources through all process of dismantling, collection, transportation,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