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남 한산·거제만해역에서 생산된 패류의 위생학적 안전성 평가

        하광수,이가정,정연중,목종수,김풍호,김연계,이희정,김동욱,손광태,Ha, Kwang-Soo,Lee, Ka-Jeong,Jeong, Yeon-Jung,Mok, Jong-Soo,Kim, Poong-Ho,Kim, Yeon-Kye,Lee, Hee-Jung,Kim, Dong-Wook,Son, Kwang-Tae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8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3 No.5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17년까지 경남 한산 거제만 해역에서 생산되는 패류에 대한 위생지표세균, 마비성 패류독소, 설사성 패류독소를 분석하여 세균학적 독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굴 시료 404점에 대한 분변계대장균은 < 18~330 MPN/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나, 대장균 230 E. coli MPN/100 g을 초과한 시료는 없었다. 굴 수확시기 동안 분석한 대장균의 기하학적 평균치는 24.3 MPN/100 g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한산 거제만해역에서 생산되는 굴의 세균학적 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식품위생법의 생식용 굴에 대한 위생기준을 만족하였고, EU의 패류생산해역 A등급 기준에 부합하였다. 한산 거제만해역의 독물학적 평가를 위해 굴 532개 시료와 패류독소 지표종인 지중해담치 268개 시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비성패류독소는 2013년 4월에 지중해담치 3개 시료에서 1.20~2.29 mg/kg 범위로 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되었으나, 굴시료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총 120개 시료에서 설사성패류독소를 분석하였으나, 정량한계 이하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독물학적 안전성 평가결과, 굴 시료에서는 마비성 및 설사성패류독소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나, 지표종인 지중해담치에서는 마비성패류독소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안전관리가 요구되었다. To evaluate bacteriological and toxicological safety hygienic indicator bacterium and paralytic and diarrhetic shellfish toxins in the shellfish produced in Hansan Geojeman 2013-2017 were investigated. Fecal coliforms were < 18~330 MPN/100 g in 404 oyster samples. But all samples tested, did not exceed 230 E. coli MPN/100 g. Geometric mean of E. coli for oyster samples collected during major shellfish production period was 24.3 MPN/100 g, considerde stable results. Bacteriological quality of oysters collected from Hansan Geojeman meets the standard value based on shellfish hygiene of the Food Sanitation Act of Korea and also meets Grade A,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shellfish harvesting areas of the European Union. For toxicological evaluation of Hansan Geojeman, 532 oyster samples and 268 mussel samples as an indicator, were analyzed. Paralytic shellfish toxins were detected in the range of 0.42~2.29 mg/kg in eight mussel samples, and exceeded criteria in three samples from early to late April 2013. Diarrhetic shellfish toxin was detected in three of 120 samples, but it was revealed to be under regulation value (0.16 mg Okadaic Acid equ./kg). As a result of toxicological evaluation, paralytic and diarrhetic shellfish toxins were not detected in oyster samples, but it was found that mussel as an indicator species, exceeded the threshold value of paralytic shellfish toxin. Accordingly, sanitary surveys were continuously requested for food safety management of shellfish.

      • KCI등재

        1,5,9,13-Tetrathiacyclohexadecane 수식전극을 사용한 Ag(I)의 전기화학적 정량

        하광수,장미경,서무룡,Ha, Kwang Soo,Jang, Mi-Kyeong,Seo, Moo Lyong 한국분석과학회 1997 분석과학 Vol.10 No.3

        [16]-ane-$S_4$/탄소분말 함량비를 50%로 하여 nujol oil과 혼합하여 수식전극을 제조하였다. $5.0{\times}10^{-4}M$ $Ag^+$를 포함하는 pH 4.5인 아세트 완충용액에 수식전극을 담가 $Ag^+$를 전극 표면에 흡착시켰다. 이 때 흡착시간을 15분으로 하고 전해환원시키는 시간은 -0.3V vs S.C.E에서 2분으로 하였다. 또한 0.1M $HNO_3$ 용액으로 전극을 활성화시켰으며 한번 활성화한 전극은 10회까지 사용이 가능하였다. 최적 분석조건에서 미분펄스 전압전류법으로 $5.0{\times}10^{-7}{\sim}1.5{\times}10^{-6}M$ 사이의 농도 범위에서 정량해 보았을 때 직선성이 잘 성립하였으며, 검출한계는 $2.0{\times}10^{-7}M$이었다. 대부분의 금속들은 방해를 주지 않았으나, Cu(II)은 방해를 나타내었다. Chemically modified electrodes(CMEs) for Ag(I) were constructed by incoporating 1,5,9,13-tetrathiacyclohexadecane([16]-ane-$S_4$) with a conventional carbon-paste mixture composed of graphite powder and nujol oil. Ag(I) ion was chemically deposited onto the surface of the modified electrode with [16]-ane-$S_4$ by immersion of the electrode in the acetate buffer solution(pH=4.5) containing $5.0{\times}10^{-4}M$ Ag(I) ion. And then the electrode deposited with Ag(I) was reduced at -0.3V vs. S.C.E. Well-defined stripping voltammetric peaks could be obtained by scanning the potential to the positive direction. The CME surface was regenerated with exposure to 0.1M $HNO_3$ solution and was re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Ag(I) ion. When deposition/measurement/regeneration cycles were 10 times, the response could be reproduced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 of 6.08%. In case of differential pulse stripping voltammetry, the calibration curve for Ag(I) was linear over the range of $5.0{\times}10^{-7}{\sim}1.5{\times}10^{-6}M$. And the detection limit was $2.0{\times}10^{-7}M$. Various ions such as Cd(II), Ni(II), Pb(II), Zn(II), Mn(II), Mg(II), EDTA, and oxalate(II) did not influence the determination of Ag(I) ion, except Cu(II) ion.

      • KCI등재
      • KCI등재

        강우에 따른 거제만해역 육상오염원의 영향평가

        하광수 ( Kwang Soo Ha ),유현덕 ( Hyun Duk Yoo ),심길보 ( Kil Bo Shim ),김지회 ( Ji Hoe Kim ),이태식 ( Tae Seek Lee ),김풍호 ( Poong Ho Kim ),주자연 ( Ja Yeon Ju ),이희정 ( Hee Jung Lee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201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4 No.6

        The influences of inland pollution sources because of rainfall events on the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in Geoje Bay, a major shellfish production area in Korea, were investigated. The sanitary status of sea water and shellfish after rainfall events was also evaluated. The flow rates of 13 streams around Geoje Bay showed 6 to 7-fold increases after 15 to 21 mm of rainfall. Peak pollution was observed in the Naegan Stream, the Gandeok Stream and the Seojeong Stream. The calculated impact area of inland pollution sources was 3.1 ㎢ immediately after 15 mm of rainfall and expanded to 3.5 ㎢ after 24 hours. These calculations of impacted area matched results from fecal coliform analyses with sea water. The distance between the major pollution source in the bay (the Gandeok Stream) and the station with the worst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immediately after 15 mm of rainfall, which was below the Korean standard, was 0.8 km in a straight line; this distance increased to 2.0 km after a period of 24 hours. The area impacted by inland pollution sources after a 15 mm rainfall event was wider than after a 21 mm rainfall. Although the flow rate from inland pollution sources was higher, the concentration of fecal coliform in the discharged water was lower after higher rainfall events. These observations corresponded with the results of fecal coliform analyses with sea water sample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the influences of inland pollution sources and fecal coliform analyses on sea water and shellfish samples in Geoje Bay, pollutants from inland sources did not reach the boundary line of the shellfish growing area after rainfall events of 15 or 22 mm. The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of the shellfish growing area in Geoje Bay met the Korean standard and US NSSP requirements for approved shellfish growing areas.

      • KCI등재

        방재서비스디자인 프레임워크 연구

        하광수(Kwang Soo Ha),반영환(Younghwan Pan)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3

        최근 세계 곳곳에서 사회 이면에 도사린 위험요소가 재해로 연결되면서 수많은 재산/인명 피해를 끼치는데 그치지 않고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비약적인 경제발전의 결과로 도시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경제의 규모도 커지면서, 여러 인적/사회적 재난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악순환에 빠져있다. 이런 심각성 때문에 오랜 시간동안 재난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지속되었으며 학문의 영역 또한 빠르게 복합화 되면서 확장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재난과 방재측면에서 그간의 연구방향 이었던 방재학적, 방재공학적, 사회학적 관점에서 벗어나 서비스디자인 관점으로 접근함으로서 대안적 연구를 시도 하였다. 그 과정에서 재난과,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개괄을 알아보고 방재 프로젝트에 적용함으로서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방재서비스디자인을 정의하고 논의 하고자 하였다. 이는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연구 방법론을 적용 검증함으로서 교과서적인 논의에서 벗어나 실 적용측면에서의 논의를 진행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로 도출된 방재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와 플랫폼을 통해 방재서비스디자인을 정의 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방재서비스디자인을 통해 재난의 전후 전 단계에서 재난과 관련된 유/무형의 여러 요소를 디자인적으로 가시화시킬 수 있게 되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Many hidden aspects of society around the world that has been lurking as risk factors have been ultimately connected to disasters. Such connection did not just stop with massive damages to properties and loss of lives but became a serious social issue. Especially in the case for Korea, because the country has gone through abrupt economic growth which has resulted in rapid urbanization and expansion of economic scale, Korea has been caught in a vicious cycle of experiencing human and social calamities repeatedly. Due to the seriousness of such problem, theres been continued research in various fields for managing disasters, and the domain of knowledge has been expanding with complexity. The following study went beyond the perspectives of disaster prevention study, disaster prevention engineering and social sciences suggested from previous research directions in disaster and disaster prevention, and attempted an alternative research method by approaching from a service design perspective. During the process, the paper looked over the summary on disaster and service design. By applying it on disaster prevention projects, the research sets forth and discusses effective and practical disaster prevention service design. Through specific case studies, the research methodology applied was verified,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perspective of real world applications different from textbook type discussions.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e disaster prevention service design process and platform that were discovered during the research result, defining and understanding disaster prevention service design will be made apparent. Additionally, the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building block for building a visualized plan for tangible and intangible factors related to disasters before the disaster process through such proposed disaster prevention service design.

      • KCI등재

        복사기 조작버튼에 따른 사용성 상관관계 연구

        하광수(Kwang Soo Ha)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2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해 터치스크린은 이제 대부분 정보기기에 탑재되고 있다. 복사기의 경우 다른 어떤 정보기기 보다 이른 시기에 터치스크린이 탑재되어 사용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복사기의 User Interface(이하 UI)를 살펴보면 과거로부터 관습적으로 사용되어온 방식을 특별한 재검증 없이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경우를 쉽게 발견 할 수 있다. 그러나 복사기와 같은 사무용 공용기기의 경우 비교적 사용자가 기기와 마주하는 시간이 짧고 사용 목적이 분명하며 간결하기 때문에 사용자와 기기 간 User Experience(이하 UX)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 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보수적인 성격과 기기 사용자와 구매자의 상이함이 기기의 UI를 적극적으로 변화 시키는데 큰 걸림돌로 작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하드웨어 요소인 버튼이 터치스크린 상으로 위치를 이동하고, 공용/공공기기들이 터치스크린을 중심으로 하는 UX의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면서 복사기 또한 UX의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 복사기에 나타나는 이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문헌을 통해 현재까지의 연구를 살펴 본 후 사용자조사와 프로토타입(Prototype)을 통한 사용자평가를 통해 복사기를 구성하고 있는 UI 요소와 이에 따른 사용행태의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특히 복사기에 있어서 소프트웨어 버튼중심 UI와 하드웨어 버튼중심 UI간 차이가 사용자와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서 새로운 복사기 UX의 방향을 제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복사기 및 공용기기의 사용성향상과 UX디자인에서 기반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ouchscreen is now installed in the majority of information devices thanks to the developed digital technology. In case of copiers, although touchscreen was installed earlier than any other information device, current user interface indicates that conventional methods have been maintained without any special re-validation. But, since common office devices such as copiers have brief usage time and clear, straightforward purposes, user experience between an user and device is perhaps an important element. Nevertheless, conservativeness of the market and the fact that users and buyers are not always the same are a stumbling block to actively changing UI. Recently, however, as hardware element, buttons, have moved to touchscreen mostly for smartphone, and common and public devices have seen rapid changes in UX, mostly with touchscreen, it has led to high demand for changes in UX of copiers. To remedy the issues with copier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hrough existing studies and user evaluation based on user survey and prototype was done to examine the copier’s UI elements and relevant changes in usage. In particular, a new direction for UX of copiers was suggested by analyzing the impact of differences between software button-oriented UI and hardware button-oriented UI on users and usability. This study findings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usability of future common devices including copier and UX design.

      • 전통시장 상점 개선을 위한 비디오 에스노그래피 연구

        하광수(Kwang Soo Ha),허정윤(Jeongyun Heo),김용철(Yongchul Kim),김민규(Minkyu Kim),남유선(You Seon Nam)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최근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유통할인점의 급속한 팽창과 인터넷쇼핑을 중심으로 하는 유통구조의 빠른 변화로 인해 전통시장은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시도되었던 그간의 정책들은 대부분 시장환경의 현대화전략을 중심으로 수행 되면서 효과적인 대응이 되지 못했던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간의 시장환경 개선 중심 관점의 접근에서 벗어나 매장에서 상인의 일상을 비디오 에스노그래피 기법을 통해 분석함으로서 상인의 상품의 진열과 판매로 이어지는 상인 활동 전반과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인터랙션에서 일어나는 문제점 추가하여 실질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매장 내에서 상인의 일과와 업무를 상세히 관찰하고 개선되어야 할 요인을 채소 매대 환경을 중심으로 도출하고 정리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어떤 요인이 상인의 판매 활동 인터랙션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이를 통해 어떤 개선이 상인의 판매 활동에 효과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을 위한 래피드퍼소나 수립방법의 유효성 검정

        하광수(Kwang Soo Ha)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3

        최근 서비스디자인이 국민대상 공공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입되면서 다양한 공공서비스의 개선이 시도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일반국민을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통한 디자인개선 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나, 전문적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기반으로 한 프로세스와 활동을 계획하면서 제한된 시간과 비용, 그리고 구성원의 부족한 전문성에 따른 진행의 어려움을 격고 있다. 같은 이유로 서비스디자인 과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퍼소나 방법론도 여러 한계에 봉착하고 있다. 또한 서비스디자이너 및 UX디자이너 사이에서도 퍼소나의 한계점을 이해하고, 한계를 극복 하고자 여러 가지 대안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전통적 퍼소나 도출 방식에 대한 한계를 인식 하고, 이를 극복하면서도 사용자의 목표를 대변할 수 있는 빠르고 경제적 방법의 래피드퍼소나 제작 방법을 새롭게 제안 하였다. 또한 제안된 래피드퍼소나 제작방법을 실제 통계청 공공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에 응용하여 적용함으로써 실증적 연구를 통한 검증을 시도하였다. 이는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연구방법론을 적용함으로써 교과서적인 논의에서 벗어나 실 적용측면에서의 논의를 진행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연구방법론을 통해 제한된 시간과 부족한 재화를 극복하고 빠르고 쉽게 퍼소나를 수립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디자인 및 UX디자인 과정에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Recently, as service design was introduced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improve various public service. In the process,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general citizens are participating in the design improvement activity through a method of design service but the parties are facing a difficulty in the progress because of a limitation of time and budget and a lack of professionalism among the member while the parties are planning the process and activities based on the professional service design method. Persona method that is usually used in the process of service design is encountering a limitation as well. Also, there are continuous attempts to understand the limitation of persona and apply an alternative research method among service and UX designers. For this reason, this thesis is to recognize the limitation in deduction method of traditional persona and suggests a fast and economical production method of Rapid Persona speaking for the goal of users and overcoming the limitation. Furthermore, by applying the suggested method of making Rapid Persona to an actual public service design project of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test through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his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progressing a discussion in the respect of actual application beyond a banal discussion. Through the research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ime and a lack of professionalism and, based on these, can be used in the process of various service design and UX design as establishing persona in a fast and easy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